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012B1 - 전자기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기 릴레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4012B1 KR101804012B1 KR1020150041671A KR20150041671A KR101804012B1 KR 101804012 B1 KR101804012 B1 KR 101804012B1 KR 1020150041671 A KR1020150041671 A KR 1020150041671A KR 20150041671 A KR20150041671 A KR 20150041671A KR 101804012 B1 KR101804012 B1 KR 1018040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electromagnetic relay
- movable contact
- conductive auxiliary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0—Contact arrangements moving contac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5—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making a resilient or flexible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02—Movable contacts fixed to operating 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c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높은 내전압을 가지고 대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소형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일과, 제1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제1 고정 스프링과, 제2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제2 고정 스프링과,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가동 접점과 상기 스프링부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스프링과, 상기 제1 가동 접점과 한쪽 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동 접점과 다른쪽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도전 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코일과, 제1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제1 고정 스프링과, 제2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제2 고정 스프링과,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가동 접점과 상기 스프링부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스프링과, 상기 제1 가동 접점과 한쪽 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동 접점과 다른쪽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도전 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기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차 등의 주행 회로에서는, 전류의 통전과 차단을 전환하기 위하여 전자기 릴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 릴레이는 코일,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가동 스프링,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 스프링 등을 가지고 있다.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자기장이 발생하고, 발생한 자기장에 의한 자력으로 가동 스프링이 움직여서 가동 접점과 고정 스프링의 고정 접점이 접촉하여, 전자기 릴레이를 통해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정지시키면, 발생해 있던 자기장이 소멸하기 때문에, 가동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 접점과 접촉하고 있던 가동 접점이 떨어져서, 전자기 릴레이를 통해 통전하고 있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그런데,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차 등의 주행 회로에는 고전압에 대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사용되고 있는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통상의 전자기 릴레이와는 달리 고전압, 대전류에 대응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차 등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소형이고 저가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통상의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흐르게 할 수 있는 전류량의 상한이 낮아서, 상한을 초과하는 전류를 흐르게 한 경우에는, 전자기 릴레이가 발열하여, 파괴 등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높은 내전압을 가지고 대전류를 흘릴 수 있는 전자기 릴레이가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소형이고 저가격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일 관점에 의하면, 코일과, 제1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제1 고정 스프링과, 제2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제2 고정 스프링과,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가동 접점과 상기 스프링부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스프링과, 상기 제1 가동 접점과 한쪽 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동 접점과 다른쪽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도전 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하는 전자기 릴레이에 의하면, 높은 내전압을 가지며, 대전류를 흘릴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전 보조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의 전자기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1)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2)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3)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가동 스프링과 도전 보조부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전자기 릴레이에 흐르는 전류와 가동 스프링의 온도와의 상관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1)이다.
도 14는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2)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3)이다.
도 16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4)이다.
도 17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5)이다.
도 2는 도전 보조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의 전자기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1)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2)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3)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가동 스프링과 도전 보조부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전자기 릴레이에 흐르는 전류와 가동 스프링의 온도와의 상관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1)이다.
도 14는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2)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3)이다.
도 16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4)이다.
도 17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 릴레이의 설명도(5)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한편,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그런데, 일반적으로 높은 내전압에 대응하며 대전류를 흘릴 수 있는 전자기 릴레이의 경우, 기존의 전자기 릴레이보다 대형이 되므로,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차 등에 탑재하기에는 부적합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현재의 전자기 릴레이와 같은 크기와 형상이면서, 높은 내전압이 가지며 대전류를 흘릴 수 있는 전자기 릴레이가 요구되고 있다.
(전자기 릴레이)
제1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는, 높은 내전압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기 릴레이의 가동 스프링에 흐르는 전류량을 늘리기 위해 금속 등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 도전 보조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것이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로부터 도전 보조부(40)가 제거되어 있는 전자기 릴레이, 즉 도전 보조부(4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전자기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스프링(10), 제 2 고정 스프링(20), 가동 스프링(30), 도전 보조부(40)를 가지고 있다. 후술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스프링(10)의 단부 근방에는 제1 고정 접점(11)이 설치되어 있고, 제2 고정 스프링(20)의 단부 근방에는 제2 고정 접점(21)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프링(30)은, 금속판 등을 가공하여 형성된 스프링부(31)와, 스프링부(31)의 일측 단부(30a)에 설치된 제1 가동 접점(32)과, 타측 단부(30b)에 설치된 제2 가동 접점(33)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동 스프링(30)의 제1 가동 접점(32)은 제1 고정 스프링(10)의 제1 고정 접점(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제2 가동 접점(33)은 제2 고정 스프링(20)의 제2 고정 접점(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에서, 가동 스프링(30)의 제1 가동 접점(32) 및 제2 가동 접점(33)에는, U자형 도전 보조부(40)가 접속되어 있다. 즉, 도전 보조부 (40)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전 보조부(40)의 한쪽 단부(40a) 근방에서 제1 가동 접점(32)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40b) 근방에서 제2 가동 접점(33)에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5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형태에서 전자기 릴레이를 설명하기 위해, 전자기 릴레이를 형성하고 있는 부재의 일부를 제거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50)이 구비되어 있고, 코일(50)과 제1 고정 스프링(10)과 제2 고정 스프링(20)을 포함하는 부분은, 베이스(51)의 내부에 넣어져 있다. 또한, 코일(50)은, 자속을 수렴시키고 원하는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등을 위해 도선이 감겨져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이 감겨 있는 코일(50)의 중심에는 철심(52)이 넣어져 있으며, 코일(50)의 외측에는 계철(繼鐵,53)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도전 보조부(40)가 접속되어 있는 가동 스프링(30)을 설치한 후, 커버(54)가 씌워져 있다. 또한, 커버 (54)에는 영구 자석(55,56) 및 요크(5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는, 베이스(51) 및 커버(54)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51)와 커버(54)에 의해 케이스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는, 전자기 릴레이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코일(50)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자력에 의해, 제1 고정 스프링(10)의 제 1 고정 접점(11)과 가동 스프링(30)에 설치된 제1 가동 접점(32)이 접촉하고, 제2 고정 스프링(20)의 제2 고정 접점(21)과 가동 스프링(30)에 설치된 제2 가동 접점(33)이 접촉한다. 이로써, 전류는 예를 들어, 제1 고정 스프링(10)으로부터 제1 고정 접점(11) 및 제1 가동 접점(32)을 통해 스프링부(31) 및 도전 보조부(40)의 양쪽을 흘러, 제2 가동 접점(33) 및 제2 고정 접점(21)을 통해 제2 고정 스프링(20)으로 흐른다.
제1 고정 스프링(10) 및 제2 고정 스프링(20)은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두꺼운 재료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제1 고정 스프링(10) 및 제2 고정 스프링(20)에서는 전류가 흐르는 영역의 단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대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가동 스프링(30)은 코일(50)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제1 가동 접점(32)이 제1 고정 접점(11)에 접촉하고, 제2 가동 접점(33)이 제2 고정 접점(21)에 접촉하도록, 스프링부(31)가 움직이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는, 판 스프링 등 탄성을 갖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도성에다 탄성을 갖는 구리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링부(31)를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한 경우에도, 너무 두꺼우면 탄성을 발휘할 수 없고, 스프링으로서의 기능이 손상되므로, 스프링부(31)의 두께가 다음과 같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31)의 두께는 0.25m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U자형 도전 보조부(40)가 구리 등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의 일부와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전 보조부(40)의 두께는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과 동일한 0.25mm이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는, 도 2에 나타내는 도전 보조부(4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전자기 릴레이에 비해, 약 2배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전 보조부(40)를 형성하고 있는 재료는 도전성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구리(Cu)나 은(Ag)을 함유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 보조부 (40)의 두께는 스프링부(31)의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보조부(40)를 두껍게 함으로써, 흐르게 할 수 있는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전 보조부)
이어서,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와 도전 보조부(40)의 접속 방법에 대하여, 도 6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스프링부(31)에 도전 보조부(40)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스프링부(31)에 도전 보조부(4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와 도전 보조부(40)를 접속할 때에는, 우선 스프링부(31)의 위에 도전 보조부(40)를 겹쳐 놓는다. 스프링부(31)는, 제1 고정 접점(11) 및 제 2 고정 접점(21)과 접촉하는 영역의 근방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U자형으로 형성된 부분의 폭은 약 4mm이다. 스프링부(31)에 있어서, U자형으로 형성된 부분의 일측 단부(30a)의 근방에는 접속 구멍(31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30b)의 근방에는 접속 구멍(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전 보조부(40)도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 단부(40a)의 근방에는 접속 구멍(41a)이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40b)의 근방에는 접속 구멍(4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전 보조부(40)의 폭은 약 4mm이다.
도전 보조부(40)의 한쪽 단부(40a)에 설치된 접속 구멍(41a)은 스프링부(31)의 일측 단부(30a)에 설치된 접속 구멍(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도전 보조부(40)의 다른쪽 단부(40b)에 설치된 접속 구멍(41b)은 스프링부(31)의 타측 단부(30b)에 설치된 접속 구멍(31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부(31)의 위에 도전 보조부(40)를 겹쳐 놓을 때에는, 스프링부(31)의 접속 구멍(31a)과 도전 보조부(40)의 접속 구멍(41a)의 위치가 일치하고, 스프링부(31)의 접속 구멍(31b)과 도전 보조부(40)의 접속 구멍(41b)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겹쳐 놓는다.
이어서, 스프링부(31)의 접속 구멍(31a)과 도전 보조부(40)의 접속 구멍(41a)을, 제1 가동 접점(32)을 스웨이징(swaging)함으로써, 접속하고, 스프링부(31)의 접속 구멍(31b)과 도전 보조부(40)의 접속 구멍(41b)을, 제2 가동 접점(33)을 스웨이징(swaging)함으로써, 접속한다. 이로써, 스프링부(31)와 도전 보조부(40)를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부(31)에 도전 보조부(40)를 접속함으로써, 제1 가동접점(32)과 제2 가동접점(33) 사이의 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 전자기 릴레이에 흐르게 할 수 있는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측정 결과)
이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자기 릴레이와, 도 2에 나타내는 도전 보조부(40)가 설치되지 않은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서,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측정은, 통전 개시 후 1 시간이 경과한 다음의 포화 온도를 측정한 것이며, 전자기 릴레이의 각 부분에서의 상승 온도와, 주위가 85℃의 환경에서 전자기 릴레이의 각 부분에서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한편, 온도의 측정은 열전대를 사용하였다. 표 1에,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 전류량과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며, 표 2에, 도 2에 나타내는 도전 보조부(40)가 설치되지 않은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 전류량과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흐르는 전류량이 증가하면 전자기 릴레이의 각 부분의 온도가 상승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 및 도 2에 나타내는 도전 보조부(40)가 설치되지 않은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서, 전자기 릴레이에 전류를 흘렸을 때 가장 온도가 높아지는 것은 가동 스프링(30)이다. 도 7은, 표 1 및 표 2에서 전류량과 가동 스프링(30)의 온도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7A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 전류량과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7B는 도 2에 나타내는 도전 보조부(40)가 설치되지 않은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 전류량과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에서 7A 및 7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는, 도 2에 나타내는 전자기 릴레이보다, 같은 포화 온도가 되는 전류량이 약 2배가 되어 있다. 이것은,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와 동일한 두께의 도전 보조부(40)가 가동 스프링(30)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인데, 동일한 전류량의 전류를 흘려도 가동 스프링의 발열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기 릴레이의 케이스 부분은 몰드 수지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데, 몰드 수지의 용융 온도는 약 225℃이다. 따라서, 225℃를 초과하면 전자기 릴레이를 형성하고 있는 몰드 수지는 녹아 버리지만, 이 온도보다 낮은 온도, 예를 들어,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몰드 수지의 변형 등이 시작하여 전자기 릴레이가 파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포화 온도가 200℃ 이하가 되는 최대 전류량을, 전자기 릴레이에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량으로 규정할 수 있다. 도 7 등으로부터 스프링부(31)에서의 포화 온도가 200℃ 이하가 되는 최대 전류량은, 도 2에 나타내는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약 50A인 반면,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약 100A이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 릴레이는, 도 2에 나타낸 도전 보조부(40)가 설치되지 않은 전자기 릴레이에 비해, 흘릴 수 있는 전류량을 약 2배로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흘릴 수 있는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가동 스프링(30)의 부분이 두꺼워지거나 부재끼리 겹치거나 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편접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제2 내지 제5 실시형태는 편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구조의 것이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전 보조부(140)의 중앙 부분에 절결부(141a,141b)를 형성한 구조의 것이다. 이러한 절결부(141a,141b)를 형성함으로써, 이른바 편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편접촉이란 제1 고정 접점(11)과, 제1 가동 접점(32), 제 2 고정 접점(21)과, 제 2 가동 접점(33) 중 어느 한쪽 외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데, 편접촉의 상태에서는 전자기 릴레이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U자형으로 형성되는 도전 보조부(140)의 중앙 부분에 절결부(141a,141b)를 형성함으로써, 도전 보조부(140)의 폭을 좁게 하고, 도전 보조부(140)의 제1 가동 접점(32) 쪽과 제2 가동 접점(33) 쪽 사이에서의 연동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가동 접점(32)과 제2 가동 접점(33)의 각각이 자유롭게 움직이기 쉬워지므로, 편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 보조부(140)는 구리 등으로 형성된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전 보조부(140)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가동 접점(32) 및 제2 가동 접점(33)에서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와 접속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
이어서,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전 보조부(240)의 중앙 부분에서 V자 형상의 절곡부 (241)를 형성한 구조의 것이다. 또한, 도전 보조부(240)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가동접점(32) 및 제2 가동접점(33)에서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V자형의 절곡부(241)를 형성함으로써, 도전 보조부(240)의 제1 가동 접점(32) 쪽과 제2 가동 접점(33) 쪽 사이에서의 연동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가동 접점(32)과 제2 가동 접점(33)의 각각이 자유롭게 움직이기 쉬워지므로, 편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 보조부(240)는 구리 등으로 형성된 금속판을 펀칭 가공한 후, 중앙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어서,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전 보조부(340)의 중앙 부분에서, 표면이 물결 모양의 파상부(波狀部,341)를 형성한 구조의 것이다. 또한, 도전 보조부(340)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가동 접점(32) 및 제2 가동 접점(33)에서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파상부(341)를 형성함으로써, 도전 보조부(340)의 제1 가동 접점(32) 쪽과 제2 가동 접점(33) 쪽 사이에서의 연동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가동 접점(32) 및 제2 가동 접점(33)의 각각이 자유롭게 움직이기 쉬워지므로, 편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 보조부 (340)는 구리 등으로 형성된 금속판을 펀칭 가공한 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이어서, 제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보조부를 도선에 의해 형성한 것인데, 도 11의 예는, 구리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 편조선(編粗線) 등에 의한 도선(440)에 의해 제1 가동 접점(32)과 제2 가동 접점(33)의 사이를 연결한 구조의 것이다. 제1 가동 접점(32)과 제2 가동 접점(33)의 사이를 도선(440)에 의해 연결한 것에 의해, 제1 가동 접점(32)과 제2 가동 접점(33)의 각각이 자유롭게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편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선(440)은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선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선(440)을, 복수 개의 가는 금속선을 짜 엮은 편조선으로 함으로써, 제1 가동 접점(32) 쪽과 제2 가동 접점(33) 쪽 사이에서의 자유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편접촉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구조의 전자기 릴레이어도 좋다. 또한, 도 12는 이 전자기 릴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13및 도 14는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에 도선(440)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내지 도 17은,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에 도선(440)이 스웨이징(swaging)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나아가 접극자(armature,58)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전자기 릴레이는 L자형 접극자(5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고정 스프링(10) 및 제2 고정 스프링(20)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고정 스프링(10)의 단부 근방에 제1 고정 접점(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고정 스프링 (20)의 단부 근방에 제2 고정 접점(21)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전자기 릴레이는,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접극자(58)가 철심(52)에 흡착됨으로써, 가동 스프링(30)이 움직여서 제1 고정 접점(11)에 제1 가동 접점(32)이 접촉하고 제2 고정 접점(21)에 제2 가동 접점(33)이 접촉한다. 또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자기장이 소멸하고,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의 복원력 등에 의해, 접극자(58)가 철심(52)으로부터 떨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서,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와 도선(440)은 스웨이징(swaging)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과, 도선(4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제1 가동 접점(32)의 일부가 되는 스웨이징부(32a)에서, 스웨이징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과, 도선(4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제2 가동 접점(33)의 일부가 되는 스웨이징부(33a)에서, 스웨이징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도선(440)은,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에 설치된 가이드부(31c)에 의해, 도선(440)을 끼워 넣도록 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도선(440)은 연동선(軟銅線)이어도 좋다. 또한, 가동 스프링(30)의 스프링부(31)와 도선(440)과의 접속 방법은 스웨이징 이외에도 저항 용접이나 납땜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점 독립성을 유지한 채로 스프링의 부하를 억제하면서, 적은 부품 수로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 흘리는 것의 전류량(통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내용이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0 : 제1 고정 스프링 11 : 제1 고정 접점
20 : 제2 고정 스프링 21 : 제2 고정 접점
30 : 가동 스프링 31 : 스프링부
31a : 접속 구멍 31b : 접속 구멍
32 : 제1 가동 접점 33 : 제2 가동 접점
40 : 도전 보조부 40a : 한쪽 단부
40b : 다른쪽 단부 41a : 접속 구멍
41b : 접속 구멍
20 : 제2 고정 스프링 21 : 제2 고정 접점
30 : 가동 스프링 31 : 스프링부
31a : 접속 구멍 31b : 접속 구멍
32 : 제1 가동 접점 33 : 제2 가동 접점
40 : 도전 보조부 40a : 한쪽 단부
40b : 다른쪽 단부 41a : 접속 구멍
41b : 접속 구멍
Claims (8)
- 코일과,
제1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제1 고정 스프링과,
제2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제2 고정 스프링과,
탄성을 갖는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가동 접점과, 상기 스프링부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스프링과,
상기 제1 가동 접점과 한쪽 단부가 직접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동 접점과 다른쪽 단부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도전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 보조부의 두께는 상기 스프링부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보조부는 구리 또는 은을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보조부에서의 상기 한쪽 단부와 상기 다른쪽 단부의 사이에는, 상기 도전 보조부의 폭이 좁아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보조부에서의 상기 한쪽 단부와 상기 다른쪽 단부의 사이에는, 상기 도전 보조부의 일부를 절곡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보조부에서의 상기 한쪽 단부와 상기 다른쪽 단부의 사이에는, 상기 도전 보조부의 일부를 물결 모양으로 형성한 파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보조부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접점 및 상기 제2 가동 접점의 각각을 스웨이징함으로써, 상기 제1 가동 접점 및 상기 제2 가동 접점의 각각과 상기 도전 보조부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69849 | 2014-03-28 | ||
JP2014069849A JP2015191857A (ja) | 2014-03-28 | 2014-03-28 | 電磁継電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2857A KR20150112857A (ko) | 2015-10-07 |
KR101804012B1 true KR101804012B1 (ko) | 2017-12-01 |
Family
ID=5273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1671A KR101804012B1 (ko) | 2014-03-28 | 2015-03-25 | 전자기 릴레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279600A1 (ko) |
EP (1) | EP2924704B1 (ko) |
JP (1) | JP2015191857A (ko) |
KR (1) | KR1018040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33706B2 (ja) * | 2014-07-28 | 2018-12-05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
JP6726080B2 (ja) * | 2016-10-20 | 2020-07-22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6959728B2 (ja) * | 2016-11-04 | 2021-11-05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6608415B2 (ja) * | 2017-06-01 | 2019-11-20 | ディーフォン エレク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電気スイッチアセンブリに使用するためのコンタクトレバー |
CN108010801B (zh) * | 2017-12-05 | 2023-10-20 | 厦门宏发汽车电子有限公司 | 一种高压预充电继电器 |
JP2019121490A (ja) * | 2017-12-28 | 2019-07-2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7007506B2 (ja) * | 2021-03-12 | 2022-01-24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86148U (ko) * | 1987-11-30 | 1989-06-07 | ||
DE19522931A1 (de) * | 1995-06-23 | 1997-01-02 | Siemens Ag | Relais für hohe Schaltleistungen |
EP0982746B1 (en) * | 1998-08-26 | 2007-05-0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ingle-pole relay switch |
JP2003229033A (ja) | 2002-02-05 | 2003-08-15 | Seiko Electric Device Co Ltd | スイッチ接点ユニット |
JP3896548B2 (ja) * | 2003-08-28 | 2007-03-22 | Necトー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US7659800B2 (en) * | 2007-08-01 | 2010-02-09 | Philipp Gruner |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
JP5004244B2 (ja) * | 2008-05-30 | 2012-08-22 | Necトー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5121608B2 (ja) | 2008-07-09 | 2013-01-16 | 三菱電機株式会社 | 回路遮断器 |
DE102008039704A1 (de) * | 2008-08-26 | 2010-03-04 | Tyco Electronics Amp Gmbh | Kontaktanordnung mit gebogener Litze, Relais mit Kontakt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Relais |
DE102008039705B4 (de) * | 2008-08-26 | 2018-05-30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Kontaktbaugruppe für ein Relais, Relais mit Kontaktbaugrupp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Relais |
JP5222669B2 (ja) * | 2008-09-16 | 2013-06-26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5197480B2 (ja) | 2009-05-14 | 2013-05-15 |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 電磁継電器 |
JP5660712B2 (ja) * | 2010-10-25 | 2015-01-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磁リレー |
US8405476B2 (en) * | 2011-01-26 | 2013-03-26 | Song Chuan Precision Co., Ltd. | Relay with multiple contacts |
JP5727871B2 (ja) * | 2011-06-07 | 2015-06-03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5864960B2 (ja) * | 2011-09-01 | 2016-02-17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6135168B2 (ja) * | 2013-02-13 | 2017-05-31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6959728B2 (ja) * | 2016-11-04 | 2021-11-05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
2014
- 2014-03-28 JP JP2014069849A patent/JP2015191857A/ja active Pending
-
2015
- 2015-03-24 US US14/666,499 patent/US2015027960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3-25 KR KR1020150041671A patent/KR1018040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3-26 EP EP15161093.8A patent/EP2924704B1/en not_active Not-in-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279600A1 (en) | 2015-10-01 |
EP2924704A1 (en) | 2015-09-30 |
EP2924704B1 (en) | 2017-05-17 |
JP2015191857A (ja) | 2015-11-02 |
KR20150112857A (ko) | 2015-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4012B1 (ko) | 전자기 릴레이 | |
CN102820172B (zh) | 电磁继电器及其制造方法 | |
US8847714B2 (en) | Relay | |
EP3264437B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CN110323104B (zh) | 继电器 | |
JP5222669B2 (ja) | 電磁継電器 | |
JP3896548B2 (ja) | 電磁継電器 | |
CN106575589B (zh) | 电磁继电器 | |
EP2919252B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5427492B2 (ja) | 電磁継電器 | |
JP5029536B2 (ja) | リレー装置 | |
US8026782B2 (en) | Magnet system for an electrical actuator | |
JP5549642B2 (ja) | 継電器 | |
CN105280450B (zh) | 电路断路器 | |
US12100568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RU2523717C2 (ru) | Комму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WO2018190209A1 (ja) |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 |
JP2019125507A (ja) | 電磁継電器 | |
US4535311A (en) | Contact support means for an electromagnetic relay | |
JP2022069864A (ja) | 電磁継電器 | |
CN112509876A (zh) | 电磁继电器 | |
KR20160040585A (ko) | 전기 접점 및 접촉자 | |
JP2020080210A (ja) | 配線用遮断器の端子金具 | |
CN115995362A (zh) | 电磁继电器 | |
JP2004259704A (ja) | リレー回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