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974B1 -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974B1
KR101800974B1 KR1020160125630A KR20160125630A KR101800974B1 KR 101800974 B1 KR101800974 B1 KR 101800974B1 KR 1020160125630 A KR1020160125630 A KR 1020160125630A KR 20160125630 A KR20160125630 A KR 20160125630A KR 101800974 B1 KR101800974 B1 KR 10180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enclosure
vertical rail
energy storage
stor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제호
이정훈
이승철
전수진
Original Assignee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시킨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듈화됨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이 다양해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를 모두 수용하되,
(a)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유롭도록 하여 외함 내부의 냉각이 용이하게 하며, (b)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크기를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이 수직레일로부터 고정이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A POWER CONVERTER SYSTEM CASE FOR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모듈화시킨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듈화됨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이 다양해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를 모두 수용하되,
(a)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유롭도록 하여 외함 내부의 냉각이 용이하게 하며, (b)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크기를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이 수직레일로부터 고정이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함(外函)이란 일정한 구조물에서 내부의 구조물을 둘러싸고 있는 겉의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외함은, 전기적 수단 또는 제어수단을 둘러싸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전력을 다른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verter System)을 수용하는 외함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외함에 관련된 기술은 다방면으로 개발되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0386호의 모듈형 IGBT를 이용한 고속전철용 컨버터-인버터 시스템의 외함 어셈블리(선행기술 1)이 그 예이다.
선행기술 1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면서 냉각유로와 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컨버터-인버터 시스템 외함의 프레임 구조를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컨버터-인버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장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함을 고속철도에 장착시 발생하는 충격과, 철도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철도 차량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고, 특히 컨버터-인버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개별적 분리 편의성을 높여 유지 보수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1은 컨버터-인버터 시스템이 갖는 다양한 규격 및 크기에 최적화되지 않은 구조를 갖고 있고, 기재상으로는 냉각유로를 기재하고 있으나, 빈 공간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결국 공간 낭비에 대한 문제가 있다.
외벽이 구성된 외함은 아니더라도, 관련된 다른 기술로서 아래의 2개 선행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하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2011호의 중간-고 전압 인버터용 전력 캐비닛(선행기술 2)이고, 다른 하나는 등록특허공보 제10-1602697호의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선행기술 3)이다.
선행기술 2는 중간-고 전압 컨버터용 전력 캐비닛이 개시되며, 전력 캐비닛(100)은 전력 모듈들(210, 220, 230)을 장착하기 위한 랙(120) 및 캐비닛 하우징(10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랙(120)은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빔들(121)과 상기 쌍으로 된 수직 빔들 상에 배열된 슬라이딩 레일들(123)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빔들(121)에 의해 전력 모듈들(210, 220, 230)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 칼럼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들(123)은 상기 전력 모듈들(210, 220, 230)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선행기술 3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조절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 및 상기 전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동수단에 고정되는 고정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 저장부, 상기 전력 조절부 및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랙과, 상기 이동수단에서 기인한 진동을 흡수하는 하나 이상의 댐퍼(damper)가 체결되는 방진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2와 선행기술 3 역시 선행기술 1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규격의 구성품들에 최적화된 구성이 아니고, 만약 선행기술 2와 선행기술 3에 외벽이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품들에서 발산되는 열을 쉽게 배출할 수 없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0386호(2015.09.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2011호(2016.04.18.) 등록특허공보 제10-1602697호(2016.03.0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화시킨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모듈화됨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이 다양해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유롭도록 하여 외함 내부의 냉각이 용이하게 하며, (b)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크기를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이 수직레일로부터 고정이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은, 흡음부를 갖는 복수 개의 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내부 및 외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환풍기를 포함하되,
외함(100)은, (a)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상호 마주하는 2개의 벽에 형성되는 수직레일(110); 및 상기 수직레일(110)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b)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수직레일(110)이 형성된 벽을 제외한 나머지 벽 중 어느 하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지지판(120)은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지지판(120b)은, 상기 제1 지지판(120a)과 반대되는 일단에 상기 제1 지지판(120a) 방향으로 함몰된 공기흐름용 홈(124); 및 상기 일단에 형성되어 외함(100)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벽에 맞닿는 롤러(125);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직레일(110)은 상기 제1 지지판(120a)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판(120)은, 이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력변환장치(PCS)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평레일(121); 수직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레일 가이드(122); 및 상기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을 연결하는 경첩(123);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은 상기 경첩(123)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레일(110)은, 일정간격마다 고정홈(111)이 복수 개 형성되되,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상기 고정홈(111)에 걸려 들어가는 경우, 롤러(125)가 외함(100)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벽에 고정되어 지지판(120)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홈(111)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111)의 내부로 함몰된 상하이동 홈(2); 상기 상하이동 홈(2)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이동 돌기(1); 및 상기 상하이동 돌기(1) 및 상하이동 홈(2)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3);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직레일 가이드(122)는 상기 상하이동 돌기(1)에 의해 고정홈(111)에 걸려서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에 의하면, 규격과 크기가 다양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PCS)의 형태적인 제한없이 모두 수용 가능하면서도 불필요하게 공간을 낭비하는 일 없이, 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이점을 창출하면서도, 지지력과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PCS)로 인해 구성의 고장 또는 유지 보수시 문제되는 구성만 수리 또는 교체함으로써 현장에서 빠른 고장회복을 실현할 수 있고, 스택화시키기 쉬우므로, 용량 확장 또는 유지 보수시에도 새로운 외함 모델을 개발하지 않고도 단순 개별적인 모듈을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빠른 시장 대응과 높은 품질의 유지 보수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에서 지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에서 지지판과 수직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모듈화시킨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듈화됨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이 다양해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를 모두 수용하되, (a)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유롭도록 하여 외함 내부의 냉각이 용이하게 하며, (b)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크기를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이 수직레일로부터 고정이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에 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되지 않더라도 통상의 외함 구조에 해당하는 구성은 당연히 마련되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 및 온/습도 제어구성 등이 그 예이다.
또한, 상기한 모듈화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PCS)의 의미는, 외함에 마운트 및 설치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로서, 기존의 용량 확보를 위해 개수를 늘려 결합시킨 종래의 것과 차별성을 두기 위하여 개별화된 것을 의미한다.
즉, 개별적으로 모듈화됨으로써 고장 또는 유지 보수시 문제되는 구성만 수리 또는 교체함으로써 현장에서 빠른 고장회복을 실현할 수 있고, 스택화시키기 쉬우므로, 용량 확장 또는 유지 보수시에도 새로운 외함 모델을 개발하지 않고도 단순 개별적인 모듈을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빠른 시장 대응과 높은 품질의 유지 보수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외함(100)은 환풍구를 포함하고, 모든 면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흡음부를 포함한다.
환풍구는 외함(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PCS 등이 냉각되도록 유도하며, 흡음부는 PCS 등의 운용에 따른 소음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외함은 통상의 외함과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어(door)를 포함함이 당연하고, 도어가 포함된 일면은 개방되되,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외함(100)의 주요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외함(100)은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일면에 수직레일(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 복수 개의 지지판(120)이 포함되는데, 상기 지지판(120)은 일측에 구성된 수직레일 가이드(122)를 통해 상기 수직레일(110)에 체결되어, 수직레일(110)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20)의 상면에는 수평레일(121)이 포함된다.
수평레일(121)은, 전력변환장치(PCS) 등에 마련된 수평레일 가이드(도면부호 미도시, 도 2의 PCS 참조)와 체결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지지판(1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에서 지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르면, 지지판(120)은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으로 구분되며, 상술된 수평레일(121) 및 수직레일 가이드(122) 이외에 경첩(123), 공기흐름용 홈(124) 및 롤러(125)를 더 포함한다.
먼저, 지지판(120)이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으로 분류되는 기술적 의의를 설명한다.
통상의 전력변환장치(PCS)는 크기와 규격이 다양한데, 이들을 모두 수용하는데 있어서, 지지판(120)의 크기를 최대로 구성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작은 크기의 전력변환장치(PCS)를 설치하는 경우, 공간 낭비가 심하다.
(2)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있음에도 지지판(120)을 크게 구성하는 경우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외함 내부의 공기흐름이 용이하지 못해 냉각기능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을 구분하는 것이며, 이러한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는 경첩(123)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은 경첩(123)의 회동방향을 따라 접힘 또는 펼침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의 (a)는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이 펼쳐진 것을 나타낸 것이도, (b)는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이 접힌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제2 지지판(120b)이 제1 지지판(120a)에 수직이 되도록 접어 사용함으로써, 본래 제2 지지판(120b)이 있어야 할 영역에 공간이 생겨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된다.
제2 지지판(120b)의 경첩(123)이 연결되지 않는 일단에는 공기흐름용 홈(124)이 형성된다. 이는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을 펼쳐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기흐름이 가능하도록 홈을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의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상술된 수직레일(110)은 제1 지지판(120a)과 체결되는 위치에 구성된다.
이 경우, 제2 지지판(120b)은 지지되는 구성이 없으므로, 파손의 우려가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다음의 구성을 제안한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외함(100)의 후벽면(130)은 유연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지지판(120b)의 일단 중, 후벽면(130)과 맞닿는 일단(경첩이 연결되지 않는 일단)에 1개 이상의 롤러(125)를 구성한다.
즉,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이 접혀있는 경우에는 관계 없으나,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이 펼쳐진 경우, 상기 롤러(125)가 외함(100)의 후벽면(130)에 맞닿아 이동되므로 이동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롤러(125)가 후벽면(130)에 맞닿기만 해서는 지지력이 향상되지 않으므로, 도 4와 같이 수직레일(110)을 구성함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에서 지지판과 수직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르면, 수직레일(110)은 일정간격마다 고정홈(111)을 형성한다.
고정홈(111)은 지지판(120)의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수직레일(110)을 따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걸리는 홈으로서, 이러한 고정홈(111)에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걸리면 사용자가 인력으로 눌러 고정홈(111)에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도 4의 하단 부분처럼 눌려서 들어가게 되고, 롤러(125)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후벽면(130)에 눌림으로써, 제2 지지판(120b)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다만, 고정홈(111)에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눌려 들어가더라도 다시 밀려나올 우려가 다분하므로, 고정홈(111)의 상부 일면에 그의 상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하이동 홈(2)을 구성하고, 상기 상하이동 홈(2)이 내부로 들어갔다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이동 돌기(1)를 구성하며, 상기 상하이동 돌기(1)와 상하이동 홈(2) 사이에 탄성부재(3)를 마련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하이동 돌기(1)는 인력(人力)에 의해 눌려지면 상하이동 홈(2)에 수용되며, 인력(人力)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 홈(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된다.
이 경우, 지지판(120)의 수직레일 가이드(122)의 일부 굵기가 상하이동 돌기(1)와 고정홈(111)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의 굵기보다 얇게 구성됨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당연히 예측가능한 수준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상하이동 돌기(1), 상하이동 홈(2) 및 탄성부재(3)는 첨부된 도면과 다르게 고정홈(111)의 상부 일면 뿐만 아니라, 하부 일면에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일면과 하부 일면 모두에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외함
110 : 수직레일
111 : 고정홈
120 : 지지판
120a : 제1 지지판
120b : 제2 지지판
121 : 수평레일
122 : 수직레일 가이드
123 : 경첩
124 : 공기흐름용 홈
125 : 롤러
130 : 후벽면
1 : 상하이동 돌기
2 : 상하이동 홈
3 : 탄성부재

Claims (9)

  1. 흡음부를 갖는 복수 개의 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내부 및 외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환풍기를 포함하는 외함(100)에 있어서,
    상기 외함(100)은,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상호 마주하는 2개의 벽에 형성되는 수직레일(110); 및 상기 수직레일(110)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수직레일(110)이 형성된 벽을 제외한 나머지 벽 중 어느 하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레일(110)은,
    일정간격마다 고정홈(111)이 복수 개 형성되되,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상기 고정홈(111)에 걸려 들어가는 경우, 롤러(125)가 외함(100)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벽에 고정되어 지지판(120)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20)은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120b)은,
    상기 제1 지지판(120a)과 반대되는 일단에 상기 제1 지지판(120a) 방향으로 함몰된 공기흐름용 홈(124); 및
    상기 일단에 형성되어 외함(100)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벽에 맞닿는 롤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직레일(110)은 상기 제1 지지판(120a)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20)은,
    이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력변환장치(PCS)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평레일(121);
    수직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레일 가이드(122); 및
    상기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을 연결하는 경첩(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은 상기 경첩(123)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11)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111)의 내부로 함몰된 상하이동 홈(2);
    상기 상하이동 홈(2)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이동 돌기(1); 및
    상기 상하이동 돌기(1) 및 상하이동 홈(2)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수직레일 가이드(122)는,
    상기 상하이동 돌기(1)에 의해 고정홈(111)에 걸려서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KR1020160125630A 2016-09-29 2016-09-29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KR10180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30A KR101800974B1 (ko) 2016-09-29 2016-09-29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30A KR101800974B1 (ko) 2016-09-29 2016-09-29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974B1 true KR101800974B1 (ko) 2017-11-23

Family

ID=6080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630A KR101800974B1 (ko) 2016-09-29 2016-09-29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9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1078A (ja) * 2007-01-09 2008-07-24 Nec Computertechno Ltd ラックキャビネット及び冷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1078A (ja) * 2007-01-09 2008-07-24 Nec Computertechno Ltd ラックキャビネット及び冷却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제품 카탈로그 제9호. DEFOG, [online], 2013년, [2017년 8월 28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defog.co.kr/kor/images/support/download/CATALOGUE9.pdf>*
제품 카탈로그, middle atlantic products inc., [online], 2016년 8월 4일, [2017년 10월 25일 검색], 인터넷: <URL: https://www.cableorganizer.com/images/midatlantic/adjustable-hinged-panel-mount/HPM-specs.pd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864B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이동형 이중 구조 수배전반
JP5696860B2 (ja) 電子デバイスの振動抑制機構
JP5184399B2 (ja) 電算機室用空調システム
JP5944178B2 (ja) 電池ユニット
KR101505629B1 (ko)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기기 설치용 가대
EP3115330B1 (en) Vibration damper for elevator linear propulsion system
JP2012144360A (ja) エレベータの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101774169B1 (ko)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US8605442B2 (en) Server cabinet and server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800974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JP5258046B2 (ja) ラック間通路遮へい構造
KR101427879B1 (ko)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JP5568371B2 (ja) 架設構造及び架設構造を用いた電算機室用空調システム
KR20130118136A (ko) 문턱없는 도어의 차단구조
JP2012082571A (ja) 防音壁
CN210398311U (zh) 一种轨道交通用的显示器保护结构
KR20150006250A (ko) 내진 감응형 이중 구조 수배전반
JP2010168769A (ja) ラック間通路遮へい構造
CN208041046U (zh) 一种适用于制药车间洁净系统的减震装置
CN207535831U (zh) 一种轿车用隔音板装置
KR100407127B1 (en) Hard rack device of car dvr
CN210899929U (zh) 一种使用寿命长的光交箱控制器
CN212268147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共享电池
CN219739707U (zh) 一种机柜电源分配管理设备
GB2511278A (en) Computing equipment en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