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857B1 -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857B1
KR101879857B1 KR1020120047653A KR20120047653A KR101879857B1 KR 101879857 B1 KR101879857 B1 KR 101879857B1 KR 1020120047653 A KR1020120047653 A KR 1020120047653A KR 20120047653 A KR20120047653 A KR 20120047653A KR 101879857 B1 KR101879857 B1 KR 10187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motion
user terminal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043A (ko
Inventor
강문순
박장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4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857B1/ko
Priority to US13/886,621 priority patent/US9226112B2/en
Publication of KR2013012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에서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이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당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service using virtual tagging gesture}
본 발명은 전자 태그 존재 없이, 전자 태그를 태깅하는 동작으로 특정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코드를 대체하여 전자태그를 상품, 물건, 시설물, 동식물, 제품, 재고자산 등의 개체에 부착하여 각종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활용을 위해 정부기관, 기업, 생산자, 유통 및 물류 업계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종래와 달리 최근에는 휴대용 장치에도 전자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고 있으며, 해당 휴대용 장치를 통해 다양한 개체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 태그를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전자 태그 인식을 위해 전자 태그를 특정 대상물에 삽입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자 태그 존재 없이, 전자 태그를 태깅하는 동작으로 특정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태그 존재 없이, 전자 태그를 태깅하는 동작으로 특정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이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조건에서의 상기 감지된 모션을 가상 태깅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조건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특정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은 센서를 통해 감지된 모션에 대한 모션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대상물 인근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 수신에 따라 상기 위치에 설치된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은 감지된 모션에 대한 모션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에 대해 가상 동작 패턴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서비스 정보 중 상기 모션 정보에 일치하는 가상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은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에 대해 시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서비스 정보 중 상기 시간 정보에 일치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은 환경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에 대해 특정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서비스 정보 중 상기 환경 정보에 일치하는 특정 환경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 태그 존재 없이, 전자 태그를 태깅하는 동작으로 특정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이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에 설치된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모션을 가상 태깅 모션으로 인지하는 것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특정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을 상기 가상 태깅 동작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은,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된 모션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태그 존재 없이, 전자 태그를 태깅하는 동작으로 특정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별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별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대상물은, 광고가 노출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디스플레이 대상물로, 전자 태그가 부착되지 않은 대상물이다. 여기서, 전자 태그는 RFID 태그, NFC 태그와 같은 전자 대상물뿐만 아니라, N차원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QR 코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대상물은 전자 태그는 부착되어 있지 않으나, 해당 대상물을 통해 특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상 태깅 패턴을 당해 대상물의 일부분을 통해 노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대상물을 통해 특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상 태깅 패턴을 해당 대상물을 통해 노출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 방법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대상물(보다 상세하게, 대상물을 통해 노출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에 관련된 특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상 태깅 패턴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인쇄물을 통해 특정 위치에서 대상물을 통해 노출되는 특정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상 태깅 패턴이 인쇄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태깅 동작을 통해 특정 위치의 대상물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 태깅 동작은 대상물에 부착된 전자 태그를 태깅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태그가 부착되지 않은 대상물에서, 마치 전자 태그가 부착된 대상물에서 전자 태그를 태깅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의미한다. 여기서, 가상 태깅 동작은 미부착된 전자 태그를 태깅하는 듯한 동작을 지칭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 패턴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하패턴(예를 들어, 삼각형, 원)을 그리는 동작이나 일정 시간내에 N회 태깅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유형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대상물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요청은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시간, 환경 정보 및 모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감지된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로, 예를 들어, 온도, 습도, 소음 등일 수 있다. 또한, 환경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감지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위치 기반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포함된 위치, 시간 및 모션 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130)를 조회하여 상응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의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서비스 서버(120)에서 대상물에 관련된 특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특정 정보 이외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데이터베이스(130)는 각 서비스 정보와 속성 정보가 대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각 대상물에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정보를 나타낸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서비스 정보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서비스 정보 이외에도 특정 서비스, 특정 콘텐츠, 특정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잇다.
속성 정보는 해당 서비스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예를 들어, 위치, 시간 및 가상 태깅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당해 서비스 제공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시간 및 가상 태깅 패턴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통신부(210), 입력부(215), 센서(220), 위치 획득부(225),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235)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부(215)는 사용자로부터 당해 사용자 단말(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또는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15)는 터치패드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키버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220)는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센서(220)는 사용자 단말(110)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모션을 프로세서(24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20)는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모션 센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20)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조건에서의 해당 사용자 단말(110)의 모션을 감지하여 프로세서(2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일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특정 조건은 특정 웹 페이지가 노출된 상태일 수도 있다.
위치 획득부(225)는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위치 획득부(225)는 GSP 모듈을 구비하여, 해당 GPS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 획득부(225)는 통신 시스템(미도시)에 접속하여 셀 방식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GPS 방식을 통한 위치 획득 방법, 통신 시스템을 통해 셀 방식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이미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위치 획득부(225)는 당해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하는 무선 중계기(예를 들어, AP) 식별 정보를 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메모리(235)에 저장되거나 외부에서 획득된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화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입력부(215)와 디스플레이부(230)가 독립된 구성 요소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 방법에 따라 입력부(215)와 디스플레이부(230)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이, 하나의 통합된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235)는 사용자 단말(11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알고리즘, 어플리케이션, 센서(220)를 통해 감지된 모션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210), 입력부(215), 센서(220), 위치 획득부(225),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235)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센서(220)를 통해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상 태깅 동작이면,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이 위치한 위치의 특정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표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40)는 특정 조건하에서 센서(220)를 통해 감지된 모션을 가상 태깅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특정 조건은 서비스 서버(120)를 통해 배포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특정 조건은 해당 서비스 서버(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된 특정 웹 페이지가 실행(또는 노출)된 상태일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일정 시간 동안 센서(220)를 통해 감지된 모션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기준 패턴과 일치하면, 가상 태깅 동작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40)는 센서(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준 패턴을 사전에 등록받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세서(240)가 사용자로부터 등록된 기준 패턴을 이용하여 가상 태깅 동작을 인식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해당 기준 패턴 이후 동작을 가상 태깅 동작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태깅 동작은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사전 정의한 기준 패턴으로 인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기준 패턴으로 가상 태깅 여부를 판단하여 서버에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모든 사용자에게 공동으로 제공되는 특정위치별 시간대에 상응하여 특정 모션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20)는 통신부(310), 등록부(315), 추출부(320) 및 서버 제어부(3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여 서버 제어부(325)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서버 제어부(325)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등록부(315)는 관리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각 대상물에 대응하여 제공할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등록부(315)는 각 대상물에 전자 태그가 부착되지 않아, 각 대상물을 식별할 수 없으므로, 해당 대상물에 대한 정보와 해당 대상물이 설치된 위치 정보를 등록받는다. 또한, 등록부(315)는 각 대상물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정보 및 해당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또는 노출된) 시간 정보를 함께 등록받을 수 있다. 즉, 등록부(315)는 하나의 대상물에 대해 각 시간에 따라 상이하게 제공할 복수의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등록부(315)는 하나의 대상물에 대해 특정 패턴에 따라 상이하게 제공할 복수의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패턴별로 상이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시간과 패턴을 조합하여, 동일 시간대에 사용자 단말(110)의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 정보가 해당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추출부(3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제공 요청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시간을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130)를 조회하여 해당 추출된 위치 정보 및 시간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서비스 제공 요청이 모션 또는 모션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경우, 추출부(320)는 위치 정보, 시간 및 모션 또는 모션 패턴에 일치하는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5)는 추출부(320)를 통해 추출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별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각 대상물 및 해당 대상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등록받는다.
여기서, 대상물은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디스플레이 대상물일 수도 있으며, 버스와 같은 이동체일 수도 있다. 또한, 대상물은 광고 게시판과 같은 사물일 수도 있다.
단계 415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해당 대상물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는다.
단계 420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각 대상물에 관련하여 등록된 서비스 정보에 대한 노출 패턴을 등록받는다.
여기서, 노출 패턴은 시간 및 동작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 패턴이 시간인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각 시간별로 해당 대상물에 관련하여 노출할 상이한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노출 패턴이 동작 패턴이면, 서비스 서버(120)는 각 동작 패턴별로 해당 대상물에 관련하여 노출할 상이한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노출 패턴은 시간 및 동작 패턴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해당 대상물에 관련하여 각 시간별로 동작 패턴에 따라 각각 상이한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은 후,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별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대상물에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5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모션을 감지한다.
단계 51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태깅 동작을 기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조건하에서 감지된 모션을 가상 태깅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이거나, 특정 웹페이지가 실행(또는 노출)된 상태일 수도 있다.
만일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이 아니면, 단계 51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이면, 단계 5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GPS 모듈을 이용한 방법과 통신 시스템을 통해 셀 방식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이어, 단계 52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현재 위치 정보, 시간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요청은 감지된 모션에 대한 패턴 정보(모션 패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계 530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시간을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 및 시간에 일치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한다.
만일 서비스 제공 요청이 모션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위치 정보, 시간 및 모션 패턴에 일치하는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할 수도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서비스 제공 요청은 위치 정보 및 모션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위치 정보 및 모션 패턴에 일치하는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할 수도 있다.
단계 535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추출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도 6 및 도 7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의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특정 대상물 앞에서,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10)을 움직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당해 사용자 단말(110)에서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상 태깅 동작이면, 감지된 모션에 대한 정보(모션 정보)와,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요청은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120)는 해당 서비스 제공 요청에 포함된 모션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모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해당 대상물에 상응하는 이벤트 응모를 위한 서비스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일한 대상물 앞에서, 도 7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10)을 움직였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에 포함된 모션 정보와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공연 예매에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대상물 앞에서의 사용자 단말(110)의 가상 태깅 동작에 상응하여 각각 상이한 서비스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대상물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대상물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대상물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대상물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대상물(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대상물(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대상물(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서비스 서버
130: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이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물과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 정보들 중에서,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에 따라 결정된 특정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 정보는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조건에서 상기 모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특정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은 환경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 정보는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사용자 단말에서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이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물과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 정보들 중에서,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에 따라 결정된 특정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 정보는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특정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은, 환경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 정보는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사용자 단말의 가상 태깅 동작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모션이 가상 태깅 동작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대상물 별로 복수의 서비스 정보들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근에 위치한 특정 대상물을 결정하고, 상기 특정 대상물과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 정보들 중에서,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에 따라 결정된 특정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 정보는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는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은 환경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정보들 중에서,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따라 결정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대상물의 위치 정보, 모션의 패턴 정보 및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근에 위치한 대상물과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 정보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정보들 중에서,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및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결정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특정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은 환경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의 패턴 정보, 상기 모션이 감지된 시점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1020120047653A 2012-05-04 2012-05-04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79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53A KR101879857B1 (ko) 2012-05-04 2012-05-04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3/886,621 US9226112B2 (en) 2012-05-04 2013-05-03 Motion based service provi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53A KR101879857B1 (ko) 2012-05-04 2012-05-04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043A KR20130124043A (ko) 2013-11-13
KR101879857B1 true KR101879857B1 (ko) 2018-07-18

Family

ID=4951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653A KR101879857B1 (ko) 2012-05-04 2012-05-04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26112B2 (ko)
KR (1) KR101879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4748B (zh) * 2013-05-29 2018-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操作模式的切换和呈现方法及终端
US10643148B2 (en) * 2016-06-02 2020-05-05 Facebook, Inc. Ranking of news feed in a mobile device based on local signals
US11164197B2 (en) * 2018-04-13 2021-11-02 Shopper Scientist Llc Shopping time allocated to product exposure in a shopping environ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2247A1 (en) * 2005-08-05 2007-02-08 Shaffer James D Automated concierge system and method
KR20080087059A (ko) * 2007-01-08 2008-09-30 (주)필링크 배경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8699A (ko) * 2008-10-06 2010-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가상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콘텐츠 수신 방법
US20100317371A1 (en) * 2009-06-12 2010-12-16 Westerinen William J Context-based interaction model for mobile devices
KR20110032765A (ko) * 2009-09-24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인식 및 센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36145B1 (ko) * 2010-11-24 2012-04-17 와플스토어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2247A1 (en) * 2005-08-05 2007-02-08 Shaffer James D Automated concierge system and method
KR20080087059A (ko) * 2007-01-08 2008-09-30 (주)필링크 배경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8699A (ko) * 2008-10-06 2010-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가상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콘텐츠 수신 방법
US20100317371A1 (en) * 2009-06-12 2010-12-16 Westerinen William J Context-based interaction model for mobile devices
KR20110032765A (ko) * 2009-09-24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인식 및 센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36145B1 (ko) * 2010-11-24 2012-04-17 와플스토어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043A (ko) 2013-11-13
US20130295964A1 (en) 2013-11-07
US9226112B2 (en)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548B1 (ko) 전자 태그 위치 측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90053878A (ko) 주문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228478B1 (ko)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EP200087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location
CN102156891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系统和程序
US107264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909733B1 (ko)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US9942722B2 (en) Tracking a mobile unit in a housing facility for mobile units
JP201907915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物品提供システム
KR101879857B1 (ko)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546815B1 (en) System and method of alarm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CN105653589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130137489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esh Shopping by blind people: Detection of interactions in ambient assisted living environments using RFID
KR101479834B1 (ko) 사용자 행태 기반 광고 노출 방법 및 장치
KR101514045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299043B2 (en) Virtual machine-readable tags using sensor data environmental signatures
KR101595797B1 (ko)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R101332928B1 (ko) 멀티 태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929573B2 (ja) 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2249997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4884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 geographical location of an unmapped object within a defined environment
KR20170119328A (ko) 열람도서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열람도서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060127352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소품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050090500A (ko) 범용 rfid태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