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52B1 -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52B1
KR102505052B1 KR1020210132898A KR20210132898A KR102505052B1 KR 102505052 B1 KR102505052 B1 KR 102505052B1 KR 1020210132898 A KR1020210132898 A KR 1020210132898A KR 20210132898 A KR20210132898 A KR 20210132898A KR 102505052 B1 KR102505052 B1 KR 102505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chamber
flange
connection structur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철원
Original Assignee
선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철원 filed Critical 선철원
Priority to KR102021013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지중에 설치된 내부배관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의 전후로 연결되는 외부배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 전후의 단열벽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배관과 상기 외부배관을 감싸며 이들이 상호 절연된 상태에서도 서로 연통 되도록 하는 배관 연결구; 상기 배관 연결구를 감싸며 상기 배관 연결구가 상기 단열벽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단열벽체에 구비된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 및, 상기 배관 연결구와 상기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흡수 및 감쇄되도록 하는 방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지중에 설치된 상수도관, 급배수관, 공업용 냉온수관, 하수도관 등과 같은 유체(물)가 흐르는 내부배관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실과 밸브실의 전후로 내부배관에 외부배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밸브실 배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지상 도로상을 통행하는 차량에 의한 진동 발생시 관로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실 내부의 설비들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반 침하 또는 관로 부식 등으로 누수의 원인이 되는 관로 이탈 현상을 방지하도록 절연구조를 이룸으로써 누수와 관로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earthquake-resistant pipe connecting structure of valve room}
본 발명은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설치된 상수도관, 급배수관, 공업용 냉온수관, 하수도관 등과 같은 유체(물)가 흐르는 내부배관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실과 밸브실의 전후로 내부배관에 외부배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밸브실 배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지상 도로상을 통행하는 차량에 의한 진동 발생시 관로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실 내부의 설비들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반 침하 또는 관로 부식 등으로 누수의 원인이 되는 관로 이탈 현상을 방지하도록 절연구조를 이룸으로써 누수와 관로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우리 생활공간의 지하에는 상수도관, 급배수관, 공업용 냉온수관, 하수도관 등 수많은 유체 수송용 배관들이 매설되어 있다.
배관에는 그 용도에 따라 유체 차단용, 압력 조절용, 소화전 설치용 등의 목적으로 일정 구간마다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밸브는 조작 또는 유지보수 및 교체할 수 있도록 밸브실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밸브실의 전후로는 내부배관에 외부배관이 연결되도록 밸브실 배관의 연결구조가 구비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연결구조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30978호(2014년11월12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연결구조는 최근에 자주 발생 되는 지진의 발생 빈도에 대응하여 내진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기 때문에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지상의 도로상을 통행하는 차량에 의한 진동 발생시 밸브실 내부의 내부배관이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될 수 있고, 밸브실 내부의 설비들로까지 파손이 이어지게 되어 상수도 시설의 경우에는 상수의 공급이 갑자기 중단되며 수질이 오염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연결구조는 지진이나 차량 통행 등에 의한 지진 발생뿐만 아니라 시공 후 지반의 자연 침하에 의해서도 관로의 이탈이 쉽게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에 누수와 관로의 부식 현상이 쉽게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30978호(2014년11월12일자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설치된 상수도관, 급배수관, 공업용 냉온수관, 하수도관 등과 같은 유체(물)가 흐르는 내부배관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실과 밸브실의 전후로 내부배관에 외부배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밸브실 배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지상 도로상을 통행하는 차량에 의한 진동 발생시 관로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실 내부의 설비들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반 침하 또는 관로 부식 등으로 누수의 원인이 되는 관로 이탈 현상을 방지하도록 절연구조를 이룸으로써 누수와 관로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지중에 설치된 내부배관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의 전후로 연결되는 외부배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 전후의 단열벽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배관과 상기 외부배관을 감싸며 이들이 상호 절연된 상태에서도 서로 연통 되도록 하는 배관 연결구; 상기 배관 연결구를 감싸며 상기 배관 연결구가 상기 단열벽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단열벽체에 구비된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 및, 상기 배관 연결구와 상기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흡수 및 감쇄되도록 하는 방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실의 전후에는 각 모서리 부분에 댐핑 결합 브래킷이 연장 구비되고, 상기 댐핑 결합 브래킷과 상기 배관 연결구의 사이에는 상기 밸브실의 전후에서 크로스 형태로 교차 되게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는, 일측이 상기 배관 연결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댐핑 결합 브래킷에 결합되는 크로스 바아와, 상기 크로스 바아의 중간 부분에 조립 가능하게 제1 조절 플랜지 및 제2 조절 플랜지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조절 플랜지 및 제2 조절 플랜지 사이의 간격 조절에 의해 상기 크로스 바아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 조절부와, 상기 길이 조절부의 제1 조절 플랜지 및 제2 조절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크로스 바아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추가적으로 흡수 및 감쇄되도록 하는 방진댐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에 설치된 상수도관, 급배수관, 공업용 냉온수관, 하수도관 등과 같은 유체(물)가 흐르는 내부배관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실과 밸브실의 전후로 내부배관에 외부배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밸브실 배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지상 도로상을 통행하는 차량에 의한 진동 발생시 관로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실 내부의 설비들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반 침하 또는 관로 부식 등으로 누수의 원인이 되는 관로 이탈 현상을 방지하도록 절연구조를 이룸으로써 누수와 관로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가 적용된 밸브실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가 적용된 밸브실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가 적용된 밸브실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의 배관 연결구와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의 배관 연결구로 외부배관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의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가 단열벽체에 조립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도면,
도 7은 도 6의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의 고정 플랜지 및 절연 패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의 배관 연결구가 끼워지는 단열벽체의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의 배관 연결구로 내부배관과 외부배관이 끼워져 연통 되되 각각 별개로 미세 변위 움직임이 가능하게 절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의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의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설치된 내부배관(10)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실(20)의 전후로 외부배관(3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밸브실(20) 전후의 단열벽체(21)에 구비되어 내부배관(10)과 외부배관(30)을 감싸며 이들이 상호 절연된 상태에서도 서로 연통 되도록 하는 배관 연결구(100)와, 배관 연결구(100)를 감싸며 배관 연결구(100)가 단열벽체(21)에 고정되도록 단열벽체(21)에 구비된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와, 배관 연결구(100) 및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흡수 및 감쇄되도록 하는 방진체(3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지중에 설치된 상수도관, 급배수관, 공업용 냉온수관, 하수도관 등과 같은 유체(물)가 흐르는 내부배관(10)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실(20)과 밸브실(20)의 전후로 내부배관(10)에 외부배관(30)이 연결되도록 하는 밸브실 배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지상 도로상을 통행하는 차량에 의한 진동 발생시 관로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실(20) 내부의 밸브와 같은 설비들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반 침하 또는 관로 부식 등으로 누수의 원인이 되는 관로 이탈 현상을 방지하도록 절연구조를 이룸으로써 누수와 관로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배관 연결구(100)는,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이 중심부보다 협소해지는 외경을 갖는 원통체의 형태로 마련되어 밸브실(20)의 단열벽체(21)로 끼워지며, 전방과 후방의 개구를 통해서는 내부배관(10)과 외부배관(30)이 각각 삽입되어 끼워지며 고정된다.
이에 따라, 지반 침하 또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내부배관(10)과 외부배관(30)이 뒤틀리게 되거나 밸브실(20)의 침하 또는 유동 등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배관 연결구(100)의 중심부에 볼록한 여유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여 관로의 뒤틀림 현상이나 밸브실(20)의 침하 또는 유동 등에 따른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구(100)로 내부배관(10)과 외부배관(30)이 끼워져 연통 되면 각각 별개로 미세하게 회동 되는 변위 움직임이 허용되게 절연 구조가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연결구(100)의 볼록한 중심부의 외주면에서 외부배관(30)이 끼워지는 후방측 외주면에는 후술할 댐핑 결합 브래킷(400)을 향해 연결구 브래킷(110)이 방사상 네 군데에 형성되고, 배관 연결구(100)의 협소해진 전방과 후방의 개구 측에는 접합 플랜지(120)가 외주 상 원반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배관 연결구(100)의 볼록한 중심부의 외주면에서 연결구 브래킷(110)의 전방에는 단열벽체(21)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방진체(300)의 내측으로 끼워져 방진체(300)가 고정되도록 맞물리게 내진 가이드(130)가 외주 상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구 브래킷(110)에는 후술할 크로스 바아(510)의 걸림 고정 후크(511)가 끼워져 맞물리는 후크 체결공이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연결구(100)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끼워지게 되는 내부배관(10)과 외부배관(30)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오링(O-ring)의 형태로 끼워져 수밀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누수방지부재(140)가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누수방지부재(140)를 사이에 두고 접합 플랜지(120)의 반대편에는 누수방지부재(140)를 접합 플랜지(120)로 밀어붙여 견고한 수밀 구조가 이뤄지도록 하는 접합 압륜(150)이 구비되며, 접합 플랜지(120)와 접합 압륜(150)의 사이에는 절연 볼트 너트 방식으로 체결되어 접합 압륜(150) 및 누수방지부재(140)가 접합 플랜지(120)에 가압 밀착 고정되도록 절연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로 이뤄진 관 접합 체결부(160)가 방사상 일정간격마다 체결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구 브래킷(110)을 통해서 후술할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500)가 밸브실(20)과 배관 연결구(100)의 사이에 용이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고, 접합 플랜지(120)와 접합 압륜(150)의 사이에 누수방지부재(140)가 가압 밀착 개재되어 견고한 수밀 구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배관 연결구(100)의 둘레를 감싸며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되는 방진체(300)의 배관 연결구(100)에 대한 위치가 내진 가이드(130)에 의해 편리하게 안내되며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와 배관 연결구(100)의 사이에서 변위나 이탈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배관 연결구(100)의 변위나 이탈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접합 플랜지(120)의 내측은 외측을 향해 점차 경사지게 테이퍼 가공 처리되어 누수방지부재(140)가 배관과 접합 플랜지(120)에 밀착되도록 하고, 접합 압륜(150)의 내측은 접합 플랜지(120)를 향해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게 하여 누수방지부재(140)가 배관과 접합 플랜지(120)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관 연결구(100)가 끼워지게 되는 단열벽체(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 SS400으로 마련되어 밸브실(20)의 내측을 마감하도록 배치되는 내벽(22)과,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 SS400으로 마련되어 내벽(22)과 일정 간격 이격 되게 밸브실(20)의 외측을 마감하도록 배치되는 외벽(23)과, 내벽(22) 및 외벽(23) 사이의 공간으로 단열재가 충진 되어 형성되는 단열층(24)과, 단열층(24)이 형성된 내벽(22) 및 외벽(23) 사이의 공간 중 일부에 구비되어 내벽(22) 및 외벽(23)이 서로 이격된 공간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용 보강재(25)와, 내벽(22) 및 외벽(23)에 형성된 조립 체결공(26)을 통해 내벽(22) 및 외벽(23)에 관통 체결되어 내벽(22) 및 외벽(23)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조립되게 하는 조립볼트를 포함한다.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연결구(100)를 감싸도록 중심부로 배관 연결구(100)가 관통되게 배관 관통공이 천공 형성된 디스크의 형태로 마련되며 단열벽체(21)의 외벽(23) 외측과 내벽(22) 외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플랜지(210)와, 한 쌍의 고정 플랜지(210)와 단열벽체(21)에 관통 체결되어 한 쌍의 고정 플랜지(210)가 단열벽체(21)를 사이에 두고 단열벽체(21)에 절연 볼트 너트 방식으로 체결되어 고정 결합 되도록 절연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로 이뤄진 조립용 절연 체결부(220)와, 고정 플랜지(210)의 형상에 대응되게 디스크의 형태로 마련되어 한 쌍의 고정 플랜지(210) 중 어느 하나와 외벽(23) 그리고 다른 하나와 내벽(22) 사이에 구비된 절연 패드(2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에 의해 배관 연결구(100)가 감싸진 상태로 단열벽체(21)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절연 패드(230)에 의해 내벽(22)에 결합된 고정 플랜지(210)와 외벽(23)에 결합된 고정 플랜지(210)가 각각 구조상 절연되도록 하여 외부배관(30)과 내부배관(10) 사이의 진동 전달이 최소화되며 누수도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플랜지(210)의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패드(230)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조립용 절연 체결부(220)는 한 쌍의 고정 플랜지(210)와 절연 패드(230)에 방사상 일정간격마다 이들을 관통하며 체결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체(3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 고무 재질로 배관 연결구(100)를 감싸는 고리의 형태로 마련되어 배관 연결구(100) 및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의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 중심부로는 내진 가이드(130)가 끼워져 맞물리는 가이드 홈이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반 침하 또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내부배관(10)과 외부배관(30)이 뒤틀리거나 밸브실(20)의 침하 또는 유동 등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배관 연결구(100)와 밸브실(20)을 방진체(300), 절연 패드(230) 및 조립용 절연 체결부(220) 등을 통해 절연 분리구조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배관 연결구(100)가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관로의 절연효과도 함께 이뤄지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한 배관 또는 밸브실(20)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식도 예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방진체(300)는 내측으로 배관 연결구(100)가 끼워진 상태에서 단열벽체(21)의 내벽(22)과 외벽(23)의 외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플랜지(210)의 배관 관통공에 대응되게 단열벽체(21)에 천공 형성된 관통공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배관 연결구(100) 및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실(20)의 전후에는 각 모서리 부분에 댐핑 결합 브래킷(400)이 연장 구비되고, 댐핑 결합 브래킷(400)과 배관 연결구(100)의 사이에는 밸브실(20)의 전후에서 크로스 형태로 교차 되게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지상의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에 의한 진동 발생시 밸브실(20) 또는 관로를 향해 상하좌우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해서도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500)가 능동적으로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방진체(300)와 함께 관로의 파손이나 손상이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500)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댐핑 결합 브래킷(400)의 판면에도 연결구 브래킷(110)과 마찬가지로 크로스 바아(510)의 걸림 고정 후크(511)가 끼워져 맞물리는 후크 체결공이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500)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배관 연결구(100)에 결합되고 타측이 댐핑 결합 브래킷(400)에 결합되는 크로스 바아(510)와, 크로스 바아(510)의 중간 부분에 조립 가능하게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로 이루어져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 사이의 간격 조절에 의해 크로스 바아(51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 조절부(520)와, 길이 조절부(520)의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의 사이에 구비되어 크로스 바아(510)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추가적으로 흡수 및 감쇄되도록 하는 방진댐퍼(5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지반 침하 또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상하좌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내부배관(10) 또는 외부배관(30)이 뒤틀리게 되거나 밸브실(20)의 침하 또는 유동이 발생할 경우를 미리 대비하여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500)가 밸브실(20)과 배관 연결구(100)의 사이에서 밸브실(20)의 전후에 크로스의 형태로 교차 되게 구비됨으로써, 밸브실(20)과 배관에 상하좌우 수직과 수평의 다중 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이 능동적으로 완충 되며 방진체(300)와 함께 내진 및 절연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크로스 바아(5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댐핑 결합 브래킷(4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연결구 브래킷(110)에 결합되게 배관 연결구(100)를 중심으로 방사상 총 네 개가 구비되어 크로스의 형태로 교차 되게 구비되되, 배관 연결구(100)는 밸브실(20)에서 약간 하부에 가까운 낮은 위치에 구비되기 때문에 하부의 두 개는 상부의 두 개보다 길이가 짧게 구비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크로스 바아(510)의 양단부에는 댐핑 결합 브래킷(400) 및 연결구 브래킷(110)의 후크 체결공에 맞물리게 되는 걸림 고정 후크(511)가 구비되고, 각 크로스 바아(510)의 중간 부분은 서로 분절되어 제1 조절 플랜지(521) 또는 제2 조절 플랜지(523)의 조립 체결 위치가 가변 되게 제1 조절 플랜지(521) 또는 제2 조절 플랜지(523)가 조립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길이 조절 스크류(513)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걸림 고정 후크(511)에 의해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500)가 밸브실(20)과 배관 연결구(100)의 사이에서 크로스의 형태로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길이 조절 스크류(513)에 의해 크로스 바아(510)의 길이가 배관 연결구(1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가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5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바아(510) 중 댐핑 결합 브래킷(400)에 결합 되는 걸림 고정 후크(511)의 반대편에 구비된 길이 조절 스크류(513)에 체결 조립되는 제1 조절 플랜지(521)와, 크로스 바아(510) 중 연결구 브래킷(110)에 결합 되는 걸림 고정 후크(511)의 반대편에 구비된 길이 조절 스크류(513)에 체결 조립되는 제2 조절 플랜지(523)와,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에 볼트 너트 방식으로 체결되어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 간의 이격 간격이 조절되며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가 상호 조립되도록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에 방사상 일정간격마다 체결 구비되는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로 이뤄진 플랜지 체결부(52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크로스 바아(510)의 전체적인 길이가 플랜지 체결부(525)와 길이 조절 스크류(513)에 의해 간편하게 조절되어 배관 연결구(1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밸브실(20)과 배관에 상하좌우 수직과 수평의 다중 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이 흡수 및 감쇄되도록 하는 방진댐퍼(530)의 위치가 정밀하게 가변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진댐퍼(530)의 압착 정도 또한 플랜지 체결부(525)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방진댐퍼(530)의 감쇄력도 필요에 따라 정밀하게 가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 플랜지(521)는 평면상 원형을 이루되 측면 상 대략 모자의 형태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볼록하게 형성된 중심부로는 길이 조절 스크류(513)가 관통 체결되게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체결공이 탭 가공 형성되며 하부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고, 제2 조절 플랜지(523)도 평면상 원형을 이루되 측면 상 제1 조절 플랜지(521)의 하부를 통해 중심부가 제1 조절 플랜지(521)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며 볼록하게 형성된 중심부로는 길이 조절 스크류(513)가 관통 체결되게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체결공이 탭 가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와 길이 조절 스크류(513)간의 조립 체결 과정이 간편하고 손쉽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플랜지 체결부(525)와 길이 조절 스크류(513)에 의한 제1 조절 플랜지(521)와 제2 조절 플랜지(523) 간의 이격 간격 조절이 정밀하고 용이하게 이뤄지며 조립 상태의 내구성 또한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방진댐퍼(5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고무 재질로 마련되며, 제1 조절 플랜지(521)와 제2 조절 플랜지(523)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평면상 원형을 이루되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의 형상에 대응되게 측면 상 대략 모자의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방진댐퍼(530)는 제1 조절 플랜지(521)와 제2 조절 플랜지(523)의 사이에서 이들에 밀착되며 길이 조절 스크류(513)와 플랜지 체결부(525)의 조임 정도에 의해 압착 정도가 가변 되어 감쇄력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내부배관(10) 및 외부배관(30), 그리고 밸브실(20)에 가해지게 되는 진동이 상하좌우 수직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중 방향으로 가해지더라도 방진체(300)와 함께 방진댐퍼(530)에 의해 모두 효과적으로 완충 및 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배관 연결구 110 : 연결구 브래킷
120 : 접합 플랜지 130 : 내진 가이드
140 : 누수방지부재 150 : 접합 압륜
160 : 관 접합 체결부 200 :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
210 : 고정 플랜지 220 : 조립용 절연 체결부
230 : 절연 패드 300 : 방진체
400 : 댐핑 결합 브래킷 500 :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
510 : 크로스 바아 511 : 걸림 고정 후크
513 : 길이 조절 스크류 520 : 길이 조절부
521 : 제1 조절 플랜지 523 : 제2 조절 플랜지
525 : 플랜지 체결부 530 : 방진댐퍼

Claims (3)

  1. 지중에 설치된 내부배관(10)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밸브실(20)과 상기 밸브실(20)의 전후로 연결되는 외부배관(3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20) 전후의 단열벽체(21)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배관(10)과 상기 외부배관(30)을 감싸며 이들이 상호 절연된 상태에서도 서로 연통 되도록 하는 배관 연결구(100);
    상기 배관 연결구(100)를 감싸며 상기 배관 연결구(100)가 상기 단열벽체(21)에 고정되도록 상기 단열벽체(21)에 구비된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 및
    상기 배관 연결구(100)와 상기 고정 플랜지 어셈블리(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흡수 및 감쇄되도록 하는 방진체(300);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실(20)의 전후에는 각 모서리 부분에 댐핑 결합 브래킷(400)이 연장 구비되고, 상기 댐핑 결합 브래킷(400)과 상기 배관 연결구(100)의 사이에는 상기 밸브실(20)의 전후에서 크로스 형태로 교차 되게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500)가 구비되며,
    상기 크로스 댐핑 어셈블리(500)는, 일측이 상기 배관 연결구(1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댐핑 결합 브래킷(400)에 결합되는 크로스 바아(510)와, 상기 크로스 바아(510)의 중간 부분에 조립 가능하게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 사이의 간격 조절에 의해 상기 크로스 바아(51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 조절부(520)와, 상기 길이 조절부(520)의 제1 조절 플랜지(521) 및 제2 조절 플랜지(523)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크로스 바아(510)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추가적으로 흡수 및 감쇄되도록 하는 방진댐퍼(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210132898A 2021-10-07 2021-10-07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KR10250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98A KR102505052B1 (ko) 2021-10-07 2021-10-07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98A KR102505052B1 (ko) 2021-10-07 2021-10-07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052B1 true KR102505052B1 (ko) 2023-02-28

Family

ID=8532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898A KR102505052B1 (ko) 2021-10-07 2021-10-07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0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369A (ja) * 1995-03-22 1996-10-11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及び管継手を備えた建物ユニット
JP2002356867A (ja) * 2001-06-01 2002-12-13 Denki Kagaku Kogyo Kk 構造物接続用管位置調整環及びその接続方法
KR100756416B1 (ko) * 2007-06-11 2007-09-07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배관의 진동저감장치
KR20140130978A (ko) 2013-05-02 2014-11-12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배관 이음매가 보강된 밸브실
KR101804811B1 (ko) * 2016-09-22 2017-12-05 (주)천보드림워텍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KR20200117775A (ko) * 2019-04-05 2020-10-14 선철원 물 고임 방지 내진 밸브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369A (ja) * 1995-03-22 1996-10-11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及び管継手を備えた建物ユニット
JP2002356867A (ja) * 2001-06-01 2002-12-13 Denki Kagaku Kogyo Kk 構造物接続用管位置調整環及びその接続方法
KR100756416B1 (ko) * 2007-06-11 2007-09-07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배관의 진동저감장치
KR20140130978A (ko) 2013-05-02 2014-11-12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배관 이음매가 보강된 밸브실
KR101804811B1 (ko) * 2016-09-22 2017-12-05 (주)천보드림워텍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KR20200117775A (ko) * 2019-04-05 2020-10-14 선철원 물 고임 방지 내진 밸브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852Y1 (ko) 내진 흔들림 방지버팀대
KR101721363B1 (ko)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KR101851448B1 (ko) 파이프를 구비한 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KR20160002992U (ko) 내진용 브라켓
KR101948596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101900397B1 (ko) 배관용 내진장치
CN211624439U (zh) 一种减振防水穿墙管结构
CN108691555B (zh) 断层破碎带段抗震隧道管道连接件
CN110985764A (zh) 一种减振防水穿墙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68789B1 (ko) 내진대비수단이 구비된 밸브실
KR102505052B1 (ko)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KR102529136B1 (ko)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방법
KR20190083825A (ko) 내진 지지대
KR101948112B1 (ko)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배관 연결이 가능한 배관용 연결구
KR20130044906A (ko) 배관용 클램프 및 브래킷 장치
BR112019019412B1 (pt) Sistema de fechamento positivo para juntas restringidas de tubulações repuxadas de ferro dúctil e acessórios
KR101932030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20160003375U (ko) 경사진 천장에 설치가 용이한 배관용 내진장치
JP2014040860A (ja) シール構造および該シール構造の施工方法
KR102285050B1 (ko) 파형강관이 사용된 내진형 맨홀
KR200487183Y1 (ko) 내진 및 내화용 입상 파이프
CN205298902U (zh) 一种防冲击变形协调管道接头装置
KR101834633B1 (ko)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CN105443898A (zh) 一种防冲击变形协调管道接头装置
KR102502748B1 (ko) 복합 내진 성능을 구비한 밸브보호실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