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943B1 - 부식 방지관 - Google Patents

부식 방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943B1
KR101227943B1 KR1020120010291A KR20120010291A KR101227943B1 KR 101227943 B1 KR101227943 B1 KR 101227943B1 KR 1020120010291 A KR1020120010291 A KR 1020120010291A KR 20120010291 A KR20120010291 A KR 20120010291A KR 101227943 B1 KR101227943 B1 KR 101227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main body
filter member
pipe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현
Original Assignee
유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현 filed Critical 유주현
Priority to KR102012001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조립성이 크게 개선됨과 아울러 스트레이너의 내부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구조가 개선된 부식 방지관이 개시된다. 부식 방지관은 계량기와, 계량기 측으로 유동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 및 계량기와 스트레이너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직관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스트레이너는 수돗물이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 및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고, 본체는 필터 부재의 하부에 스트레이너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제1 청소용 홀을 구비하고 제1 청소용 홀을 개폐하는 청소용 캡을 포함한다. 따라서, 필터 부재의 분리 없이 용이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청소 시 오염 없이 깔끔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식 방지관{PIPE FOR INCORRUPTING CORROSION}
본 발명은 부식 방지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 배관을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계량기와,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직관을 포함하는 부식 방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배관은 상수원의 수돗물을 공급 및 이송하는 관(Pipe)으로서, 일정한 길이의 단위 배관을 연결하여 일련의 배관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위 길이로 별도 제작된 상수도 배관은 상수원으로부터 수요 지점까지 지하를 관통하여 매설 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부식 방지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식 방지관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상수도 배관의 매설 구간중 수요 지점 근방의 임의의 매설 구간에 급수량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기(100)가 서로 인접하는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계량기(100)를 보호함과 동시에 관내를 흐르는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스트레이너(Strainer: 300)가 구비된다. 이 경우, 계량기(100)와 스트레이터(300)의 사이에는 연결 직관(400)이 개재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결국, 상수원측으로부터 수요 지점까지 수돗물이 유동되는 방향(A)으로 스트레이너(300), 연결 직관(400) 및 계량기(100)는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로 마주하는 단부측에는 플랜지부(210)(210A)가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이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210)(210A)의 가장 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211)(2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상수도 배관(200)의 플랜지부(210)의 외곽끝단부면(212)과 내곽끝단부면(213)중 볼트 결합공(21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21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213)은 외곽 끝단부면(212)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단위 상수도 배관(200A)의 플랜지부(210A)의 끝단부면(212A)(213A)중 볼트 결합공(211A)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212A)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213A)은 외곽 끝단부면(212A)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300)는 스트레이너 본체(310)와, 일측 결합부(313)와, 타측 결합부(315)와, 여과망부재(320) 및 덮개부재(350)로 구성된다.
스트레이너 본체(310)는 상부측에 개방된 인입구(311)가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측 결합부(313)는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일측 수직벽(312)에 연장 형성되어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내부와 연통되며, 타측 결합부(315)는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타측 수직벽(314)에 연장 형성되어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내부와 연통된다. 여과망부재(320)는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인입구(311)를 통해 인입되어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내부에 내장된다. 덮개부재(350)는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인입구(311)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스트레이너 본체(310)는 사각 통체 형상 또는 원형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일측 결합부(313)의 단부에는 플랜지부(330)가 돌출 형성된다.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의 가장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331)이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의 외곽 끝단부면(332)과 내곽 끝단부면(333)중 볼트 결합공(33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33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333)은 외곽 끝단부면(332)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의 단부에는 플랜지부(340)가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의 가장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34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의 외곽 끝단부면(342)과 내곽 끝단부면(343)중 볼트 결합공(34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34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343)은 외곽 끝단부면(342)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여기서,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는 단위 상수도 배관(200A)의 플랜지부(210A)와 결합된다. 아울러,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343)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A)의 플랜지부(210A)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213A) 사이에는 링형 타입의 고무 재질의 패킹(500)이 개재된다. 또한,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341)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A)의 플랜지부(210A)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211A)을 통해 볼트(미도시)로써 체결한다.
한편, 계량기(100)는 계량기 본체(110)와, 회전체(120)와, 전ㆍ후 고정체(130)(140)와, 서포터(150)(160)와, 자기유도체(170)와, 자기센서(180)를 포함한다.
계량기 본체(110)는 양단이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유로 통로가 형성된다. 계량기 본체(110)의 양단부에는 일측 플랜지부(111)와 타측 플랜지부(115)가 돌출 형성되며, 계량기 본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일측 플랜지부(111)와 타측 플랜지부(115)의 가장 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112)(116)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111)의 외곽 끝단부면(113)과 내곽 끝단부면(114)중 볼트 결합공(112)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113)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114)은 외곽 끝단부면(113)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111)는 단위 상수도 배관(200)의 플랜지부(210)와 결합된다. 아울러,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111)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114)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의 플랜지부(21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213) 사이에 링형 타입의 고무 재질의 패킹(500)이 개재된다. 아울러,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111)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12)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의 플랜지부(21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211)을 통해 볼트(미도시)로써 체결한다. 또한,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타측 플랜지부(115)의 외곽 끝단부면(117)과 내곽 끝단부면(118)중 볼트 결합공(116)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117)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118)은 외곽 끝단부면(117)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회전체(120)는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된다. 회전체(120)의 외주면에는 유체의 유입 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다수개의 블레이드(121)가 구비되며, 전ㆍ후 고정체(130)(140)는 회전체(120)의 전,후에 해당되는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축(122)을 매개로 하여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서포터(150)(160)는 전,후 고정체(130)(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어 타단부가 계량기 본체(110)의 내면에 접촉된다. 이 경우, 서포터(150)(16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이유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자기유도체(170)는 회전체(120)의 각 블레이드(12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21)의 내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매몰 설치할 수 있다. 자기유도체의 재질로는 영구자석을 제외한 자화가 가능한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며, 이로써 후술하는 자기센서(180)에 대응되는 자기유도체(170)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힐 수 있다. 자기센서(180)는 블레이드(121)의 단부에 대응되는 부분, 즉 수평부분에 대응되는 계량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자기유도체(120)를 센싱하여 검출된 신호를 연산수단으로 출력한다. 자기센서(180)는 센서 수용 하우징(181)내에 내장되는 것으로, 센서 수용 하우징(181)이 블레이드(121)에 대응되는 계량기 본체(110)에 유로 통로내로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자기센서(180)에 의해 자기유도체(170)를 센싱한다. 결국, 자기센서(180)에서 센싱된 유량 흐름 정보는 연산수단으로 송신되고,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정보는 표시수단을 통해 수도물의 사용량이 표시된다.
연결 직관(40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에는 계량기 본체(110)의 타측 플랜지부(115)와 결합되는 일측 플랜지부(410)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 플랜지부(410)의 가장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411)이 형성되며, 외각 끝단부면(412)과 내곽 끝단부면(413)중 볼트 결합공(41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41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413)은 외곽 끝단부면(413)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연결 직관(400)을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410)는 계량기 본체(110)의 타측 플랜지부(115)와 결합된다. 아울러, 일측 플랜지부(41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413)과, 계량기 본체(110)의 타측 플랜지부(115)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118) 사이에 링형 타입의 고무 재질의 패킹(500)이 개재된다. 또한, 연결 직관(400)을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41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411)과, 계량기 본체(110)의 타측 플랜지부(115)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16)을 통해 볼트(미도시)로써 체결한다.
또한, 연결 직관(400)의 타단부에는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일측 결합부(330)와 결합되는 타측 플랜지부(420)가 돌출 형성된다. 타측 플랜지부(420)의 가장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421)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 플랜지부(420)의 외각 끝단부면(422)과 내곽 끝단부면(423)중 볼트 결합공(42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42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423)은 외곽 끝단부면(422)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연결 직관(400)을 구성하는 타측 플랜지부(420)는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와 결합된다. 또한, 타측 플랜지부(42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423)과,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333) 사이에 링형 타입의 고무 재질의 패킹(500)이 개재된다. 아울러, 타측 플랜지부(42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421)과,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331)을 통해 볼트(미도시)로써 체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부식 방지관은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단위 상수도 배관(200A)을 지나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를 통해 여과망부재(32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를 통해 배출된 후, 연결 직관(400)을 경유하여 계량기(100)를 구성하는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의 유속에 의해 다수의 블레이드(121)가 회전체(120)와 함께 회전되며,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수돗물은 단위 상수도 배관(200)을 따라 가정 등의 수요처로 공급된다. 이 경우,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은 그 내벽면에 수돗물에 의한 관내벽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 방지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여 위생상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식 방지관은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 이외에 계량기(100)와 연결직관(400) 및 스트레이너(300)에는 부식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않기 때문에, 비록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을 통해 스트레이너(300) 전방까지 공급된 수돗물이 위생상 안전할지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트레이너(300)와 연결직관(400) 및 계량기(100)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되는 관계로 수돗물의 수질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부식 방지관은 스트레이너(300)의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 여과망 부재(320)를 꺼낼 때 찌끄러기가 함께 빠져나와 청소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깔끔히 청소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립성이 크게 개선됨과 아울러 스트레이너의 내부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구조가 개선된 부식 방지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방지관은 계량기와, 계량기 측으로 유동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 및 계량기와 스트레이너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직관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스트레이너는 수돗물이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 및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고, 본체는 필터 부재의 하부에 스트레이너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제1 청소용 홀을 구비하고 제1 청소용 홀을 개폐하는 청소용 캡을 포함한다.
또한, 스트레이너는 본체의 내벽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내부 관 및 필터 부재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수돗물이 유동되도록 측면에 유동홀이 형성되며 본체의 상부를 통해 본체의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직 관을 포함하고, 수직 관에는 유동홀의 하부 중 제1 청소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청소용 홀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청소용 홀 및 청소용 캡은 본체의 외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이 구비된다.
또한, 수직 관의 내벽에는 제2 청소용 홀의 상부에 필터 부재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단턱이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 방지관은 청소용 홀 및 청소용 캡을 더 구비함으로써, 필터 부재의 분리 없이 용이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청소 시 오염 없이 깔끔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부식 방지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에서 청소용 캡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변형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부식 방지관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에서 청소용 캡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은 상수원의 수돗물을 공급 및 이송하며, 일정한 길이의 단위 배관을 연결하여 일련의 배관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부식 방지관은 단위 길이로 별도 제작된 상수도용 배관을 상수원으로부터 수요 지점까지 지하를 관통하여 매설 시공되는 것으로, 계량기(10)와, 스트레이너(30) 및 연결직관(20)을 포함한다.
계량기(10)는 일 측에 단위 상수도 배관(1)이 연결되어 체결된다. 계량기(10)는 내부에 SUS 계열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관이 삽입되어 2중 관으로 구현된다. 계량기(10)의 양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일 측 플랜지에는 단위 상수도 배관(1)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연결되며, 타 측 플랜지에는 후술할 연결직관(20)이 체결된다.
연결직관(20)은 계량기(10)와 후술할 스트레이너(30)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SUS 계열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관이 삽입되어 2중 관으로 구현된다. 연결직관(20)의 양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일 측 플랜지에는 계량기(10)가 체결되며, 타 측 플랜지에는 스트레이너(30)가 체결된다. 연결직관(20)은 배관 구조에 적절하게 하나 또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연결직관(20)은 스트레이너(30)를 통과한 수돗물에 발생하는 와류 현상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계량기(10)와 스트레이너(30) 사이를 연결하여 스트레이너(30)를 통과한 수돗물의 와류 현상을 완화 또는 제거시켜 계량기(10)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스트레이너(30)는 계량기(10) 측으로 유동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서, 양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다. 스트레이너(30)의 일 측 플랜지에는 연결직관(20)이 체결되고, 스트레이너(30)의 타 측 플랜지에는 단위 상수도 배관(2)이 체결된다. 또한, 스트레이너(30)는 본체(31)와, 필터 부재(34)와, 수직 관(33)과, 내부 관(32) 및 커버 부재(35)를 포함한다.
본체(31)는 수돗물이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공간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스트레이너(30)의 메인 몸체가 되어 주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체(31)는 수돗물의 유동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관 형태의 부재 및 이 관 형태의 부재의 중앙부에 후술할 필터 부재(34)가 내장되기 위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의 부재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체(31)의 양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31b)가 형성되며, 플랜지(31b)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31c)이 형성된다.
필터 부재(34)는 본체(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서, 지그재그 형태의 미세공이 형성된 소재로 이루어진다. 필터 부재(34)에 형성된 미세공을 통해 수돗물은 원활히 통과하면서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된다. 이 경우, 필터 부재(34)는 본체(31)의 중앙부 상측 개구부를 통해 본체(31)의 내부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방지관에 있어서 스트레이너(30)의 본체(31) 중앙부는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필터 부재(34)는 수돗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돗물의 유속에 대해 필터 부재(34)는 손상되지 않고 안정된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본체(31)의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의 유속은 유동 방향 중앙 부위에서 빠르고 상하 가장자리로 갈수록 느려지는 유속 분포를 이루는데, 본체(3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공간부에서 수돗물의 유속을 일정 부분 완화하여 필터 부재(34)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킨다.
내부 관(32)은 SUS 계열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체(31)의 내벽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다. 내부 관(32)의 일 측 단부는 본체(31)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 측 단부는 상부로 절곡된 절곡 부위(32a)가 형성되며, 절곡 부위(32a)에는 이웃하는 내부 관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32b)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견고한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내부 관(32)은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내부 관(32)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내부 관(32)은 본체(31)의 일 측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내부 관(32)은 본체(31)의 타 측 단부를 통해 삽입된다. 즉, 내부 관(32)은 본체(31)의 수평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본체(3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스트레이너(30)는 전체적으로 2중 관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 경우, 내부 관(32)의 외경은 본체(31)의 내경과 같거나 미세하게 크게 또는 미세하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내부 관(32)은 본체(31)의 내벽에 밀착 결합된다.
수직 관(33)은 필터 부재(34)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서, SUS 계열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31)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본체(31)의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다. 수직 관(33)은 본체(3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31)의 내벽에 밀착 결합된다. 결국, 본체(31)의 내부에 밀착 결합되는 내부 관(32) 및 수직 관(33)의 구성을 통해, 스트레이너(30)는 전체적으로 2중 관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 경우, 수직 관(33)의 측면에는 유동홀(33a)이 형성되며, 유동홀(33a)은 수돗물이 유동되도록 내부 관(32)의 내측을 수직 관(33)의 내부와 연통시킨다. 하지만, 수직 관(33)은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내부 관(32)의 일 측 단부는 수직 관(33)에 밀착되며, 내부 관(32)의 일 측 단부와 상기 수직 관(33)의 사이에 패킹 부재(36)가 개재되어 실링 기능을 수행한다. 즉, 수직 관(33)은 본체(31)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측면에 유동홀(33a)이 형성되고, 유동홀(33a)의 직경은 내부 관(32)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관(32)이 본체(31)에 삽입되기 전에, 수직 관(33)을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본체(31)의 내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된다. 이 경우, 수직 관(33)의 돌출된 길이는 내부 관(32)의 두께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내부 관(32)을 본체(31)에 삽입 완료한 후에, 본체(31)를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수직 관(33)은 돌출되지 않는다. 결국, 내부 관(32) 및 수직 관(33)을 유동하는 수돗물은 저항 없이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부 관(32) 및 수지 관(33)의 결합 구조를 통해, 중앙 부위에 필터 부재(34)를 설치하기 위한 사각기둥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31)의 내부에 2중으로 관을 조립함에 있어서 내부 관(32)을 통해 본체(31)의 수평 부위 내측을 커버하고, 수직 관(33)을 통해 본체(31)의 수직 부위 내측을 커버하여, 본체(31)의 내벽 전체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립 과정이 매우 용이하고 큰 어려움 없이 조립을 완성하여 생산성 향상 및 인력 절감을 도모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커버 부재(35)는 본체(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 관(33)이 삽입되는 본체(31)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한다. 아울러, 본체(31)의 상부에는 수직 관(33)의 삽입 부위에 내측으로 요입된 단차부(31d)가 형성되고, 수직 관(33)의 상단에 절곡부(33b)가 형성되어 절곡부(33b)가 단차부(31d)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절곡부(33b)의 상부에 패킹(38)이 형성되고, 패킹(38)의 상부에 커버 부재(35)가 본체(31)의 상부를 덮고 있다. 따라서, 패킹(38)이 단차부(31d)에 끼워져 패킹(38)의 높이만큼 스트레이너(30)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음에 따라 스트레이너(30) 전체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35)의 하면에는 패킹(35a)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수직 관(33)은 본체(31)에 견고히 고정됨과 아울러 기밀성이 우수해지며 단차부(31d) 및 절곡부(33b)의 구조를 통해 본체(31)와 커버 부재(35)가 차지하는 상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절곡부(33b)의 두께만큼 스트레이너(30) 전체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으나 단차부(31d)를 내측으로 요입 형성하고 이 단차부(31d)에 절곡부(33b)를 안착시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필터 부재(34)의 상단은 단차부(31d)에 걸쳐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필터 부재(34)의 더욱 안정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필터 부재(34)의 상단은 단차부(31d)에 걸쳐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30)는 제1 청소용 홀(80) 및 청소용 캡(81)을 더 구비한다.
제1 청소용 홀(80)은 본체(31)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필터 부재(34)의 하부에 배치되며, 스트레이너(3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청소용 캡(81)은 제1 청소용 홀(80)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청소용 캡(81)의 일 측은 제1 청소용 홀(8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청소용 홀(80)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청소용 캡(81)은 제1 청소용 홀(80)에 나사산 결합이나 볼트 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직 관(33)에는 유동홀(33a)의 하부 중 제1 청소용 홀(8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청소용 홀(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청소용 홀(80) 및 청소용 캡(81)은 본체(31)의 외주부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이 구비된다. 아울러, 제2 청소용 홀(82)도 제1 청소용 홀(80)과 대응되게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 관(33)의 내벽에는 제2 청소용 홀(82)의 상부에 필터 부재(34)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단턱(83)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 부재(34)의 하단과 수직 관(33)의 바닥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필터 부재(34)에서 걸러진 여과물이 낙하하여 적층된다. 이와 같이 적층된 여과물은 청소용 캡(81)을 제1 청소용 홀(80) 및 제2 청소용 홀(82)로부터 분리한 후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필터 부재(34)를 스트레이너(3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필터 부재(34)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내부 관(32) 및 수직 관(33)이 생략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1중 관의 형태로 구현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는 1중 관의 형태로 구현되며 제1 청소용 홀(80) 및 청소용 캡(81)을 통해,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3의 변형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청소용 홀(80)의 외주면에 숫 나사산이 형성되고 청소용 캡(81)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청소 작업 시 나사산에 오염물 찌꺼기가 끼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원활한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도 3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필터 부재(34)를 스트레이너(30) 본체(31)의 바닥면까지 연장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은 도 3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부식 방지관의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필터 부재(34)를 기준으로 물의 유입부 측은 필터 부재(34)의 하부가 개방(68)되어 있고, 물의 유출부 측은 필터 부재(34)의 하부가 폐쇄(69)되어 있다. 즉, 필터 부재(34)의 하단을 지지하는 단턱(83) 중 필터 부재(34)의 유출부 측 절반은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필터 부재(34)의 하부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필터 부재(34)로부터 걸러져 하부로 떨어지는 찌끄러기가 물의 유동 흐름에 의해 다시 상부로 올라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턱(83)의 돌출 형태는 필터 부재(34)의 지그재그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빈틈을 최소화함에 따라 찌끄러기의 역류를 완전히 봉쇄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필터 부재(34)의 유출부 측을 폐쇄(69)하는 단턱(83)에는 다수의 구멍이 타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부식 방지관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 : 단위 상수도 배관 10 : 계량기
20 : 연결직관 30 : 스트레이너
31 : 본체 32 : 내부 관
33 : 수직 관 34 : 필터 부재
35 : 커버 부재 36 : 패킹 부재
80 : 제1 청소용 홀 81 : 청소용 캡
82 : 제2 청소용 홀 83 : 단턱

Claims (4)

  1. 계량기(10)와, 상기 계량기(10) 측으로 유동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30) 및 상기 계량기(10)와 상기 스트레이너(30)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직관(20)을 구비하는 부식 방지관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30)는:
    수돗물이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31); 및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부재(34)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31)는 상기 필터 부재(34)의 하부에 상기 스트레이너(3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제1 청소용 홀(8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청소용 홀(80)을 개폐하는 청소용 캡(81)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이너(30)는, 상기 본체(31)의 내벽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내부 관(32)과, 상기 필터 부재(34)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수돗물이 유동되도록 측면에 유동홀(33a)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31)의 상부를 통해 상기 본체(31)의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직 관(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관(33)에는 상기 유동홀(33a)의 하부 중 상기 제1 청소용 홀(8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청소용 홀(82)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관(33)의 내벽에는 상기 제2 청소용 홀(82)의 상부에 상기 필터 부재(34)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단턱(8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턱(83)은 돌출 방향으로 필터 부재(34)의 중앙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 부재(34)의 하류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필터 부재(3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청소용 홀(80) 및 상기 청소용 캡(81)은 상기 본체(31)의 외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관.
  4. 삭제
KR1020120010291A 2012-02-01 2012-02-01 부식 방지관 KR10122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91A KR101227943B1 (ko) 2012-02-01 2012-02-01 부식 방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91A KR101227943B1 (ko) 2012-02-01 2012-02-01 부식 방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943B1 true KR101227943B1 (ko) 2013-01-30

Family

ID=4784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291A KR101227943B1 (ko) 2012-02-01 2012-02-01 부식 방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9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45B1 (ko) * 2015-10-02 2016-02-25 비케이엠 주식회사 덕트 연결용 직관파이프 제조장치
KR200486870Y1 (ko) * 2016-05-19 2018-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장치
KR102556443B1 (ko) * 2023-03-07 2023-07-18 주식회사 현대밸브 원터치 필터 게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26B1 (ko) * 2006-09-27 2007-03-26 한국수자원공사 상수도 배관용 스트레이너의 플랩밸브구조.
KR100919282B1 (ko) * 2007-11-16 2009-09-30 유상열 부식 방지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26B1 (ko) * 2006-09-27 2007-03-26 한국수자원공사 상수도 배관용 스트레이너의 플랩밸브구조.
KR100919282B1 (ko) * 2007-11-16 2009-09-30 유상열 부식 방지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45B1 (ko) * 2015-10-02 2016-02-25 비케이엠 주식회사 덕트 연결용 직관파이프 제조장치
KR200486870Y1 (ko) * 2016-05-19 2018-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장치
KR102556443B1 (ko) * 2023-03-07 2023-07-18 주식회사 현대밸브 원터치 필터 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49589B (zh) 用于供热系统的分离器装置
KR101803821B1 (ko) 직관식 초음파 유량계
KR101227943B1 (ko) 부식 방지관
CN205461261U (zh) 滤芯、过滤装置和净水器
US8668206B2 (en) Face seal gasket
CN103391801A (zh) 空气过滤元件、空气过滤器壳体以及空气过滤器系统
KR102000229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CN104321120B (zh) 供暖系统用旋流式分离装置
KR100485303B1 (ko)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KR20210001678A (ko)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KR101581249B1 (ko) 버킷형 스트레이너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US8939471B2 (en) Drain line adapter
KR100919282B1 (ko) 부식 방지관
CN102559314A (zh) 卧式天然气过滤器
KR101195484B1 (ko) 부식방지관의 제조 방법
CN202369561U (zh) 卧式天然气过滤器
CN106955523A (zh) 一种进水自动清洁过滤网
KR102132163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102363403B1 (ko) 수도 스트레이너 막힘감지장치
US11692661B2 (en) Strainer
CN218458857U (zh) 一种腰轮流量计的过滤结构
CN205047336U (zh) 一种燃油沉淀杯
CN216136805U (zh) 一种进水端带球阀的前置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