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391B1 -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 Google Patents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391B1
KR101801391B1 KR1020110070079A KR20110070079A KR101801391B1 KR 101801391 B1 KR101801391 B1 KR 101801391B1 KR 1020110070079 A KR1020110070079 A KR 1020110070079A KR 20110070079 A KR20110070079 A KR 20110070079A KR 101801391 B1 KR101801391 B1 KR 10180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lead screw
hole
joint member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178A (ko
Inventor
김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3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24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mechan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리드 스크류를 가지는 전동기는 전동기 몸체; 상기 전동기 몸체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 끝단에 연결되는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 상기 리드 스크류와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를 결합하는 리벳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Motor having screw joint}
본 발명은 지능형 스텝핑 모터의 스크류 조인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야간에 자동차를 운전할 때, 운전자가 회전하는 방향의 조도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자동차 전조등의 조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 전조등 제어 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조등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모터 구동을 이용한 각도 조절장치가 사용되는데, 상기 모터의 끝단은 조인트 연결을 위한 리드 스크류 조인트가 마련되어, 각도 조절유닛을 움직여, 전조등의 조사 방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모터 끝단에 설치된 리드 스크류의 끝단은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가 스프링 핀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즉, 상기 리드 스크류에는 제 1 핀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의 결합 위치에는 제 2 핀 홀이 형성되어, 스프링 핀을 상기 제 1 및 제 2 핀 홀에 압입 결합하고, 상기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는 열 융착하여 고정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하면, 빈번하게 동작하는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와 스크류 조인트의 결합을 위해서는 열 융착 공정과 스프링 핀 압입 공정 등 2단계로 조립 공정이 이루어져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고, 스프링 핀 압입부에 미세한 갭(gap)이 형성될 경우, 결합 부분에서의 유동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상기 리드 스크류의 왕복 이송동작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리드 스크류의 왕복 이송동작을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리드 스크류를 가지는 전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드 스크류를 가지는 전동기는 전동기 몸체; 상기 전동기 몸체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 끝단에 연결되는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 상기 리드 스크류와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를 결합하는 리벳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 스크류와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의 결합위치에는, 상기 리벳부재가 관통하는 리벳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벳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리벳부재의 끝단은 콕킹되어 상기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에 밀착되는 콕킹부;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리드 스크류는, 상기 전동기 몸체의 출력축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리벳팅에 의해 리드 스크류와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가 결합되므로, 열 융착 공정이 생략 가능하며, 스프링 핀을 삽입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안정성 높고 간소화된 생산 공정에 따라 제품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 스크류를 가지는 전동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 스크류와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리드 스크류와 볼 형상의 조인트를 리벳으로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및 후면 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서 리드 스크류와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를 결합한 리벳의 후단을 코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드 스크류를 가지는 전동기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리드 스크류와 조인트 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는 전동기 몸체(10), 리드 스크류(110), 조인트 부재(120) 및 리벳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기 몸체(10)는 지능형 스텝핑 모터(ISM)로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정밀한 제어를 통해 자동차 전조등 방향전환 장치에 최적화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전동기 몸체(10)의 끝단에는 전동기의 회전동력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축(11)이 마련된다.
리드 스크류(110)는 상기 출력축(11)과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 몸체(10)의 출력축(11)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도 1의 화살표 A 방향과 같이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상기 리드 스크류(110)는 상기 출력축(1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끝단에 나사산(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인트 부재(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 스크류(110)의 상기 나사산(112)이 형성된 끝단의 타단에 결합되며, 끝단이 볼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인트 부재(120)는 미도시된 자동차 전조등 방향전환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110)의 전진 및 후퇴 동작에 따라 상기 전조등 방향전환 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벳부재(130)는 상기 조인트 부재(120)와 리드 스크류(11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리드 스크류(110)와 조인트 부재(120) 각각에는 제 1 리벳 관통공(111) 및 제 2 리벳 관통공(121)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리벳 관통공(111)(121)은 상기 리드 스크류(110)와 조인트 부재(120)의 결합위치에서 서로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 스크류(110)에 조인트 부재(120)의 결합부를 삽입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리벳 관통공(111)(121)은 서로 연통되며, 이 연통된 제 1 및 제 2 리벳 관통공(111)(121)에 상기 리벳부재(130)를 관통결합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110)에 조인트 부재(12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리벳부재(130)의 일단에는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걸림부(135)가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리벳 관통공(111)(121)을 통과한 리벳부재(130)는 그 끝단(131)이 일정 길이 만큼 돌출되는데, 이 돌출된 리벳부재(130)의 끝단(1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콕킹작업을 통해 콕킹부(131')를 형성하며, 상기 조인트 부재(120) 측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인트 부재(120)는, 외면 중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바닥면에 상기 제2리벳 관통공(121)의 일단이 배치되는 제1안착홈(136)과, 상기 제1안착홈(136)과 이격되는 외면 중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바닥면에 상기 제2리벳 관통공(121)의 타단이 배치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리벳부재(130)가 상기 조인트 부재(120)에 결합 시, 상기 제1안착홈(136)의 바닥면에는 상기 걸림부(135)가 접촉되고, 상기 제2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콕킹부(131')가 접촉된다.
삭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리벳부재(130)의 양단이 상기 조인트 부재(120)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리드 스크류(110)와 조인트 부재(120)가 유격 없이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조인트 부재(120)가 반복적인 왕복운동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리드 스크류(110)와의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는다.
또한, 종래에 열 융착 공정에 의해 조인트 부재(120)를 결합하는 공정을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리벳부재(130)를 리드 스크류(110)와 조인트 부재(120)에 삽입하여 콕킹하는 1단계 작업만으로 리드 스크류(110)와 조인트 부재(120)의 결합공정을 종료할 수 있어, 조립 공정수 및 조립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삭제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전동기 몸체 11; 출력축
110; 리드 스크류 111; 제 1 리벳 관통공
120;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 121; 제 2 리벳 관통공
130; 리벳부재 131; 리벳부재 끝단
131'; 콕킹부

Claims (4)

  1. 전동기 몸체;
    상기 전동기 몸체와 결합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리벳 관통공을 포함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와 결합 시 상기 제1리벳 관통공과 연통하는 제2리벳 관통공을 포함하는 볼 형상의 조인트 부재;
    상기 리드 스크류와 상기 조인트 부재가 결합하도록, 상기 제1리벳 관통공과 상기 제2리벳 관통공에 결합되는 리벳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리벳부재의 일단에는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배치되고,
    상기 리벳부재의 타단에는 콕킹을 통해 형성되며,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콕킹부가 배치되며,
    상기 조인트 부재는, 외면 중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바닥면에 상기 제2리벳 관통공의 일단이 배치되는 제1안착홈과, 상기 제1안착홈과 이격되는 외면 중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바닥면에 상기 제2리벳 관통공의 타단이 배치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접촉되고, 상기 제2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콕킹부가 접촉되는 리드 스크류를 가지는 전동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벳 관통공의 단면적과 상기 제2리벳 관통공의 단면적은 상호 대응되는 리드 스크류를 가지는 전동기.
  4. 삭제
KR1020110070079A 2011-07-14 2011-07-14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KR101801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79A KR101801391B1 (ko) 2011-07-14 2011-07-14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79A KR101801391B1 (ko) 2011-07-14 2011-07-14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78A KR20130009178A (ko) 2013-01-23
KR101801391B1 true KR101801391B1 (ko) 2017-12-21

Family

ID=4783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079A KR101801391B1 (ko) 2011-07-14 2011-07-14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3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709A (ja) 2000-09-08 2002-03-22 Asmo Co Ltd モータ
JP2005354858A (ja) * 2004-06-14 2005-12-22 Minebea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709A (ja) 2000-09-08 2002-03-22 Asmo Co Ltd モータ
JP2005354858A (ja) * 2004-06-14 2005-12-22 Minebea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78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397B1 (ko)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US10053189B2 (en) Bicycle electric front derailleur
KR101703356B1 (ko) 볼스터드 파스너
JP2005508778A (ja) 自動車の機器モジュール
US10065706B2 (en) Bicycle component fixing structure and bicycle component assembly
KR101801391B1 (ko)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CN205688998U (zh) 一种用于童车车门的锁具
CN109964052A (zh) 调节螺栓
EP3650745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having light guides
JP2010182544A (ja) エイミングボルトの取付構造体、これを備えるレーダ装置およびエイミングボルトの取付方法
WO2013174253A1 (zh) 电磁开关、其制造方法及车辆起动机
CN104653759B (zh) 用于将可装配的变速杆安装在支架上的结构
JP2004150467A (ja) 油圧制御装置
CN102652080B (zh) 刮水器装置
KR101848924B1 (ko) 스크류 볼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CN213336801U (zh) 一种踏板模拟机构
CN108980328B (zh) 变速杆组件
KR101742492B1 (ko) 차량용 액츄에이터
KR20160001778A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JP6587739B2 (ja) ブレーキアシストシステム
CN112254987A (zh) 一种踏板模拟机构及其装配工艺
KR20030082271A (ko) 피트먼 암 체결구조
KR100915404B1 (ko) 차량용 시가 라이터 플러그
KR200159051Y1 (ko) 전동용 케이블
KR20120063823A (ko) 유니버셜 조인트 체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