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61B1 -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 - Google Patents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661B1
KR102263661B1 KR1020200167352A KR20200167352A KR102263661B1 KR 102263661 B1 KR102263661 B1 KR 102263661B1 KR 1020200167352 A KR1020200167352 A KR 1020200167352A KR 20200167352 A KR20200167352 A KR 20200167352A KR 102263661 B1 KR102263661 B1 KR 10226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amber
chamber wall
composite structure
fixing member
structu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 남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Priority to KR102020016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4Shaft entirely made of synthe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Resins including glas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RP와 강재를 합성한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하여 밸브실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되는 밸브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은, 1) FRP 판넬과 각형강관을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판넬, 밸브실 벽체 및 상부 슬라브를 제작하는 단계; 2) 밸브실 바닥면을 시공하고, 상기 바닥 판넬을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 3) 상기 밸브실 벽체를 상기 바닥 판넬 상에 내려놓고 상기 바닥 판넬 및 이웃한 밸브실 벽체를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 4) 상기 밸브실 벽체 상면에 상기 상부 슬라브를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VALVE HOUSING AND THE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FRP와 강재를 합성한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하여 밸브실을 신속하고 간단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되는 밸브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도시에서 상하수도 등의 배관은 지하에 매설된다. 지하에 매설되는 상하수도의 배관 라인은 그길이가 매우 길게 형성되며, 또한 매우 복잡하게 연결되고 광범위하게 형성된다. 상하수도 관로의 경우 접합된 연속관만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 아니라 각 요소마다 제수 밸브, 공기 밸브, 감압 밸브, 이토관, 소화전 등의 부대설비를 시설함으로써 나중에 관로의 점검이나 변경 그리고 유체의 단속 등을 용이하게 한다.
이 같은 여러가지 시설물들은 관리나 점검이 용이하도록 한 곳에 모아 시설할 필요가 있으며, 그 필요성에 따라 지상으로는 맨홀을 설치하고, 지중에는 작업자가 들어가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밸브실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밸브실 측벽에는 지중에 설치되는 배관이 관통하는 부분이 형성되고, 배관과 밸브실 측벽을 연결하는 이음매가 형성된다. 이 밸브실 벽체와 배관의 이음매는 상기 밸브실 내부로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벽하게 밀봉된다.
종래에 이러한 밸브실은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철재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발명자에 의하여 가벼우면서도 강한 강도와 고내구성을 가지면서도 시공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FRP와 강재를 결합한 구조의 밸브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재료를 이용한 밸브실의 경우도 대형 밸브실의 경우 각 벽체와 상부 슬라브 등을 별도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시공하여야 하는데, 협소한 시공 현장에서 대형 벽체와 상부 슬라브 등을 정확하게 결합하여 시공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 밸브실도 정확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 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FRP와 강재를 합성한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하여 밸브실을 신속하고 간단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되는 밸브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은, 1) FRP 판넬과 각형강관을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판넬, 밸브실 벽체 및 상부 슬라브를 제작하는 단계; 2) 밸브실 바닥면을 시공하고, 상기 바닥 판넬을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 3) 상기 밸브실 벽체를 상기 바닥 판넬 상에 내려놓고 상기 바닥 판넬 및 이웃한 밸브실 벽체를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 4) 상기 밸브실 벽체 상면에 상기 상부 슬라브를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2) 단계는, a) 상기 밸브실 바닥면을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밸브실 바닥면 상에 연결 부분이 노출되고 분리된 제1, 2 바닥 판넬을 접촉면이 밀착되도록 안착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2 바닥 판넬을 고정 부재로 물어서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제1, 2 바닥 판넬의 연결 부분에 마감 판넬을 덮고 FRP를 코팅하여 연결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c) 단계 수행 전에, 상기 제1, 2 바닥 판넬 접촉면과 그 주변에 FRP를 코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c) 단계 수행 전에, 상기 제1, 2 바닥 판넬의 접촉면에 실링 패드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3) 단계는, e) 이웃한 두 밸브실 벽체를 상기 바닥 판넬 상면에 안착시키는 단계; f) 각 밸브실 벽체들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고정부재로 상기 밸브실 벽체를 고정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f) 단계 수행 전에, 상기 이웃한 두 밸브실 벽체의 외부 접촉면과 그 주변에 FRP를 코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f) 단계 수행 전에, 상기 이웃한 두 밸브실 벽체의 접촉면 사이에 실링 패드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 단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실 벽체의 양 측면을 감싸는 고정 본체; 상기 고정 본체의 나사공을 통하여 상기 밸브실 벽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5) 단계는, g) 상기 밸브실 벽체 상면에 상기 상부 슬라브를 올려놓는 단계; h) 상기 밸브실 벽체와 상기 상부 슬라브를 상기 고정 부재로 물어서 고정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g) 단계 수행 전에, 상기 밸브실 벽체와 상기 상부 슬라브의 외부 접촉면과 그 주변을 FRP로 적층하여 연결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g) 단계 수행 전에, 상기 밸브실 벽체와 상부 슬라브의 접촉면 사이에 실링 패드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시공방법에 의하여 시공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구조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에 의하면, 밸브실 시공을 위하여 사전 제작된 중량물인 밸브실 벽체, 상부 슬라브 및 바닥 판넬에 천공을 하는 등의 추가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고정 부재만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 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실 시공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판넬 설치 세부 공정도이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판넬 설치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실 벽체 설치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실 벽체 설치 세부 공정도이다.
도 15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슬라브 설치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슬라브 설치 세부 공정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실의 완성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구조 및 조립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판넬(140), 밸브실 벽체(110) 및 상부 슬라브(130)를 제작하는 단계(S100)로 시작된다. 이 단계(S100)에서는 밸브실을 이루는 구조물인 밸브실 벽체(110)와 상부 슬라브(130) 및 바닥 판넬(140)을 시공 현장이 아닌 별도로 마련된 공장에서 제작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밸브실 벽체(11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FRP 판넬(111A)을 공장 바닥면에 놓고, 상기 FRP 판넬(111A)의 표면에 각형 강관틀(111B)을 내려놓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FRP 판넬(111A)과 각형 강관틀(111B)을 새로운 FRP 코팅으로 코팅하여 합성한다. 이때 상기 각형 강관틀(111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를 가지는 것이 토압을 잘 견딜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판넬(140)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슬라브(130)는 밸브실 벽체(110) 제작 방법과 유사하게 FRP 판넬을 공장 바닥면에 놓고 그 표면에 강관틀을 내려놓아 밀착시킨 상태에서 강관틀을 새로운 FRP 코팅으로 코팅하여 합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 슬라브(130)의 강관틀은 밸브실 벽체(110)의 그것과 달리 긴 직선 형태의 각형 강관을 조밀하고 서로 평행하고 조밀하게 배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윤압을 잘 견딜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단계(S100)에서 상기 밸브실 벽체(110)와 상부 슬라브(130) 중 후술하는 임시 고정 단계(S300)에서 서로 접촉되는 면에 해당되는 각형강관틀(111A)의 접촉면은 FRP 코팅에 의하여 피복되지 않고 노출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밸브실 벽체(110)와 상부 슬라브(130)의 접촉면이 피복되지 않고 노출되는 것은, 이 후에 진행되는 벽체 연결 단계(S400)에서 양 벽체 또는 벽체와 슬라브를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현장에서 밸브실 바닥면을 시공하고 바닥 판넬(140)을 설치하는 단계(S2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200)에서는 실제 밸브실이 설치될 설치 장소에 일정한 깊이로 토사를 굴착한 후, 바닥면에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기초대를 형성하는 등의 바닥면 시공 공사를 한다(S210). 그리고 그 기초대 위에 바닥 판넬(140)을 설치한다. 이때,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이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 바닥 판넬(140)을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공간의 협소성 때문에 바닥 판넬(140)을 원판 크기로 제작하여 설치함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 판넬(140)을 2등분하여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로 제작하고, 이를 밸브실 바닥면에 내려놓은 후(S220)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의 접촉면이 밀착되도록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의 접촉면과 그 주변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P를 코팅하여 연결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P 코팅 단계를 진행하지 않고, 상기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 사이에 실링 패드(146)를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 단계(S230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공정이 더욱 단순하면서도 상기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에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의 각형강관틀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20)로 물어서 고정한다(S230). 이때 상기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의 각형강관틀에는 천공 형성 등 아무런 사전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그 상태로 그대로 상기 고정 부재(120)를 설치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고정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 중 연결 부분(142A, 142B)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P 판넬이 피복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되고, 상기 밸브실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판넬(140C)을 그 상부에 덮는다. 그리고 나서 상기 마감 판넬(140C)과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의 접촉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P를 코팅하여 연결한다(S240).
한편 상기 좌우 바닥 판넬(140A, 140B)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 바닥 판넬의 접촉면을 용접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밸브실 벽체(110)를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300)에서는 전 단계(S100)에서 사전 제작된 상기 밸브실 벽체(110)들을 시공 현장으로 이동시킨 후, 전 단계(S200)에서 시공된 상기 바닥 판넬(도면에 미도시) 상면에 상기 밸브실 벽체(110)들을 밸브실 형태로 내려놓고, 각 밸브실 벽체(110)를 고정 및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 단계(S300)를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접촉면 밀착 설치 단계(S310)와 고정부재 이용 고정 단계(S320)의 소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먼저 벽체 접촉면 밀착 설치 단계(S310)는 연결될 두 개의 밸브실 벽체(111, 112)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시킨 상태에서 서로의 접촉면이 밀착되도록 내려놓는다. 이때 상기 이웃한 두 밸브실 벽체의 외부 접촉면과 그 근처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P(116A)를 피복하는 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FRP(116A)를 피복하지 않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실 벽체(111, 112) 사이의 공간에 실링 패드(118)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실 벽체를 고정하는 단계(S320)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상기 밸브실 벽체 사이의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이용 고정 단계(S320)에서는 각 밸브실 벽체(111, 112)들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고정부재(120)로 상기 밸브실 벽체(111, 112)를 물어서 임시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실 벽체(111, 112)나 그 각형강관틀에는 상기 바닥 판넬과 마찬가지로 천공 작업 등 아무런 사전 작업 수행없이 그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이용한 고정 작업이 진행된다. 밸브실 벽체를 서로 결합시키고 고정하기 위하여 별브실 벽체에 천공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를 통해 밸브실 내부로 누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실 벽체 조립과정에서 아예 천공 작업을 하지 않으므로 누수 가능성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고정 부재(120)에 의하여 밸브실 벽체(111, 112)들이 고정되면, 안전하고 신속하게 중량의 밸브실 벽체들(110)을 고정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각 밸브실 벽체들의 접촉면이 완전 밀착되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서로의 접착면이 밀착되어 있는 양 밸브실 벽체(111, 112)를 물어서 신속하게 임시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 단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실 벽체(111, 112)의 양 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양 밸브실 벽체에 설치되어 양 밸브실 벽체를 임시 고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강철 또는 스테인리스스틸 소재와 같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표면은 FRP로 코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20)는 도 22 내지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본체(222)와 고정 볼트(224)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 본체(222)를 양 밸브실 벽체를 물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볼트(224)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본체(222)를 상기 밸브실 벽체(211, 212)에 더욱 강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 본체(222)에는 상기 고정 볼트(224)가 체결되는 나사공(2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공(221)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본체(222)의 일 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20)에는 도 25,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볼트(224)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볼트 머리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2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실 벽체(111, 112) 내측면의 접촉면 및 그 주변을 완전히 덮도록 새로운 FRP(116B)로 적층 피복하여 양 밸브실 벽체(111, 112)를 2차 연결하는 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밸브실 벽체(110)들을 설치하고 고정하는 단계들은 도 8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밸브실 벽체(111, 112, 113, 114)들이 모두 연결되도록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진행된다.
다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슬라브를 설치하는 단계(S4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400)에서는 전 단계(S300)에서 시공된 상기 밸브실 벽체(110) 상면에 상기 상부 슬라브(130)를 설치하고 연결하는 것이다.
이 단계(S400)는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슬라브 안착 단계(S410), 상부 슬라브 고정 단계(S420)의 소단계들로 나뉘어 진행된다. 먼저 상기 밸브실 벽체(110) 상면에 상기 상부 슬라브(130)를 올려놓고 안착시키는 단계(S410)가 진행된다. 이 단계(S410)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실 벽체(110)의 상면에 상기 상부 슬라브(130)의 하면 가장자리가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상기 상부 슬라브(130)를 내려놓는 것이다. 이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실 벽체(110)와 상기 상부 슬라브(130)의 외부 접촉면과 그 주변에 FRP(134)를 코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FRP(134)를 코팅하지 않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실 벽체(110)와 상기 상부 슬라브(130) 사이의 공간에 실링 패드(138)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슬라브(130)를 고정하는 단계(S420)가 진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상기 밸브실 벽체(110)와 상부 슬라브(130) 사이의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20)를 이용하여 상기 밸브실 벽체(110)와 상기 상부 슬라브(130)를 고정하는 단계(S420)가 진행된다. 이 단계(S420)는 전술한 밸브실 벽체의 고정 단계(S3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밸브실 벽체(110)와 상기 상부 슬라브(130)의 내부 접촉면과 그 주변을 FRP로 적층하는 단계가 더 진행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 주변을 밀봉 판넬(160)로 밀봉하고 마감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슬라브(130)에 맨홀(180)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실
110 : 밸브실 벽체 120 : 고정 부재
130 : 상부 슬라브 140 : 바닥 판넬
160 : 밀봉 판넬 180 : 맨홀
10 : 배관

Claims (12)

1) FRP 판넬과 각형강관을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판넬, 밸브실 벽체 및 상부 슬라브를 제작하는 단계;
2) 밸브실 바닥면을 시공하고, 상기 바닥 판넬을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
3) 상기 밸브실 벽체를 상기 바닥 판넬 상에 내려놓고 상기 바닥 판넬 및 이웃한 밸브실 벽체를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
4) 상기 밸브실 벽체 상면에 상기 상부 슬라브를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 단계는,
a) 상기 밸브실 바닥면을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밸브실 바닥면 상에 연결 부분이 노출되고 분리된 제1, 2 바닥 판넬을 접촉면이 밀착되도록 안착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2 바닥 판넬을 고정 부재로 물어서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제1, 2 바닥 판넬의 연결 부분에 마감 판넬을 덮고 FRP를 코팅하여 연결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수행 전에, 상기 제1, 2 바닥 판넬 접촉면과 그 주변에 FRP를 코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수행 전에,
상기 제1, 2 바닥 판넬의 접촉면에 실링 패드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e) 이웃한 두 밸브실 벽체를 상기 바닥 판넬 상면에 안착시키는 단계;
f) 각 밸브실 벽체들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고정부재로 상기 밸브실 벽체를 고정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수행 전에,
상기 이웃한 두 밸브실 벽체의 외부 접촉면과 그 주변에 FRP를 코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수행 전에,
상기 이웃한 두 밸브실 벽체의 접촉면 사이에 실링 패드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 단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실 벽체의 양 측면을 감싸는 고정 본체;
상기 고정 본체의 나사공을 통하여 상기 밸브실 벽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는,
g) 상기 밸브실 벽체 상면에 상기 상부 슬라브를 올려놓는 단계;
h) 상기 밸브실 벽체와 상기 상부 슬라브를 상기 고정 부재로 물어서 고정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수행 전에,
상기 밸브실 벽체와 상기 상부 슬라브의 외부 접촉면과 그 주변을 FRP로 적층하여 연결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수행 전에,
상기 밸브실 벽체와 상부 슬라브의 접촉면 사이에 실링 패드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공방법에 의하여 시공되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구조.
KR1020200167352A 2020-12-03 2020-12-03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 KR10226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352A KR102263661B1 (ko) 2020-12-03 2020-12-03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352A KR102263661B1 (ko) 2020-12-03 2020-12-03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661B1 true KR102263661B1 (ko) 2021-06-10

Family

ID=7637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352A KR102263661B1 (ko) 2020-12-03 2020-12-03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50A (ko) * 2001-11-07 2003-05-16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복합구조재료을 이용한 밸브실 시공공법 및 그 밸브실 구조
KR101601076B1 (ko) * 2014-09-26 2016-03-09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토압에 강한 지중 매립용 철제 밸브실
KR101649107B1 (ko) * 2015-05-14 2016-08-19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조립식 frp-콘크리트 혼성 밸브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50A (ko) * 2001-11-07 2003-05-16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복합구조재료을 이용한 밸브실 시공공법 및 그 밸브실 구조
KR101601076B1 (ko) * 2014-09-26 2016-03-09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토압에 강한 지중 매립용 철제 밸브실
KR101649107B1 (ko) * 2015-05-14 2016-08-19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조립식 frp-콘크리트 혼성 밸브실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9599B (zh) 预制涵洞钢制连接构造及施工方法
KR102176930B1 (ko) 하향식 세그먼트 수직구 구조물 정밀 시공방법
CN108301466B (zh) 整体预制卫生间沉箱和卫生间沉箱构造及其施工方法
KR102263661B1 (ko)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
US5901506A (en) Composite concrete and plastic manhole system
JP2009256890A (ja) 建築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S6244636B2 (ko)
KR100747597B1 (ko) 복선 매설관의 밸브실 조립부재 및 그 시공방법
JP6159295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KR20110028325A (ko)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AU2012101957A4 (en) Piping
KR20070113329A (ko) 합성구조 맨홀(상수도밸브실, 하수도맨홀)및 이를 이용한맨홀 시공공법
KR20120047020A (ko) 복합재질로 구성된 하수맨홀의 하부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286029A (ja) 鋼製地下壁およびその構築法
JP2000213026A (ja) 排水管の設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377690B1 (ko) 밸브실 시공 공법 및 그 밸브실 구조
KR20210015070A (ko)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102298267B1 (ko) 지중 전력구용 프리캐스트 암거블록
KR101738595B1 (ko) 맨홀 블록
CN213625937U (zh) 自带承插口的装配式雨污水管道检查井室
JP2554322Y2 (ja) 塩ビ製小口径マンホ−ル
KR101738603B1 (ko) 맨홀 블록 및 맨홀 블록의 제조 방법
KR20140130977A (ko) 슬라브가 보강된 밸브실
JP2538759B2 (ja) 地下室および地下室の構築方法
JP4996947B2 (ja) 地下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