KR20200046288A -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288A
KR20200046288A KR1020180127212A KR20180127212A KR20200046288A KR 20200046288 A KR20200046288 A KR 20200046288A KR 1020180127212 A KR1020180127212 A KR 1020180127212A KR 20180127212 A KR20180127212 A KR 20180127212A KR 20200046288 A KR20200046288 A KR 20200046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upled
magnet case
ho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무
박대호
Original Assignee
이상무
박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무, 박대호 filed Critical 이상무
Priority to KR102018012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288A/ko
Priority to US16/253,573 priority patent/US10730057B2/en
Priority to CN201910086845.XA priority patent/CN109851141A/zh
Publication of KR2020004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03C1/0332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6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e.g. magnetic drain bo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8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are suspended in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8Parts being easily removable for cleaning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이 결합된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수도관로 상에 입출수구를 결합하여 설치하는 분기관의 중간부 여과기삽입구에 캡을 설치하되, 이 여과기삽입구와 캡 상에는 불순물을 거르는 여과망 안쪽으로 불순물 중 도체의 포집이 용이하도록 배척공간을 사이로 척력배치되는 2개의 상하부자석을 자석케이스의 길이방향 양단에 수용하되, 이 자석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된 승강수단의 작동시 상기 상부자석이 배척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자석케이스 상단표면에 포집된 도체가 손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한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Magnetic strainer}
본 발명은 자석이 결합된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관로 상에 입출수구를 결합하여 설치하는 분기관의 중간부 여과기삽입구에 캡을 설치하되, 이 여과기삽입구와 캡 상에는 불순물을 거르는 여과망 안쪽으로 불순물 중 도체의 포집이 용이하도록 배척공간을 사이로 척력배치되는 2개의 상하부자석을 자석케이스의 길이방향 양단에 수용하여, 이 자석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된 승강수단의 작동으로 상기 상부자석이 배척공간으로 하강 이동하면서 자석케이스 상단표면에 포집된 도체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을 포함한 배관의 신설 공사 및 보수공사에서 쇳가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노후 배관에서는 녹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쇳가루 및 녹은 자연스럽게 관로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사 후 및 사용중인 관 내에 쇳가루 등의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돌록 퇴수조치를 철저히 하고 있다.
그런데, 쇳가루는 그 비중이 7.83 정도로 매우 높아 관로 내부의 이음부 등에 잔류하고 있다가 물의 유동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중요 배관 부품까지 흘러가게 된다. 즉, 상수도관의 경우 쇳가루는 대형 수도계량기의 중요부분에 해당하는 임펠러의 회전부를 거쳐 지침부의 전달매체인 자석부에 부착되어 계측오류(슬립 등)를 발생시키거나, 심할 경우에는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출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산업용의 경우 펌프 및 솔레노이드 등의 주요 부품의 기능을 손상시키거나 고저을 유발하고 녹물 발생으로 수질을 악화시키는 주요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배관 등의 임의 개소에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여과 장치인 스트레이너가 설치된다.
종래 스트레이너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여과망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중간의 여과기삽입구 및, 상기 여과망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유출구로, 이러한 상기 3개의 입출구가 일체로 구비되는 'Y'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트레이너는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중간 여과기삽입구 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여과망을 설치하여,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유체를 중간 여과기삽입구 내의 원통형 여과망 내부를 거치면서 유체에 포함된 산화철이나 미세 부유물 등의 이물질들을 걸러준 다음 유출구로 배출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가 관로 후방으로 공급됨으로써, 관로 후방에 설치된 밸브류나 모터 등 작동기기의 상기 이물질의 흡착에 의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스트레이너장치에 대해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20-1989-0012723(공개일 1989.08.07) '스트레이너장치' 및 국내 등록특허 10-1195200(등록일 2012.10.22) '상수도용 자석부착형 스트레이너' 에서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들은 상기 여과기삽입구에 길다란 1개의 자석을 삽입배치하거나, 또는 지지대 상에 일렬로 서로 밀착하는 다수개의 자석을 삽입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각종 상수도공사 등으로 인해 상수도관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수도계량기를 보호하기 위해 대형 수도계량기의 전단에 스트레이너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이너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10-0919282(등록일 2009.09.21) '부식 방지관', 국내 등록특허 10-0919816(등록일 2009.09.24)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및 국내 등록특허 10-0485303(등록일 2005.04.15) '상수도용 스트레이너장치'를 비롯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 20-2009-0004835(공개일 2009.05.20)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등에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선행기술들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기술에 대해서만 언급되어 있을 뿐, 대형 수도계량기 및 배관 부품에 장애요인이 되는 미세한 쇳가루 등이 대형 배관 부품 쪽으로 유입되기 전에 수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미세한 쇳가루 등이 배관 부품 쪽으로 유입되기 전에 사전에 수집하여 그 공급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대형 배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20-1989-0012723(공개일 1989.08.07) 국내 등록특허 10-1195200(등록일 2012.10.22) 국내 등록특허 10-1880203(등록일 2018.07.13) 국내 등록특허 10-0919282(등록일 2009.09.21) 국내 등록특허 10-0919816(등록일 2009.09.24) 국내 등록특허 10-0485303(등록일 2005.04.15) 국내 공개실용신안 20-2009-0004835(공개일 2009.05.2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방식이나 선행기술의 장단점이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식을 채택하되 보다 경제적이고 단순 간결한 구조이면서도, 기술적 다양성이 풍부할 수 있는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배관 부품에 쇳가루 등의 도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배관 부품의 성능유지 및 수명을 연장함과 더불어 고장률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이너의 여과기삽입구로부터 여과부재의 자석에 부착된 도체를 배출구를 통해 손쉽게 배출하거나, 또는 여과부재를 손쉽게 분리하여 자석에 포집된 도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는 배관 내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배관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여과기삽입구가 일체로 형성된 분기관과, 도체를 수집하는 자석부를 포함하여 상기 여과기삽입구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여과부재 및 상기 여과기삽입구에 나사결합하는 캡으로 구성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일단이 상기 분기관의 내부 중간에 형성된 걸림환턱에 걸려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캡의 지지환턱에 걸려 고정지지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망; 상기 여과망의 내측에 수용되어 서로 상하부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자석케이스; 상기 자석케이스의 수용공간 상하단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하부 자석이 배척공간을 사이로 척력배치되어 상기 자석케이스의 표면에 도체를 포집하는 자석부; 상기 상하부 자석의 저면에 결합하는 차폐철판; 상기 자석케이스의 상단에 밀착된 상기 상부자석이 하강하도록 상기 자석부또는 상기 자석케이스에 축결합되되, 상기 캡에 구비된 결합공에 대해 후퇴가능하게 결속되는 승강수단; 을 구비하여, 청소시 상기 승강수단이 후퇴됨에 따라 상기 상부자석이 하강하여 상기 자석케이스의 상단표면에 포집된 도체에 자력전달을 감소시켜 상기 자석케이스의 표면상단에 포집된 도체가 원활하게 제거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중앙에 관통홀을 형성되어 상기 캡의 결합공에 결합하는 컨넥터와, 일단이 상기 관통홀을 지나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컨넥터의 저면단에 축결합하는 세트볼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석케이스는 그 폭이 상기 캡 결합공의 폭 미만으로 구비되어 상기 캡의 결합공을 통해 외부로 이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중앙에 관통홀을 구비하여 일단이 상기 캡의 결합공을 지나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에 결합되는 컨넥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배출공을중앙에 관통형성하여 상기 컨넥터의 관통홀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슬리브관; 상기 슬리브관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구비되는 피스톤; 일단이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상기 하부자석을 지나 상기 상부자석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피스톤의 저면에 너트를 통해 축결합되는 축봉; 및 상기 컨넥터의 타단에 결합되어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배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볼밸브; 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슬리브관의 배출공에 연결되는 배출홀을 형성하여, 상기 볼밸브를 개방함에 따라 상기 배관내의 압력이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의 배출홀을 통해 상기 슬리브관의 배출공에 전달되고, 전달된 상기 압력으로 인해 상기 슬리브관의 배출공을 막고 있던 피스톤이 하강하여 상기 배출공을 개방함에 따라, 유체가 상기 볼밸브의 배출구로 배출됨과 함께 상기 상부자석은 상기 배척공간으로 하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의 상단표면에 포집된 도체에는 자력전달이 감소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압력으로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의 표면상단에 포집된 도체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계량기, 펌프, 솔레노이드 등 배관 부품에로의 도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배관 부품의 성능유지 및 수명을 연장함과 더불어 고장율 저감에 크게 기여하는 장점뿐만 아니라, 도체를 비롯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녹물이 제거된 맑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관로 상에 입·출수구를 결합하여 설치하는 분기관의 중간부 여과기삽입구에 캡을 설치하되, 이 여과기삽입구와 캡 상에는 불순물을 거르는 여과망 안쪽으로 불순물 중 도체의 포집이 용이하도록 배척공간을 사이로 척력배치되는 2개의 상하부자석을 자석케이스의 길이방향 양단에 수용하되, 이 자석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된 승강수단의 작동시 상기 상부자석이 배척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자석케이스 상단표면에 포집된 도체가 손쉽게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는 상수도 관로나 보일러 관로 등 각종 배관에 사용되며, 특히 노후로 인해 녹슨 관로에 사용시 관로 상에 흐르는 녹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스트레이너로, 그 특징은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 스트레이너(1)는 양단에 유입구(101)와 유출구(102)가 형성되어 배관의 관로 상에 설치되며 중간부에 여과기삽입구(103)가 일체로 형성된 'Y'자형 분기관(100)과, 상기 분기관(100)의 여과기삽입구(103)에 나사체결되는 캡(300), 및 상기 캡(300)과 결합하여 상기 여과기삽입구(103)에 설치되는 여과부재(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하에서는 상기 배관의 직경이 1인치(inch)일 때 관로의 수압을 4.0 MPa, 유량을 60∼70 L/min, 유속은 1.8 m/sec 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항은 구체적인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분기관(100)은 양단에 유입구(101)와 유출구(102)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여과기삽입구(103)가 일체로 형성된 'Y'자형 관으로, 이 분기관(100)의 내부 중간에는 걸림환턱(10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캡(300)은 공간으로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지지환턱(301)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결합공(302)이 내측 공간과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여과부재(200)는 상기 분기관(100)의 여과기삽입구(103) 내측에 설치되는 여과망(210)과, 이 여과망(210)의 안쪽에 설치되어 배척공간(223)을 사이로 척력배치되는 자석부(230), 상기 자석부(230)를 수납하는 자석케이스(220) 및 상기 배척공간(223)으로 상부자석(231)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50,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망(210)은 원통관 형태의 망체로, 상기 분기관(100)의 내부 중간에 형성된 걸림환턱(104)에 원통관의 길이방향 일단이 걸려지지되고, 원통관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캡(300)의 지지환턱(301)에 걸려 고정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환턱(104) 및/또는 지지환턱(301)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돌출단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홈형태의 환형테(미도시 됨)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여과망(210)의 내측에는 상기 자석케이스(220)가 수용배치된다. 상기 자석케이스(220)는 상부 자석케이스(221)와 하부 자석케이스(222)로 구성되며, 이들 상·하부 자석케이스(221,222)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내측에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석케이스(220)는 바람직하게 비도체이다. 또한,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221)의 상단면은 표면적이 확대되도록 외향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내부공간에는 이 내부공간의 상하단에 밀착되도록 2개의 자석(231, 232)이 서로 척력배치되는 자석부(2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내부공간에는 서로 척력으로 배치되는 상기 상·하부 자석(231,232)으로 인해 상·하부 자석(231,232)의 마주보는 내측 단 사이에는 자석 간의 척력에 의해 배척공간(223)이 형성되고, 상·하부 자석(231,232)의 외측 단은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길이방향 상·하단 내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당연하게도 상기 상·하부 자석(231,232)의 척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배척공간(223)의 길이를 계산하여 상·하부 자석(231,232)이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양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자석케이스(220)의 길이를 설계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221)의 상단면이 외향볼록한 곡면을 이룸에 따라 상기 상부자석(231)의 상단면도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상단면에 대응하여 외향 볼록한 곡면을 이룬다. 이렇게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221) 및 상부자석(231)의 상단면이 외향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표면적을 최대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221) 및 상부자석(231)의 상단면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하면, 상부 자석케이스(221)의 상단면에 포집되는 도체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포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상기 자석부(230)의 상·하부 자석(231,232) 저면에는 차폐철판(240)이 결합설치된다. 이렇게 상·하부 자석(231,232)의 저면에 차폐철판(240)이 배치됨에 따라 서로 척력배치되는 상·하부 자석(231,232)간에는 차폐철판(240)에 의한 인력이 작동하여 후술할 승강수단(250,250')의 작동에 의해 하부자석(232)이 하강함에 따라 상부자석(231)에도 인력이 작동하여 하부자석(232)을 따라 상부자석(231)도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자석부(230) 및 차폐철판(24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상부자석(231)의 자력이 하부자석(232)의 자력보다 2∼3배 강하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자석(231)의 저면에 차폐철판(240)을 결합시켜 자석케이스(220)의 상단 곡면에 자력이 집중되어 6,000Gs의 자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저면에 차폐철판(240)이 결합된 하부자석(232)은 2,500Gs의 자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자력을 설정하면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상단 곡면의 자력이 6,000Gs 로 측정되더라도, 자석케이스(220)의 측면과 저면은 300∼600Gs 로 상대적으로 약하게 구성된다. 때문에 철 노페물인 도체는 자력이 가장 강한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상단 곡면에 집중적으로 포집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상단 곡면에 집중 포집되는 도체를 제거 또는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자석케이스(220)의 상단 곡면에 자력이 집중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상단 곡면에 자력이 집중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자석(231)을 승강수단(250,250')과 연결 구성한 후 상기 승강수단(250,250')의 하강작동에 의해 상부자석(231)을 상기 배척공간(223)으로 하강시켜, 상기 상부자석(231)의 상단면이 자석케이스(220) 내측 상단면에서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먼저, 도 1과 같은 승강수단(250)이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강수단(250)은 외측면이 상기 캡(300)의 결합공(302)에 결합되는 컨넥터(251)와, 일단이 상기 컨넥터(25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51a)을 지나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222)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컨넥터(251)의 저면단에 축결합하는 세트볼트(25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폭은 상기 캡 결합공(302)의 폭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자석케이스(220)의 폭이 캡 결합공(302)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자석케이스(220)에 포집된 도체를 청소할 때, 상기 캡(300)을 상기 여과기삽입구(103)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컨넥터(251)만을 분리하여 자석케이스의 표면에 포집된 철 노폐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승강수단(250) 구성의 장점은 상기 여과망(210)을 상기 분기관(100) 내부에 고정지지하고 있는 상기 캡(300)을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여과기삽입구(103)는 배관에 대해 45°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수단(250)도 여과기삽입구(103)에 45°경사각을 이루며 결합하게 되고, 상기 여과망(210) 또한 45°경사각으로 캡(300)에 의해 분기관(100) 내부에 고정지지된다. 이 여과망(210)은 얇은 원통관 형태의 망체인 관계로 청소를 위한 분해 후 재결합시 손상의 위험이 높을 뿐만아니라, 상기 분기관(100) 내부의 걸림환턱(104)과 캡(300)의 지지환턱(301) 사이에 여과망(210)을 위치고정시키는 것 또한 고단한 작업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노폐물 제거시에도 여과망(210)을 분리하는 것이 효과적인바, 도 1과 같은 승강수단(250)을 이용하면 이러한 난제가 간단하게 해결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같이 승강수단(250')이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승강수단(250')은 중앙에 관통홀(251a)을 구비하여 일단이 상기 캡(300)의 결합공(302)을 지나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222)에 결합되는 컨넥터(251)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출공(253a)을 중앙에 관통형성하여 상기 컨넥터(251)의 관통홀(251a) 상부 내측에 결합되는 슬리브관(25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브관(253)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어서 상기 슬리브관(253)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254)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슬라브관(253)의 상부가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되면, 이 슬라브관(253)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기 피스톤(254)이 슬라브관(253)의 상부에서는 슬라브관(253)의 내경에 피스톤(254)이 끼이면서 자연스럽게 슬라브관(253)을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볼밸브(256)의 작동에 의해 관로 내의 액체가 외부로 빠져 나갈 경우에는 관로 내의 배출압력에 의해 피스톤(254)이 슬라브관(253)의 하부인 넓은 내경 쪽으로 이동하면서 액체가 빠져나가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는데, 이 경우 좁은 상부 공간에서 이 보다 넓은 하부 공간으로 액체가 한꺼번에 빠져나가 액체의 배출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그리고 일단이 중앙에 통공(233)이 형성된 상기 하부자석(232)을 지나 상기 상부자석(231)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피스톤(254)의 저면에 너트를 통해 축결합되는 축봉(255)이 구비된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컨넥터(251)의 타단에 결합되어 배출구(256a)를 통해 상기 배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볼밸브(256)가 결합설치된다.
상기한 구성 중에서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222)의 측면에는 상기 슬리브관(253)의 배출공(253a)에 연결되는 배출홀(22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수단(250')의 상기 볼밸브(256)를 개방함에 따라, 상기 배관 내의 압력이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222)의 배출홀(222a)을 통해 상기 슬리브관(253)의 배출공(253a)에 전달되고, 전달된 상기 압력으로 인해 상기 슬리브관(253)의 배출공(253a)을 막고 있던 피스톤(254)이 하강하여 상기 배출공(253a)을 개방함에 따라, 유체가 상기 볼밸브(256)의 배출구(256a)로 배출됨과 함께 상기 상부자석(231)은 상기 배척공간(223)으로 하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221)의 상단표면에 포집된 도체에는 자력전달이 감소하여, 상기 배출구(256a)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압력으로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221)의 표면상단에 포집된 도체가 상기 배출구(256a)를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1: 스트레이너 100: 분기관
101: 유입구 102: 유출구
103: 여과기삽입구 104: 걸림환턱
200: 여과부재 210: 여과망
220: 자석케이스 221: 상부 자석케이스
222: 하부 자석케이스 222a: 배출홀
223: 배척공간 230: 자석부
231: 상부자석 232: 하부자석
233: 통공 240: 차폐철판
250, 250': 승강수단 251: 컨넥터
251a: 관통홀 252: 세트볼트
253: 슬리브관 253a: 배출공
254: 피스톤 255: 축봉
256: 볼밸브 256a: 배출구
300: 캡 301: 지지환턱
302: 결합공

Claims (4)

  1. 관로 내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배관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에 유입구(101)와 유출구(102)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여과기삽입구(103)가 일체로 형성된 분기관(100)과, 도체를 수집하는 자석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여과기삽입구(103)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여과부재(200) 및 상기 여과기삽입구(103)에 나사결합하는 캡(300)으로 구성되는 스트레이너(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200)는,
    일단이 상기 분기관(100)의 내부 중간에 형성된 걸림환턱(104)에 걸려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캡(300)의 지지환턱(301)에 걸려 고정지지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망(210);
    상기 여과망(210)의 내측에 수용되어 서로 상·하부(221,222)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자석케이스(220);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수용공간 상하단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하부 자석(231,232)이 배척공간(223)을 사이로 척력배치되어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표면 도체를 포집하는 자석부(230);
    상기 상·하부 자석(231,232)의 저면에 각각 결합하는 차폐철판(240);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상단에 밀착된 상기 상부자석(231)이 하강하도록 상기 자석부(230) 또는 상기 자석케이스(220)에 축결합되되, 상기 캡(300)에 구비된 결합공(302)에 대해 후퇴가능하게 결속되는 승강수단(250,250'); 을 구비하여,
    청소시 상기 승강수단(250,25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상부자석(231)이 하강하여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상단표면에 포집된 도체에 자력전달을 감소시켜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표면상단에 포집된 도체가 원활하게 제거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250)은 중앙에 관통홀(251a)이 형성되며 상기 캡(300)의 결합공(302)에 결합하는 컨넥터(251)와, 일단이 상기 관통홀(251a)을 지나 상기 자석케이스(2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컨넥터(251)의 저면단에 축결합하는 세트볼트(2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케이스(220)의 폭은 상기 캡 결합공(302)의 폭 미만으로 형성하여, 상기 여과망(210)을 상기 분기관(100) 내부에 고정지지하는 상기 캡(300)을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컨넥터(251)의 분리만으로 상기 캡 결합공(302)을 통해 상기 자석케이스(220)를 외부로 이탈시켜 자석케이스(220)에 포집된 도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250')은 중앙에 관통홀(251a)을 구비하여 일단이 상기 캡(300)의 결합공(302)을 지나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222)에 결합되는 컨넥터(251); 배출공(253a)을 중앙에 관통형성하여 상기 컨넥터(251)의 관통홀(251a)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슬리브관(253); 상기 슬리브관(253)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254); 일단이 중앙에 통공(233)이 형성된 상기 하부자석(232)을 지나 상기 상부자석(231)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피스톤(254)의 저면에 너트를 통해 축결합되는 축봉(255); 및 상기 컨넥터(251)의 타단에 결합되어 배출구(256a)를 통해 상기 배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볼밸브(256); 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222)의 측면에는 상기 슬리브관(253)의 배출공(253a)에 연결되는 배출홀(222a)을 형성하여,
    상기 볼밸브(256)를 개방함에 따라 상기 배관내의 압력이 상기 하부 자석케이스(222)의 배출홀(222a)을 통해 상기 슬리브관(253)의 배출공(253a)에 전달되고, 전달된 상기 압력으로 인해 상기 슬리브관(253)의 배출공(253a)을 막고 있던 피스톤(254)이 하강하여 상기 배출공(253a)을 개방함에 따라, 유체가 상기 볼밸브(256)의 배출구(256a)로 배출됨과 함께 상기 상부자석(231)은 상기 배척공간(223)으로 하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221)의 상단표면에 포집된 도체에는 자력전달이 감소하여, 상기 배출구(256a)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압력으로 상기 상부 자석케이스(221)의 표면상단에 포집된 도체가 상기 배출구(256a)를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KR1020180127212A 2018-10-24 2018-10-24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KR20200046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212A KR20200046288A (ko) 2018-10-24 2018-10-24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US16/253,573 US10730057B2 (en) 2018-10-24 2019-01-22 Magnetic strainer
CN201910086845.XA CN109851141A (zh) 2018-10-24 2019-01-29 磁铁结合型过滤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212A KR20200046288A (ko) 2018-10-24 2018-10-24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288A true KR20200046288A (ko) 2020-05-07

Family

ID=6689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212A KR20200046288A (ko) 2018-10-24 2018-10-24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30057B2 (ko)
KR (1) KR20200046288A (ko)
CN (1) CN1098511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194A (ko) 2021-05-27 2022-12-06 한국지역난방공사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KR20240001471A (ko) 2022-06-27 2024-01-03 클리오주식회사 실내공기 살균기능을 갖는 환풍식 공기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2772B (en) * 2017-05-25 2019-10-30 Vexo International Uk Ltd Fluid treatment
US11369900B2 (en) * 2019-01-16 2022-06-28 The Metraflex Company Pipeline strainer with magnetic insert and baffle
CN114345547B (zh) * 2020-10-12 2024-02-27 北京星油科技有限公司 磁性过滤器
US11786913B2 (en) * 2021-05-14 2023-10-17 Saudi Arabian Oil Company Y-shaped magnetic filtration device
CN113908605B (zh) * 2021-09-30 2022-10-18 北方联合电力有限责任公司达拉特旗发电分公司 一种用于废水管道口的过滤装置
CN116990117B (zh) * 2023-09-26 2024-01-12 德阳利宇风和新材料有限公司 一种超导铝基覆铜板质量测试设备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723U (ko) 1987-12-26 1989-08-07 주식회사 금성사 스트레이너장치
KR100485303B1 (ko) 2004-04-28 2005-04-28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KR20090004835U (ko) 2007-11-16 2009-05-20 김정춘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0919282B1 (ko) 2007-11-16 2009-09-30 유상열 부식 방지관
KR100919816B1 (ko) 2007-07-05 2009-10-01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1195200B1 (ko) 2012-04-30 2012-10-29 서울특별시 상수도용 자석부착형 스트레이너
KR101880203B1 (ko) 2016-11-21 2018-07-20 홍민주 화학약품 유체 배관용 스트레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0586A (en) * 1940-04-26 1943-02-09 Lohman Bros Means for preventing backflow in plumbing systems
NL6411743A (ko) * 1964-10-09 1966-04-12
US4883591A (en) * 1985-10-03 1989-11-28 David Belasco Multi-pass fluid treating device
ES2085824B1 (es) * 1993-02-04 1998-02-16 Torre Barreiro Jose Luis De Mejoras introducidas en acondicionadores magneticos para tratamiento de liquidos.
JPH08117517A (ja) * 1994-10-19 1996-05-14 Miyawaki Inc 流体通路のストレーナ
JP3790568B2 (ja) * 1995-10-04 2006-06-28 株式会社ソミック石川 鉄粉吸着磁石および鉄粉吸着除去装置
US5676840A (en) * 1996-08-08 1997-10-14 Paul; Christopher G. Waste-oil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US6423215B1 (en) * 2001-03-08 2002-07-23 Myron Stein Fluid filter unit with automatic clogged filter element bypass and ferrous indicator flag
US6632354B2 (en) * 2001-06-22 2003-10-14 Joseph C. Caiozza Combined oil filter and magnet apparatus
JP2007229663A (ja) * 2006-03-02 2007-09-13 Shimonishi Seisakusho:Kk ストレーナ装置
JP2010279887A (ja) * 2009-06-03 2010-12-16 Keihin Hi-Flo Sales Co Ltd ストレーナ装置
US10967312B2 (en) * 2018-04-17 2021-04-06 The Metraflex Company Pipeline strainer with magnetic inser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723U (ko) 1987-12-26 1989-08-07 주식회사 금성사 스트레이너장치
KR100485303B1 (ko) 2004-04-28 2005-04-28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KR100919816B1 (ko) 2007-07-05 2009-10-01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20090004835U (ko) 2007-11-16 2009-05-20 김정춘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0919282B1 (ko) 2007-11-16 2009-09-30 유상열 부식 방지관
KR101195200B1 (ko) 2012-04-30 2012-10-29 서울특별시 상수도용 자석부착형 스트레이너
KR101880203B1 (ko) 2016-11-21 2018-07-20 홍민주 화학약품 유체 배관용 스트레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194A (ko) 2021-05-27 2022-12-06 한국지역난방공사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KR20240001471A (ko) 2022-06-27 2024-01-03 클리오주식회사 실내공기 살균기능을 갖는 환풍식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29990A1 (en) 2020-04-30
US10730057B2 (en) 2020-08-04
CN109851141A (zh)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6288A (ko)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EP2758178B1 (en) Magnetic particle separator for thermal systems
CA3064680C (en) Fluid treatment
CN105107247B (zh) 一种抽吸式养殖尾水颗粒物清除设备
CN110694324A (zh) 一种前置水过滤器
JP200730746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JP2017536233A (ja) 水浄化装置および該水浄化装置を用いた水ろ過方法
CN204099296U (zh) 一种污水泵的防堵塞结构
KR102420680B1 (ko) 유체를 위한 필터 디바이스
CN211477267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智能水表
CN205710154U (zh) 利用可拆卸式锥形滤网的水泵过滤装置
JP4702614B2 (ja) 管内濁質除去装置
US6675664B1 (en) Back flushable sample probe
KR101978129B1 (ko) 이물질을 여과하여 격리 수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CN208212689U (zh) 一种过滤效果好的油泵过滤器
KR101131700B1 (ko) 스트레이너
KR20150114294A (ko)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JP4636386B2 (ja) 管内濁質除去装置並びにその吸込ノズルの設置方法
CN110541453A (zh) 一种滑动自清洁式水利管道
RU121453U1 (ru) Фильтр магнитно-механический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ей
CN104826377B (zh) 一种涡旋重力离心管道除污器
CN211039858U (zh) 一种带过滤功能的阀门接头
CN216200957U (zh) 一种高密封性热水器进水阀
CN216366974U (zh) 一种循环水过滤器的清理装置
CN212067980U (zh) 一种方便更换滤芯的管道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