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045B1 -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045B1
KR101514045B1 KR1020120043258A KR20120043258A KR101514045B1 KR 101514045 B1 KR101514045 B1 KR 101514045B1 KR 1020120043258 A KR1020120043258 A KR 1020120043258A KR 20120043258 A KR20120043258 A KR 20120043258A KR 101514045 B1 KR101514045 B1 KR 10151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ging
user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electronic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191A (ko
Inventor
강문순
박장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4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0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태그를 태깅한 이력을 누적하여 저장한 후 태깅 이력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전자 태그를 태깅한 이력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코드를 대체하여 전자태그를 상품, 물건, 시설물, 동식물, 제품, 재고자산 등의 개체에 부착하여 각종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활용을 위해 정부기관, 기업, 생산자, 유통 및 물류 업계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종래와 달리 최근에는 휴대용 장치에도 전자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고 있으며, 해당 휴대용 장치를 통해 다양한 개체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전자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서버에 저장된 일차원적 정보를 단순히 제공받는 형태로 제공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2266호(2007.04.23)
본 발명은 전자 태그를 태깅한 이력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태그를 태깅한 이력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태그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 태그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깅 정보를 수신하여 태깅 이력으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태깅 패턴을 등록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깅 패턴 중 상기 태깅 이력이 일치하는 태깅 패턴이 존재하면, 상기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태깅 패턴에 따라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함께 등록받아 저장하고, 상기 태깅 이력에 일치되는 태깅 패턴에 따른 상기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태그 태깅시 상기 전자 태그에 따른 사용자 지정 용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저장 영역에서 추출하여 상기 태깅 정보에 더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태깅 이력이 기저장된 태깅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에 따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를 포함하는 태깅 정보가 수신된 이후의 태깅 이력을 상기 태깅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태깅 패턴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횟수, 일정 시간 동안 N개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태깅 정보 및 일정 시간 동안 정해진 M개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순서, 태깅한 위치 및 일정 시간순으로 태깅한 위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깅 패턴을 등록받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태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태깅 이력으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태깅 이력이 상기 태깅 패턴에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태깅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깅 패턴과 상기 태깅 패턴에 따른 지정된 서비스를 함께 등록받으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태깅 패턴에 따라 등록된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지정 용도를 더 수신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에 따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지정 용도를 더 수신하되,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가 수신된 이후 누적 저장된 태깅 이력에 대해 상기 태깅 패턴과의 일치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은 복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 태그를 태깅한 이력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태깅 정보는 상기 전자 태그를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포함함; 상기 태깅 정보를 누적하여 태깅 이력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태깅 이력이 기등록된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일치하면,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태깅 정보는 상기 전자 태그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사용자 지정 용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에 따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태깅 이력이 기등록된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태깅 패턴을 등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태깅 패턴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횟수, 일정 시간 동안 N개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태깅 정보 및 일정 시간 동안 정해진 M개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순서, 태깅한 위치 및 일정 시간순으로 태깅한 위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태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태그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사용자 지정 용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태깅 이력이 기등록된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가 수신된 이후 누적 저장된 태깅 이력을 상기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상기 지정된 서비스는 인증 서비스 또는 알림 서비스이다.
상기 지정된 서비스가 인증 서비스이면,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서비스가 알림 서비스이면,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태깅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전자 태그를 태깅한 이력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전자 태그 태깅 이력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전자 태그 태깅 이력을 이용하여 출입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전자 태그 태깅 이력을 이용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 태그(110), 사용자 단말(120) 및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전자 태그(110)는 각각의 사물(예를 들어, 정류장 안내보드, 전신주, 광고 전단지, 각 매장 입구 등)에 부착된다. 각 전자 태그(110)는 전자 태그를 공급한 공급자 또는 전자 태그를 사물에 부착한 광고주 등에 의해 해당 전자 태그에 고유 태그 정보 및 태그 용도 중 적어도 하나가 태그 정보로 저장된다. 여기서, 고유 태그 정보는 예를 들어, 태그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태그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유알아이(URI), 전화번호, 태그별로 할당되는 일련번호 정보) 등과 같이, 태그를 공급한 공급자 또는 광고주에 의해 저장된 고유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태그 용도는 해당 전자 태그에 대한 서비스 구분을 위한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로, 이 또한 전자 태그를 공급한 공급자 또는 광고주에 의해 지정된 용도일 수 있다. 여기서, 태그 용도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지정 용도와 구별되는 전자 태그에 고유하여 부여 또는 저장된 서비스 구분 정보를 의미한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전자 태그에는 태그 용도가 태그 정보로써 저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전자 태그에는 전자 태그(110)에 대한 고유한 고유 태그 정보만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자 태그(110)는 예를 들어,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전자 태그가 RFID 태그, NFC 태그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N차원 코드의 형태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각 사물에 부착된 전자 태그(110)의 태깅에 따른 태깅 이력을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저장한 후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의 전자 태그(110)의 태깅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태깅 정보라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태깅 정보는 전자 태그(110)의 태깅에 따라 해당 전자 태그(110)를 통해 획득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전자 태그(110)에 상응하여 설정된 사용자 지정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지정 용도 이외에도, 전자 태그(110)의 태깅 시점에 사용자 단말(12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시간,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 주변 환경 정보(소리, 빛, 온도 등))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를 구비한 장치이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자 태그(110) 태깅에 따라 태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태깅 정보를 단말 정보와 매핑하여 태깅 이력으로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이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의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20) 또는 사용자 단말(120)이 미리 등록한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사용자 단말(12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지정된 서비스가 인증 및 알림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부(210), 판독기(215), 입력부(220), 센싱부(225),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35)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신부(210)가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통신부(210)는 복수의 통신 모듈(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판독기(215)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판독기(215)는 전자 태그(110)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태그 정보를 제어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 정보는 태그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 용도는 해당 전자 태그(110) 공급자 또는 광고주에 의해 지정된 고유한 용도를 나타낸다.
입력부(220)는 사용자 단말(1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선택 명령,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실행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키, * 또는 #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어플리케이션 실행키 등)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센싱부(22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센싱부(225)는 사용자 단말(120)의 움직임에 따른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25)는 자이로스코프, 자기 센서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부(225)는 사용자 단말(120)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의 이동 방향(즉, 어느 방향으로 움직였는지) 또는 회전 정도(예를 들어, 회전 각도)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또는 자기 센서에 의해 이동 방향 또는 회전 정도를 계측/생성하는 방법은 이미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입력/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화면(LCD)일 수 있다.
저장부(235)는 사용자 단말(12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이외에도, 저장부(235)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입력되거나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210), 판독기(215), 입력부(220), 센싱부(225),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240)는 판독기(215)를 통해 태그 정보가 입력되면,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태깅 정보는 사용자 단말(120)의 전자 태그에 대해 설정한 사용자 지정 용도 및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지정 용도는 전자 태그에 지정된 용도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해당 전자 태그에 대해 설정된 용도로 각 사용자별로 상이하게 사용자 단말(120)상에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지정 용도는 서비스 제공 서버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에 대해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120)이 GPS 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태깅 정보에 포함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각 사용자 단말(120)은 이동통신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태깅 정보에 포함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물론,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되어 각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3 설명]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데이터 통신부(310), 등록부(315), 정보 획득부(320), 분석부(325), 메시지 생성부(330), 저장부(335) 및 서버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태깅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 제어부(34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310)는 서버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인증 정보 또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등록부(315)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태깅 패턴을 등록받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태깅 패턴은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전에 등록한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른 패턴으로, 예를 들어, 태깅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횟수,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에 대한 태그 정보, 일정 시간 동안 복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태깅 순서, 태깅한 위치, 일정 시간 순으로 태깅한 위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등록부(315)는 태깅 패턴별 제공할 서비스를 지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320)는 서버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정보 획득부(320)는 이동통신 시스템(미도시)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정보 획득부(320)는 사용자 단말(120)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120)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정보 획득부(320)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120)를 통해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정보 획득부(320)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태깅 정보 수신시,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받을 수도 있다.
분석부(325)는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여 저장된 태깅 이력을 분석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분석부(325)는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여 저장된 태깅 이력이 기저장된 태깅 패턴들 중 일치하는 태깅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325)는 저장된 태깅 이력들 중 가장 마지막 획득된 태깅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시간 이내의 태깅 정보들을 대상으로 태깅 패턴과의 일치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깅 패턴이 10분 이내에 지정된 3개의 전자 태그 태깅이라고 가정하자. 태깅 패턴은 3개의 전자 태그에 대한 태깅 정보(태그 정보를 포함함)와 기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분석부(325)는 태깅 이력을 분석하여 10분 동안 태깅 패턴에 저장된 태깅 정보가 모두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태깅 패턴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태깅 패턴이 구분된 3개 위치에서의 전자 태그 태깅이라고 가정하자. 태깅 패턴은 3개의 전자 태그에 대한 태깅 정보(태그 정보 포함),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325)는 태깅 이력을 분석하여 시간 순서대로 특정 위치에 따른 태깅 패턴에 저장된 태깅 정보가 모두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은 특정 전자 태그를 태깅한 순서를 정의 및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전 시간과의 비교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위치에서 10시, b 위치에서 10시 30분, c 위치에서 12에 전자 태그를 태깅한 것으로 태깅 이력이 저장되어 있다면, 3개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각각의 시간차를 태깅 패턴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각 다른 일자에 해당 위치에 위치한 전자 태그를 태깅한 시간대를 태깅 패턴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하루 중 특정 시간, 일주일의 특정 시간,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 한달을 기준으로 특정 일자, 연도를 기준으로 특정 월 등으로 전자 태그가 태깅된 시간(일자)을 구분하여 태깅 패턴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일정 시간의 유효한 시간 대역을 태깅 패턴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일자 중 특정 시간대로 태깅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보다 상세하게, 태깅 패턴이 예를 들어, 특정 위치의 전자 태그를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즉, 9시 50분에서 10시 10분)에 태깅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여 제1 위치에서 전자 태그를 태깅한 시간이 예를 들어, 10시인 경우, 해당 태깅 패턴에 포함되므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태깅 패턴이 임의의 전자 태그의 연속 태깅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태깅 패턴은 전자 태그 2회 연속 태깅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태깅 패턴은 기준 시간(예를 들어, 30초, 1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325)는 태깅 이력을 분석하여 동일한 전자 태그의 연속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가 연속 누적 저장된 경우, 해당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태깅 패턴이 M개의 전자 태그의 순서대로 태깅인 경우, 태깅 패턴은 순서정보와 함께 태깅 정보가 태깅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분석부(325)는 태깅 이력을 분석하여 순서대로 태깅 정보가 누적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태깅 패턴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325)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용자 지정 용도가 수신된 이후 누적된 태깅 이력을 대상으로 태깅 패턴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분석부(325)는 태깅 이력에 태깅 정보와 사용자 지정 용도가 함께 저장된 경우, 태깅 이력이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분석 결과와 함께 사용자 지정 용도를 서버 제어부(340)로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메시지 생성부(330)는 서버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가장 최근 수신된 태깅 정보 및 해당 태깅 정보 수신에 상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알림 메시지는 태깅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335)는 사용자 단말별 태깅 이력을 누적하여 저장한다. 물론, 저장부(335)는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335)는 사용자 단말(120)별 사전 등록된 태깅 패턴,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35)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3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3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부(310), 등록부(315), 정보 획득부(320), 분석부(325), 메시지 생성부(330), 저장부(3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서버 제어부(340)는 메시지 생성부(330)에 의해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데이터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사용자 단말은 복수일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40)는 분석부(325)의 분석 결과에 따라 태깅 이력에 일치되는 태깅 패턴이 존재하면, 지정된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특정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태깅 정보에 사용자 지정 용도가 포함되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지정 용도가 수신된 이후 누적 저장된 태깅 이력에 일치하는 태깅 패턴이 존재하면, 해당 사용자 지정 용도에 따른 지정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지정 용도가 인증이라고 가정하자. 사용자 지정 용도에 따른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누적된 태깅 이력이 태깅 패턴에 일치하면, 서버 제어부(34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른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제어부(340)는 인증 정보와 함께 사용자 식별을 위해 단말 정보 또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정보를 출입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인증을 위한 일회성 정보로, 매회 사용시마다 상이하게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 정보가 매회 변경되어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되는 경우, 출입 시스템 등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인증 정보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한 경우 출입을 허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전자 태그 태깅 이력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를 태깅하여 태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깅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단계 415).
전술한 바와 같이, 태깅 정보는 전자 태그(110) 태깅에 따라 해당 전자 태그(110)에서 획득된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태깅 정보를 단말 정보에 매핑하여 누적하여 태깅 이력으로써 저장한다.
태깅 이력은 태깅 정보 이외에도, 태깅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2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태깅 이력을 분석하여 등록된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4에서는 태깅 패턴 정보를 등록받는 과정을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태깅 이력을 저장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120)은 적어도 하나의 태깅 패턴을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등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깅 패턴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횟수, 일정 시간 동안 N개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태깅 정보 및 일정 시간 동안 정해진 M개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순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일정 시간 동안 누적 저장된 태깅 이력이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태깅 정보와 함께 사용자 지정 용도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지정 용도가 수신된 이후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되어 누적 저장되는 태깅 이력이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지정 용도는 태깅 정보와 함께 수신될 수도 있으며, 태깅 정보와 별도로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임의의 전자 태그를 연속 K(자연수)회 태깅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는 사용자 지정 용도를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이후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수신되는 태깅 정보를 누적 저장한 태깅 이력을 분석하여 상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또는 사용자 지정 용도에 따른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20)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깅 패턴 정보가 전자 태그(110)의 N회 태깅이라고 가정하자.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기준 시간 동안 태깅 이력을 분석하여 N회 태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태깅 패턴 정보가 M개의 태그를 N회 태깅이라고 가정하자.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태깅 이력을 분석하여 기준 시간 동안 M개의 전자 태그가 태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태깅 패턴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태깅 패턴 정보는 지정된 M개의 태그를 지정된 순서대로 태깅한 태깅 정보라고 가정하자.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태깅 이력을 분석하여 기준 시간 동안 지정된 전자 태그가 지정된 순서대로 태깅되었는지를 분석하여 태깅 패턴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 4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태깅 이력이 등록된 태깅 패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20)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지정된 서비스가 인증 서비스 및 알림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며, 각각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외에도, 지정 서비스는 부가 서비스 기능 제어 서비스 또는 단말 기능 제어 서비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태깅 패턴과의 비교를 통해 특정 부가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태깅 패턴 비교를 통해 특정 기능이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전자 태그의 태깅 이력을 이용하여 출입 인증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의 430의 지정된 서비스가 인증 서비스인 것을 가정하여 그 이후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1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1회성 정보일 수 있다. 물론, 인증 정보는 인증키값 이외에도 유효기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51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생성된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단계 52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출입 시스템(미도시)로 전송하여 출입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이 인증 정보를 출입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 사용자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정보와 함께 인증 정보를 출입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출입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인증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은 일정 시간 동안의 복수의 전자 태그(110)를 태깅한 태깅 이력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출입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인증을 위해 미리 등록된 전자 태그의 최초 태깅에 상응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전자 태그의 용도로 지정된 사용자 지정 용도(즉, 인증)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지장 용도(즉, 인증)이 수신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인증을 위해 지정된 복수의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가 수신되면,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 동안의 지정된 복수의 전자 태그는 특정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른 순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무작위로 지정된 복수의 전자 태그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 수신에 따라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지정된 순서대로의 복수의 전자 태그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 수신시,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서비스 지정 용도와 태깅 정보가 각각 별도로 수신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태깅 정보에 서비스 지정 용도가 포함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전자 태그 태깅 이력을 이용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의 430에서 지정된 서비스가 알림 서비스인 것을 가정하여 그 이후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자.
단계 6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110)의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깅 정보는 전자 태그(110)로부터 획득된 태그 정보, 전자 태그를 태깅한 시간, 순서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미도시)과 연동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획득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사용자 단말(120)의 전자 태그(110)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와 위치 정보를 별도로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위치 정보는 태깅 정보와 함께 획득될 수도 있다.
단계 62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위치 정보 및 태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62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 단말 정보라 칭하기로 함)를 메모리(저장부(335))로부터 추출한다.
이어, 단계 6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다른 사용자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다른 사용자 단말은 복수일 수 있다.
또한, 구현 방법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임의의 전자 태그를 복수회 연속하여 태깅하거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사용자 단말(120)의 자세(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90도 회전한 상태에서의 전자 태그 태깅 등)에 따라 사용자 지정 용도(알림)를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해당 사용자 지정 용도(알림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는 태깅 정보(태그 정보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태그를 복수회 연속하여 태깅한 태깅 패턴 또는 전자 태그를 태깅한 사용자 단말(120)의 자세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 해당 태깅 패턴 또는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정 용도(알림)을 판단하여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 태그(710), 사용자 단말(720), 게이트웨이 서버(730) 및 서비스 제공 서버(740)를 포함한다.
도 7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게이트웨어 서버(730)는 사용자 단말(720)의 전자 태그(710)의 태깅에 상응하여,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의 접속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게이트웨이 서버(730)는 사용자 단말(720)과 서비스 제공 서버(740) 사에에서, 사용자 단말(720)의 전자 태그(710)의 태깅에 상응하여 실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7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태그(710)에 상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복수라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특정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특정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등과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가 복수인 경우, 게이트웨어 서버(730)는 사용자 단말(720)의 전자 태그(710)의 태깅에 상응하여,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7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 서버(730)은 해당 태깅 정보에 상응하는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정보(편의상, 서비스 정보라 칭함하기로 함)(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사용자 단말(7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720)은 해당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전자 태그(710)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의 태깅 이력에 따른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전자태그
120: 사용자 단말
130: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19)

  1.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태그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 태그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깅 정보를 수신하여 태깅 이력으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는 태깅 패턴이 존재하면, 해당 태깅 패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태깅 패턴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횟수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순서 및 일정 시간순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의 조합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태깅 패턴을 등록받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태깅 패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함께 등록받아 저장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 태그 태깅시 상기 전자 태그에 따른 사용자 지정 용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저장 영역에서 추출하여 상기 태깅 정보에 더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태깅 이력이 기저장된 태깅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에 따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를 포함하는 태깅 정보가 수신된 이후의 태깅 이력을 상기 태깅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패턴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태깅 정보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전자 태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전자 태그 태깅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태깅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깅 패턴을 등록받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태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태깅 이력으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태깅 이력이 상기 태깅 패턴에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태깅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태깅 패턴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횟수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순서 및 일정 시간순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의 조합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깅 패턴과 상기 태깅 패턴에 따른 지정된 서비스를 함께 등록받으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태깅 패턴에 따라 등록된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지정 용도를 더 수신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에 따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지정 용도를 더 수신하되,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가 수신된 이후 누적 저장된 태깅 이력에 대해 상기 태깅 패턴과의 일치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3.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태그의 태깅에 따른 태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태깅 정보는 상기 전자 태그를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포함함;
    상기 태깅 정보를 누적하여 태깅 이력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태깅 이력이 기등록된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일치하면,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태깅 패턴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횟수와,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순서 및 일정 시간순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의 조합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정보는 상기 전자 태그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사용자 지정 용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에 따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태깅 이력이 기등록된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태깅 패턴을 등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태깅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태그를 태깅한 태깅 정보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태그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설정된 사용자 지정 용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태깅 이력이 기등록된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지정 용도가 수신된 이후 누적 저장된 태깅 이력을 상기 태깅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서비스는 인증 서비스 또는 알림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서비스가 인증 서비스이면,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서비스가 알림 서비스이면, 상기 태깅 이력에 상응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태깅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43258A 2012-04-25 2012-04-25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1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258A KR101514045B1 (ko) 2012-04-25 2012-04-25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258A KR101514045B1 (ko) 2012-04-25 2012-04-25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191A KR20130120191A (ko) 2013-11-04
KR101514045B1 true KR101514045B1 (ko) 2015-04-21

Family

ID=4985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258A KR101514045B1 (ko) 2012-04-25 2012-04-25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578B1 (ko) * 2014-10-20 2016-08-04 주식회사 브링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통합서비스 제공 장치
KR102244802B1 (ko) * 2019-01-10 2021-04-27 주식회사 디엔엑스 인체통신 기반의 사물 태그 정보 등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9837A (ja) 2009-09-08 2011-03-24 Hitachi Ltd 行動履歴情報活用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9837A (ja) 2009-09-08 2011-03-24 Hitachi Ltd 行動履歴情報活用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191A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8305B1 (ja) 携帯端末、携帯端末プログラム、チェック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チェックポイント管理方法
US7183925B2 (en) Interactive system using tags
KR101909733B1 (ko) 사용자 지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시스템
US20090294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a Bar-Code
KR101296137B1 (ko) 큐알코드이용 모바일아이디데이터 보안 방법 및 시스템
KR101522394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7264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07117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a bar-code
KR101514039B1 (ko) 태그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9135648B2 (en) Method, terminal,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JP2007535051A (ja) 商品を保護する保護されるべき権利に関する参照の表示方法
CN10382840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提供方法和程序
KR101514045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42913A (ko) 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6221541A (ja) 関心情報生成装置、関心情報生成システム、および関心情報生成プログラム
US95246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obil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4044700A (ja) 決済サーバ、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879857B1 (ko)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13207B1 (ko) 매장 출입 정보 기반의 쿠폰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90091581A (ko)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31846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주문 처리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판매시점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70039463A (ko) 사용자 장치, 비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8664795B (zh) 基于oto平台的数据安全优化应用系统及方法
Abidin et al. Enhanced physical document management using NFC with verification for security and privacy
KR20140005594A (ko) 앱 구동으로 아이디와 패스워드 없이 개별 인증하여 등록을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