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797B1 -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797B1
KR101800797B1 KR1020150190347A KR20150190347A KR101800797B1 KR 101800797 B1 KR101800797 B1 KR 101800797B1 KR 1020150190347 A KR1020150190347 A KR 1020150190347A KR 20150190347 A KR20150190347 A KR 20150190347A KR 101800797 B1 KR101800797 B1 KR 101800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home
signal
mode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190A (ko
Inventor
홍석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to KR102015019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7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는 홈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어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 및 입력된 제어요청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고, 동작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제어장치가 통신 불능인 경우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CRADLE AND METHOD FOR THE CONTROL APPARATUS TO CONTROL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에서 PC,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하여 가정 내부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컴퓨터나 디지털 텔레비전,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냉/난방기 등 모든 디지털 가정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하여 엘리베이터, 주차관제 CCTV, 경비실 호출기 등 단지서버와 연결된 모든 장치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모든 장치들을 가정 내부 및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홈 게이트웨이와 유/무선으로 접속되는 홈패드와 같은 댁내제어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댁내제어장치를 조작하여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모든 장치(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냉/난방기, 주차관제기 및/또는 엘리베이터 등등)를 댁내외에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댁내제어장치는 홈 게이트웨이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댁내의 벽에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벽부형 댁내제어장치는 댁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가정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자유롭게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홈 게이트웨이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댁내제어장치도 사용되고 있으나, 무선 댁내제어장치는 위치나 전원상태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방문자 알림이나 비상상황과 같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어야 하는 경우에는 댁내제어장치 이외의 제어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1051호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을 스마트단말기와 연동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당해 선행기술은 스마트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를 대상으로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1051호
본 발명은 댁내제어장치가 통신 불능인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거치된 댁내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홈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 및 입력된 제어요청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고, 동작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도어폰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도어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되, 제어요청신호는 도어폰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동작모드는 도어폰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정기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되, 제어요청신호는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동작모드는 가정기기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되, 제어요청신호는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동작모드는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댁내제어장치와 연결되고,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상태신호에 따라 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통신부는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오프알림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오프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모드를 활성화하되, 상태신호는 오프알림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통신부는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온알림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온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하되, 상태신호는 온알림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통신부는 위치신호를 댁내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위치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위치신호에 대응하여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되, 상태신호는 응답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제어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에서 수행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연결된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제어요청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동작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도어폰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도어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어요청신호는 도어폰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동작모드는 도어폰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정기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어요청신호는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동작모드는 가정기기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어요청신호는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동작모드는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신호에 따라 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동작모드는 제어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활성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오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태신호는 오프알림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온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태신호는 온알림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댁내제어장치로 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위치신호에 대응하여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태신호는 응답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제어장치가 통신 불능인 경우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 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홈 게이트웨이(110), 외부 통신네트워크(120),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 n은 자연수), 도어폰(140),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 댁내제어장치(160), 및 거치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10)는 홈 네트워크(미도시)와 외부 통신네트워크(120)를 연결하며, 홈 네트워크(미도시)와 외부 통신네트워크(12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10)에 접속되는 외부 통신네트워크(120)에는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네트워크 외에도, 데이터 네트워크나 케이블 네트워크 등 다양한 프로토콜의 네트워크가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홈 게이트웨이(110)에 접속되는 홈 네트워크(미도시)에도 USB (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HPNA (Home Phone Line Network Alliance), WLAN, 무선랜 (Wireless LAN), 블루투스 (Bluetooth)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홈버스가 존재할 수 있다.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는 홈 네트워크(미도시)에 연결되는 댁내 기기들을 통칭한다. 예를 들어,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에는 조명기기(130-1), 냉/난방기(130-2), 도어락(130-3) 및 감지기(130-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는 홈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110)와 연결되어 댁내제어장치(160) 및/또는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거치장치(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댁내제어장치(160) 및/또는 거치장치(170)을 조작하여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의 온/오프 제어, 조명기기(130-1)의 밝기 조절, 냉/난방기(130-2)의 온도 조절, 도어락(130-4)의 잠금/잠금해제 제어, 감지기(130-4)의 감지여부 확인 등을 할 수 있다.
도어폰(140)은 주택의 출입문 외부에 설치되고, 홈 게이트웨이(1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어폰(140)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는 홈 게이트웨이(110)를 통해 댁내제어장치(160) 및/또는 거치장치(17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댁내제어장치(160) 및/또는 거치장치(170)를 이용하여 도어폰(140)으로부터 수신되는 방문자의 음성 및/또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는 외부 통신네트워크(120)와 연결되는 단지 내 기기들을 통칭한다. 예를 들어,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는 주차관제기(150-1), 엘리베이터제어장치(150-2), 경비실기(150-3) 및/또는 공동현관기(15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는 외부 통신네트워크(120)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110)와 연결되어 댁내제어장치(160) 및/또는 거치장치(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댁내제어장치(160) 및/또는 거치장치(170)를 이용하여 주차관제기(150-1), 경비실기(150-3), 공동현관기(150-4) 등에서 수신되는 음성 및/또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댁내제어장치(160) 및/또는 거치장치(170)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제어장치(150-2)를 조작할 수도 있다(즉,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댁내제어장치(16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1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댁내제어장치(160)를 이용하여 도어폰(140),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 및/또는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를 제어할 수 있다.
거치장치(170)는 댁내제어장치(160)의 거치 및/또는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댁내제어장치(160)는 벽부형이 아닌 휴대용 장치일 수 있고, 거치장치(170)에 거치되어 충전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거치장치(170)는 홈 게이트웨이(110) 및/또는 댁내제어장치(160)와 연결되어 댁내제어장치(160)의 통신불능상태를 판단하여 홈 게이트웨이(11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7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7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장치(170)는 제어부(171), 전원부(172), 충전부(173), 제2 통신부(174), 제1 통신부(175), 출력부(176) 및 입력부(17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72)는 거치장치(17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입력 받고, 거치장치(170)의 각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3)는 전원부(17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통해 댁내제어장치(160)가 거치되었을 때, 댁내제어장치(160)의 단자와 접촉되어 댁내제어장치(160)의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제2 통신부(174)는 댁내제어장치(160)와 무선 및/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174)는 댁내제어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댁내제어장치(160)는 자신의 통신 상태를 알리는 신호(이하, 상태신호)를 제2 통신부(174)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신호는 댁내제어장치의 전원 상태를 알리는 "온/오프알림신호" 및/또는 댁내제어장치의 위치 상태를 알리는 "응답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온/오프알림신호 및/또는 응답신호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2 통신부(174)는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신호를 제어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1)는 입력되는 상태신호에 따라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 제어기능의 활성화 여부,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 제어기능의 활성화 여부 및/또는 도어폰(140)과의 통신기능 활성화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장치(170)가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 제어 기능,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 제어기능 및/또는 도어폰(140)과의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제어모드'라 칭한다. 이하 제어부(171)가 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71)가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 중 "온/오프알림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어부(171)는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오프알림신호(즉, 댁내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될 것임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댁내제어장치(160)는 자신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여 오프알림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제어장치(160)는 구비된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가 되면 전원오프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원오프상태로 판단되는 배터리잔량이 5%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댁내제어장치(160)는 구비된 배터리의 잔량이 5% 이하로 떨어지면 오프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174)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74)는 오프알림신호를 제어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1)는 오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댁내제어장치(16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오프상태로 판단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댁내제어장치(160)가 오프알림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댁내제어장치(160)가 오프알림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못한다.
또한 제어부(171)는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 중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1)는 미리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위치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174)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74)는 "위치신호"를 댁내제어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신호는 댁내제어장치(16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거치장치(170)가 댁내제어장치(160)로 전송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댁내제어장치(160)는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응답신호(즉, 위치신호를 수신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174)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74)는 응답신호를 제어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1)는 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댁내제어장치(16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71)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도록 위치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댁내제어장치(16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여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이 5초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71)는 위치신호에 대응한 응답신호가 5초 이내로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1 통신부(175)는 제어모드의 활성화에 따라 활성화되어 홈 게이트웨이(110)와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10)는 외부 통신네트워크(120), 홈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되는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 및/또는 도어폰(140)으로부터 제어를 위한 신호가 전송되면, 제1 통신부(175)로 각각의 제어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이하, 제어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75)는 홈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수신된 제어요청신호를 제어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75)는 사용자의 입력부(177)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1)는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신호에 따라 제어모드가 활성화되면,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의 제어기능,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의 제어기능 및/또는 도어폰(140)과의 통신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하, 거치장치(170)가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 및/또는 도어폰(140) 등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동작하는 것을 "동작모드"라 칭한다. 따라서 동작모드는 홈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요청신호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부(177) 조작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도 있다. 동작모드에서 제어부(171)는 사용자의 입력부(177)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이하, 제어신호)를 제1 통신부(175)로 출력할 수 있고, 제1 통신부(170)는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도어폰(140) 호출버튼을 누른 경우, 홈 게이트웨이(110)는 사용자가 도어폰(140)과의 통신을 유도하기 위한 신호(이하, 도어폰제어요청신호라 칭함) 를 제1 통신부(175)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75)는 도어폰제어요청신호를 제어부(171)로 출력하고, 제어부(171)는 도어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어폰동작모드가 활성화되면, 댁내 사용자는 입력부(177)를 조작하여 도어폰(140)을 제어(예를 들어, 음성 및 영상 입/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제1 통신부(175)로 출력한다. 제1 통신부(175)는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하고, 홈 게이트웨이(110)는 제어신호를 도어폰(14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정기기(130-n)를 제어하기 위하여 입력부(177)를 조작할 수 있고, 입력부(177)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1)는 가정기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물론, 가정기기(130-n)가 사용자의 제어를 유도하기 위한 신호(이하,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라 칭함)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고, 홈 게이트웨이(110)는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를 제1 통신부(175)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75)는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를 제어부(171)로 출력하고, 제어부(171)는 가정기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가정기기동작모드가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입력부(177)를 조작하여 가정기기동작모드에 상응하는 입력(예를 들어, 기기 전원 온/오프, 냉/난방기 온도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1)는 사용자의 입력부(177)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제1 통신부(175)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75)는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고, 홈 게이트웨이(110)는 제어신호를 가정기기(130, 130-1 또는 130-n)로 전송하여 가정기기(130-n)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사용자의 입력부(177) 조작에 의하여 가정기기동작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가정기기(130-n)가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하고, 홈 게이트웨이(110)가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를 제1 통신부(175)를 통해 제어부(171)로 전송하여 가정기기동작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지서버(150-n)를 제어하기 위하여 입력부(177)를 조작할 수 있고, 입력부(177)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1)는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물론, 단지서버(150-n)가 사용자의 제어를 유도하기 위한 신호(이하,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라 칭함)를 외부 통신네트워크(120)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고, 홈 게이트웨이(110)는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를 제1 통신부(175)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75)는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를 제어부(171)로 출력하고, 제어부(171)는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단지서버동작모드가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입력부(177)를 조작하여 단지서버동작모드에 상응하는 입력(경비실호출, 공동현관기 제어, 엘리베이터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1)는 사용자의 입력부(177)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제1 통신부(175)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75)는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고, 홈 게이트웨이(110)는 제어신호를 단지서버(150-1, 150-2 또는 150-n)로 전송하여 단지서버(150-n)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사용자의 입력부(177) 조작에 의하여 단지서버동작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단지서버(150-n)가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하고, 홈 게이트웨이(110)가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를 제1 통신부(175)를 통해 제어부(171)로 전송하여 단지서버동작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1 통신부(175)가 홈 게이트웨이(110)와 연결되고, 제2 통신부(174)가 댁내제어장치(160)와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제1 통신부(175)와 제2 통신부(174)는 하나의 통신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댁내제어장치(160)와 거치장치(170)의 통신부는 홈 게이트웨이(110)를 매개체로 하여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댁내제어장치(160)는 온/오프알림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고, 홈 게이트웨이(110)는 온/오프알림신호를 거치장치(170)의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거치장치(170)는 홈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수신된 온/오프알림신호를 통하여 댁내제어장치(160)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70)는 댁내제어장치(160)가 통신 불능 상태일 경우 사용자가 댁내제어장치(160)를 대신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거치장치(170)는 댁내제어장치(160)가 통신 가능 상태일 때에도 제어모드의 활성화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거치장치(170)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제어 기능은 부가적인 기능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치장치(170)는 제어모드에서도 댁내제어장치(16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어모드의 불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제어장치(160)는 오프알림신호를 생성하여 거치장치(170)로 전송한 후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거치장치(170)로 전원의 온 상태를 알리는 상태신호(이하, 온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댁내제어장치(160)의 전원이 오프상태를 판단하는 배터리잔량을 초과하여 충전된 경우 댁내제어장치(160)는 전원 온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선 예시에서와 같이 전원오프상태를 판단하는 배터리잔량이 5%로 설정된 경우, 댁내제어장치(160)의 전원이 5%이하에서 5%를 초과한 경우 댁내제어장치(160)는 온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174)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74)는 온알림신호를 제어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1)는 온알림신호가 입력되면 댁내제어장치(16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인지하여 제어모드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71)는 제어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위치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174)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74)는 위치신호를 댁내제어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댁내제어장치(160)는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174)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74)는 응답신호를 제어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1)는 제어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댁내제어장치(16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인지하여 제어모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출력부(176)는 제어부(171)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를 소리 및/또는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1)에서 도어폰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도어폰(140)으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및/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176)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 및/또는 영상을 통해 도어폰(140)이 조작되었음을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76)는 제어부(171)의 제어에 따라 제어 및 관리를 위한 선택창이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1)는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 및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츌력부(176)를 통해 제어 및 관리를 위한 선택창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177)는 출력부(176)에서 출력되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신호(특히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는 디스플레이 화면 터치, 버튼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77)는 키패드(Keypad), 터치패드(Touchpad) 등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장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77)를 통해 입력된 각종 신호는 제어부(171)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70)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거치장치(170)의 동작 상태는 크게 댁내제어장치(16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도 3a는 댁내제어장치(160)가 거치장치(170)에 거치되고, 댁내제어장치(160)가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즉,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거치장치(170)는 댁내제어장치(160)가 거치되면 댁내제어장치(160)의 단자와 접촉되어 댁내제어장치(160)의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댁내제어장치(160)의 통신상태를 판단하여, 도 3a와 같이 댁내제어장치(160)가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경우 거치장치(170)는 제어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b는 댁내제어장치(160)가 없는 경우, 즉 댁내제어장치(16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의 거치장치(17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거치장치(170)는 댁내제어장치(160)가 통신불능상태라고 판단되면, 홈 게이트웨이(110)와의 통신기능을 수행한다(즉, 제어모드로 동작된다). 거치장치(17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버튼 및/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도어폰(140)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 및/또는 소리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 거치장치(170)는 도어폰(140)과의 통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가정기기(130, 130-1 내지 130-n)의 제어 및 단지서버(150, 150-1 내지 150-n)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70)는 댁내제어장치(160)가 통신 불능 등의 이유로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제어장치(160)의 통신불능상태 판단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거치장치(170)의 각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거치장치(170) 및/또는 댁내제어장치(16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제어장치(160)의 전원상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a에서 댁내제어장치(160)는 자신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댁내제어장치(160)는 구비된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가 되면 전원오프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오프상태로 판단되는 배터리잔량이 5%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댁내제어장치(160)는 구비된 배터리의 잔량이 5% 이하로 떨어지면 오프알림신호를 생성하여 거치장치(17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20a). 단계 S410b에서, 거치장치(170)는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오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420b에서, 거치장치(170)는 홈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제어요청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요청신호는 도어폰제어요청신호,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 및/또는 단지서버요청신호 등일 수 있다.
단계 S430b에서, 거치장치(170)는 단계 S420b에서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요청신호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모드는 도어폰동작모드, 가정기기동작모드 및/또는 단지서버동작모드일 수 있다.
단계 S440b에서, 거치장치(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 S430b에서 동작모드가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조작을 수행하고, 거치장치(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10)는 해당 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30a에서, 댁내제어장치(160)는 전원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댁내제어장치(160)의 전원이 오프상태를 판단하는 배터리잔량을 초과하여 충전된 경우 댁내제어장치(160)는 전원온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원오프상태로 판단되는 배터리잔량이 5%로 설정된 경우, 댁내제어장치(160)의 전원이 5%이하에서 5%를 초과한 경우 댁내제어장치(160)는 전원온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40a에서, 댁내제어장치(160)는 댁내제어장치(160)의 전원이 온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거치장치(170)로 전원온상태를 알리는 상태신호(이하, 온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50b에서 거치장치(170)는 단계 S440a에서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온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제어장치(160)의 위치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거치장치(170)는 댁내제어장치(16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신호를 댁내제어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신호는 지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거치장치(170)는 제m 위치신호에 상응하는 제m 응답신호가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 m은 자연수). 거치장치(170)는 제m 위치신호에 상응하는 제m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다시 제m+1 위치신호를 댁내제어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거치장치(170)는 제m 위치신호에 상응하는 제m 응답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거치장치(170)는 홈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제어요청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요청신호는 도어폰제어요청신호,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 및/또는 단지서버요청신호일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거치장치(170)는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요청신호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모드는 도어폰동작모드, 가정기기동작모드 및/또는 단지서버동작모드일 수 있다.
단계 S560에서, 거치장치(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한다. 즉, 동작모드가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거치장치(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110)는 해당 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570에서, 거치장치(170)는 제어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제m 위치신호를 댁내제어장치(160)로 전송하여 제m 응답신호가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80에서, 거치장치(170)는 제m 위치신호에 상응하는 제m 응답신호가 댁내제어장치(160)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거치장치(170)가 홈 게이트웨이(11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요청신호에 의하여 동작모드를 활성화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장치(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모드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작모드가 활성화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못함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은 댁내제어장치(160)가 통신 불능 등의 이유로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거치장치(170)에 의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제어 기능을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제어장치의 통신불능상태 판단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홈 네트워크 시스템
160: 댁내제어장치
170: 거치장치

Claims (19)

  1. 거치된 댁내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홈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
    입력된 상기 제어요청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동작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댁내제어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신호를 출력하며, 위치신호를 상기 댁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신호에 따라 제어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위치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며(단, 상기 상태신호는 상기 응답신호를 포함함), 상기 제어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폰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도어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되,
    상기 제어요청신호는 상기 도어폰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도어폰동작모드를 포함하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정기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되,
    상기 제어요청신호는 상기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가정기기동작모드를 포함하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되,
    상기 제어요청신호는 상기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포함하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오프알림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모드를 활성화하되,
    상기 상태신호는 상기 오프알림신호를 포함하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온알림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하되,
    상기 상태신호는 상기 온알림신호를 포함하는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8. 삭제
  9. 삭제
  10.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에서 수행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있어서,
    상기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신호에 따라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는단계;
    상기 제어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연결된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제어요청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동작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댁내제어장치로 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단, 상기 상태신호는 상기 응답신호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도어폰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도어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요청신호는 상기 도어폰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도어폰동작모드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정기기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요청신호는 상기 가정기기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가정기기동작모드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요청신호는 상기 단지서버제어요청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단지서버동작모드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오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신호는 상기 오프알림신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댁내제어장치로부터 온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신호는 상기 온알림신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10항 내지 제13항, 제1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50190347A 2015-12-30 2015-12-30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00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47A KR101800797B1 (ko) 2015-12-30 2015-12-30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47A KR101800797B1 (ko) 2015-12-30 2015-12-30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190A KR20170091190A (ko) 2017-08-09
KR101800797B1 true KR101800797B1 (ko) 2017-12-20

Family

ID=5965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347A KR101800797B1 (ko) 2015-12-30 2015-12-30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64A (ko) 2017-10-12 2019-04-22 김희진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190A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1338B2 (en) Wireless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efor
US20180240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US20170104916A1 (en) Hom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US20180069722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1405240A (zh) 用于家庭监视的方法和装置
EP3147872A1 (en) Intercom system, intercom master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0446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devices in a network
EP3635299B1 (en) Air-conditioner repeater, air-conditio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EP2546813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US20130021473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JP2016099790A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JP5866538B1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KR101800797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7144B1 (ko) 기존의 인터폰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20170322618A1 (en) Electric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 device control method using same
JP6322358B2 (ja) 映像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映像通信端末、映像通信プログラム、携帯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映像通信端末プログラム
KR20200049189A (ko) 가전 기기
JP2003318916A (ja)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送信機器およびデータ送受信方法
KR20180063990A (ko)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적외선 리모컨
RU2702285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ой
JP2019029679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操作装置
CN111742363B (zh) 语音控制信息输出系统、语音控制信息输出方法以及记录介质
KR20130026033A (ko) 공기 조화기,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EP3151537A1 (e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0273825Y1 (ko) 방문자 방문 신호값 전달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지능형도어 비디오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