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772B1 -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772B1
KR101800772B1 KR1020160046220A KR20160046220A KR101800772B1 KR 101800772 B1 KR101800772 B1 KR 101800772B1 KR 1020160046220 A KR1020160046220 A KR 1020160046220A KR 20160046220 A KR20160046220 A KR 20160046220A KR 101800772 B1 KR101800772 B1 KR 10180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pecific
books
statistics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328A (ko
Inventor
신오심
조성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to KR102016004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77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서적들을 수용하는 책장들에 의해 형성된 특정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RFID 리더들과 연결된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서 수행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읽혀진 RFID 태그들로부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복수의 RFID 리드들을 통해 서적들의 열람 여부와 서적열람 통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OF READING BOOKS ANALYSIS, READING BOOKS ANALYSIS SE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람도서 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RFID 리드들을 통해 서적들의 열람 여부와 서적열람 통계를 분석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태그(tag)(예를 들어, RFID 등)는 내부에 안테나를 가지고 있어 무선으로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리더기(reader)는 무선 태그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더라도 태그에서 송신된 정보를 읽어 들 일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태그는 물류 처리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에 무선 태그를 부착하여 관리하면 많은 수의 도서를 관리하는 도서관이나 무인 도서 대여 시스템의 운영자는 간편하고 용이하게 도서를 관리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996 - 0015288호는 도서열람 탐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공도서관이나 기타 학교 도서관 등과 같이 다량의 도서들을 보관하고 있는 도서관의 서재에 보관중인 도서들을 서취하여 찾고자 하는 도서의 위치를 서재에 꽂혀진 위치와 관계없이 알 수 있도록 하는 도서열람 탐색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8342호는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자료보관소 내에서의 재고관리 및 위치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를 이용하여 도서관, 자료실, 기록보존소 등의 자료 보관소에서 선반에 비치된 서적 등의 자료들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자료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자료보관소 내에서의 자료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자료 위치 정보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996-0015288호 (1996.05.22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8342호 (2007.12.17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RFID 리드들을 통해 서적들의 열람 여부와 서적열람 통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으로 특정 공간의 서적들의 열람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도서별 열람 횟수 정보 및 열람 순위 조회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열람도서 분석을 통해 열람 빈도가 적은 도서들을 이용자가 많은 위치에 배치하지 않고 열람 빈도가 많은 도서들을 더 구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도서 열람 및 대출 할 수 있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열람도서 분석을 통해 장서 점검 과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약시키고 분실 서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서적들을 수용하는 책장들에 의해 형성된 특정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RFID 리더들과 연결된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서 수행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읽혀진 RFID 태그들로부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서적이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에 의해 특정 시간 이상 추적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상기 특정 서적이 상기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이 검출되면 상기 해당 책장의 대출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도서반납을 위한 북카트에 설치된 북카트 RFID 리더를 통해 상기 특정 서적이 검출되면 상기 특정 서적이 상기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북카트 RFID 리더를 통해 검출된 북카트 서적이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상기 해당 책장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검출되면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적들 중 특정 시간 동안 도서열람 통계가 갱신되지 않은 미갱신 서적을 확인하여 도서 관리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특정 시점 단위로 상기 복수의 서적들 중 도서열람 통계가 가장 많이 갱신된 상위 N개(상기 N은 자연수)의 빈발 열람 도서(들)을 검출하여 상시 베스트 열람도서와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현재 시간 구간 간의 열람 비율을 기초로 상기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시간 구간의 빈발 열람 도서를 기초로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람 비율은 아래의 수학식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112016036233143-pat00001
여기에서, R(t)는 열람 비율을 나타내는 값, 이전 시간 구간과 현재 시간 구간 간의 열람 비율을 기초로 베스트 열람도서 산출을 의미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열람도서 분석 서버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서적들을 수용하는 책장들에 의해 형성된 특정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RFID 리더들과 연결된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읽혀진 RFID 태그들로부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통계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한 기록매체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서적들을 수용하는 책장들에 의해 형성된 특정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RFID 리더들과 연결된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서 수행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읽혀진 RFID 태그들로부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검출하는 기능, 상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 및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복수의 RFID 리드들을 통해 서적들의 열람 여부와 서적열람 통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실시간으로 특정 공간의 서적들의 열람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도서별 열람 횟수 정보 및 열람 순위 조회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열람도서 분석을 통해 열람 빈도가 적은 도서들을 이용자가 많은 위치에 배치하지 않고 열람 빈도가 많은 도서들을 더 구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도서 열람 및 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열람도서 분석을 통해 장서 점검 과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약시키고 분실 서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도서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서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에 따라 구현된 서적열람 통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도서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람도서 분석 시스템(10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tag)(120), RFID 리더(130), 열람도서 분석 서버(140), 북카트(book cart) RFID 리더(150) 및 도서 관리단말(160)을 포함한다.
RFID 태그(120)는 객체(110)에 구비되어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운영자는 식별하고자 하는 객체(110)에 미리 태그(120)를 부착하여 객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110)는 서적(도서)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태그(120)는 능동형(active) 태그 또는 수동형(passive) 태그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능동형 태그는 별도로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독립적으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수동형 태그는 리더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RF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그(120)는 RF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태그(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배터리(능동형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리더(130)는 RFID 태그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서적들을 수용하는 책장들에 의해 형성된 특정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다. RFID 리더(130)는 특정 공간의 천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특정 공간의 천정에 기 설정된 거리 간격(예: 1m, 2m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기 설정된 책장들에 구비된 복수의 서적들을 스캔하여 서적들의 실시간 좌표를 추적할 수 있다. 즉,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은 기 설정된 구역 즉, 기 설정된 책장들을 기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스캔할 수 있다.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은 도서관 또는 서점 등과 같이 특정 공간에서 모든 서적들에 구비된 태그를 통해 모든 서적들의 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열람도서 분석 서버(140)는 복수의 RFID 리더(130)들에서 수집된 서적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서적들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열람도서를 통계한다.
이하, 열람도서 분석 서버(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다.
북카트 RFID 리더(150)는 북카트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북카트는 도서관의 특정 구역 또는 여러 구역에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열람한 서적들을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열람한 서적들을 해당 책장에 직접 찾아가지 않고 북카트에 위에 올려두면 도서관 관리자는 북카트에 수용된 서적들을 해당 책장에 정렬할 수 있다. 북카트 RFID 리더(150)는 북카트 내에 수용된 해당 서적들의 RFID 태그(120)을 읽어(또는 스캔)들여 해당 서적들이 초기에 정렬된 해당 책장의 위치 또는 현재 해당 서적의 실시간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도서 관리단말(160)은 복수의 서적들 중 특정 시간 동안 도서열람 통계가 갱신되지 않은 미 갱신 서적을 확인한다. 도서 관리단말(160)은 도서열람 통계를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도서 관리단말(160)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열람도서 분석 서버를 통해 수신된 도서열람 통계를 확인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도서 관리단말(160)은 태그 리더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 관리단말(16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모바일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람도서 분석 서버(140)는 위치 검출부(210), 위치 판단부(220), 제어부(230) 및 통계부(240)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부(210)는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을 통해 읽혀진 RFID 태그(120)들로부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해당 서적들의 위치는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서적들의 위치는 (0,0)부터 (100,100)에 이르는 좌표들 중에서 해당 서적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위치 판단부(220)는 위치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위치 판단부(220)는 위치 검출부(210)에서 RFID 리더(130)들을 이용하여 해당 서적들의 위치를 검출하면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해당 책장으로부터 기 설정된 특정 거리 이상 이격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위치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해당 서적들의 위치와 위치 판단부(220)에서 결정된 해당 서적과 해당 책장 간의 특정 거리 이상 이격 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통계부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계부(240)는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측정하고,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한다. 통계부(240)는 위치 검출부(210)에 의해 초기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와 위치 검출부(210)에 의해 현재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 간의 편차를 통해 특정 서적의 도서열람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통계부(240)는 특정 서적이 복수의 RFID 리더(130)들에 의해 위치가 추적되면 추적된 위치를 기초로 도서열람 통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특정 서적의 위치가 재 추적되면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특정 서적의 위치를 스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부(240)는 특정 서적이 복수의 RFID 리더(130)들에 의해 특정 시간 이상 추적되지 않으면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서적이 사용자에 의해 2시간 이상 열람되지 않으면 특정 서적은 원래 위치에 그대로 정렬되어 있어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은 특정 서적을 2시간 이상 동안 추적하지 않음으로 통계부(240)에서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기존에 통계된 정보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이 특정 서적을 추적하지 않았다는 것은 특정 서적이 사용자에 의해 열람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부(240)는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을 통해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이 확인되면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서적이 위치한 책장에서 특정 서적을 빼내 특정 서적이 위치한 책장이 아닌 다른 곳 즉, 열람실에 구비된 책상에 앉아 특정 서적을 열람하거나 특정 서적을 대출한 후 특정 서적을 반납하여 도서관 관리자에 의해 특정 서적을 특정 서적이 구비된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정렬하면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은 특정 서적을 스캔 즉, 추적하여 특정 서적에 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부(240)는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이 검출되면 해당 책장의 대출 여부를 확인하여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적이 사용자에 의해 해당 책장에서 벗어난 후 다시 해당 책장으로 돌아와 정렬되면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은 특정 서적의 위치를 재 추적 즉, 재 스캔하여 통계부(240)에 특정 서적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통계부(240)는 해당 책장의 대출 여부를 확인하여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책장의 대출 여부와 도서열람 통계 갱신은 특정 도서를 열람 또는 대출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특정 도서가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도서의 열람 횟수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부(240)는 도서반납을 위한 북카트에 설치된 북카트 RFID 리더(150)를 통해 특정 서적이 검출되면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서적을 북카트에 올려두면 북카트 RFID 리더(150)는 북카트 내에 수용된 특정 서적의 위치를 추적하여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에 돌아온 거와 같이 반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해당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에는 정렬되어 있지 않지만 북카트 내에 수용되었으므로 곧 도서관 관리자에 의해 해당 책장으로 돌아와 정렬될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북카트 RFID 리더(150)를 통해 북카트 내에 수용된 특정 서적이 검출되면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후 다른 사용자에 의해 북카트 내에 수용된 특정 서적을 다른 위치 즉, 북카트 주변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하여 열람하면 특정 서적은 복수의 RFID 리더(130)들에 의해 현재 특정 서적의 위치를 검출하여 다시 열람 또는 대출된 것으로 통계부(240)에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부(240)는 북카트 RFID 리더(150)를 통해 검출된 북카트에 수용된 서적이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을 통해 해당 책장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검출되면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북카트 내에 수용되어 북카트 RFID 리더(150)를 통해 검출된 특정 서적은 북카트 근처에 설치된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을 통해 특정 서적이 초기에 정렬되었던 위치 즉, 해당 책장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 즉, 현재 특정 서적이 수용된 북카트 위치를 검출하면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부(240)는 특정 시점 단위로 복수의 서적들 중 도서열람 통계가 가장 많이 갱신된 상위 N개(N은 자연수)의 빈발 열람 도서(들)을 검출하여 베스트 열람도서와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시점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특정 시점 즉, 특정 시간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부(240)는 최근 일주일(168시간) 동안 복수의 서적들 중 도서열람 통계가 가장 많이 갱신된 상위 100개의 빈발 열람 도서들을 검출하여 베스트 열람도서와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현재 시간 구간 간의 열람 비율을 기초로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하고, 현재 시간 구간의 빈발 열람 도서를 기초로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베스트 열람도서는 최근 일주일 동안의 열람 비율과 현재 시간 구간 즉, 오늘 하루 종일의 열람 비율을 기초로 열람이 가장 많은 도서 20개를 의미하며,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는 오늘 하루 종일의 빈발 열람 도서를 기초로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 즉, 열람이 가장 많은 도서 20개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열람 비율은 아래의 수학식1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36233143-pat00002
여기에서, R(t)는 열람 비율을 나타내는 값, 이전 시간 구간과 현재 시간 구간 간의 열람 비율을 기초로 베스트 열람도서 산출을 의미한다.
이하,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서 수행하는 서적들의 위치 정보 분석 및 열람도서 통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서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검출부(210)는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읽혀진 RFID 태그들로부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검출한다(S301). 여기에서, 해당 서적들의 위치는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서적들의 위치는 (0,0)부터 (100,100)에 이르는 좌표들 중에서 해당 서적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위치 판단부(220)는 위치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302). 예를 들어, 위치 판단부(220)는 위치 검출부(210)에서 RFID 리더(130)들을 이용하여 해당 서적들의 위치를 검출하면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해당 책장으로부터 기 설정된 특정 거리 이상 이격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다.
통계부(240)는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측정하고,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한다(S303). 통계부(240)는 위치 검출부(210)에 의해 초기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와 위치 검출부(210)에 의해 현재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 간의 편차를 통해 특정 서적의 도서열람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통계부(240)는 특정 서적이 복수의 RFID 리더(130)들에 의해 위치가 추적되면 추적된 위치를 기초로 도서열람 통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특정 서적의 위치가 재 추적되면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RFID 리더(130)들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특정 서적의 위치를 스캔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에 따라 구현된 서적열람 통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람도서 분석 시스템(100)은 열람도서 분석 서버(140)를 통해 도서들의 열람횟수에 따라 가장 많이 열람한 도서들의 통계를 열람통계 그래프 및 열람통계 순위별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람도서 분석 시스템(100)은 PC,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에 열람도서 검색부(401), 열람도서 통계 그래프 표시부(402) 및 열람도서 목록 표시부(403)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열람도서 검색부(401)는 검색일자(기간) 또는 도서등록번호를 입력하여 열람도서 통계를 조회하는 것을 의미하고, 검색일자, 도서등록번호, 서명, 저자 또는 출판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검색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열람도서 통계를 조회할 수 있다. 열람도서 통계 그래프(402)는 조회된 열람도서 통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의미하며, 열람도서 목록 표시부(403)는 조회된 열람도서 통계에 대한 열람순위, 도서명, 도서등록번호, 청구기호, 권차, 자료실명 또는 열람통계수를 포함한 다양한 열람도서 통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람도서 분석 시스템(100)은 가장 많이 열람한 도서들을 열람 횟수에 따라 그래프 및 순위별로 나타냄으로써 도서관 사용자 및 도서관 관리자가 베스트 열람도서들을 보다 용이하게 한 눈에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복수의 RFID 리드들을 통해 서적들의 열람 여부와 서적열람 통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특정 공간의 서적들의 열람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도서별 열람 횟수 정보 및 열람 순위 조회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열람도서 분석을 통해 열람 빈도가 적은 도서들을 이용자가 많은 위치에 배치하지 않고 열람 빈도가 많은 도서들을 더 구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도서 열람 및 대출할 수 있다. 열람도서 분석 방법은 열람도서 분석을 통해서 점검 과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약시키고 분실 서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열람도서 분석 시스템 110 : 서적
120 : RFID 태그 130 : RFID 리더
140 : 열람도서 분석 서버 150 : 북카트 RFID 리더
160 : 도서 관리단말 210 : 위치 검출부
220 : 위치 판단부 230 : 제어부
240 : 통계부 401 : 열람도서 검색부
402 : 열람도서 통계 그래프 403 : 열람도서 목록 표시부

Claims (12)

  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서적들을 수용하는 책장들에 의해 형성된 특정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RFID 리더들과 연결된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서 수행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읽혀진 RFID 태그들로부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상기 해당 서적들 중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특정 서적이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에 의해 특정 시간 이상 추적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와 현재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 간의 편차를 기초로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특정 시점 단위로 상기 복수의 서적들 중 도서열람 통계가 가장 많이 갱신된 상위 N개(상기 N은 자연수)의 빈발 열람 도서(들)을 검출하여 상시 베스트 열람도서와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상기 특정 서적이 상기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이 검출되면 상기 해당 책장의 대출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도서반납을 위한 북카트에 설치된 북카트 RFID 리더를 통해 상기 특정 서적이 검출되면 상기 특정 서적이 상기 해당 책장의 위치에 다시 돌아온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북카트 RFID 리더를 통해 검출된 북카트 서적이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상기 해당 책장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검출되면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적들 중 특정 시간 동안 도서열람 통계가 갱신되지 않은 미갱신 서적을 확인하여 도서 관리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전 시간 구간과 현재 시간 구간 간의 열람 비율을 기초로 상기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시간 구간의 빈발 열람 도서를 기초로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 비율은
    아래의 수학식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
    [수학식1]
    Figure 112016036233143-pat00003

    여기에서, R(t)는 열람 비율을 나타내는 값
  1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서적들을 수용하는 책장들에 의해 형성된 특정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RFID 리더들과 연결된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읽혀진 RFID 태그들로부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상기 해당 서적들 중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특정 서적이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에 의해 특정 시간 이상 추적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와 현재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 간의 편차를 기초로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통계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계부는
    특정 시점 단위로 상기 복수의 서적들 중 도서열람 통계가 가장 많이 갱신된 상위 N개(상기 N은 자연수)의 빈발 열람 도서(들)을 검출하여 상시 베스트 열람도서와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하는 통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12.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서적들을 수용하는 책장들에 의해 형성된 특정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RFID 리더들과 연결된 열람도서 분석 서버에서 수행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을 통해 읽혀진 RFID 태그들로부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검출하는 기능;
    상기 해당 서적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상기 해당 서적들 중 특정 서적이 해당 책장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 및
    상기 특정 서적이 상기 복수의 RFID 리더들에 의해 특정 시간 이상 추적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와 현재 검출된 특정 서적의 위치 간의 편차를 기초로 상기 특정 서적에 관한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도서열람 통계를 갱신하는 기능은
    특정 시점 단위로 상기 복수의 서적들 중 도서열람 통계가 가장 많이 갱신된 상위 N개(상기 N은 자연수)의 빈발 열람 도서(들)을 검출하여 상시 베스트 열람도서와 최근 베스트 열람도서를 결정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도서 분석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60046220A 2016-04-15 2016-04-15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80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20A KR101800772B1 (ko) 2016-04-15 2016-04-15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20A KR101800772B1 (ko) 2016-04-15 2016-04-15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28A KR20170119328A (ko) 2017-10-27
KR101800772B1 true KR101800772B1 (ko) 2017-11-27

Family

ID=6030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20A KR101800772B1 (ko) 2016-04-15 2016-04-15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583B1 (ko) * 2018-01-23 2018-05-31 주식회사 뮤엠교육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스마트 책장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4911B2 (ja) * 2005-03-18 2012-09-12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書籍の閲覧状況監視システムおよび書籍情報統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4911B2 (ja) * 2005-03-18 2012-09-12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書籍の閲覧状況監視システムおよび書籍情報統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28A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093B1 (ko) 유비쿼터스 도서 관리 시스템
US9521518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ject location tracking
CN103268730B (zh) 在电子地图界面上显示关联标注点的方法和装置
US201301275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n item attached to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CN104462530A (zh) 用户喜好的分析方法及装置、电子设备
EP2000877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location
CN101609529A (zh) 一种图书馆书籍快速搜索定位系统
US20150026166A1 (en) Apparatus for recommending contents using hierarchical context model and method thereof
CN101727604B (zh) 基于射频识别的数据精简系统和技术
CN102902450A (zh) 终端及其显示数据的方法
JP2005228146A (ja) 書籍管理方法および書籍管理システム
KR101800772B1 (ko)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2005008346A (ja) 物品配置管理システム
KR20060088481A (ko)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이용한물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203481A (ja)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品管理方法
KR101336124B1 (ko) 도서관 도서 위치관리시스템 및 도서관 도서 위치관리방법
CN104123282A (zh) 一种选择超链接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10238007A (ja) 配置管理装置および配置管理プログラム
US20180285607A1 (en) Tracking of assets
KR101879857B1 (ko)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485043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선반 스캐닝 재고조사 시스템
JP2016057647A (ja) 物品の検索方法および物品の検索支援システム
Rehman et al. Implementation of Library management system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in Sindh libraries
KR102192682B1 (ko) 초근접 직접통신 기반 nfc 리더를 이용한 문서 및 물품 수납장 및 이를 이용한 문서 및 물품 수납 방법
CN209965678U (zh) 一种物联网的智能书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