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009B1 - 다리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다리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009B1
KR101803009B1 KR1020160049933A KR20160049933A KR101803009B1 KR 101803009 B1 KR101803009 B1 KR 101803009B1 KR 1020160049933 A KR1020160049933 A KR 1020160049933A KR 20160049933 A KR20160049933 A KR 20160049933A KR 101803009 B1 KR101803009 B1 KR 101803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supported
fix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473A (ko
Inventor
엄태관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0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스프링 부재가 구비된 힌지부; 상기 힌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힌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상부 지지부에 설치되며, 허벅지를 감싸는 상부 체결부; 및 이격된 한 쌍의 상기 하부 지지부에 설치되며, 종아리를 감싸는 하부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다리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리 지지 장치{LEG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다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공학적 구조를 갖는 다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일 또는 논일을 하거나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는 장시간 쪼그리고 앉아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쪼그려 앉은 자세는 척추를 지탱해주고 허리를 세워주는 척추 신전근에 손상을 주게 되어,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앞으로 휘는 요부변성 후만증이나 디스크가 과중한 압력을 받아 뒤로 밀리는 허리 디스크를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쪼그려 앉은 자세는 다리와 무릎에 체중을 집중시킴으로써, 다리를 저리게 하며, 무릎 연골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장시간 쪼그리고 앉아서 작업을 할 경우, 대개의 작업자는 엉덩이를 바닥에 댄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바닥에 존재하는 이물질, 먼지, 풀의 즙 등이 작업자의 의복을 더럽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등록특허 제10-1383763호 (선행문헌 1)에는 방석의자와 삼각쿠션을 일체로 구성하여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도 손쉽게 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하체 근육의 피로를 경감하여 작업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작업보조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작업보조기구의 경우, 작업자가 방석의자를 장시간 깔고 앉은 상태에서 일어설 경우, 순수하게 작업자의 하체 힘으로만 일어나야 되기에 작업자의 무릎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쪼그리고 앉아서 작업하는 작업자나 자주 앉았다가 일어나기를 반복하는 작업자가 손쉽게 기립(起立)할 수 있는 작업자의 기립을 돕는 작업보조기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작업보조기구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보조기구(10)는 상부 장착대(20), 하부 장착대(30), 힌지부(40) 및 스프링(50)을 포함하게 된다.
상부 장착대(20)에는 허벅지에 맞닿는 상부 쿠션부재(21)와 스프링(50)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상부 플레이트(22)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 장착대(30)에는 종아리에 맞닿은 하부 쿠션부재(31)와 스프링(50)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하부 플레이트(32)가 구비된다.
이때, 상부 장착대(20)와 하부 장착대(30)에는 결속끈(23, 33)이 구비되어, 상부 장착대(20)는 허벅지에 지지 고정되고, 하부 장착대(30)는 종아리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장착대(20)와 하부 장착대(30)는 힌지부(4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작업보조기구(10)에는 스프링(50)이 구비되어 장시간 좌식 작업 후 기립하는 경우, 작업자는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손쉽게 일어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보조기구(10)는 상부 장착대(20)와 하부 장착대(30)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종아리가 두꺼운 경우에는 하부 플레이트(32)는 작업자의 종아리를 전체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부 장착대(20)와 하부 장착대(30)는 스프링(50)으로부터 발생된 복원력이 허벅지 및 종아리로 원활히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작업보조기구(10)는 스프링(50)의 추가를 통해 작업보조기구(10)의 복원력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즉, 힌지부(40)에 구비된 힌지축(41)을 분해한 상태에서 스프링(50)을 추가한 후, 다시 힌지축(41)을 재결합하여 작업보조기구(10)의 복원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보조기구(10)의 분해 및 재결합 과정은 어려워, 작업자가 손쉽게 스프링(50)을 교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작업보조기구(10)는 직선바 형태의 힌지축(41)을 기준으로 상부 장착대(20)와 하부 장착대(30)가 회전하는 구성으로, 힌지축(41)이 삽입된 스프링(50)에 지지되는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32)는 곡면 형상으로 제조하지 못한다. 즉,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32)는 평평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에, 작업자가 작업보조기구(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의복을 착용할 경우, 상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32)의 각 모서리부는 의복과의 걸림 발생으로 인해 작동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의복을 입은 상태에서 각 모서리부는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383763호(2014.04.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체 공학적 구조를 갖는 다리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스프링 부재가 구비된 힌지부; 상기 힌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힌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상부 지지부에 설치되며, 허벅지를 감싸는 상부 체결부; 및 이격된 한 쌍의 상기 하부 지지부에 설치되며, 종아리를 감싸는 하부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다리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부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하부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체결부의 내측에는 상부 쿠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체결부의 내측에는 하부 쿠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쿠션부재는 상기 상부 체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에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쿠션부재는 상기 하부 체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에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상부 지지부에 형성된 상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지지부에 형성된 하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밴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은 상기 상부 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힌지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부는,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는 상부 고정부; 상기 하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는 하부 고정부;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부 고정부를 결합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상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는 하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홈 및 하부 가이드홈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는 상부 머리부; 및 이격된 상기 상부 머리부를 연결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연결바;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머리부에는 지지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에는 상기 지지 고정홈에 대응되는 지지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의 폭은 이격된 상태의 상기 상부 고정부의 폭 보다 넓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리 지지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을 이루는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는 상부 체결부와 하부 체결부에 의해 선택적인 폭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다리 지지 장치는 장착될 수 있다. 즉, 스프링 부재로부터 발생되는 복원력은 허벅지와 종아리를 감싸고 있는 상부 체결부와 하부 체결부로 원활한 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체결부와 하부 체결부는 신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기에 다리 지지 장치를 장착한 사용자가 의복을 입을 경우, 불필요한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종래와 달리 다리 지지 장치의 모서리 부위가 의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다리 지지 장치는 인체 공학적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지지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부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부 지지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하부 체결홀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에 결합되는 상부 체결부와 하부 체결부의 결합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장(身長)에 맞춰 상부 체결부와 하부 체결부를 일정 간격을 이루는 상부 체결홀과 하부 체결홀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체결부와 하부 체결부의 내측에는 상부 쿠션부재와 하부 쿠션부재가 각각 구비되며, 상부 쿠션부재와 하부 쿠션부재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에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 지지 장치가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 체결부와 하부 체결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쿠션부재와 하부 쿠션부재는 공기층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리 지지 장치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 지지 장치에는 탄성 밴드부가 구비되어 다리 지지 장치의 복원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때, 상부 지지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는 상부 밴드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지지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는 하부 밴드 결합홈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탄성 밴드부에 구비된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를 상부 밴드 결합홈과 하부 밴드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탄성 밴드부의 인장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지지부에는 상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하부 지지부에는 하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탄성부재는 상부 가이드홈과 하부 가이드홈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탄성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탄성부재가 외부 구성품에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에는 지지 고정홈이 형성되고, 밴드 결합홈에는 지지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는 밴드 결합홈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작업보조기구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리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 힌지부 및 하부 지지부가 결합된 회전 결합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밴드부와 회전 결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리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 힌지부 및 하부 지지부가 결합된 회전 결합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리 지지 장치(1000)는 상부 지지부(100), 하부 지지부(200), 힌지부(300), 상부 체결부(400) 및 하부 체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부(100)는 힌지부(3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허벅지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부 지지부(100)에는 상부 지지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상부 체결홀(105)의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부 체결홀(105)에는 상부 체결부(4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상부 체결부(400)는 일정 간격을 이루는 상부 체결홀(105)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지지부(100)는 힌지부(300)에 구비된 스프링 부재(310)의 일단부에 지지되며, 상부 지지부(100)는 힌지부(30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하부 지지부(200)는 힌지부(3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종아리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부 지지부(200)에는 하부 지지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하부 체결홀(205)의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부 체결홀(205)에는 하부 체결부(5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하부 체결부(500)는 일정 간격을 이루는 하부 체결홀(205)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부(200)는 힌지부(300)에 구비된 스프링 부재(310)의 타단부에 지지되며, 하부 지지부(200)는 힌지부(30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부 지지부(100)와 하부 지지부(200)는 힌지부(300)에 구비된 스프링 부재(310)에 각각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31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 사용자가 다리 지지 장치(10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쪼그려 앉을 경우, 상부 지지부(100)와 하부 지지부(200)는 힌지부(30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힌지부(30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 부재(310)는 가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립하게 되면, 가압된 상태의 스프링 부재(310)에는 복원력이 발생되어 사용자는 손쉽게 일어설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지지부(100), 하부 지지부(200) 및 힌지부(300)는 하나의 유닛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지지부(100), 하부 지지부(200) 및 힌지부(300)가 포함된 구성을 회전 결합부(600)라 하자. 예로, 이러한 회전 결합부(600)는 다리 지지 장치(1000)에 4개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의 오른쪽 다리에는 한 쌍을 이루는 2개의 회전 결합부(600)가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야 하고, 사용자의 왼쪽 다리에도 한 쌍을 이루는 2개의 회전 결합부(600)가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부 체결부(400)와 하부 체결부(500)는 이격된 상태의 회전 결합부(600)를 서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회전 결합부(600)를 사용자의 다리 양측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상부 체결부(400)는 이격된 한 쌍의 상부 지지부(10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체결부(400)는 허벅지 지지부(410) 및 상부 연결끈(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허벅지 지지부(410)의 양측에는 상부 지지부(100)에 형성된 제1 상부 체결홀(101)에 결합되는 상부 탈착부재(41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탈착부재(411)는 벨크로(velcro) 타입, 버클(buckle) 타입 등의 다양한 형태를 이루며 제1 상부 체결홀(101)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부 탈착부재(411)는 벨크로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부 탈착부재(411)의 단부는 제1 상부 체결홀(101)을 관통한 후, 허벅지 지지부(410)의 외측면과 벨크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벅지 지지부(410)에는 선택적인 길이 조정이 가능한 벨크로 타입의 상부 탈착부재(411)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허벅지 굵기에 맞춰 사용자의 허벅지 후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허벅지 지지부(4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허벅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사용자의 허벅지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부재(310)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할 경우, 허벅지 지지부(410)와 맞닿고 있는 허벅지 부위에 탄성 복원력이 균형있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스프링 부재(310)로부터 발생된 탄성 복원력은 허벅지의 후면 중 특정 부위에만 힘이 집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허벅지 후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는 부위에 힘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이에, 다리 지지 장치(1000)를 장시간 장착할 경우라도 사용상 불편함이 없다.
그리고 허벅지 지지부(410)의 내측에는 상부 쿠션부재(4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쿠션부재(412)는 허벅지 지지부(4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신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쿠션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부 쿠션부재(412)는 신체와 허벅지 지지부(410)와의 마찰로 인한 피부손상 등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쿠션부재(412)는 허벅지 지지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에어부(41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부 에어부(413)는 상부 지지부(100)에 결합된 허벅지 지지부(41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부 쿠션부재(412)는 공기층으로 이루어져 다리 지지 장치(1000)의 무게를 최소화하게 된다.
상부 연결끈(420)은 상부 지지부(100)에 형성된 제2 상부 체결홀(102)과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연결끈(420)은 제2 상부 체결홀(102)과 결합된 상태에서 허벅지의 전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부 연결끈(420)은 상부 탈착부재(411)와 같이 벨크로(velcro) 타입, 버클(buckle)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 체결부(500)는 이격된 한 쌍의 하부 지지부(20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체결부(500)는 종아리 지지부(510) 및 하부 연결끈(5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종아리 지지부(510)의 양측에는 하부 지지부(200)에 형성된 제1 하부 체결홀(201)에 결합되는 하부 탈착부재(51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탈착부재(511)는 상부 탈착부재(41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종아리 지지부(510)에는 선택적인 길이 조정이 가능한 벨크로 타입의 하부 탈착부재(511)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종아리 굵기에 맞춰 사용자의 종아리 후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종아리 지지부(5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종아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사용자의 종아리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된다.
종아리 지지부(510)의 내측에는 하부 에어부(513)가 형성된 하부 쿠션부재(5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쿠션부재(512)는 종아리 지지부(5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신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쿠션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 쿠션부재(512)는 상부 쿠션부재(41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 연결끈(520)은 하부 지지부(200)에 형성된 제2 하부 체결홀(202)과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연결끈(520)은 제2 하부 체결홀(202)과 결합된 상태에서 종아리의 전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체결부(400)는 허벅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고, 하부 체결부(500)는 종아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기에, 다리 지지 장치(1000)를 장착한 사용자가 의복을 입을 경우,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종래와 달리 다리 지지 장치(1000)의 모서리 부위가 의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다리 지지 장치(1000)는 인체 공학적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리 지지 장치(1000)를 장착한 사용자가 의복을 입을 경우, 일반 사람들은 다리 지지 장치(1000)의 장착 여부를 전혀 알지 못한다. 또한, 사용자는 의복을 입은 상태에서도 다리 지지 장치(1000)의 작동상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밴드부와 회전 결합부의 분해 사시도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지칭되는 구성들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리 지지 장치(1100)에는 탄성 밴드부(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밴드부(700)는 스프링 부재(310) 이외에 상부 지지부(100')와 하부 지지부(200')에 복원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탄성 밴드부(7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다리 지지 장치(1100)의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탄성 밴드부(700)는 상부 고정부(710), 하부 고정부(720) 및 탄성부재(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710)는 상부 지지부(100')에 형성된 상부 밴드 결합홈(106)에 삽입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지지부(100')에는 상부 지지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부 밴드 결합홈(106)이 형성되어 상부 고정부(710)는 복수개의 상부 밴드 결합홈(106) 중 어느 하나의 상부 밴드 결합홈(106)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부 고정부(710)가 삽입 지지되는 상부 밴드 결합홈(106)의 결합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탄성부재(730)의 인장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부 밴드 결합홈(106)은 상부 지지부(100')의 외측면으로부터 상부 지지부(100')의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되, 힌지부(300) 방향으로 경사지게 홈이 형성된다. 이는, 상부 밴드 결합홈(106)에 상부 고정부(7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 고정부(7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부 고정부(710)는 상부 머리부(711) 및 상부 연결바(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머리부(711)는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이루며, 상부 밴드 결합홈(106)에 삽입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머리부(711)에는 지지 고정홈(713)이 형성되어 상부 머리부(711)는 상부 밴드 결합홈(106)에 견고히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 밴드 결합홈(106)에는 지지 고정홈(713)과 대응되는 지지 고정돌기(108)가 형성되어 있어, 상부 머리부(711)는 상부 밴드 결합홈(106)에 견고히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상부 연결바(712)는 이격된 상부 머리부(711)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연결바(712)는 탄성부재(730)의 일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하부 고정부(720)는 상부 고정부(710)와 한 쌍을 이루는 구성으로, 하부 고정부(720)는 하부 지지부(200')에 형성된 하부 밴드 결합홈(206)에 삽입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지지부(200')에는 상부 지지부(100')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하부 밴드 결합홈(206)이 형성되어 하부 고정부(720)는 복수개의 하부 밴드 결합홈(206) 중 어느 하나의 하부 밴드 결합홈(206)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부 고정부(720)가 삽입 지지되는 하부 밴드 결합홈(206)의 결합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탄성부재(730)의 인장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하부 밴드 결합홈(206)은 상부 밴드 결합홈(106)과 같이, 힌지부(300) 방향으로 경사지게 홈이 형성된다. 이는, 하부 밴드 결합홈(206)에 하부 고정부(720)를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 고정부(7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하부 고정부(720)는 하부 머리부(721) 및 하부 연결바(722)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며, 하부 고정부(720)의 구성은 상부 고정부(71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탄성부재(730)는 상부 지지부(100')와 하부 지지부(2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탄성부재(730)의 일단은 상부 고정부(710)에 결합되고, 탄성부재(730)의 타단은 하부 고정부(720)에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730)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무재 이외에 탄성이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부 고정부(710), 하부 고정부(720) 및 탄성부재(730)를 갖는 탄성 밴드부(700)의 일단은 상부 밴드 결합홈(106)에 삽입 지지되고, 타단은 하부 밴드 결합홈(206)에 삽입 지지되어, 다리 지지 장치(1100)의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 지지부(100')에는 상부 가이드홈(107)이 형성되고, 하부 지지부(200')에는 하부 가이드홈(20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 밴드부(700)가 상부 지지부(100')와 하부 지지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730)는 상부 가이드홈(107)과 하부 가이드홈(207)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부 지지부(100')와 하부 지지부(200')가 힌지부(300)를 기준으로 회전되며 탄성부재(730)가 늘어날 경우, 늘어나는 탄성부재(730)는 상부 가이드홈(107)과 하부 가이드홈(207)에 수용된 상태에서 늘어나게 된다. 즉, 상부 지지부(100')와 하부 지지부(200')의 회전시, 상부 가이드홈(107)과 하부 가이드홈(207)은 늘어나는 탄성부재(730)의 좌, 우 방향 이동은 구속함과 동시에서 늘어나는 방향인 상, 하 방향으로 탄성부재(7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어, 탄성부재(73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게 됨은 물론 탄성부재(7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가이드홈(107)과 하부 가이드홈(207)은 탄성 밴드부(700)가 상부 지지부(100')와 하부 지지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73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 구성품들과의 걸림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부 가이드홈(107)과 하부 가이드홈(207)의 깊이는 탄성부재(73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됨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지지부(100') 또는 하부 지지부(200')의 폭은 이격된 한 쌍의 상부 고정부(710) 또는 하부 고정부(72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예로, 상부 지지부(100')의 폭(W1)은 이격된 상부 머리부(711)의 전체 폭(W2) 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상부 머리부(711)가 상부 지지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밴드부(700)는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 상부 지지부 105: 상부 체결홀
106: 상부 밴드 결합홈 107: 상부 가이드홈
200, 200': 하부 지지부 205: 하부 체결홀
206: 하부 밴드 결합홈 207: 하부 가이드홈
300: 힌지부 400: 상부 체결부
410: 허벅지 지지부 412: 상부 쿠션부재
420: 상부 연결끈 500: 하부 체결부
510: 종아리 지지부 512: 하부 쿠션부재
520: 하부 연결끈 600: 회전 결합부
700: 탄성 밴드부 710: 상부 고정부
713: 지지 고정홈 720: 하부 고정부
730: 탄성부재 1000, 1100: 다리 지지 장치

Claims (11)

  1. 스프링 부재가 구비된 힌지부;
    상기 힌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힌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상부 지지부에 설치되며, 허벅지를 감싸는 상부 체결부;
    이격된 한 쌍의 상기 하부 지지부에 설치되며, 종아리를 감싸는 하부 체결부; 및
    일단은 상기 상부 지지부에 형성된 상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지지부에 형성된 하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다리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부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하부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체결부의 내측에는 상부 쿠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체결부의 내측에는 하부 쿠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쿠션부재는 상기 상부 체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에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쿠션부재는 상기 하부 체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에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은 상기 상부 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힌지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부는,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는 상부 고정부;
    상기 하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는 하부 고정부;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고정부를 결합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상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는 하부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홈 및 하부 가이드홈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에 삽입 지지되는 상부 머리부; 및
    이격된 상기 상부 머리부를 연결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연결바;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머리부에는 지지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밴드 결합홈에는 상기 지지 고정홈에 대응되는 지지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의 폭은 이격된 상태의 상기 상부 고정부의 폭 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 장치.
KR1020160049933A 2016-04-25 2016-04-25 다리 지지 장치 KR101803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33A KR101803009B1 (ko) 2016-04-25 2016-04-25 다리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33A KR101803009B1 (ko) 2016-04-25 2016-04-25 다리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73A KR20170121473A (ko) 2017-11-02
KR101803009B1 true KR101803009B1 (ko) 2017-12-01

Family

ID=6038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933A KR101803009B1 (ko) 2016-04-25 2016-04-25 다리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0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74B1 (ko) 2008-01-11 2008-06-02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US7553289B2 (en) * 2007-02-20 2009-06-30 Gregory Cadich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bracing a knee
KR101309712B1 (ko) * 2011-11-03 2013-09-23 주식회사 에이스하이텍 기능성 무릎 보호대
JP5801859B2 (ja) 2013-10-23 2015-10-28 株式会社テオリック 立ち上がり補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3289B2 (en) * 2007-02-20 2009-06-30 Gregory Cadich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bracing a knee
KR100834074B1 (ko) 2008-01-11 2008-06-02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KR101309712B1 (ko) * 2011-11-03 2013-09-23 주식회사 에이스하이텍 기능성 무릎 보호대
JP5801859B2 (ja) 2013-10-23 2015-10-28 株式会社テオリック 立ち上がり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73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239B1 (en) Weight distributing knee pad
US6428495B1 (en) Hamstring brace
WO2016021103A1 (ja) 動作支援装置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JP2013144858A (ja) 前屈作業補助用具
US6913583B2 (en) Orthopedic device allows kneeling without contacting knee
KR100780416B1 (ko) 착용이 간편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KR20160137463A (ko) 탄력성을 보유한 어깨 보호대
US1008500A (en) Back-brace.
KR20160125856A (ko)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KR101803009B1 (ko) 다리 지지 장치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963879B1 (ko)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JP2007105478A (ja) 座式作業用下肢補助装置
KR101562177B1 (ko)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KR200431890Y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101512985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20180028422A (ko) 작업용 의자
KR20180077119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KR101975563B1 (ko) 스쿼트 운동 장치
KR100699064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JP2017225505A (ja) 装着具一体型下衣
KR101599670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802986B1 (ko) 다리 지지 장치
JP2018102344A (ja) 股関節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