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344B1 - 멀티본딩기 - Google Patents

멀티본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344B1
KR101802344B1 KR1020170077228A KR20170077228A KR101802344B1 KR 101802344 B1 KR101802344 B1 KR 101802344B1 KR 1020170077228 A KR1020170077228 A KR 1020170077228A KR 20170077228 A KR20170077228 A KR 20170077228A KR 101802344 B1 KR101802344 B1 KR 10180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urntable
rotation
bonding
ro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수
임상원
Original Assignee
디에이치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이치테크(주) filed Critical 디에이치테크(주)
Priority to KR102017007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본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위치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구동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한쪽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을 각각 회전시키는 제1 멀티회전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을 각각 회전시키는 제2 멀티회전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한쪽 옆에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앞에 위치하는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공급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트레이로 회수하고 상기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트레이로부터 공급하는 멀티회수공급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 옆에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앞에 위치하는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공급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는 멀티도포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동시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멀티본딩기{MULTI-BONDING MACHINE}
본 발명은 멀티본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컴퓨터, PDA,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제품에 디지털 이미지 저장과 전송기술에 필수적인 디지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다. 디지털 카메라 모듈은 렌즈모듈을 포함하며, 그 렌즈모듈은 원통 형상의 경통과, 그 경통의 내부에 순차적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렌즈들과, 렌즈와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마스크(mask) 및 스페이서(spacer)와, 맨 위에 위치하는 렌즈 위에 위치하여 접착제에 의해 경통에 고정되는 실드(shield)를 포함한다. 경통에 조립되는 렌즈와 부품의 수는 구현하고자 하는 화소에 따라 변경된다.
현재 디지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카메라 제품군은 복합화, 다기능화, 소형화됨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모듈 또한 점점 더 소형화, 경량화되는 추세이다. 또한, 고해상도의 이미지 센서가 제품화되는 추세에서, 이에 대응하는 렌즈의 초소형화 및 고정밀화 경향으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렌즈모듈도 소형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렌즈모듈을 조립시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도록 요구된다.
카메라의 렌즈모듈을 조립하는 조립 공정 중 부품들(예를 들면, 실드와 경통)을 접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하는 종래 기술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게 되어 작업 능률이 떨어져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부품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05915호(2006. 01. 11. 공고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카메라의 렌즈모듈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본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렌즈모듈 한 개씩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동시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멀티본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위치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구동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한쪽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제1 멀티회전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제2 멀티회전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한쪽 옆에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앞에 위치하는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공급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트레이로 회수하고 상기 트레이에 배열된 새로운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상기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공급하는 멀티회수공급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 옆에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앞에 위치하는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공급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멀티도포유닛;을 포함하는 멀티본딩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멀티회전유닛과 제2 멀티회전유닛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멀티회전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한쪽에 결합되는 결합베이스부재와, 상기 결합베이스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딩대상물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들과, 상기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들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멀티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멀티회전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다른 한쪽에 결합되는 결합베이스부재와, 상기 결합베이스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딩대상물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들과, 상기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들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멀티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구동유닛은 상기 대상물회전부재들에 각각 결합되는 타이밍기어들과, 상기 타이밍기어들에 연결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회수공급유닛은 본딩대상물을 트레이로 회수하는 동안 본딩대상물에 도포된 접착제를 반경화시키는 경화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회수공급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의 한쪽 옆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진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Y축구동유닛과, 상기 Y축구동유닛에 연결되어 Y축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움직이며 트레이가 놓여지는 트레이장착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어 X축 방향으로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X축구동유닛과, 상기 X축구동유닛에 연결되며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헤드유닛과, 상기 헤드유닛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집거나 놓는 멀티픽업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도포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며 한쪽에 경사가이드면이 구비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을 따라 왕복으로 움직이는 실린지장착헤드와, 상기 실린지장착헤드를 움직이는 헤드구동유닛과, 상기 실린지장착헤드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지장착헤드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안착된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도포제를 도포하는 복수 개의 실린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멀티회전유닛들이 구비된 턴테이블이 회전하면서 턴테이블의 한쪽 옆에 위치한 멀티회수공급유닛이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동시에 멀티회전유닛에 안착시키고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 옆에 위치한 멀티도포유닛이 그 멀티회전유닛에 안착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본딩대상물들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므로 본딩대상물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턴테이블의 한쪽 옆에 위치한 멀티회수공급유닛이 한 개의 멀티회전유닛에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안착시키고 동시에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 옆에 위치한 멀티도포유닛이 다른 한 개의 멀티회전유닛에 안착된 본딩대상물들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므로 본딩대상물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턴테이블에 구비된 멀티회전유닛이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멀티도포유닛이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므로 렌즈모듈의 경통과 환형의 쉴드를 본딩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를 도포하는데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본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본딩기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테이블 및 제1,2 멀티회전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본딩기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멀티회전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본딩기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집게유닛들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본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본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본딩기의 일실시예는, 베이스프레임(100), 턴테이블(200), 턴테이블구동유닛(300), 제1 멀티회전유닛(400), 제2 멀티회전유닛(500), 멀티회수공급유닛(600), 멀티도포유닛(70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베이스판(110)과, 그 베이스판(110)의 하면 모서리들에 각각 구비되는 다리(120)들을 포함한다.
턴테이블(200)은 턴테이블구동유닛(300)에 연결되어 턴테이블구동유닛(3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턴테이블(200)의 일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200)은 원판형상의 원형테이블(210)과, 그 원형테이블(210)의 하면에 구비되어 턴테이블구동유닛(300)에 연결되는 회전축(22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0)의 베이스판(110)에 스탠드부재(130)가 결합되고 그 스탠드부재(130)에 턴테이블(200)의 회전축(220)이 관통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턴테이블(200)의 회전축(220)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고 그 베어링은 베이스판(110)이나 스탠드부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원형테이블(210)의 상면 양쪽에 장착홈(211)이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원형테이블(210)의 한쪽에 형성되는 장착홈(211)과 원형테이블(210)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는 장착홈(211)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턴테이블구동유닛(30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베이스판(110)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턴테이블구동유닛(300)의 일예로, 턴테이블구동유닛(300)은 회전모터(310)와, 그 회전모터(310)에 연결되어 회전모터(3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턴테이블(20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320)을 포함한다.
제1 멀티회전유닛(400)은 턴테이블(200)의 한쪽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을 각각 회전시킨다. 제1 멀티회전유닛(400)은 턴테이블(200)의 장착홈(211)들 중 한 개에 장착된다. 제1 멀티회전유닛(400)의 일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멀티회전유닛(400)은 턴테이블(200)의 한쪽 장착홈(211)에 결합되는 결합베이스부재(410)와, 그 결합베이스부재(4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딩대상물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과, 그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멀티구동유닛(430)을 포함한다. 대상물회전부재(420)들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상물회전부재(420)들을 세 개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대상물회전부재(420)들이 두 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상물회전부재(420)는 내부에 본딩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홈(H)이 구비된 원형체(421)와, 그 원형체(421)의 하면에 구비되는 회전축(422)을 포함한다. 멀티구동유닛(430)의 일예로, 멀티구동유닛(430)은 대상물회전부재(420)들에 각각 결합되는 타이밍기어(431)들과, 대상물회전부재들의 타이밍기어(431)들을 연결되는 타이밍벨트(432)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유닛(433)과, 그 회전유닛(433)의 회전력을 대상물회전부재(420)들 중 한 개의 대상물회전부재(420)에 전달하는 타이밍기어(431)들과 타이밍벨트(432)를 포함한다. 회전유닛(433)에서 회전력이 발생되면 타이밍기어(431)들과 타이밍벨트(432)들을 통해 두 개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에 각각 전달되어 두 개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이 각각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제2 멀티회전유닛(500)은 턴테이블(200)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을 각각 회전시킨다. 제2 멀티회전유닛(500)의 턴테이블(200)의 다른 한 개의 장착홈(211)에 장착된다. 이로 인하여, 제1 멀티회전유닛(400)과 제2 멀티회전유닛(500)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제2 멀티회전유닛(500)의 일예로, 제2 멀티회전유닛(500)은 턴테이블(200)의 다른 한쪽 장착홈(211)에 결합되는 결합베이스부재(510)와, 그 결합베이스부재(5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딩대상물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520)들과, 그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520)들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멀티구동유닛(530)을 포함한다. 대상물회전부재(520)들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상물회전부재(520)들을 세 개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대상물회전부재(520)들이 두 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멀티회전유닛(500)의 결합베이스부재(510), 대상물회전부재(520)들, 멀티구동유닛(530)은 제1 멀티회전유닛(400)의 결합베이스부재(410), 대상물회전부재(420)들, 멀티구동유닛(430)과 각각 구성이 같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은 턴테이블(200)의 한쪽 옆에 위치하도록 베이스프레임(100)에 설치된다.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은 턴테이블(200)의 회전에 따라 앞에 위치하는 제1 멀티회전유닛(400)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500)에 공급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트레이(10)로 회수하고, 제1 멀티회전유닛(400)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500)에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트레이(10)로부터 공급한다.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의 일예로,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은 Y축구동유닛(610), 트레이장착대(620), X축구동유닛(630), 헤드유닛(640), 멀티픽업유닛(650)을 포함한다. Y축구동유닛(610)은 턴테이블(200)의 한쪽 옆에 위치하도록 베이스프레임(100)에 설치되어 Y축 방향(도 1의 Y방향)으로 진선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Y축구동유닛(610)의 일예로, Y축구동유닛(610)은 엘엠가이드와, 그 엘엠가이드를 따라 직선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엘엠가이드는 Y축 방향으로 위치한다. 트레이장착대(620)는 Y축구동유닛(610)에 연결되어 Y축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움직이며 트레이(10)가 놓여진다. 트레이장착대(620)는 Y축구동유닛(610)의 슬라이더에 결합된다. 트레이(10)에는 정방행렬로 안착홈들이 배열되고 그 안착홈들에 본딩대상물이 각각 안착된다. 본딩대상물의 일예로, 본딩대상물은 렌즈모듈이 될 수 있다. X축구동유닛(63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장착되어 X축 방향(도 1의 X축 방향)으로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X축구동유닛(630)의 일예로, X축구동유닛(630)은 X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컬럼들과, 그 두 개의 컬럼들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가이드부재와, 수평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수평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더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수평가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이 X축 방향으로 위치하며, 그 수평가이드부재를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더는 X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헤드유닛(640)은 X축구동유닛(630)에 연결되며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헤드유닛(640)은 X축구동유닛(630)의 슬라이더에 결합된다. 멀티픽업유닛(650)은 헤드유닛(640)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집거나 놓는다. 멀티픽업유닛(650)의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픽업유닛(650)은 헤드유닛(640)에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본체(651)와, 그 본체(651)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 본딩대상물을 집거나 놓는 복수 개의 집게유닛(652)들을 포함한다. 집게유닛(652)들의 수는 제1 멀티회전유닛(400)(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의 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집게유닛(652)들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은 본딩대상물을 트레이(10)로 회수하는 동안 본딩대상물에 도포된 접착제를 반경화시키는 경화유닛(65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유닛(653)은 집게유닛(652)들에 각각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의 작동은, 먼저 Y축구동유닛(610)이 작동하여 트레이장착대(620)에 장착된 트레이(10)를 멀티픽업유닛(650)의 집게유닛(652)들 아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X축구동유닛(630)과 헤드유닛(640)의 작동에 의해 멀티픽업유닛(650)이 X축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트레이(10)에 배열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픽업하여 턴테이블(200)의 제1 멀티회전유닛(400)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500)의 대상물회전부재들에 안착시키거나, 턴테이블(200)의 제1 멀티회전유닛(400)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500)의 대상물회전부재들에 안착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픽업하여 트레이(10)에 안착시킨다. Y축구동유닛(610)의 작동에 따라 트레이장착대(620)의 트레이(10)에 배열된 본딩대상물들의 위치가 이동된다.
멀티도포유닛(700)은 턴테이블(200)의 다른 한쪽 옆에 위치하도록 베이스프레임(100)에 설치되며, 턴테이블(200)의 회전에 따라 앞에 위치하는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500)에 공급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다. 즉, 턴테이블(200)을 가운데 두고 양쪽으로 멀티도포유닛(700)과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이 각각 위치한다. 멀티도포유닛(700)의 일예로, 멀티도포유닛(700)은 베이스부재(710), 가이드부재(720), 실린지장착헤드(730), 헤드구동유닛(740), 실린지(750)들을 포함한다. 베이스부재(710)는 턴테이블(200)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도록 베이스프레임(100)에 장착된다. 가이드부재(720)는 베이스부재(710)의 상면에 결합되며 한쪽에 경사가이드면이 구비된다. 가이드부재(720)의 경사가이드면은 턴테이블(200)과 대면된다. 실린지장착헤드(730)는 가이드부재(720)의 가이드면을 따라 왕복으로 움직인다. 헤드구동유닛(740)은 실린지장착헤드(730)를 움직인다. 헤드구동유닛(740)은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실린더의 본체는 가이드부재(720)에 결합되고 그 에어실린더의 로드는 헤드구동유닛(740)에 연결되어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헤드구동유닛(740)이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왕복으로 움직인다. 복수 개의 실린지(750)들은 실린지장착헤드(730)에 장착된다. 실린지(750)들의 수는 제1 멀티회전유닛(400)(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의 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지(750)들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실린지(750)들은 실린지장착헤드(73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면서 제1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안착된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도포제를 도포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본딩기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턴테이블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턴테이블(200)을 회전시켜 턴테이블(200)에 장착된 제1 멀티회전유닛(400)을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의 집게유닛(652)들 앞쪽에 위치시킨다. 이때, 턴테이블(200)의 제2 멀티회전유닛(500)은 멀티도포유닛(700)의 실린지(750)들 앞쪽에 위치한다.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의 X축구동유닛(630)과 헤드유닛(640)의 작동에 의해 멀티픽업유닛(650)이 X축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트레이(10)에 배열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동시에 픽업하여 제1 멀티회전유닛(400)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에 안착시킨다.
턴테이블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턴테이블(200)을 회전시켜 제1 멀티회전유닛(400)을 멀티도포유닛(700)의 실린지(750)들 앞에 위치시킨다. 이와 동시에 턴테이블(200)의 회전으로 제2 멀티회전유닛(500)은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의 집게유닛(652)들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멀티도포유닛(700)의 헤드구동유닛(740)이 실린지장착헤드(730)를 아래로 밀어 실린지(750)들을 각각 제1 멀티회전유닛(400)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에 각각 안착된 본딩대상물의 본딩 위치에 위치시키고 대상물회전부재(420)들을 각각 회전시키면서 실린지(750)들의 각 노즐을 통해 접착제를 토출시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시킨다. 그리고 실린지장착헤드(730)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복수 개의 집게유닛(652)들이 트레이(10)에 배열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동시에 픽업하여 제2 멀티회전유닛(500)의 대상물회전부재(520)들에 각각 안착시킨다.
턴테이블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턴테이블(200)을 회전시켜 제1 멀티회전유닛(400)을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의 집게유닛(652)들 앞쪽에 위치시킨다. 이와 동시에 턴테이블(200)의 회전으로 제2 멀티회전유닛(500)이 멀티도포유닛(700)의 실린지(750)들 앞에 위치하게 된다.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의 집게유닛(652)들이 제1 멀티회전유닛(400)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에 안착된, 도포제가 도포된 본딩대상물들을 동시에 픽업하여 트레이(10)의 빈 안착홈들에 안착시키고 그 트레이(10)에 안착된, 도포제가 도포되지 않은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동시에 픽업하여 제1 멀티회전유닛(400)의 대상물회전부재(420)들에 안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멀티도포유닛(700)의 헤드구동유닛(740)이 실린지장착헤드(730)를 아래로 밀어 실린지(750)들을 각각 제2 멀티회전유닛(500)의 대상물회전부재(520)들에 각각 안착된 본딩대상물의 본딩 위치에 위치시키고 대상물회전부재(520)들을 각각 회전시키면서 실린지(750)들의 각 노즐을 통해 접착제를 토출시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시킨다. 멀티회수공급유닛(600)에 경화유닛(653)이 구비된 경우 집게유닛(652)들이 도포제가 도포된 본딩대상물들을 픽업하여 트레이(10)에 안착시키는 동안 경화유닛(653)이 본딩대상물에 도포된 접착제를 반경화시킨다. 턴테이블에 멀티회전유닛이 두 개인 경우 턴테이블구동유닛이 턴테이블을 회전시 180도 각도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여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면서 트레이(10)에 배열된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시킨다. 트레이(10)에 배열된 모든 본딩대상물들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면 그 트레이(10)를 교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멀티회전유닛들(400)(500)이 구비된 턴테이블(200)이 회전하면서 턴테이블(200)의 한쪽 옆에 위치한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이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동시에 멀티회전유닛에 안착시키고 턴테이블(200)의 다른 한쪽 옆에 위치한 멀티도포유닛(700)이 그 멀티회전유닛에 안착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본딩대상물들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므로 본딩대상물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턴테이블(200)의 한쪽 옆에 위치한 멀티회수공급유닛(600)이 한 개의 멀티회전유닛에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안착시키고 동시에 턴테이블(200)의 다른 한쪽 옆에 위치한 멀티도포유닛(700)이 다른 한 개의 멀티회전유닛에 안착된 본딩대상물들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므로 본딩대상물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턴테이블(200)에 구비된 멀티회전유닛이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멀티도포유닛(700)이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므로 렌즈모듈의 경통과 환형의 쉴드를 본딩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를 도포하는데 효율적이다.
100; 베이스프레임 200; 턴테이블
300; 턴테이블구동유닛 400; 제1 멀티회전유닛
500; 제2 멀티회전유닛 600; 멀티회수공급유닛
700; 멀티도포유닛

Claims (7)

  1.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위치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구동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한쪽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제1 멀티회전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제2 멀티회전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한쪽 옆에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앞에 위치하는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공급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트레이로 회수하고 상기 트레이에 배열된 새로운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상기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공급하는 멀티회수공급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 옆에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앞에 위치하는 제1 멀티회전유닛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공급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멀티도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회수공급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의 한쪽 옆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Y축구동유닛과, 상기 Y축구동유닛에 연결되어 Y축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움직이며 트레이가 놓여지는 트레이장착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어 X축 방향으로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X축구동유닛과, 상기 X축구동유닛에 연결되며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헤드유닛과, 상기 헤드유닛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복수 개의 본딩대상물들을 집거나 놓는 멀티픽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픽업유닛은 헤드유닛에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 본딩대상물을 집거나 놓는 복수 개의 집게유닛들과, 상기 집게유닛들에 각각 장착되어 본딩대상물을 트레이로 회수하는 동안 본딩대상물에 도포된 접착제를 반경화시키는 경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도포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며 한쪽에 경사가이드면이 구비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을 따라 경사지게 왕복으로 움직이는 실린지장착헤드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지장착헤드를 움직이는 헤드구동유닛과, 상기 실린지장착헤드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지장착헤드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경사지게 움직이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멀티회전유닛에 안착된 본딩대상물들에 각각 도포제를 도포하는 복수 개의 실린지들을 포함하는 멀티본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회전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한쪽에 결합되는 결합베이스부재와, 상기 결합베이스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딩대상물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들과, 상기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들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멀티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멀티본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회전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다른 한쪽에 결합되는 결합베이스부재와, 상기 결합베이스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딩대상물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들과, 상기 복수 개의 대상물회전부재들을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멀티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멀티본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구동유닛은 상기 대상물회전부재들에 각각 결합되는 타이밍기어들과, 상기 타이밍기어들에 연결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멀티본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77228A 2017-06-19 2017-06-19 멀티본딩기 KR10180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228A KR101802344B1 (ko) 2017-06-19 2017-06-19 멀티본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228A KR101802344B1 (ko) 2017-06-19 2017-06-19 멀티본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344B1 true KR101802344B1 (ko) 2017-11-28

Family

ID=6081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228A KR101802344B1 (ko) 2017-06-19 2017-06-19 멀티본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3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465B1 (ko) * 2018-01-10 2018-09-05 노희인 배선 접속박스의 자동화 조립설비
CN112122070A (zh) * 2020-11-03 2020-12-25 江西立讯智造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充电盒前壳点胶装置
CN114700222A (zh) * 2022-04-02 2022-07-05 江苏华能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连续作业功能的蜂鸣器加工用焊点涂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663Y1 (ko) 2001-03-23 2001-10-08 채성일 자동 회전 착색장치
KR101297244B1 (ko) * 2013-04-19 2013-08-16 주식회사 엠피에스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디스펜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663Y1 (ko) 2001-03-23 2001-10-08 채성일 자동 회전 착색장치
KR101297244B1 (ko) * 2013-04-19 2013-08-16 주식회사 엠피에스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디스펜싱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465B1 (ko) * 2018-01-10 2018-09-05 노희인 배선 접속박스의 자동화 조립설비
CN112122070A (zh) * 2020-11-03 2020-12-25 江西立讯智造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充电盒前壳点胶装置
CN114700222A (zh) * 2022-04-02 2022-07-05 江苏华能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连续作业功能的蜂鸣器加工用焊点涂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344B1 (ko) 멀티본딩기
SG173943A1 (en) Rotary 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ology thereof
JP6513226B2 (ja) 電子部品ハンドリングユニット
CN110582171B (zh) 自动贴片装置及自动贴片方法
KR101714463B1 (ko) 카메라 모듈 액츄에이터용 부품 조립 방법 및 그 장치
CN113290381A (zh) 旋转取料的组装设备
CN115249758A (zh) 一种像素固晶机
JP2018181931A (ja) 切削装置
CN1755896A (zh) 显示面板的组装装置及组装方法
JP5795109B2 (ja) パネル取り付け装置
KR101493443B1 (ko) 패널 부착장치
JP3341753B2 (ja) バンプ付きワークのボンディング装置
JP2012186505A (ja) 部品供給装置
KR20130078200A (ko) 유리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816871B (zh) 晶粒黏接系統以及將晶粒黏接到基板的方法
CN115847038A (zh) 一种全自动镜片组装点胶一体机及其生产线
JP3309718B2 (ja) バンプ付きワークのボンディング装置
JP2007324623A (ja) 電子部品実装方法
CN109080924A (zh) 滤波器外壳贴标设备
KR101318176B1 (ko) 편광판 부착 장치
KR101279346B1 (ko) 접착제 도포 장치
CN101308237B (zh) 可控制镜片相位的镜头组立系统
CN113245825B (zh) 用于摄像头双摄aa的组装方法及设备
CN113245823B (zh) 具有插接功能的转盘装置及摄像头组装设备
JP7237635B2 (ja) 保持装置および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