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902A -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902A
KR20220056902A KR1020200140921A KR20200140921A KR20220056902A KR 20220056902 A KR20220056902 A KR 20220056902A KR 1020200140921 A KR1020200140921 A KR 1020200140921A KR 20200140921 A KR20200140921 A KR 20200140921A KR 20220056902 A KR20220056902 A KR 20220056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hydrogen fuel
failure
converter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774B1 (ko
Inventor
오용국
김재원
류준형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4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7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81On-board diagnosis 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인 수소연료전지, DC/DC 컨버터, 배터리시스템, 추진인버터 및 보조전원장치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기능을 재할당하여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장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철도차량이 제한된 조건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Failure control system for hydrogen fuel cell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그 영향을 최소화하여 제한적으로라도 차량이 운행할 수 있도록 장치들의 고장을 제어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는 육상에서의 대표적인 교통수단으로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열차나 차량을 운행하는 비교적 수송규모가 큰 전기철도와, 전기철도에 비해 비교적 수송규모가 작은 중저속 대중 교통 수단인 경량전철과, 디젤기관의 스파크 점화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시 통근형 동차 및 철로 건설현장 혹은 선로 보수 등에 사용되는 보수차량 등이 있다.
이러한 철도 차량들은 그 동력원으로 전력 혹은 화석 연료를 사용함에 따라 차량운행을 위한 각종 설비를 필요로 하거나,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전기를 그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은 막대한 양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발전소로부터 송전된 특고압을 당해 차량에 공급하기 위한 변전설비, 집전설비 등과 같은 전기공급 시스템 및 각종 구조설비들을 필요로 하고,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보수차량 등은 유한 자원인 화석연료의 고갈 및 그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CO2가스 등의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수소연료전지를 그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철도차량에 관련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0838177호(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20-0052163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고, 상기 참고문헌 2는 수소연료전지 및 2차전지를 포함하는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 내부에 배치된 2차전지의 SOC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은 수소 연료전지 스택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은 일반 전동차와 달리 복잡한 추진시스템이 적용되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품 중 하나라도 고장이 나면 차량 운행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수소연료전지의 출력 전력이 일정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느린 화학반응 속도 때문에 실시간 출력제어가 어려워 배터리시스템과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수소 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수소 연료전지 추진시스템 내 대용량 배터리시스템이 장착될 경우, 추진인버터(1)의 입력 전압은 배터리시스템(2)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때 연료전지(3) 앞단의 DC/DC 컨버터(4)는 전류제어를 통하여 추진모터(5) 및 보조부하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배터리시스템(2)과 함께 분담할 수 있다.
이때,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의 각부 구성의 동작을 살펴보면, 수소연료전지(3)는 DC/DC 컨버터(4)의 동작에 따라 출력파워가 결정되고, DC/DC 컨버터(4)는 수소연료전지(3)의 출력에 대하여 전류제어를 수행하며, 배터리시스템(2)은 정상상태에서 Main Relay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추진인버터(2)의 추진 시에는 수소연료전지(3) 및 배터리시스템(2)의 파워를 이용하여 추진모터(5)를 구동하고 제동 시에는 회생제동을 통하여 발생한 전력을 배터리시스템(2)에 저장하며, APU(보조전원장치(6)는 DC-link단 입력을 받아 정전압(AC, DC) 출력을 통하여 보조부하에 요구전력을 공급한다.
그런데, 추진인버터(1)의 고장 시에는 차량주행이 불가한 상황에서 DC/DC컨버터(4)는 연료전지 출력을 일정하게 제어하여 배터리시스템(2)의 과충전 상황의 발생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수소연료전지(3) 또는 DC/DC컨버터(4)의 고장 시 추진인버터(1)는 운전자의 요구파워를 제한하지 않고 출력 전력을 소비할 경우, 평소 수소연료전지(3)와 배터리시스템(2)이 분담하던 파워를 배터리시스템(2)만으로 분담하게 되어 배터리시스템(3)의 과방전 발생 또는 방전파워 제한치를 넘어서 동작하여 배터리시스템(2)의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아울러, 배터리시스템(2)의 고장 시에는 DC-link단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에 정전압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품 중 한 개라도 고장이 발생할 경우 시스템의 제한적인 동작이 가능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운행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다른 장치의 추가 고장까지 야기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0838177호 참고문헌 2: 공개특허 제10-2020-005216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에 고장이 고장(fault) 발생시 그 영향을 최소화하여 제한적인 조건 하에서도 최대한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시스템 내 각 장치의 제어기능을 재할당하여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구동을 위한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수소연료전지와; 수소연료전지의 메인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시스템과; 상기 DC/DC 컨버터 및 배터리시스템으로부터 공급받는 구동전원을 추진모터의 추진전원으로 변환하는 추진인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 및 배터리시스템으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보조부하에 제공하는 보조전원장치; 및 상기 수소연료전지, DC/DC 컨버터, 배터리시스템, 추진인버터 및 보조전원장치 중에 어느 하나의 이상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기능을 재할당하는 감시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수소연료전지의 고장 발생시 상기 DC/DC 컨버터를 스위칭 오프시키고, 상기 추진인버터의 출력파워의 크기를 제한하며 보조전원장치의 보조부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수소연료전지의 고장 발생시 배터리시스템은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DC/DC 컨버터의 고장 발생시 상기 수소연료전지를 오프시키고, 상기 추진인버터의 출력파워의 크기를 제한하며, 보조전원장치의 보조부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DC/DC 컨버터의 고장 발생시 배터리시스템은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배터리시스템의 고장 발생시 상기 DC/DC 컨버터의 동작모드를 변환하고, 상기 추진인버터의 출력파워의 크기를 제한함과 동시에 회생제동을 금지하며 보조전원장치의 보조부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배터리시스템의 고장 발생시 수소연료전지를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추진인버터의 고장 발생시 고장난 추진인버터 외의 정상적인 추진인버터는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추진인버터의 고장 시 수소연료전지와 DC/DC 컨버터와 배터리시스템 및 보조전원장치는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고장 발생시 상기 수소연료전지와 DC/DC 컨버터와 배터리시스템 및 추진인버터는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인 수소연료전지, DC/DC 컨버터, 배터리시스템, 추진인버터 및 보조전원장치 등의 고장 발생 시 각 장치의 제어기능을 재할당하여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서 철도차량이 제한된 조건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상황에 따른 고장제어 기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이다.
도 4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의 수소연료전지 스택 고장 예를 도시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소연료전지 스택의 고장에 따른 추진인버터의 최대 파워 제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의 배터리시스템 고장 예를 도시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배터리시스템의 고장에 따른 추진인버터의 최대 파워 제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치인 수소연료전지(10), DC/DC 컨버터(20), 배터리시스템(30), 추진인버터(40) 및 보조전원장치(50)의 상태를 감시제어기(60)에서 감시하여 개별 장치의 고장 발생 상태에 따라 그 영향을 최소화하여 제한적인 조건 하에서도 최대한의 추진시스템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각 장치의 제어기능을 재할당하여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구동을 위한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수소연료전지(10)와; 수소연료전지(10)의 메인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20)와; 상기 DC/DC 컨버터(20)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시스템(30)과; 상기 DC/DC 컨버터(20) 및 배터리시스템(30)으로부터 공급받는 구동전원을 추진모터(42)의 추진전원으로 변환하는 추진인버터(40)와; 상기 DC/DC 컨버터(20) 및 배터리시스템(30)으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보조부하에 제공하는 보조전원장치(APU: Auxiliary Power Unit)(50); 및 상기 수소연료전지(10), DC/DC 컨버터(20), 배터리시스템(30), 추진인버터(40) 및 보조전원장치(50) 중에 어느 하나의 이상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기능을 재할당하는 감시제어기(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시제어기(60)는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장치인 수소연료전지(10), DC/DC 컨버터(20), 배터리시스템(30), 추진인버터(40) 및 보조전원장치(50)의 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개별 장치들의 온/오프 또는 출력파워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감시제어기(60)는 개별 장치들의 상태 감시를 위한 다양한 감지수단을 포함하며 개별 장치들의 온/오프 또는 출력파워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 등으로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 고장상황에 따른 고장 제어 케이스를 설명한다.
우선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장치들은 수소연료전지(10), DC/DC 컨버터(20), 배터리시스템(30), 추진인버터(40) 및 보조전원장치(50)로서 고장 발생시 감시제어기(60)는 도 3에 도시된 표와 같이 개별 장치들을 제어한다.
먼저, 상기 수소연료전지(10)의 고장 발생시 DC/DC 컨버터(20)를 스위칭 오프(Switching Off)시키고, 배터리시스템(30)은 정상동작시키고, 추진인버터(40)의 출력파워의 크기를 제한하며, 보조부하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보조전원장치(50)를 제어한다.(Case #1)
그리고, 상기 DC/DC 컨버터(20)의 고장 발생시 상기 수소연료전지(10)를 오프(Off)시키고, 배터리시스템(30)은 정상동작시키고, 추진인버터(40)의 출력파워의 크기를 제한하며, 보조부하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보조전원장치(50)를 제어한다.(Case #2)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시스템(30)의 고장 발생시 상기 수소연료전지(10)를 정상동작시키고, DC/DC 컨버터(20)의 동작모드를 변환(정전압 제어)하고, 추진인버터(40)의 출력파워의 크기를 제한함과 동시에 회생제동을 금지하며, 보조부하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보조전원장치(50)를 제어한다.(Case #3)
또한, 상기 추진인버터(40)의 고장 발생시 상기 수소연료전지(10)와 DC/DC 컨버터(20) 및 배터리시스템(30)은 정상동작시키고, 고장난 추진인버터(40) 외의 정상적인 추진인버터(40)는 정상동작시키고, 보조전원장치(50)는 정상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Case #4)
아울러, 상기 보조전원장치(50)의 고장 발생시 상기 수소연료전지(10)와 DC/DC 컨버터(20)와 배터리시스템(30) 및 추진인버터(40)는 정상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Case #5)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본 발명의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별 고장상황(Case #1 ~ #5)에 따른 고장 제어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수소 연료전지 스택 고장 시(Case #1) 고장 제어 방식은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설명한다.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DC/DC 컨버터(20)는 수소연료전지(10)의 출력파워를 dc-link단을 통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연료전지 스택고장 시, DC/DC 컨버터(20)의 해당 기능 수행이 불가하다. 이와 같이 수소 연료전지 스택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감시제어기(60)는 DC/DC 컨버터(20)의 switching 동작을 멈춤으로서 시스템에서 고장부가 분리(fault isolation)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수소연료전지(10)의 출력파워가 DC/DC 컨버터(20)로 공급되는 정상적인 상태(
Figure pat00001
)와 달리 수소연료전지(10)의 고장으로 추진시스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 배터리시스템(30)만 존재함에 따라 추진인버터(40)가 사용하는 최대 파워(
Figure pat00002
)를 제한(최대파워 :
Figure pat00003
)한다.
이때, 배터리시스템(30)은 운행 중 회생제동을 제외한 충전이 불가하므로 "SOC_min" 까지만 제한적인 운행을 하도록 한다. 도 5에서 "SOC_max"는 배터리시스템(30)의 동작이 가능한 SOC 영역 중 최대 SOC이고, "SOC_normal"은 배터리시스템(30)의 동작이 가능한 SOC 영역이며, "SOC_min"은 배터리시스템(30)의 동작이 가능한 SOC 영역 중 최소 SOC이다.
그리고, 수소 연료전지용 DC/DC 컨버터의 고장 시(Case #2) 고장 제어 방식은 다음과 같다.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DC/DC 컨버터(20)의 고장 시 수소연료전지(10)의 출력 전력에 대하여 dc-link 단으로 전달이 불가함에 따라 이때는 수소연료전지(10)의 동작이 무의미하므로 수소연료전지(10)의 발전기능을 정지시킨다.(수소공급 및 A/Comp 동작 중지 등)
아울러, 이러한 DC/DC 컨버터(20)의 고장 시에는 수소 연료전지 스택 고장 시(Case #1)와 마찬가지로 추진시스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 배터리시스템(30)만 존재하므로 추진인버터(40)가 사용하는 최대 파워(
Figure pat00004
)를 제한(최대파워 :
Figure pat00005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시스템(30)은 운행 중 회생제동을 제외한 충전이 불가하므로 SOC_min 까지만 제한적인 운행을 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배터리시스템 고장 시(Case #3) 고장 제어 방식은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설명한다.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추진인버터(40)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기 위하여 입력단 전압이 일정범위 내에 들어와야 함에도 배터리시스템(3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추진인버터(40)의 입력단에 일정 전압의 인가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배터리시스템(3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DC/DC 컨버터(20)는 동작모드를 변경(출력단 전류제어 -> 전압제어)하여 추진인버터(40)의 입력단에 일정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해 수소연료전지(10)의 출력파워가 DC/DC 컨버터(20)로 공급되는 정상적인 상태(
Figure pat00006
)와 달리 배터리시스템(30)의 고장으로 추진시스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 수소연료전지 스택만 존재함에 따라 추진인버터(40)가 사용하는 최대 파워(
Figure pat00007
)를 제한(최대파워 :
Figure pat00008
)한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시스템(30)의 고장 시 회생제동이 발생하는 에너지를 저장할수 있는 저장매체가 없으므로 차량 제동시 발전제동 또는 기계제동을 적용한다.
그리고, 추진인버터의 고장 시(Case #4) 고장 제어 방식은 다음과 같다.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추진인버터(40)는 일반적으로 철도차량 내에는 복수가 장착되며, 이때 일부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정상동작이 가능한 추진인버터(40)를 사용하여 시스템 동작이 제한적으로 가능토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추진인버터(40)의 고장 시 수소연료전지(10)와 DC/DC 컨버터(20)와 배터리시스템(30) 및 보조전원장치(50)는 정상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보조전원장치의 고장 시(Case #5) 고장 제어 방식은 다음과 같다.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보조전원장치(50)는 보조부하에 보조전원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일반 철도차량과 동일하게 보조전원장치(50) 고장 시, 다른 차량에 있는 보조전원장치(50)의 연장급전을 통하여 보조전원에 전력을 공급한다. 물론, 이와 같은 보조전원장치(50)의 고장 시 수소연료전지(10)와 DC/DC 컨버터(20)와 배터리시스템(30) 및 추진인버터(40)는 정상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소연료전지 20: DC/DC 컨버터
30: 배터리시스템 40: 추진인버터
42: 추진모터 50: 보조전원장치
60: 감시제어기

Claims (10)

  1.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구동을 위한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수소연료전지와; 수소연료전지의 메인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시스템과; 상기 DC/DC 컨버터 및 배터리시스템으로부터 공급받는 구동전원을 추진모터의 추진전원으로 변환하는 추진인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 및 배터리시스템으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보조부하에 제공하는 보조전원장치; 및 상기 수소연료전지, DC/DC 컨버터, 배터리시스템, 추진인버터 및 보조전원장치 중에 어느 하나의 이상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기능을 재할당하는 감시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수소연료전지의 고장 발생시 상기 DC/DC 컨버터를 스위칭 오프시키고, 상기 추진인버터의 출력파워의 크기를 제한하며 보조전원장치의 보조부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수소연료전지의 고장 발생시 배터리시스템은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DC/DC 컨버터의 고장 발생시 상기 수소연료전지를 오프시키고, 상기 추진인버터의 출력파워의 크기를 제한하며, 보조전원장치의 보조부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DC/DC 컨버터의 고장 발생시 배터리시스템은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배터리시스템의 고장 발생시 상기 DC/DC 컨버터의 동작모드를 변환하고, 상기 추진인버터의 출력파워의 크기를 제한함과 동시에 회생제동을 금지하며 보조전원장치의 보조부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배터리시스템의 고장 발생시 수소연료전지를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추진인버터의 고장 발생시 고장난 추진인버터 외의 정상적인 추진인버터는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추진인버터의 고장 시 수소연료전지와 DC/DC 컨버터와 배터리시스템 및 보조전원장치는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기는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고장 발생시 상기 수소연료전지와 DC/DC 컨버터와 배터리시스템 및 추진인버터는 정상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KR1020200140921A 2020-10-28 2020-10-28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KR10244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21A KR102442774B1 (ko) 2020-10-28 2020-10-28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21A KR102442774B1 (ko) 2020-10-28 2020-10-28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02A true KR20220056902A (ko) 2022-05-09
KR102442774B1 KR102442774B1 (ko) 2022-09-16

Family

ID=8158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921A KR102442774B1 (ko) 2020-10-28 2020-10-28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872B1 (ko) * 2022-06-22 2023-01-18 주식회사 창해전기 전기철도차량용 전력공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752A (ko) 2022-11-02 2024-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의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177B1 (ko) 2006-05-09 2008-06-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
JP2009043545A (ja) * 2007-08-08 2009-02-2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5035840A (ja) * 2013-08-07 2015-02-19 スズ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KR20190059060A (ko) * 2017-11-22 2019-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00052163A (ko) 2018-11-06 2020-05-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의 soc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177B1 (ko) 2006-05-09 2008-06-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
JP2009043545A (ja) * 2007-08-08 2009-02-2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5035840A (ja) * 2013-08-07 2015-02-19 スズ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KR20190059060A (ko) * 2017-11-22 2019-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00052163A (ko) 2018-11-06 2020-05-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의 soc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872B1 (ko) * 2022-06-22 2023-01-18 주식회사 창해전기 전기철도차량용 전력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774B1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es et al. Analysis of the control strategies for fuel saving in the hydrogen fuel cell vehicles
CN213689872U (zh) 一种船用电池动力系统试验平台
KR102442774B1 (ko)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장 제어 시스템
US200601277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ypassing failed stacks in a multiple stack fuel cell
JP2017503694A (ja) シリーズハイブリッド車の動力システム
EP2368744A2 (en) Traction system for trainset
KR102400639B1 (ko) 다중발전원을 갖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472297B2 (en)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KR20150143902A (ko) 전력 배전 및 제어 시스템
KR100838177B1 (ko)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
US10164445B2 (en) Electric pow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55723B1 (ko) 무가선 전차의 에너지 제어방법
CN102470768A (zh) 燃料电池系统及电动机驱动方法
JPH1032942A (ja) 船舶用電源装置
US20150225000A1 (en) Propulsion control device of hybrid vehicle
Chen et al. System integration of China’s first PEMFC locomotive
US11987348B2 (en) Aircraft having a hybrid power source with power generation sources controlled according to drive unit power requirements
Rehman et al. Fault tolerant operation in multilevel inverter for more electric aircraft
CN111071041A (zh) 车载供电系统
JP7182898B2 (ja) 電気車用電源システム
JP5352731B2 (ja) 鉄道編成車両の駆動システム
CN113043848B (zh) 增程式燃料电池混合动力系统故障控制系统、方法及车辆
KR101537333B1 (ko) 철도 차량용 전력공급시스템
KR20240009554A (ko) 전력계통 연계 에너지저장장치기반 전기차 충전스테이션
JP2023043838A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