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169B1 -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169B1
KR101774169B1 KR1020160125644A KR20160125644A KR101774169B1 KR 101774169 B1 KR101774169 B1 KR 101774169B1 KR 1020160125644 A KR1020160125644 A KR 1020160125644A KR 20160125644 A KR20160125644 A KR 20160125644A KR 101774169 B1 KR101774169 B1 KR 10177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ort plate
pcs
load
power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일
노제호
이정훈
이승철
전수진
Original Assignee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외함에 수용되는 전력변환장치(PCS)를 모듈화시킴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면 LIB(리튬이온전지/배터리)와 ESS(에너지저장시스템)를 통해 계통전원 대신 부하를 동작시킬 전력을 공급받도록 운용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함(100)은, 모듈화됨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이 다양해지는 전력변환장치(PCS)를 모두 수용하되, (a)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유롭도록 하여 외함 내부의 냉각이 용이하게 하며, (b)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크기를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이 수직레일로부터 고정이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SYSTEM FOR MANAGEMENT ELECTRIC POWER USING A MODULARIZED PCS}
본 발명은,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외함에 수용되는 전력변환장치(PCS)를 모듈화시킴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면 LIB(리튬이온전지/배터리)와 ESS(에너지저장시스템)를 통해 계통전원 대신 부하를 동작시킬 전력을 공급받도록 운용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함(100)은, 모듈화됨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이 다양해지는 전력변환장치(PCS)를 모두 수용하되, (a)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유롭도록 하여 외함 내부의 냉각이 용이하게 하며, (b)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크기를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이 수직레일로부터 고정이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든 부하는 이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필요로 한다.
통상적으로는, 부하의 가동을 위해 관련된 전압과 전류를 갖는 계통전원을 공급하는데, 일반적으로 계통전원은 종종 이상이 발생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복구되어 계통전원의 공급이 다시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부하를 통해 작업 중이던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특히 병원과 같이 생명과 연관된 장비를 부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일시적이더라도 계통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계통전원의 이상을 감지하고 이상 발생시 계통전원을 대신하는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는 수단이 개발되어, 계통전원 라인과 함께 운용되어지고 있는데, 최초에는 배터리를 장착하여 계통전원 대신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배터리를 대신하여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전력을 활용하거나, 혹은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순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이, 배터리 또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이들은 저장 당시의 전력이 직류(DC) 또는 교류(AC)일 수 있는데, 부하 역시 요구되는 전력이 직류(DC) 또는 교류(AC)이므로, 전력공급수단과 부하 간의 전력이 동일하면 문제 없으나, 다른 경우 직류(DC) 또는 교류(AC)로 알맞게 변환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이를 통상적으로 전력변환장치(Power Converter System, PCS)라고 지칭하는데, 상기 부하가 요구하는 전력량에 따라 전력변환장치(PCS)의 용량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전력변환장치(PCS)를 구성하는 DC/DC컨버터 또는 DC/AC인버터의 경우 요구되는 용량에 의해 개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규격이나 크기가 달라지며, 보통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DC/DC컨버터 또는 DC/AC인버터 각각이 단일 집합체인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집합체 중 하나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유지 보수가 필요하면, 집합체로 묶인 나머지의 것들도 함께 교체 및 수리해야하며, 이 과정에서 고장나지 않은 다른 구성들의 가동을 중단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전력변환장치(PCS)를 개별 모듈로 모듈화시키되, 이와 같이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PCS)에 최적화된 외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외함(外函)이란 일정한 구조물에서 내부의 구조물을 둘러싸고 있는 겉의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외함은, 전기적 수단 또는 제어수단을 둘러싸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전력을 다른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verter System)을 수용하는 외함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외함에 관련된 기술은 다방면으로 개발되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0386호의 모듈형 IGBT를 이용한 고속전철용 컨버터-인버터 시스템의 외함 어셈블리(선행기술 1)이 그 예이다.
선행기술 1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면서 냉각유로와 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컨버터-인버터 시스템 외함의 프레임 구조를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컨버터-인버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장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함을 고속철도에 장착시 발생하는 충격과, 철도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철도 차량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고, 특히 컨버터-인버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개별적 분리 편의성을 높여 유지 보수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1은 컨버터-인버터 시스템이 갖는 다양한 규격 및 크기에 최적화되지 않은 구조를 갖고 있고, 기재상으로는 냉각유로를 기재하고 있으나, 빈 공간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결국 공간 낭비에 대한 문제가 있다.
외벽이 구성된 외함은 아니더라도, 관련된 다른 기술로서 아래의 2개 선행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하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2011호의 중간-고 전압 인버터용 전력 캐비닛(선행기술 2)이고, 다른 하나는 등록특허공보 제10-1602697호의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선행기술 3)이다.
선행기술 2는 중간-고 전압 컨버터용 전력 캐비닛이 개시되며, 전력 캐비닛(100)은 전력 모듈들(210, 220, 230)을 장착하기 위한 랙(120) 및 캐비닛 하우징(10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랙(120)은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빔들(121)과 상기 쌍으로 된 수직 빔들 상에 배열된 슬라이딩 레일들(123)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빔들(121)에 의해 전력 모듈들(210, 220, 230)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 칼럼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들(123)은 상기 전력 모듈들(210, 220, 230)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선행기술 3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조절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 및 상기 전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동수단에 고정되는 고정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 저장부, 상기 전력 조절부 및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랙과, 상기 이동수단에서 기인한 진동을 흡수하는 하나 이상의 댐퍼(damper)가 체결되는 방진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2와 선행기술 3 역시 선행기술 1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규격의 구성품들에 최적화된 구성이 아니고, 만약 선행기술 2와 선행기술 3에 외벽이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품들에서 발산되는 열을 쉽게 배출할 수 없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0386호(2015.09.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2011호(2016.04.18.) 등록특허공보 제10-1602697호(2016.03.0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외함에 수용되는 전력변환장치(PCS)를 모듈화시킴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면 LIB(리튬이온전지/배터리)와 ESS(에너지저장시스템)를 통해 계통전원 대신 부하를 동작시킬 전력을 공급받도록 운용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함(100)을 모듈화됨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이 다양해지는 전력변환장치(PCS)를 모두 수용하도록 구성하되,
(a)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유롭도록 하여 외함 내부의 냉각이 용이하게 하며, (b)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크기를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이 수직레일로부터 고정이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은 계통전원을 이용하여 부하를 가동하고, 상기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리튬이온전지(LIB) 또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활용하여 상기 부하를 가동하는 전력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온전지(LIB) 또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전력변환장치(PCS)를 통해 상기 부하에 대응되는 전력으로 변환되되, 상기 전력변환장치(PCS)는, 모듈화된 DC/DC컨버터 또는 DC/AC인버터를 포함하여 외함(100)에 수용되고, 상기 외함(100)은 복수 개의 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상호 마주하는 2개의 벽에 형성되는 수직레일(110) 및 상기 수직레일(110)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120)은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레일(110)은 상기 제1 지지판(120a)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력운용 시스템은, 계통전원; 상기 계통전원의 다음 단의 위치되어 계통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시하는 계기용변압기(PT) 및 계기용변류기(CT); 상기 계기용변압기(PT)와 계기용변류기(CT)와 부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계통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 상기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리튬이온전지(LIB); 자가발전하고, 발전된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상기 리튬이온전지(LIB)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 알맞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PCS); 상기 전력변환장치(PCS)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치와 부하 사이에 연결되고, 부하로 리튬이온전지(LIB) 또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스위치; 상기 계기용변압기(PT), 계기용변류기(CT),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및 전력변환장치(PCS)와 연결되는 제어시스템(PMS); 및 상기 제어시스템(PMS)과 통신하고, 리튬이온전지(LIB)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어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시스템(EMS);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어시스템(PMS)는, (a)계기용변압기(PT) 및 계기용변류기(CT)를 통해 계통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시하고, (b)상기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면 제1 스위치를 차단한 뒤, 제2 스위치를 연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벽은 흡음부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내부 및 외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환풍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수직레일(110)이 형성된 벽을 제외한 나머지 벽 중 어느 하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지지판(120b)은, 상기 제1 지지판(120a)과 반대되는 일단에 상기 제1 지지판(120a) 방향으로 함몰된 공기흐름용 홈(124); 및 상기 일단에 형성되어 외함(100)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벽에 맞닿는 롤러(125);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판(120)은, 이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력변환장치(PCS)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평레일(121); 수직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레일 가이드(122); 및 상기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을 연결하는 경첩(123);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은 상기 경첩(123)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레일(110)은, 일정간격마다 고정홈(111)이 복수 개 형성되되,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상기 고정홈(111)에 걸려 들어가는 경우, 롤러(125)가 외함(100)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벽에 고정되어 지지판(120)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홈(111)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111)의 내부로 함몰된 상하이동 홈(2); 상기 상하이동 홈(2)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이동 돌기(1); 및 상기 상하이동 돌기(1) 및 상하이동 홈(2)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3);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직레일 가이드(122)는 상기 상하이동 돌기(1)에 의해 고정홈(111)에 걸려서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의하면,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PCS)를 통해 전력의 충/방전을 운용하므로, 운용 중 전력변환장치가 복수 개여도 각각의 고장 또는 유지 보수시 문제되는 구성만 수리 또는 교체함으로써 현장에서 빠른 고장회복을 실현할 수 있고, 스택화시키기 쉬우므로, 용량 확장 또는 유지 보수시에도 새로운 외함 모델을 개발하지 않고도 단순 개별적인 모듈을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빠른 시장 대응과 높은 품질의 유지 보수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의 외함에 의하면, 규격과 크기가 다양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PCS)의 형태적인 제한없이 모두 수용 가능하면서도 불필요하게 공간을 낭비하는 일 없이, 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이점을 창출하면서도, 지지력과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서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서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서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의 구성 중 지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서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의 구성 중 지지판과 수직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외함에 수용되는 전력변환장치(PCS)를 모듈화시킴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면 LIB(리튬이온전지/배터리)와 ESS(에너지저장시스템)를 통해 계통전원 대신 부하를 동작시킬 전력을 공급받도록 운용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함(100)은, 모듈화됨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이 다양해지는 전력변환장치(PCS)를 모두 수용하되, (a)외함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유롭도록 하여 외함 내부의 냉각이 용이하게 하며, (b)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크기를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이 수직레일로부터 고정이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되지 않더라도 통상의 외함 구조에 해당하는 구성은 당연히 마련되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 및 온/습도 제어구성 등이 그 예이다.
또한, 상기한 모듈화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PCS)의 의미는, 외함에 마운트 및 설치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로서, 기존의 용량 확보를 위해 개수를 늘려 결합시킨 종래의 것과 차별성을 두기 위하여 개별화된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전력변환장치(PCS)의 주요 구성인 DC/DC컨버터 또는 DC/AC인버터 등의 구성이 종래에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반면, 본 발명에서는 DC/DC컨버터와 DC/AC인버터를 독립적인 개별 구성으로 모듈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용량 확장의 경우, DC/DC컨버터끼리 또는 DC/AC인버터끼리 연결시켜 용량 확장이 가능하고, 고장에 의해 수리가 필요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하더라도 해당 구성만 수리 또는 교체하면 되어 간편하다.
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모듈화됨으로써 고장 또는 유지 보수시 문제되는 구성만 수리 또는 교체함으로써 현장에서 빠른 고장회복을 실현할 수 있고, 스택화시키기 쉬우므로, 용량 확장 또는 유지 보수시에도 새로운 외함 모델을 개발하지 않고도 단순 개별적인 모듈을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빠른 시장 대응과 높은 품질의 유지 보수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은 회로구성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계통전원, 계기용변압기(PT), 계기용변류기(CT), 제어시스템(PMS), 전력관리시스템(EMS), 리튬이온전지(LIB), 전력변환장치(PCS),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및 부하로 구성된다.
계기용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와 계기용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는 계통전원의 다음 단에 구비되어, 각각 계통전원의 높은 전압을 낮게 변경하고, 큰 전류를 낮게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성이 필요한 이유는, 계통전원은 항상 동일한 전압과 전류를 갖는데, 부하마다 요구되는 전압과 전류가 달라지므로 이를 충족하지 위한 것이다.
또한, 계기용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와 계기용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는 계통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시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스위치는, 상기 계기용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와 계기용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및 부하;의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계통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제어시스템(PMS, Project Management System)은, (i)상술된 제1 스위치는 물론 후술될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기능, (ii)계통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감시 기능, (iii)전력변환장치(PCS)와의 연동기능 및 (iv)전력관리시스템(EMS)와의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전력관리시스템(EMS)와 통신하는 이유는 후술될 리튬이온전지(LIB)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저장된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시스템(EMS)의 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계통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감시 기능은 상기 계기용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와 계기용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와 연결되어 수행되고,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제어 역시 이들과 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어시스템(PMS)은 감시 결과에 따라 계통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에 이상이 발생되면 제1 스위치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제어시스템(PMS)는 리튬이온전지(LIB)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전력공급을 위한 순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리윰이온전지(LIB)가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고, 저장된 전력이 없으면(전력관리시스템(EMS)에 의해 확인 가능),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전력이 부하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그 예이다.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와 부하 사이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제어시스템(PMS)이 제1 스위치를 차단하면, 제어시스템(PMS)의 제어에 따라 리튬이온전지(LIB)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verter System)는, 상기 제2 스위치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리튬이온전지(LIB)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직류전력(DC)에서 교류전력(AC)로 변환하거나, 직류전력(DC)에서 직류전력(DC)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적용되는 부하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력변환장치(PCS)는, 제어시스템(PMS)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후술될 전력관리시스템(EMS)과도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전력변환장치(PCS)는 사용처(부하)에 따라서 그 규격과 크기가 다양하므로, 다양한 규격과 크기에 최적화된 외함(100)에 수용되어야 하는데,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하겠다.
리튬이온전지(LIB, Lithium Ion Battery) 부하를 가동하기 위한 소정의 전력을 저장하곡 배터리로서, 전력관리시스템(EMS)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관리되고, 전력변환장치(PCS)에 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저장된 전류가 부하에 대응되는 전류로 변경될 수 있다.
전력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상기 리튬이온전지(LIB)와 후술될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전력을 관리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 상기 구성들과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력관리시스템(EMS)은 상기 제어시스템(PMS)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통신함으로써, 리튬이온전지(LIB)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전력 관리 이력을 제어시스템(PMS)와 공유한다.
이에 따라, 전력관리시스템(EMS)은 리튬이온전지(LIB)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정상인지 또는 남은 전력량이 얼마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태양광, 풍력, 수력, 지력 등의 친환경에너지로 자가 충전된 전력을 저장하는 총괄시스템으로서, 전력관리시스템(EMS)과 전력변환장치(PCS)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이 관리되고, 저장된 전력을 부하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어시스템(PMS)은 다음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가. 계통전원과 리튬이온전지(LIB)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되, 중간에 다이오드 구성을 더 마련함으로써, 리튬이온전지(LIB)의 전력이 계통전원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계통전원의 일정 전력이 리튬이온전지(LIB)에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 '가'의 리튬이온전지(LIB) 충전은, 전력사용량이 주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야간에 충전되도록 제어한다.
다. 주간에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계통전원과 리튬이온전지(LIB)의 전력이 함께 운용되도록 제어한다.
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전력운용을 상기 리튬이온전지(LIB)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마.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충전수단이 태양광인 경우, 주간에 충전하고, 야간에 계통전원 대신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PCS)를 수용하는 외함(100)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서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서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외함(100)은 환풍구를 포함하고, 모든 면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흡음부를 포함한다.
환풍구는 외함(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PCS 등이 냉각되도록 유도하며, 흡음부는 PCS 등의 운용에 따른 소음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외함은 통상의 외함과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어(door)를 포함함이 당연하고, 도어가 포함된 일면은 개방되되,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외함(100)의 주요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외함(100)은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일면에 수직레일(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 복수 개의 지지판(120)이 포함되는데, 상기 지지판(120)은 일측에 구성된 수직레일 가이드(122)를 통해 상기 수직레일(110)에 체결되어, 수직레일(110)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20)의 상면에는 수평레일(121)이 포함된다.
수평레일(121)은, 전력변환장치(PCS) 등에 마련된 수평레일 가이드(도면부호 미도시, 도 3의 PCS 참조)와 체결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지지판(1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서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의 구성 중 지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르면, 지지판(120)은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으로 구분되며, 상술된 수평레일(121) 및 수직레일 가이드(122) 이외에 경첩(123), 공기흐름용 홈(124) 및 롤러(125)를 더 포함한다.
먼저, 지지판(120)이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으로 분류되는 기술적 의의를 설명한다.
통상의 전력변환장치(PCS)는 크기와 규격이 다양한데, 이들을 모두 수용하는데 있어서, 지지판(120)의 크기를 최대로 구성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작은 크기의 전력변환장치(PCS)를 설치하는 경우, 공간 낭비가 심하다.
(2)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있음에도 지지판(120)을 크게 구성하는 경우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외함 내부의 공기흐름이 용이하지 못해 냉각기능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을 구분하는 것이며, 이러한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는 경첩(123)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은 경첩(123)의 회동방향을 따라 접힘 또는 펼침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의 (a)는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이 펼쳐진 것을 나타낸 것이도, (b)는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이 접힌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전력변환장치(PCS)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제2 지지판(120b)이 제1 지지판(120a)에 수직이 되도록 접어 사용함으로써, 본래 제2 지지판(120b)이 있어야 할 영역에 공간이 생겨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된다.
제2 지지판(120b)의 경첩(123)이 연결되지 않는 일단에는 공기흐름용 홈(124)이 형성된다. 이는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을 펼쳐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기흐름이 가능하도록 홈을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의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상술된 수직레일(110)은 제1 지지판(120a)과 체결되는 위치에 구성된다.
이 경우, 제2 지지판(120b)은 지지되는 구성이 없으므로, 파손의 우려가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다음의 구성을 제안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외함(100)의 후벽면(130)은 유연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지지판(120b)의 일단 중, 후벽면(130)과 맞닿는 일단(경첩이 연결되지 않는 일단)에 1개 이상의 롤러(125)를 구성한다.
즉,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이 접혀있는 경우에는 관계 없으나,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이 펼쳐진 경우, 상기 롤러(125)가 외함(100)의 후벽면(130)에 맞닿아 이동되므로 이동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롤러(125)가 후벽면(130)에 맞닿기만 해서는 지지력이 향상되지 않으므로, 도 5와 같이 수직레일(110)을 구성함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에서 전력변환장치를 수용하는 외함의 구성 중 지지판과 수직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에 따르면, 수직레일(110)은 일정간격마다 고정홈(111)을 형성한다.
고정홈(111)은 지지판(120)의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수직레일(110)을 따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걸리는 홈으로서, 이러한 고정홈(111)에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걸리면 사용자가 인력으로 눌러 고정홈(111)에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도 5의 하단 부분처럼 눌려서 들어가게 되고, 롤러(125)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후벽면(130)에 눌림으로써, 제2 지지판(120b)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다만, 고정홈(111)에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눌려 들어가더라도 다시 밀려나올 우려가 다분하므로, 고정홈(111)의 상부 일면에 그의 상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하이동 홈(2)을 구성하고, 상기 상하이동 홈(2)이 내부로 들어갔다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이동 돌기(1)를 구성하며, 상기 상하이동 돌기(1)와 상하이동 홈(2) 사이에 탄성부재(3)를 마련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하이동 돌기(1)는 인력(人力)에 의해 눌려지면 상하이동 홈(2)에 수용되며, 인력(人力)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 홈(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된다.
이 경우, 지지판(120)의 수직레일 가이드(122)의 일부 굵기가 상하이동 돌기(1)와 고정홈(111)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의 굵기보다 얇게 구성됨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당연히 예측가능한 수준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상하이동 돌기(1), 상하이동 홈(2) 및 탄성부재(3)는 첨부된 도면과 다르게 고정홈(111)의 상부 일면 뿐만 아니라, 하부 일면에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일면과 하부 일면 모두에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외함
110 : 수직레일
111 : 고정홈
120 : 지지판
120a : 제1 지지판
120b : 제2 지지판
121 : 수평레일
122 : 수직레일 가이드
123 : 경첩
124 : 공기흐름용 홈
125 : 롤러
130 : 후벽면
1 : 상하이동 돌기
2 : 상하이동 홈
3 : 탄성부재

Claims (13)

  1. 계통전원을 이용하여 부하를 가동하고,
    상기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리튬이온전지(LIB) 또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활용하여 상기 부하를 가동하는 전력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온전지(LIB) 또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전력변환장치(PCS)를 통해 상기 부하에 대응되는 전력으로 변환되되,
    상기 전력변환장치(PCS)는,
    모듈화된 DC/DC컨버터 또는 DC/AC인버터를 포함하여 외함(100)에 수용되고,
    상기 외함(100)은,
    복수 개의 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상호 마주하는 2개의 벽에 형성되는 수직레일(110) 및 상기 수직레일(110)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120)은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레일(110)은 상기 제1 지지판(120a)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운용 시스템은,
    계통전원;
    상기 계통전원의 다음 단의 위치되어 계통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시하는 계기용변압기(PT) 및 계기용변류기(CT);
    상기 계기용변압기(PT)와 계기용변류기(CT)와 부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계통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
    상기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리튬이온전지(LIB);
    자가발전하고, 발전된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상기 리튬이온전지(LIB)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 알맞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PCS);
    상기 전력변환장치(PCS)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치와 부하 사이에 연결되고, 부하로 리튬이온전지(LIB) 또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스위치;
    상기 계기용변압기(PT), 계기용변류기(CT),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및 전력변환장치(PCS)와 연결되는 제어시스템(PMS); 및
    상기 제어시스템(PMS)과 통신하고, 리튬이온전지(LIB)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어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시스템(EMS);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PMS)는,
    (a)계기용변압기(PT) 및 계기용변류기(CT)를 통해 계통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시하고,
    (b)상기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면 제1 스위치를 차단한 뒤, 제2 스위치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벽은 흡음부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내부 및 외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환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벽 중 수직레일(110)이 형성된 벽을 제외한 나머지 벽 중 어느 하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120b)은,
    상기 제1 지지판(120a)과 반대되는 일단에 상기 제1 지지판(120a) 방향으로 함몰된 공기흐름용 홈(124); 및
    상기 일단에 형성되어 외함(100)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벽에 맞닿는 롤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20)은,
    이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력변환장치(PCS)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평레일(121);
    수직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레일 가이드(122); 및
    상기 제1 지지판(120a)과 제2 지지판(120b)을 연결하는 경첩(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120a) 및 제2 지지판(120b)은 상기 경첩(123)을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11. 청구항 5, 7 또는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레일(110)은,
    일정간격마다 고정홈(111)이 복수 개 형성되되,
    수직레일 가이드(122)가 상기 고정홈(111)에 걸려 들어가는 경우, 롤러(125)가 외함(100)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벽에 고정되어 지지판(120)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11)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111)의 내부로 함몰된 상하이동 홈(2);
    상기 상하이동 홈(2)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이동 돌기(1); 및
    상기 상하이동 돌기(1) 및 상하이동 홈(2)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수직레일 가이드(122)는,
    상기 상하이동 돌기(1)에 의해 고정홈(111)에 걸려서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KR1020160125644A 2016-09-29 2016-09-29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KR10177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44A KR101774169B1 (ko) 2016-09-29 2016-09-29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44A KR101774169B1 (ko) 2016-09-29 2016-09-29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169B1 true KR101774169B1 (ko) 2017-09-04

Family

ID=5992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644A KR101774169B1 (ko) 2016-09-29 2016-09-29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1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55A (ko) * 2018-05-15 2019-11-25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계통전력망의 전력량계와 연동되는 pcs
KR20200012182A (ko) 2018-07-26 2020-02-05 (주)에너담 배터리 절체 시스템
KR20210067157A (ko) 2019-11-29 2021-06-08 (주) 세스 스위칭 소자의 고장진단이 가능한 전력 변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8334A (ja) * 2011-12-16 2013-06-27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インバータ制御盤
KR101555797B1 (ko) * 2011-11-30 2015-09-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강제 풍랭식 전력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797B1 (ko) * 2011-11-30 2015-09-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강제 풍랭식 전력 변환 장치
JP2013128334A (ja) * 2011-12-16 2013-06-27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インバータ制御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55A (ko) * 2018-05-15 2019-11-25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계통전력망의 전력량계와 연동되는 pcs
KR102210532B1 (ko) * 2018-05-15 2021-02-01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계통전력망의 전력량계와 연동되는 pcs
KR20200012182A (ko) 2018-07-26 2020-02-05 (주)에너담 배터리 절체 시스템
KR20210067157A (ko) 2019-11-29 2021-06-08 (주) 세스 스위칭 소자의 고장진단이 가능한 전력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69B1 (ko) 모듈화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력운용 시스템
US10680461B1 (en) Data center power network with multiple redundancies
JP5583394B2 (ja) サーバーの無停電電源装置
US7105949B2 (en) Emergen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achieving input current balance in such system
CN108702023B (zh) 机架电力系统和方法
JP5009298B2 (ja) 直流ネットワークの2つのコア間での電力伝達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KR20130120522A (ko) 축전 장치와 그 설치 및 운용 방법
KR101349791B1 (ko)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2471939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CN103101450B (zh) 一种车辆悬浮控制箱
KR20150139250A (ko)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2545355A (zh) 机柜供电系统
WO2013098923A1 (ja) 電池システム
JP2007336750A (ja) 鉄道車両用補助電源装置
JP6089565B2 (ja) 非常用電源システム
CN103915891A (zh) 供电系统和供电方法
US11332342B2 (en) Elevator
JP4123153B2 (ja) 電源システム
KR101800974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외함
CN112918260A (zh) 盒体、高压盒装置、储能设备以及用电设备
KR102060270B1 (ko) 혼합형 제어전원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전원 공급방법
KR20220056902A (ko)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CN110994782A (zh) 一种电控柜供电装置
KR102553810B1 (ko) 분산 전원 구조의 회생형 부하 시험 장치
CN220252507U (zh) 电子设备及电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