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595B1 - 맨홀 블록 - Google Patents

맨홀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595B1
KR101738595B1 KR1020150166237A KR20150166237A KR101738595B1 KR 101738595 B1 KR101738595 B1 KR 101738595B1 KR 1020150166237 A KR1020150166237 A KR 1020150166237A KR 20150166237 A KR20150166237 A KR 20150166237A KR 101738595 B1 KR101738595 B1 KR 10173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steel
corrugated
manho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유미
Original Assignee
(주)충남기업
(주)우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충남기업, (주)우진건설 filed Critical (주)충남기업
Priority to KR102015016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23Lining the inner wall of hollow objects, e.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38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lining the outer wall of hollow objects, e.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Abstract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은, 우수 또는 토사가 저장되는 맨홀 블록로서, 외형을 형성하고,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말아 접합시킨 제 1 강관과, 상기 제 1 강관의 내측에 배치되고,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말아 접합시킨 제 2 강관과, 상기 제 1 강관과 제 2 강관 사이에 타설된 측면 모르타르와, 상기 제 1 강관, 측면 모르타르 및 제 2 강관을 관통하고, 지하에 매설된 배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강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결합용 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맨홀 블록{MANHOLE BLOCK}
본 발명은 하수관 속의 점검이나 청소, 관의 연결이나 접합을 위해 사람들이 출입을 하기 위해 설치되는 원형 맨홀 블록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강관의 리브 또는 파형에 의하여 타설되는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공장에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현장에서 맨홀 구조물의 설치 공사를 진행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매설되는 배관들을 쉽게 연결시킬 수 있는 맨홀 블록에 대한 것이다.
하수관은 오수나 우수를 발생원에서 처리장이나 하천으로 이송시키는 시설로 일반적으로 지하에 위치하며 지상 및 지하 구조물에 의해 하수관은 수지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부위는 맨홀 구조물이 필요하다.
하수관의 기점, 합류점, 관의 지름이나 방향 및 구배가 변하는 곳이라든가 긴 관로의 중간점 등에 대형 맨홀을 설치하여 점검, 수리, 청소를 하기 위하여 사람이 출입하도록 한다.
그러나, 맨홀 구조물은 콘크리트 작업을 위하여 기초 공사 후 일반적인 건축 공사와 동일한 골조 공사를 진행하여야 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철근콘크리트조로 맨홀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지하에 설치되는 맨홀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바닥 철골조(14)와, 상기 바닥 철골조(14)로부터 볼트 또는 용접 연결되는 측면 철골조(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 철골조(14)를 이용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맨홀 바닥(17)을 형성한다.
그리고, 지하에 매설된 우수 배관 등이 맨홀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측면 철골조(15)에는 타설 방지 부재(16)를 형성하여 두고, 측면 콘크리트 타설시에 타설 방지 부재(16)의 형상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타설 방지 부재(16)를 측면 철골조(15) 에 형성한 다음, 측벽 형성을 위하여 내측 거푸집(12)과, 외측 거푸집(13)을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들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의 측벽(21)이 완성되고, 측벽(21) 내에는 우수 배관등이 연결될 배관홀(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 맨홀(1)을 지하에 매립시키고, 지하의 우수 배관을 상기 배관홀(22)에 연결함으로써, 하천이나 강으로 흐르는 우수가 맨홀 구조물을 경유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의 맨홀 구조물은 건설 후에 염해나 중성화, 알칼리 골재 반응, 화학적 부식 외에 물의 침투에 의한 부식 팽창 등으로 구조물이 열화되면서 장기적으로 내구성 및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맨홀 구조물의 열화가 계속 진행되면 결국 맨홀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보수하고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의 맨홀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은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제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고, 장방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의 배관들에 연결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장방형의 맨홀 구조물의 경우, 모서리 부분에 배관 연결을 위한 배관홀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그리고, 90도, 180도 이외의 각도로 배치되는 우수 배관 사이에 맨홀 구조물을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그에 대응되는 맨홀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 역시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 등을 나선상으로 말아 원통 형태가 되도록 구성한 리브 강관 또는 파형 강관을 이용하여 맨홀 블록을 미리 제조하고, 현장에서는 미리 제조된 맨홀 블록을 매립 설치하는 것을 통해서 맨홀 구조물의 시공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맨홀 블록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 블록의 내벽 및 외벽이 강관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존 맨홀 구조물에 비하여 콘크리트의 독성이 발산되어 수질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맨홀 블록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과 연결되는 배관 연결홀을 용이하게 미리 형성할 수 있으며, 맨홀 블록의 외측에 결합용 배관을 미리 형성함으로써 지하의 배관들과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맨홀 블록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맨홀 블록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용 배관을 다양한 각도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맨홀 블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은, 우수 또는 토사가 저장되는 맨홀 블록으로서, 외형을 형성하고,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말아 접합시킨 제 1 강관과, 상기 제 1 강관의 내측에 배치되고,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말아 접합시킨 제 2 강관과, 상기 제 1 강관과 제 2 강관 사이에 타설된 측면 모르타르와, 상기 제 1 강관, 측면 모르타르 및 제 2 강관을 관통하고, 지하에 매설된 배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강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결합용 배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 배관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말아 접합시킨 강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 배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2 강관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배관과의 연결과 결합되는 주름판으로 구성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맨홀 블록에 의해서, 현장에서 맨홀 블록 설치를 위한 공사를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사 기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이 지하에 시공되더라도, 타설된 모르타르는 내측과 외측이 모두 강관에 의해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타설된 모르타르에 의한 수질 오염 및 시간의 경과에 따른 모르타르의 파손의 우려로부터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의 외측과 내측에 형성되는 강관들 자체가 갖는 방수성에 의하여, 모르타르에 일부 손상이 가해지더라도 누수되는 등의 하자 발생의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강관의 리브 또는 파형부에 의하여 모르타르의 타설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설된 모르타르 역시 그 위치가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배관에 대응하여 배관 연결홀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며, 외측에는 배관과의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결합용 배관이 구성됨으로써, 맨홀 블록과 배관 사이의 연결이 보다 용이하면서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철근콘크리트조로 맨홀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주름형 강판과 파형 강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의 맨홀 블록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관 연결홀과 결합용 배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배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결합용 배관들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블록의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의 바닥 밀폐부를 현장에서 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주름형 강판과 파형 강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롤 상태로 말아진 강판(예를 들면, 아연도금강판)을 언코일러에 장착한 후 언코일러가 작동하면 강판이 언코일러에서 풀리면서 롤 포밍부를 지나도록 하여 주름(리브) 또는 파형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은 주름형 강판(주름을 리브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는 파형 강판을 나선상으로 말면서 연결부위를 접합시킴으로써 락심이 형성된 리브 강관 또는 파형 강관을 이용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강판 본체(101)에 복수 개의 주름(102)들이 절곡되어 돌출형성되는 주름형 강판(1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주름형 강판(100)은 강판에 대하여 복수 개의 절록된 형상의 주름을 형성하는 포밍 롤러에 의하여 가압되어 형성되고, 주름형 강판(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락심(lock seam) 형성을 위한 걸림편(103)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102)은 강판(10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나선상으로 말리는 부분을 걸림편(103)을 용접 또는 결합시킴으로써, 락심이 형성되면서 원통 형태의 주름형 강관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은 강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리브 대신에, 상하로 연속하여 절곡되는 형상의 파형부(111)가 형성된 파형 강판(110)이 이용될 수 있다.
즉, 파형 강판(110)을 나선상으로 말면서 접합 부위에 락심이 형성된 원통형의 파형 강관을 이용하여, 맨홀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맨홀 블록에 사용되는 주름형 강판과 파형 강판으로 강관을 만드는 경우에,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폴리머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된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코팅층은 친환경이면서 누수나 이물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머 또는 세라믹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세라믹 코팅층은 콜로이달 실리카로 구성된 세라믹에 소수성의 폴리에테르 변경 폴리디메틸 실록산을 혼합한 것으로서, 무기안료가 더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의 외측 강관과 내측 강관을 상기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강관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리브 또는 파형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 강도가 높아지고, 성형 후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도 강한 내성을 가지게 되어, 지하에서 외형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과 설명에서는 주름형 강판을 이용하여 원통형의 강관을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여 본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의 맨홀 블록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이하, '주름형 강판'이라 통칭함)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강관을 형성한다. 즉, 제 1 사이즈의 홀을 갖는 제 1 강관(210)과, 제 1 사이즈 보다 작은 크기의 제 2 사이즈의 홀을 갖는 제 2 강관(220)을 준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강관(210,220)은 주름형 강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로 제조된 것으로서, 그들 외주면에는 나선상으로 말아 감아짐으로써 발생되는 접합 부위인 락심(212,2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강관들의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강관(210)을 외측 강관, 제 2 강관(220)을 내측 강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강관(210)의 외주면은 지하의 흙에 접하는 부분이 되고, 제 1 강관(210)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강관(220)의 외주면은 타설되는 모르타르와 접하는 부분이 된다. 특히, 상기 제 1 강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들(211)은 흙과 접하는 면적을 넓혀 지하에서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1 강관(210)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강관(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들(221)은 타설되는 모르타르와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리브 강관과 파형 강관이 맨홀 블록의 몸체를 형성하고, 맨홀 블록의 외주면에 상기 리브 또는 파형 등의 돌출된 부위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지하의 흙과 접하는 넓은 면적에 의하여 맨홀 블록의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그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강관(210)의 내측으로 제 2 강관(220)을 위치시킨 다음에는, 상기 제 1 강관(210)과 제 2 강관(220)사이의 간격과 그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강관 연결부를 구성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강관(210)의 내면과 상기 제 2 강관(220)의 외면을 연결하는 강관 연결부를 복수개 구성시키며, 그 위치에 따라 상측 강관 연결부(231), 하측 강관 연결부(232)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강관 연결부(231)와 하측 강관 연결부(232) 사이에 추가로 미들 강관 연결부(233)를 더 구성시킬 수 있다.
이들 강관 연결부는 상기 제 2 강관(220)이 상기 제 1 강관(210) 내측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강관(210)과 제 2 강관(2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관 연결부들은 추후 타설되는 모르타르와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모르타르가 강관 및 강관 연결부와 접촉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모르타르가 강관과 보다 긴밀하게 타설될 수 있다. 모르타르와의 보다 긴밀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강관 연결부들은 그 외주면에 소정 두께 돌출된 돌출부 또는 소정 깊이 함몰된 오목부들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강관 연결부(231)와 하측 강관 연결부(232)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에 모두 설치됨으로써, 강관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가해지는 압력들에 대하여 상하전후 방향으로 대항 할 수 있다.
상기 강관 연결부들을 구성시킨 다음에는, 지하에 매립된 배관들이 연결되도록 하는 배관 연결홀과, 배관 연결홀에 결합되어 지하의 배관들과 직접 접촉하는 결합용 배관을 형성한다. 배관 연결홀과, 결합용 배관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관 연결홀과 결합용 배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 1 강관(210)과 제 2 강관(220) 사이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기 이전에, 상기 제 1 강관(210)과 제 2 강관(220)에 배관 연결홀을 형성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설치되어 있는 우수용 배관 등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 1 강관(210)과 제 2 강관(220)을 관통하는 배관 연결홀(401,402)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배관 연결홀들(401,402)은 맨홀 블록이 설치된 장소에 매립된 배관들의 크기와 위치를 고려하여 형성하며, 배관 연결홀들의 방향 역시 미리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서로 다른 크기의 강관을 이용하고, 이들 강관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관 연결홀들을 다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왜냐하면, 맨홀 블록을 장방형, 즉, 사각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모서리 영역에 배관 연결홀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관 연결홀들(401,402)에 결합용 배관(261,262)을 결합한다. 상기 결합용 배관(261,262)은 상기 제 1 강관(210)과 제 2 강관(2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결합용 배관(261,262)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물이 상기 제 2 강관(220)의 내부로 떨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용 배관(261,26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2 강관(220)과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지하의 배관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소정 두께/길이의 주름판(26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판(261a)에 의하여 결합용 배관의 단부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의 배관과도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용 배관(261,262)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브 강관 또는 파형 강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배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강관(210)과 제 2 강관(220)을 관통하는 결합용 배관(271,272)이 주름형 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 원통 형태로 접합시킨 리브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리브 강관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파형부를 갖는 파형 강관으로 구성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결합용 배관 역시 리브 강관 또는 파형 강관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지하의 흙과 접촉되는 면적이 더욱 커져서, 지하 내부에서의 위치가 보다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8로 돌아오면, 제 1 강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용 배관(261,262)을 형성한 다음에는, 상기 제 1 강관(210)과 제 2 강관(220) 사이로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외측을 형성하는 제 1 강관(210)과, 내측을 형성하는 제 2 강관(220) 사이에 시멘트와 모래가 혼합된 모르타르를 타설한다. 이때, 상기 결합용 배관(261,262)은 상기 제 1 강관(210) 및 제 2 강관(2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모르타르는 상기 결합용 배관의 외주면 일부에도 타설되어, 상기 결합용 배관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돕는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결합용 배관들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합용 배관들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원통형의 맨홀 블록이기 때문에, 실시예에 따라 이들 결합용 배관들을 다양한 각도로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절곡 배치된 배관 사이에 맨홀 블록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 배관 연결홀을 매우 쉽게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제 1 배관 연결홀(401)과 제 3 배관 연결홀(403)이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장방향으로 이루어진 맨홀 블록이라면, 배관의 위치에 따라 모서리에 배관 연결홀을 구성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지만, 본 실시예의 원통형의 맨홀 블록의 경우에는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배관 연결홀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위치에 배관 연결홀이 형성되더라도, 그들 배관 연결홀에 결합용 배관(261,262)을 설치하고, 리브 강관들 사이의 공간에 모르타르 타설함으로써, 공장에서 미리 완성된 맨홀 블록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맨홀 블록에 배관 연결홀, 결합용 배관 및 모르타르 타설까지 공장에서 생산한 다음, 맨홀 블록의 설치가 필요한 현장까지 운반하면 되므로, 현장에서 맨홀 블록 시공을 위한 공간과 시간을 소모할 필요가 없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블록의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강관과 제 2 강관의 하측에는 우수가 저류되도록 하측을 밀폐시키도록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바닥 밀폐부(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이동시에 상기 바닥 밀폐부(310)가 리브 강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닥 지지부재(240)가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바닥 지지부재(310)는 맨홀 블록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강관(220)의 내벽 또는 제 2 강관(220)을 관통하여 제 1 강관의 내벽까지 연결되어 고정되고,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바닥 밀폐부(310)는 제 2 강관(220)의 내벽과 접하도록 타설된다.
상기 바닥 밀폐부(310)와 바닥 지지부재(240) 모두가 형성된 맨홀 블록을 생산한 경우에는, 배관 사이에 맨홀 블록을 연결하고자 하는 현장까지 운반한 다음 곧바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맨홀 블록의 바닥을 공장에서 생산하지 않고, 현장에서 모르타르 타설 공사를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맨홀 블록의 바닥 밀폐부를 현장에서 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강관(210)과,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강관(220)과, 상기 제 1 및 제 2 강관(210,220)을 연결하고 모르타르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강관 연결부들(231,232,233)과, 상기 제 1 및 제 2 강관(210,220)을 관통하는 결합용 배관(261,262) 및 상기 제 1 강관(210)과 제 2 강관(220) 사이에 타설된 모르타를를 포함하는 맨홀 블록을 현장까지 운반한다.
그리고, 제 2 강관(220)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 보강 부재(250)를 형성시킨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바닥 보강 부재(250)까지 형성된 맨홀 블록을 생산한 다음, 현장으로 운반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바닥 보강 부재(250)를 덮는 정도 양의 모르타르를 리브 강관 하측에 타설시킴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밀폐부(310)를 형성시킨다. 그 다음, 지하에 맨홀 블록을 매설함으로써, 지하에 매립된 배관들을 연결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현장까지 맨홀 블록을 운반한 다음, 곧바로 맨홀 블록을 지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의 맨홀 블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와 방향의 배관들을 연결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리브 강관과 파형 강관이 갖는 내구성과 높은 표면 강도를 이용하여 유지 보수에 대한 노력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10 : 제1 리브 강관(외측 리브 강관) 211 : 리브
212 : 락심
220 : 제2 리브 강관(내측 리브 강관) 221 : 리브
222 : 락심 231,232,233 : 강관 연결부
261,262 : 결합용 배관 300 : 측면 모르타르
310 : 바닥 밀폐부 401,402,403 : 배관 연결홀

Claims (7)

  1. 삭제
  2. 외형을 형성하고,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말아 접합시킨 제 1 강관과,
    상기 제 1 강관의 내측에 배치되고,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말아 접합시킨 제 2 강관과,
    상기 제 1 강관의 내면과 제 2 강관의 외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관 연결 부재와,
    상기 제 1 강관, 측면 모르타르 및 제 2 강관을 관통하고, 지하에 매설된 배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상기 제 1 강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며,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말아서 접합된 복수개의 결합용 배관과,
    상기 제 2 강관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고, 모르타르 타설에 의해 형성된 바닥 밀폐부와,
    상기 바닥 밀폐부가 상기 제 2 강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 밀폐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바닥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지지부재는 상기 제 2 강관을 관통하여 제 1 강관의 내벽까지 연결되어 고정되는 맨홀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강관과 제 2 강관은 상기 주름형 강판 또는 파형 강판을 말아 락심에 의하여 연결되는 맨홀 블록.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강관과 제 2 강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측면 모르타르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강관 연결부가 복수 개 설치되는 맨홀 블록.
  7. 삭제
KR1020150166237A 2015-11-26 2015-11-26 맨홀 블록 KR10173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237A KR101738595B1 (ko) 2015-11-26 2015-11-26 맨홀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237A KR101738595B1 (ko) 2015-11-26 2015-11-26 맨홀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595B1 true KR101738595B1 (ko) 2017-05-22

Family

ID=5905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237A KR101738595B1 (ko) 2015-11-26 2015-11-26 맨홀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5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941Y1 (ko) * 1994-03-07 2000-04-15 민병이 2중벽 나선관으로된 맨홀
KR101206104B1 (ko) * 2012-07-13 2012-12-03 주식회사 보국산업 누수방지용 금속 리브강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941Y1 (ko) * 1994-03-07 2000-04-15 민병이 2중벽 나선관으로된 맨홀
KR101206104B1 (ko) * 2012-07-13 2012-12-03 주식회사 보국산업 누수방지용 금속 리브강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9984A (zh) 梯波形钢板与钢桁架组合的装配式围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738595B1 (ko) 맨홀 블록
CN202164698U (zh) 污水检查井钢模
KR200443476Y1 (ko) 벽체 지지용 구조체
KR101738603B1 (ko) 맨홀 블록 및 맨홀 블록의 제조 방법
KR101965801B1 (ko)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76937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80009277A (ko) 누수방지가 용이한 암거 및 이의 시공방법
RU152410U1 (ru) Облицованный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колодец
KR100751969B1 (ko) 현장제관 관로 설치공법
KR101991071B1 (ko) 앵커와 스터드로 보강된 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 구조물
KR20180082771A (ko) 맨홀블록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318301B1 (ko) 지하구조물용 프레임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지하구조물구축방법
JP2018080485A (ja) エネルギーステーションの擁壁構造及び擁壁構造の施工方法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100458354B1 (ko) 도로의 지중 매설 구조물
KR20180082773A (ko) 수밀성이 강화된 맨홀블록조립체
KR200402945Y1 (ko) 내구성이 강화된 방수 맨홀
US20240003115A1 (en) Method of rehabilitating a manhole
CN213625937U (zh) 自带承插口的装配式雨污水管道检查井室
KR102263661B1 (ko)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
CA3125165C (en)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 host pipe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KR102018992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