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164A -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164A
KR20190041164A KR1020170132288A KR20170132288A KR20190041164A KR 20190041164 A KR20190041164 A KR 20190041164A KR 1020170132288 A KR1020170132288 A KR 1020170132288A KR 20170132288 A KR20170132288 A KR 20170132288A KR 20190041164 A KR20190041164 A KR 20190041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user
management server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김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진 filed Critical 김희진
Priority to KR1020170132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1164A/ko
Publication of KR2019004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주변 기기의 구동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면서 주변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으로 구동되며, 세대 또는 단지 내의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세대 또는 단지 내의 시설물에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디스플레이부;와, 세대 또는 단지 내의 관리서버 및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한 유선 및 무선 통모듈을 구비하는 유무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장치, 난방설비, 도어 개폐, 엘레베이터 등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스마트 스위치는 간단한 시공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세대 내외부의 시설물들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Intelligent smart switch}
본 발명은 벽면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주변 기기의 구동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면서 주변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컴퓨팅, 네트워크, 보안 등과 같은 IT 기술이 한국의 독특한 아파트 문화에 융합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크게 세대 서비스 및 공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세대 서비스는 세대 내에 있는 PC, 주변기기, 전화기, 휴대폰, 조명, 난방, 가전제품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고, 방범, 화재, 가스누출 등과 같은 비상상황을 미리 감지하여 필요시 관련 기관으로 비상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공용 서비스는 단지 내에 설치된 CCTV, 엘레베이터, 주차관제장치, 무인택배장치 등과 같은 공용 시설을 모니터링하여 세대 내에서 언제든지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한편, 조명 스위치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벽면에 설치되어 각 부하 그룹에 연결되어 있는 조명을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밍(dimming) 기능이 부가되기도 한다. 또한, 냉난방기의 온도 등을 제어하는 냉난방기 조절 스위치의 경우에도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의 벽면에 설치되고 있다.
최근에는 조명과 냉난방이 모두 조절될 수 있는 복합 기능의 다기능 스위치도 개발되고 있다. 상기 다기능 스위치는 월 패드 형태로 구성되고, 세대 내에서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벽면에 설치되며, 조명과 냉난방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월 패드 스위치는 단순히 세대 내에 있는 시설 즉, 조명장치나 냉난방 장치를 통제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주차, 엘레베이터, 무인택배와 같은 공용 시설과 관련된 서비스는 별도의 제어 장치를 설치하여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현이 복잡하고, 특히 월 패드 스위치나 별도의 제어장치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도 세대 내부 및 외부의 공용 시설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62424호(2017.06.07.공개,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한국공개특허 10-2017-0091190호(2017.08.29.공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벽면에 설치되는 월 패드 스위치를 통하여 조명, 냉난방과 같은 세대 내부의 서비스 정보뿐만 아니라 출입, 주차, 엘레베이터, 택배와 같은 세대 외부의 서비스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고, 세대 내외부의 각 시설물을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는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거 시설물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생활정보를 더 제공하여 사용자가 세대 내에서도 외부의 생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으로 구동되며, 세대 또는 단지 내의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세대 또는 단지 내의 시설물에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디스플레이부;와, 세대 또는 단지 내의 관리서버 및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한 유선 및 무선 통모듈을 구비하는 유무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 조명장치 구동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구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조명정보 입출력유닛과, 조명 관리서버에 조명장치의 구동정보를 요청하는 조명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조명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구동정보를 상기 조명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조명정보 제공유닛과, 상기 조명정보 입출력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조명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조명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조명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난방설비 구동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난방설비에 대한 구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난방정보 입출력유닛과, 난방 관리서버에 난방설비의 구동정보를 요청하는 난방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난방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구동정보를 상기 난방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난방정보 제공유닛과, 상기 난방정보 입출력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난방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난방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난방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난방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도어 개폐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도어에 대한 출입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입정보 입출력유닛과, 출입 관리서버에 도어의 출입정보를 요청하는 출입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출입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출입정보를 상기 출입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출입정보 제공유닛과, 상기 출입정보 입출력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출입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도어의 개폐가 구동되도록 하는 출입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출입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택배정보 확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택배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택배정보 입출력유닛과, 택배 관리서버에 택배의 도착 정보를 요청하는 택배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택배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택배정보를 상기 택배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택배정보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택배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엘레베이터 호출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엘레베이터에 대한 구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E/V정보 입출력유닛과, E/V 관리서버에 엘레베이터의 구동정보를 요청하는 E/V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E/V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E/V정보를 상기 E/V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E/V정보 제공유닛과, 엘레베이터의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도착시간 산출유닛과, 상기 E/V정보 입출력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E/V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엘레베이터가 구동되도록 하는 E/V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E/V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주차정보 확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주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주차정보 입출력유닛과, 주차 관리서버에 주차정보를 요청하는 주차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주차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주차정보를 상기 주차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주차정보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주차 제어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생활정보 확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생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생활정보 입출력유닛과, 생활정보 관리서버에 생활정보를 요청하는 생활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생활정보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생활정보를 상기 생활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생활정보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생활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스마트 스위치는 간단한 시공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세대 내외부의 시설물들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스위치가 적용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의 조명 통제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의 난방 통제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의 출입 통제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의 택배 통제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의 엘레베이터 통제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의 주차 통제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의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스위치가 적용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10)는 세대 내의 벽면에 설치 가능한 월 패드로 구성되며, 사각 프레임(11)의 전면에 사용자 터치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이 마련되고, 프레임의 배면에는 스마트 스위치 구동을 위한 각종 제어 모듈들이 구비된다. 스마트 스위치(10)는 전면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로 동시에 기능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 내의 홈 서버(300) 또는 단지 내의 공용 서버(300')와 연동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한다. 상기 홈 서버(300)는 세대 내부의 조명, 난방, 출입 등을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자 세대 내에 구비되는 서버이고, 공용 서버(300')는 엘레베이터, 주차 등을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단지 내의 관리실 등에 설치되는 서버이다. 스마트 스위치(10)는 홈 서버(300) 및 공용 서버(300')와 직간접적으로 연동된다.
상기 스마트 스위치(1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고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디스플레이부(110), 외부 장치나 기기 등과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120), 세대 내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30), 홈 서버(300)와 공용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40), 음성 메시지로 정보를 제공하는 오디오부(150) 및 관리실 또는 외부 기관에 비상 상황을 알리는 긴급호출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유무선 통신부(120), 센서부(130), 메모리부(140), 오디오부(150) 및 긴급호출부(16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통합 정보 제공부(100)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LCD 장치나 OLED 장치와 같은 표시장치로서 사용자 터치에 따른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세대 또는 단지 내부의 각종 기기 및 시설물에 대한 정보, 단지 내의 공지 정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생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정보표시부(111)와, 사용자 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화면입력부(112)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표시부(111)와 화면입력부(112)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영역 내에 제공되고, 상기 화면입력부(112)는 택배, 주차, 생활 정보, 공지 정보, 긴급, 일괄소등, 가스차단, 난방, 엘레베이터, 일괄제어, 외출 등의 메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면입력부(112)에 표시되는 메뉴들의 서브 메뉴들은 정보표시부(111)의 화면 변화에 따라 정보표시부(111)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별도의 고정입력부(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입력부(113)는 정보표시부(111)와 화면입력부(112) 영역 이외의 비화면 영역에 제공되며, 화면의 변화없이 고정된 메뉴를 제공한다. 고정입력부(113)에서는 긴급, 일광소등, 가스차단, 엘레베이터와 같이 화면입력부(112)에 표시되는 메뉴 중 한 번의 터치 동작으로 바로 실행될 수 있는 일부 메뉴들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입력부(113)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메뉴를 신속이 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무선 통신부(120)는 홈 서버(300), 공용 서버(300') 및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통신수단으로 유선 통신수단과 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선 통신수단은 홈 서버(300) 및 공용 서버(300')와 연결되는 통신포트로 RS-485와 같은 양 방향 직렬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무선 통신수단은 스마트 폰이나 리모트 콘트롤러와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한 통신수단으로 블루투스 모듈, RFID 모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수단은 외부의 웹 서버와 직접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LTE, WIFI 등의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LTE, WIFI 등의 상기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스마트 스위치(1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업데이트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0)는 실내의 밝기, 온도, 거주자의 유무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조도 감지센서, 온도 감지센서, 동작 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들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와 함께 조명 시설과 난방 시설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된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메뉴 정보, 홈 또는 단지의 기기 또는 시설물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된다.
상기 오디오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되는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문자음성 변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호출부(16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입력부(112) 또는 고정입력부(113)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긴급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관리실 및 외부 기관으로 비상 상황을 알리게 된다. 이때, 긴급호출부(160)는 관리실, 외부 기관과 함께 가족 등에게도 비상상황을 알리게 되며, 이를 위하여 가족들의 전화번호 등을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통합 정보 제공부(100)는 스마트 스위치(10)의 전면 디스플레이부 패널(12)을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디스플레이부(110) 및 오디오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10)는 세대 내 또는 단지 내의 시설물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모듈(210), 난방을 제어하는 난방 제어모듈(220), 세대 내부로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 제어모듈(230), 무인택배함을 제어하는 택배 제어모듈(240), 엘레베이터의 호출을 제어하는 E/V 제어모듈(250), 차량의 주차를 제어하는 주차 제어모듈(260) 및 공지 사항이나 날씨 등의 정보를 관리하는 생활정보 제공모듈(27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 제어모듈(210), 난방 제어모듈(220), 출입 제어모듈(230), 택배 제어모듈(240), E/V 제어모듈(250), 주차 제어모듈(260) 및 생활정보 제공모듈(27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세대 내의 기기 또는 단지 내의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들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 모듈부(200)로 기능한다.
상기 통합 제어 모듈부(200)의 각 제어모듈은 세대 내부의 시설물을 관리하는 홈 서버(300) 및 단지 내부의 공용 시설물을 관리하는 공용 서버(300')와 연동된다. 즉, 조명 제어모듈(210)은 세대 내의 조명을 관리하는 조명 관리서버(310)와 연결되고, 난방 제어모듈(220)은 세대 내의 냉난방을 관리하는 난방 관리서버(320)와 연결되며, 출입 제어모듈(230)은 출입문의 개폐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서버(330)와 연결된다. 또한, 택배 제어모듈(240)은 단지 내의 무인택배함을 관리하는 택배 관리서버(340)와 연결되고, E/V 제어모듈(250)은 단지 내의 엘레베이터 구동을 관리하는 E/V 관리버서(350)와 연결되며, 주차 제어모듈(260)은 단지 내의 차량 입출입 및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 관리서버(360)와 연결되고, 생활정보 제공모듈(270)은 단지를 대상으로 공지사항 등을 알리는 생활정보 관리서버(37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 관리서버(310), 난방 관리버서(320) 및 출입 관리서버(330)는 세대 내의 시설물을 관리하는 홈 서버(300)를 구성하고, 상기 택배 관리서버(340), E/V 관리서버(350), 주차 관리서버(360) 및 생활정보 관리서버(370)는 단지 내의 공공 시설물을 관리하는 공용 서버(3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서버들은 관리 주체에 따라 홈 서버(300) 또는 공용 서버(300')로 구분되거나 공용 서버(300')에서 통합하여 관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 제어 모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 스위치의 각 시설물에 대한 통제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조명 통제 시스템, 난방 통제 시스템, 출입 통제 시스템, 택배 통제 시스템, E/V 통제 시스템, 주차 통제 시스템 및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조명 통제 시스템은, 조명정보 입출력유닛(211), 조명정보 요청유닛(212), 조명정보 제공유닛(213), 조명 제어유닛(214)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모듈(210)과, 세대 내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장치(311)가 연결되는 조명 관리서버(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명 관리서버(310)는 스마트 스위치(10)의 조명 제어모듈(210)에서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각 조명장치(311)의 점등과 소등, 조도 등을 제어한다.
상기 조명정보 입출력유닛(211)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조명장치의 종류, 위치, 구동 상태 등에 대한 조명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조명장치에 대한 점등, 소등 및 조도 등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조명정보는 조명정보 제공유닛(213)으로부터 전달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는 조명 제어유닛(214)으로 전달된다.
상기 조명정보 요청유닛(212)은 조명 관리서버(310)에 조명장치들의 종류, 위치, 구동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조명정보 제공유닛(213)은 조명 관리서버(3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조명정보 입출력유닛(211)에 전달한다. 조명정보 입출력유닛(211)에 전달된 조명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조명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체 조명장치 또는 각 조명장치에 대한 정보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제어유닛(214)은 상기 조명정보 입출력유닛(211)을 통하여 전달되는 사용자의 제어정보를 조명 관리서버(310)에 제공하여 조명장치가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명 관리서버(310)는 스마트 스위치(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조명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난방 통제 시스템은, 난방정보 입출력유닛(221), 난방정보 요청유닛(222), 난방정보 제공유닛(223), 난방 제어유닛(224)을 포함하는 난방 제어모듈(220)과, 세대 내에 설치된 다수의 난방설비(321)가 연결되는 난방 관리서버(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난방 관리서버(320)는 스마트 스위치(10)의 난방 제어모듈(220)에서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각 난방설비의 온오프, 온도 등을 등을 제어한다. 상기 난방 제어모듈(220)은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냉방 제어를 포함한다.
상기 난방정보 입출력유닛(221)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난방시설의 종류, 구역, 용도, 구동 상태 등에 대한 난방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구역, 용도, 온도 등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난방정보는 난방정보 제공유닛(223)으로부터 전달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는 난방 제어유닛(224)으로 전달된다.
상기 난방정보 요청유닛(222)은 난방 관리서버(320)에 난방설비들의 종류, 구역, 용도, 구동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난방정보 제공유닛(223)은 난방 관리서버(3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난방정보 입출력유닛(221)에 전달한다. 난방정보 입출력유닛(221)에 전달된 난방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난방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내 전체 영역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각 구역별 난방에 대한 정보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난방 제어유닛(224)은 상기 난방정보 입출력유닛(221)을 통하여 전달되는 사용자의 제어정보를 난방 관리서버(320)에 제공하여 난방설비가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난방 관리서버(320)는 스마트 스위치(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각 난방설비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출입정보 입출력유닛(231), 출입정보 요청유닛(232), 출입정보 제공유닛(233), 출입 제어유닛(234)을 포함하는 출입 제어모듈(230)과, 세대 또는 건물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331)가 연결되는 출입 관리서버(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입 관리서버(330)는 스마트 스위치(10)의 출입 제어모듈(230)에서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각 출입구의 도어를 개폐한다. 이때, 각 도어에는 스마트 스위치(10)를 호출하는 호출장치와 카메라 장치가 함께 구비된다.
상기 출입정보 입출력유닛(231)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포함하는 출입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도어의 개폐 여부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출입정보는 출입정보 제공유닛(233)으로부터 전달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는 출입 제어유닛(234)으로 전달된다.
상기 출입정보 요청유닛(232)은 출입 관리서버(330)에 도어들의 위치, 개폐 상태, 카메라의 작동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출입정보 제공유닛(233)은 출입 관리서버(33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출입정보 입출력유닛(231)에 전달한다. 출입정보 입출력유닛(231)에 전달된 출입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출입정보는 건물 내부의 출입구와 해당 세대의 출입구에 대한 영상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 제어유닛(234)은 출입정보 입출력유닛(231)을 통하여 전달되는 사용자의 구동 정보를 출입 관리서버(330)에 제공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택배 통제 시스템은, 택배정보 입출력유닛(241), 택배정보 요청유닛(242), 택배정보 제공유닛(243)을 포함하는 택배 제어모듈(240)과, 단지 내에 설치된 무인택배 보관함(341)과 연결되는 택배 관리서버(3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택배 관리서버(340)는 무인택배 보관함에 택배가 도착하면 도착 정보를 택배 제어모듈(24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무인택배 보관함에는 택배의 도착을 감지하는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택배정보 입출력유닛(241)은 사용자로부터 택배 확인 여부의 정보를 입력받고, 택배 도착 유무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제공한다.
상기 택배정보 요청유닛(242)은 사용자의 택배 도착 확인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택배 관리서버(340)에 택배 도착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택배정보 제공유닛(243)은 택배 관리서버(340)로부터 전달되는 택배 도착 정보를 택배정보 입출력유닛(240)에 전달한다. 택배정보 입출력유닛(241)에 전달된 택배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확인 및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E/V 통제 시스템은, E/V정보 입출력유닛(251), E/V정보 요청유닛(252), E/V정보 제공유닛(253), 도착시간 산출유닛(254) 및 E/V 제어유닛(255)을 포함하는 E/V 제어모듈(250)과, 단지 내에 설치된 각 엘레베이터(351)와 연결되는 E/V 관리서버(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E/V 관리서버(350)는 단지 내의 특정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엘레베이터의 구동을 관리한다.
상기 E/V정보 입출력유닛(251)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각 엘레베이터의 고유번호, 위치, 이동 여부 등에 대한 E/V 구동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E/V 호출 여부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E/V 구동정보는 E/V정보 제공유닛(253)으로부터 전달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E/V 호출정보는 E/V 제어유닛(255)으로 전달된다.
상기 E/V정보 요청유닛(252)은 E/V 관리서버(350)에 각 엘레베이터의 위치, 이동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E/V정보 제공유닛(253)은 E/V 관리서버(350)로부터 제공되는 각 엘레베이터들의 정보를 E/V정보 입출력유닛(251)에 전달한다. E/V정보 입출력유닛(251)에 전달된 E/V 구동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E/V 구동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체 엘레베이터 및 각 엘레베이터에 대한 구동정보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착시간 산출유닛(254)은 사용자로부터 엘레베이터의 호출이 있는 경우 다수의 각 엘레베이터에 대한 도착 시간을 산출한다. 즉, 현재 엘레베이터가 위치해 있는 층과, 엘레베이터의 평균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각 엘레베이터가 사용자가 위치하는 층에 도착하는 시간을 산출한다.
엘레베이터는 이동 중 다른 층에 정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착시간 산출유닛(254)은 특정 엘레베이터에 대하여 특정 층에 정차하여 머무르는 시간을 포함하는 이동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그 결과를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데 활용한다. 즉, 도착시간 산출유닛(254)은 특정 엘레베이터의 누적된 데이터를 기초로 평균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사용자 층에 도착하는 시간을 산출한다. 따라서 엘레베이터 도착시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E/V정보 입출력유닛(251)은 상기 도착시간 산출유닛(254)에서 산출된 각 엘레베이터와 그 도착 시간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엘레베이터에 대한 호출을 입력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시간에 도착하는 엘레베이터를 선책하여 호출함으로써, 엘레베이터의 효율적인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E/V정보 입출력유닛(251)은 사용자에게 엘레베이터 도착 희망 시간을 요청하여 입력받고, 상기 도착시간 산출유닛(254)은 각 엘레베이터의 도착 시간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며, 상기 E/V 제어유닛(255)은 상기 도착시간 산출유닛(254)에서 산출된 도착 시간을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특정 엘레베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엘레베이터의 이동을 E/V 관리서버(350)에 요청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주차 통제 시스템은, 주차정보 입출력유닛(261), 주차정보 요청유닛(262) 및 주차정보 제공유닛(263)을 포함하는 주차 제어모듈(260)과, 단지 내의 각 주차 구역의 주차 감시 시설(361)과 연결되는 주차 관리서버(3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서버(360)는 각 주차 구역에 따라 차량의 진출입, 주차 위치 안내 등을 관리한다.
상기 주차정보 입출력유닛(261)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주차장 내의 주차 가능 위치, 사용자 차량의 현재 주차 위치 등을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주차정보는 주차정보 제공유닛(263)으로부터 전달받는다.
상기 주차정보 요청유닛(262)은 사용자로부터 주차 정보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주차 관리서버(360)에 주차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주차정보 제공유닛(263)은 주차 관리서버(360)로부터 전달되는 주차정보를 주차정보 입출력유닛(261)에 전달한다. 주차정보 입출력유닛(261)에 전달된 주차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은, 생활정보 입출력유닛(271), 생활정보 요청유닛(272) 및 생활정보 제공유닛(273)을 포함하는 생활정보 제공모듈(270)과, 외부 기관으로부터 전송되는 생활정보나 단지 내의 공지 사항을 제공하는 생활정보 관리서버(3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생활정보 입출력유닛(271)은 현재의 날씨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요청이 있거나 생활정보 관리서버(370)에서 새로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제공한다.
상기 생활보 요청유닛(272)은 생활정보 관리서버(370)에 생활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생활정보 제공유닛(273)은 생활정보 관리서버(370)로부터 전달되는 공지사항, 날씨 등의 정보를 생활정보 입출력유닛(271)으로 전달한다. 생활정보 입출력유닛(271)에 전달된 생활정보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생활정보는 날씨 정보 및 단지 내의 공지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정보 제공모듈(270)은 평소에는 날씨 정보를 상시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생활정보 관리서버(370)에서 새로운 공지 사항이 전송되는 경우 공지 사항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월 패드 구조의 스마트 스위치를 통하여 아파트의 각 세대 및 단지 내부의 시설물을 제어하고 각종 생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않더라고 스마트 스위치의 간단한 시공으로 홈 네트워크에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스마트 스위치
100 : 통합 정보 제공부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유무선 통신부
130 : 센서부 140 : 메모리부
150 : 오디오부 160 : 긴급호출부
200 : 통합 제어 모듈부
210 : 조명 제어모듈 220 : 난방 제어모듈
230 : 출입 제어모듈 240 : 택배 제어모듈
250 : E/V 제어모듈 260 : 주차 제어모듈
270 : 생활정보 제공모듈

Claims (5)

  1. 사용자의 터치 동작으로 구동되며, 세대 또는 단지 내의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세대 또는 단지 내의 시설물에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디스플레이부;와, 세대 또는 단지 내의 관리서버 및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한 유선 및 무선 통모듈을 구비하는 유무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 조명장치 구동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구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조명정보 입출력유닛과, 조명 관리서버에 조명장치의 구동정보를 요청하는 조명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조명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구동정보를 상기 조명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조명정보 제공유닛과, 상기 조명정보 입출력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조명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조명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조명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난방설비 구동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난방설비에 대한 구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난방정보 입출력유닛과, 난방 관리서버에 난방설비의 구동정보를 요청하는 난방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난방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구동정보를 상기 난방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난방정보 제공유닛과, 상기 난방정보 입출력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난방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난방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난방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난방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도어 개폐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도어에 대한 출입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입정보 입출력유닛과, 출입 관리서버에 도어의 출입정보를 요청하는 출입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출입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출입정보를 상기 출입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출입정보 제공유닛과, 상기 출입정보 입출력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출입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도어의 개폐가 구동되도록 하는 출입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출입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택배정보 확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택배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택배정보 입출력유닛과, 택배 관리서버에 택배의 도착 정보를 요청하는 택배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택배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택배정보를 상기 택배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택배정보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택배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엘레베이터 호출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엘레베이터에 대한 구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E/V정보 입출력유닛과, E/V 관리서버에 엘레베이터의 구동정보를 요청하는 E/V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E/V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E/V정보를 상기 E/V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E/V정보 제공유닛과, 엘레베이터의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도착시간 산출유닛과, 상기 E/V정보 입출력유닛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E/V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엘레베이터가 구동되도록 하는 E/V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E/V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주차정보 확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주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주차정보 입출력유닛과, 주차 관리서버에 주차정보를 요청하는 주차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주차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주차정보를 상기 주차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주차정보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주차 제어모듈;
    사용자로부터 생활정보 확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생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생활정보 입출력유닛과, 생활정보 관리서버에 생활정보를 요청하는 생활정보 요청유닛과, 상기 생활정보 관리서버에서 전달되는 생활정보를 상기 생활정보 입출력유닛에 제공하는 생활정보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생활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V 제어모듈의 E/V정보 입출력유닛은,
    사용자의 호출 제어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도착시간 산출유닛에서 산출된 각 엘레베이터의 도착시간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엘레베이터의 호출을 입력받는,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V 제어모듈의 E/V정보 입출력유닛은,
    사용자의 호출 제어 명령이 있는 경우 엘레베이터 도착 희망 시간을 요청하여 입력받고, 상기 E/V 제어유닛은 상기 도착시간 산출유닛에서 산출된 각 엘레베이터의 도착시간을 토대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도착 시간에 도착하는 엘레베이터가 구동되도록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상기 E/V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시간 산출유닛은,
    엘레베이터의 구동 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하고, 누적 정보를 기초로 평균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도착시간을 산출하는,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 제공모듈은,
    날씨 정보를 상시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생활정보 관리서버에서 새로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KR1020170132288A 2017-10-12 2017-10-12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KR20190041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288A KR20190041164A (ko) 2017-10-12 2017-10-12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288A KR20190041164A (ko) 2017-10-12 2017-10-12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164A true KR20190041164A (ko) 2019-04-22

Family

ID=6628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288A KR20190041164A (ko) 2017-10-12 2017-10-12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11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22B1 (ko) * 2019-08-08 2019-10-17 김희진 플랫폼 기반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KR102351437B1 (ko) * 2021-06-01 2022-01-17 (주)가이아이앤씨 홈 네트워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424A (ko) 2017-05-15 2017-06-07 황재식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KR20170091190A (ko) 2015-12-30 2017-08-09 주식회사 경동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190A (ko) 2015-12-30 2017-08-09 주식회사 경동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한 댁내제어장치용 거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2424A (ko) 2017-05-15 2017-06-07 황재식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22B1 (ko) * 2019-08-08 2019-10-17 김희진 플랫폼 기반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KR102351437B1 (ko) * 2021-06-01 2022-01-17 (주)가이아이앤씨 홈 네트워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44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ifferent entities
US20120310415A1 (en) Control panel for a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system
US201202457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entity
US20180347268A1 (en) Roller shutter controller
EP2328049A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 building
EP1701475A1 (en) Home appliance control in a virtual private network environment
CN109071153A (zh) 预设电梯呼叫
US20130054033A1 (en) Synergistic interface system for a building network
EP2984529B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ntrol signalling
US20150028113A1 (en) Zone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106233080A (zh) 命令和/或控制装置和系统
CN104321593A (zh) 便携信息终端的控制方法和程序
KR20190041164A (ko)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KR20120106075A (ko) 실내환경정보 제공 이동 단말기와 실내환경 제어 컴퓨터
CN108892012A (zh) 感知电梯位置的处理方法及装置
CN110537158A (zh) 显示方法、程序以及显示系统
KR102033622B1 (ko) 플랫폼 기반 지능형 스마트 스위치
KR101890893B1 (ko)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8295A (ko)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홈 시스템
KR102651672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현관용 스위칭 장치
JPWO2019173741A5 (ko)
KR102510499B1 (ko)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공동주택의 스마트홈 시스템
US20220279327A1 (en) Wirel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cuators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KR20060084507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5070470A (ja) 玄関端末及び玄関端末に接続される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