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355B1 -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355B1
KR101800355B1 KR1020100116343A KR20100116343A KR101800355B1 KR 101800355 B1 KR101800355 B1 KR 101800355B1 KR 1020100116343 A KR1020100116343 A KR 1020100116343A KR 20100116343 A KR20100116343 A KR 20100116343A KR 101800355 B1 KR101800355 B1 KR 101800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electro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938A (ko
Inventor
이승재
박태한
김중근
박춘건
빈종관
정현철
양중환
강석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3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3/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7 or 17 of the Periodic Syst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2Heter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며, A 및 B 각각은 하기 화학식2,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aryl group)에서 선택되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2이며, R1, R2, R3, R4, R5는 각각 C1~C20까지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그룹(alkyl group),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그룹(aryl group), C3~C30의 다환성 방향족 또는 이형고리 그룹(polycyclic aromatic group or polycyclic heterocyclic group), C6~C30까지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기 그룹(arylalkyl group), C3~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그룹 (cycloalkyl group), C1~C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그룹 (alkoxy group), C6~C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그룹 (aryloxy group)로부터 선택되고, L은 탄소(C), 산소(O)또는 황(S)에서 선택되며, m은 0또는 1의 정수이고, n은 1~3의 정수이며, R3, R4, R5 중 적어도 하나는 비닐기(vinyl group), 아크릴로일(acryloyl group), 메타아크릴로일(methacyloyl group), 사이크릭이서(cyclic ethers), 실로세인(siloxan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가교 결합 특성을 갖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을 제공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7070417102-pat00089

화학식2
Figure 112017070417102-pat00090

Description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사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경화 공정에 따라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 특성이 변경되는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공간 점유가 적은 평면표시소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평면표시소자 중 하나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라고도 불리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미 여러 시제품들이 발표된 바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양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물질층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플라스틱 같은 휠 수 있는(flexible) 투명 기판 위에도 소자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이나 무기 전계발광(EL) 디스플레이에 비해 낮은 전압에서 (10V이하) 구동이 가능하고, 또한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으며, 색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 전계 발광(EL) 소자는 녹색, 청색, 적색의 3가지 색을 나타낼 수가 있어 차세대 풍부한 색 디스플레이 소자로 많은 사람들의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양극(Anode), 정공주입층 (HIL:hole injecting layer), 정공수송층 (HTL: 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물질층 (EML: 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 (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 전자주입층 (EIL: electron injecting layer), 음극(cathode)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발광층의 경우 호스트(Host)와 도펀트(dopant)로 구성된다. 정공과 전자는 각각의 전극에서 투입되어 이동하면서 발광물질층에서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을 형성한다. 여기자가 들뜬 상태(Excited state)에서 바닥 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대면적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용액공정에 의해 유기전계발광소자가 제조되어야 한다. 증착공정의 경우 제1유기막 위에 제2유기막이 증착될 때 하부막의 손실없이 적층이 가능하지만 용액공정은 상부막을 형성할 때 사용된 용매가 하부막을 침식시켜 하부막에 손상을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공수송층 상에 발광물질층을 형성하는 경우, 발광물질층의 유기 용매가 정공수송층에 손상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의해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특성 저하 및 공정 수율의 저하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뛰어나 용액공정이 가능하며 추후 공정에서의 유기 용매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정공수송층의 물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며, A 및 B 각각은 하기 화학식2 또는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aryl group)에서 선택되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2이며, R1, R2, R3, R4, R5는 각각 C1~C20까지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그룹(alkyl group),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그룹(aryl group), C3~C30의 다환성 방향족 또는 이형고리 그룹(polycyclic aromatic group or polycyclic heterocyclic group), C6~C30까지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기 그룹(arylalkyl group), C3~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그룹 (cycloalkyl group), C1~C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그룹 (alkoxy group), C6~C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그룹 (aryloxy group)로부터 선택되고, L은 탄소(C), 산소(O)또는 황(S)에서 선택되며, m은 0또는 1의 정수이고, n은 1~3의 정수이며, R3, R4, R5 중 적어도 하나는 비닐기(vinyl group), 아크릴로일(acryloyl group), 메타아크릴로일(methacyloyl group), 사이크릭이서(cyclic ethers), 실로세인(siloxan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가교 결합 특성을 갖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를 제공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01
화학식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02
상기 C1~C20까지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그룹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스프로필기, 뷰틸기, sec-뷰틸기, tert-뷰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데카닐기, 옥타데카닐기, 스테아릴기, 2-페닐아이소프로필기, 트라이클로로메틸기,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 벤질기, α-페녹시벤질기, α-다이메틸벤질기, α-메틸페닐벤질기, α-다이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기, 트라이페닐메틸기, α-벤질옥시벤질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그룹은 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펜타듀트륨페닐기, 2-트리메틸실릴페닐기, 3-트리메틸실릴페닐기, 4-트리메틸실릴페닐기, 3,5-다이플루오로페닐기, 4-에틸페닐기, 바이페닐기, 4-메닐바이페닐기, 4-에틸바이페닐기, 4-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기, 터페닐기, 3,5-다이클로로페닐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C3~C30의 다환성 방향족 또는 이형고리 그룹은 나프틸기, 1-메틸나프틸기, 2-메틸나프틸기, 아세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풀루오레닐기, 페날닐기, 페난스레닐기, 파이렌닐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C6~C30까지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기 그룹은 벤질기, 1-페닐에틸기, 2-페닐에틸기, 1-페닐아이소프로필기, 2-페닐아이소프로필기, 페닐-t-뷰틸기, α-나프틸메틸기, 1-α-나프틸에틸기, 2-α-나프틸에틸기, 1-α-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2-α-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β-나프틸메틸기, 1-β-나프틸에틸기, 2-β-나프틸에틸기, 1-β-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2-β-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1-피롤릴메틸기, 2-(1-피롤릴)에틸기, p-메틸벤질기, m-메틸벤질기, o-메틸벤질기, p-클로로벤질기, m-클로로벤질기, o-클로로벤질기, p-브로모벤질기, m-브로모벤질기, o-브로모벤질기, p-아이오도벤질기, m-아이오도벤질기, o-아이오도벤질기, p-하이드록시벤질기, m-하이드록시벤질기, o-하이드록시벤질기, p-아미노벤질기, m-아미노벤질기, o-아미노벤질기, p-나이트로벤질기, m-나이트로벤질기, o-나이트로벤질기, p-사이아노벤질기, m-사이아노벤질기, o-사이아노벤질기, 1-하이드록시-2-페닐아이소프로필기, 1-클로로-2-페닐아이소프로필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C3~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그룹은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뷰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노보넨기, 아다만틸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C1~C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그룹은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아이소프로폭시기, 뷰톡시기, 아이소뷰톡시기, sec-뷰톡시기, tert-뷰톡시기, 헵틸옥시기, 헥실옥시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C6 ~C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그룹은 페녹시기, 톨릴옥시기, 나프틸옥시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R3, R4, R5 중 적어도 하나는 비닐페닐기(4-vinylphenyl), 비닐벤질옥시메타페닐기(4-(4-vinylbenzyl)oxymethylpheny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R1, R2, R3, R4, R5 중에서 상기 R3, R4, R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메틸(methyl), 에틸(ethyl), n-프로필(n-propyl), i-프로필(i-propyl), n-부틸(n-butyl), i-부틸(i-butyl) 및 t-부틸(t-butyl) 등과 같은 C1~C6 의 알킬 그룹(alkyl)과 시아닐(cyanyl), 트리메틸실릴(trimethylsilyl), 플루오린(fluorine), 트리플루오로메틸 (trifluoromethyl), 중수소(deuterium) 중 어느 하나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는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수송층은, 화학식1로 표시되며, A 및 B 각각은 하기 화학식2 또는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aryl group)에서 선택되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2이며, R1, R2, R3, R4, R5는 각각 C1~C20까지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그룹(alkyl group),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그룹(aryl group), C3~C30의 다환성 방향족 또는 이형고리 그룹(polycyclic aromatic group or polycyclic heterocyclic group), C6~C30까지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기 그룹(arylalkyl group), C3~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그룹 (cycloalkyl group), C1~C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그룹 (alkoxy group), C6~C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그룹 (aryloxy group)로부터 선택되고, L은 탄소(C), 산소(O)또는 황(S)에서 선택되며, m은 0또는 1의 정수이고, n은 1~3의 정수이며, R3, R4, R5 중 적어도 하나는 비닐기(vinyl group), 아크릴로일(acryloyl group), 메타아크릴로일(methacyloyl group), 사이크릭이서(cyclic ethers), 실로세인(siloxan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가교 결합 특성을 갖는 정공수송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03
화학식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04
상기 R3, R4, R5 중 적어도 하나는 비닐페닐기(4-vinylphenyl), 비닐벤질옥시메타페닐기(4-(4-vinylbenzyl)oxymethylpheny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정공수송층은 스핀코팅 공정, 노즐프린팅 공정, 잉크젯프린팅 공정, 슬롯코팅 공정, 딥코팅 공정, 롤투롤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정공수송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과; 상기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과; 상기 전자수송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주입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정공수송물질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용액 공정에 의해 정공수송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면적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경화 공정에 의해 가교결합이 발생하여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갖지 않게 됨으로써, 추후 공정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공수송물질의 구조 및 그 합성예와,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공수송물질은 아릴아민(arylamine) 유도체 중심부에 가교결합(cross-linking)이 가능하고 정공수송능력이 우수한 물질이 링커(linker)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된다.
화학식1
Figure 112017070417102-pat00092
상기 화학식1에서 A 및 B 각각은 하기 화학식2 또는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aryl group)에서 선택되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2이다.
화학식2
Figure 112017070417102-pat0009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공수송물질은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뛰어나며, 경화공정에 의해 가교결합이 발생하여 유기 용매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즉, 경화 공정 후에는 유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1 및 화학식2에서 R1, R2 각각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그룹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그룹에서 선택되고, R3, R4는 각각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그룹(aryl group)에서 선택되고, L은 디알킬옥사이드에서선택된다. L은 디알킬옥사이드에서 선택된다. 또한, m은 0또는 1의 정수이며, n은 1~3의 정수이다.
삭제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그룹은 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펜타듀트륨페닐기, 2-트리메틸실릴페닐기, 3-트리메틸실릴페닐기, 4-트리메틸실릴페닐기, 3,5-다이플루오로페닐기, 4-에틸페닐기, 바이페닐기, 4-메닐바이페닐기, 4-에틸바이페닐기, 4-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기, 터페닐기, 3,5-다이클로로페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교 결합 특성을 갖는 치환체는 하기 화힉식3-1 및 화학식3-2로 표시되는 비닐페닐기(4-vinylphenyl), 비닐벤질옥시메타페닐기(4-(4-vinylbenzyl)oxymethylphenyl)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화학식3 -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07
화학식3 -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08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공수송물질은 아릴아민 유도체 중심부에 가교결합이 가능한 물질이 링커(linker)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유기 용매에 뛰어난 용해도를 갖기 때문에 용액공정에 의해 정공수송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화 공정 후 가교결합 발생에 의해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추후 공정에서의 유기 용매에 손상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된 본 발명의 정공수송물질은 아래 화학식4에 표시된 다수의 물질 중 하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물질 하단에 A1~A128의 기호를 부여하였다.
화학식4
Figure 112010076188117-pat00009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0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3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4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5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6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7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8
Figure 112010076188117-pat00019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0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3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4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5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6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7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8
Figure 112010076188117-pat00029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0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3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4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5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6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7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8
Figure 112010076188117-pat00039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0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3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4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5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6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7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8
Figure 112010076188117-pat00049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0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3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4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5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6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7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8
Figure 112010076188117-pat00059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0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3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4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5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6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7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8
Figure 112010076188117-pat00069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0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2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중, 상기 화학식4에서 A-1로 표기된 정공수송물질을 예로 들어 합성예을 설명한다.
합성예
1. N1-(naphthalen-8-yl)-N4,N4-bis(4-(naphthalen-8-ylamino)phenyl)benzene-1,4-diamine의 합성
N1-(naphthalen-8-yl)-N4,N4-bis(4-(naphthalen-8-ylamino)phenyl)benzene-1,4-diamine은 아래와 같은 반응식1에 의해 합성된다.
반응식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3
구체적으로, 2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tris(4-bromophenyl)amine (10mmol), 1-naphthylamine(33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0.45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0.9mmol)과 Sodium tert-butoxide(42mmol)를 Toluene(30mL)에 녹인 후, 100 ℃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켰다. 반응 종료 후 Toluene을 제거하고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고체 N1-(naphthalen-8-yl)-N4,N4-bis(4-(naphthalen-8-ylamino)phenyl)benzene-1,4-diamine 4.4g을 얻었다.
2. 3 (4-bromobenzyloxy)(tert-butyl)dimethylsilane의 합성
(4-bromobenzyloxy)(tert-butyl)dimethylsilane은 아래와 같은 반응식2에 의해 합성된다.
반응식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4
구체적으로, 2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4-bromobenzylalcohol (40mmol), tert-butylchlorodimethylsilane(48mmol)를 N,N-Dimethylformamide(DMF) (70ml)에 녹인 후, 0 ℃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imidazole (60mmol)을 DMF에 녹여 반응용기에 투입한다. 이후 반응용기를 상온으로 조정하고, 24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종료한다. Hex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투명한 액체 (4-bromobenzyloxy)(tert-butyl)dimethylsilane 11.5g을 얻었다.
3. (N-((4-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N-1-naphthyl)-amine의 합성
(N-((4-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N-1-naphthyl)-amine은 아래와 같은 반응식3에 의해 합성된다.
반응식3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5
구체적으로, 2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4-bromobenzyloxy)(tert-butyl)dimethylsilane (36mmol), 1-naphthylamine(40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0.28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0.54mmol)과 Sodium tert-butoxide(25.2mmol)를 Toluene(50mL)에 녹인 후, 100 ℃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다. 반응 종료 후 Toluene을 제거하고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액체 (N-((4-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N-1-naphthyl)-amine 9.2g을 얻었다.
4. 4-bromo-4'-((((4-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1-naphthyl)amino)biphenyl의 합성
4-bromo-4'-((((4-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1-naphthyl)amino)biphenyl는 아래와 같은 반응식4에 의해 합성된다.
반응식4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6
구체적으로, 2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N-((4-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N-1-naphthyl)-amine(24mmol), 4,4'-dibromobiphenyl(26.4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0.36mmol), tri-tert-butylphosphine(0.72mol)과 Sodium tert-butoxide(33.6mmol)를 Toluene(30mL)에 녹인 후, 100 ℃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다. 반응 종료 후 Toluene을 제거하고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한다.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고체 4-bromo-4'-((((4-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1-naphthyl)amino)biphenyl 11g를 얻었다.
5. tris(4-((N-naphthyl-N-(4-(4-((N-naphthyl-(N-(((4-tert-butyl)dimethyl)silyloxyl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의 합성
tris(4-((N-naphthyl-N-(4-(4-((N-naphthyl-(N-(((4-tert-butyl)dimethyl)silyloxyl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은 아래와 같은 반응식5에 의해 합성된다.
반응식5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7
구체적으로, 2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N1-(naphthalen-8-yl)-N4,N4-bis(4-(naphthalen-8-ylamino)phenyl)benzene-1,4-diamine(5mmol), 4-bromo-4'-((((4-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1-naphthyl)amino)biphenyl(16.5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0.225mol), tri-tert-butylphosphine(0.45mol)과 Sodium tert-butoxide(21mmol)를 Toluene(30mL)에 녹인 후, 100 ℃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켰다. 반응 종료 후 Toluene을 제거하고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한 후 Dichloromethane과 Methanol을 사용하여 재결정하고 여과하여 고체 tris(4-((N-naphthyl-N-(4-(4-((N-naphthyl-(N-(((4-tert-butyl)dimethyl)silyloxyl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 6.8g를 얻었다.
6. tris(4-((N-naphthyl-N-(4-(4-((N-naphthyl-(N-(4-hydroxy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의 합성
tris(4-((N-naphthyl-N-(4-(4-((N-naphthyl-(N-(4-hydroxy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은 아래와 같은 반응식6에 의해 합성된다.
반응식6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8
구체적으로, 2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tris(4-((N-naphthyl-N-(4-(4-((N-naphthyl-(N-(((4-tert-butyl)dimethyl)silyloxyl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 (2mmol), tetrabutylammonium fluoride(TBAF) (7.2ml,1M solution)를 THF(20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시켰다. 반응 종료 후 되면 THF를 제거하고 Hexane과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였다. Dichloromethane과 Methanol을 사용하여 재결정하고 여과하여 고체 tris(4-((N-naphthyl-N-(4-(4-((N-naphthyl-(N-(4-hydroxy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 2.8g를 얻었다.
7. tris(4-((N-naphthyl-N-(4-(4-((N-naphthyl-(N-(4-(4-vinylbenzyl)oxy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의 합성
상기 화학식4에서 A-1로 표시된tris(4-((N-naphthyl-N-(4-(4-((N-naphthyl-(N-(4-(4-vinylbenzyl)oxy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은 아래와 같은 반응식7에 의해 합성된다.
반응식7
Figure 112010076188117-pat00079
구체적으로, 2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phenyl-N2,N7-di(naphthalen-1-yl)-N2,N7-di(4-(4-(N-1-naphthyl-(N-(4-hydroxymethyl)phenyl))amino)phenyl)phenylcarbazole-2,7-diamine (1mmol), NaH (3mmol)를 DMF(30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시키고, 0 ℃ 로 온도를 낮춘 후 주사기를 이용하여4-Vinylbenzyl chloride (3mmol)을 넣었다. 100 ℃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이 종료 되면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고 Dichloromethane과 Methanol을 이용하여 재결정하고 여과하여 고체 tris(4-((N-naphthyl-N-(4-(4-((N-naphthyl-(N-(4-(4-vinylbenzyl)oxymethyl)phenyl))-amino)phenyl)phenyl))amino)phenyl)amine 1.1g를 얻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을 이용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는 실험예1 내지 실험예3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성능을 비교 설명한다.
실험예1
기판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층의 발광 면적이 3mm X 3mm 크기가 되도록 패터닝한 후 세정하였다. 상기 기판을 Spin Coater에 장착한 후 ITO층 위에 하기 화학식5-1 및 5-2로 표시된 PEDOT:PSS를 spin-coating(500Å)한다. 15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정공수송물질 A-1을 자일렌(xylene)에 녹여 spin-coating(300Å)한다. 10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킨 후, 20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교결합(cross-linking)시킨다. 하기 화학식5-3으로 표시된 호스트 AND와 하기 화학식5-4로 표시된 도펀트DPAVBi(4%)를 자일렌에 녹인 용액을 spin-coating하고 (300Å) 10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킨 후, 진공 챔버에 장착하고 base pressure가 1X10-6torr가 되도록 한 후, Alq3(350Å), LiF(5Å), Al(500Å)의 순서로 성막하였다.
9mA/cm2에서 423cd/m2(4.9V)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CIE x = 0.141, y = 0.248, 1000nit에서 T(50)=1012hr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T(50)은 휘도가 절반이 되는 시간이다.
실험예2
기판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층의 발광 면적이 3mm X 3mm 크기가 되도록 패터닝한 후 세정하였다. 상기 기판을 Spin Coater에 장착한 후 ITO층 위에 하기 화학식5-1 및 5-2로 표시된 PEDOT:PSS를 spin-coating(500Å)한다. 15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정공수송물질 A-13을 자일렌에 녹여 spin-coating(300Å)한다. 10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킨 후, 20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교결합시킨다. 하기 화학식5-3으로 표시된 호스트 AND와 하기 화학식5-4로 표시된 도펀트DPAVBi(4%)를 자일렌에 녹인 용액을 spin-coating하고 (300Å) 10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킨 후, 진공 챔버에 장착하고 base pressure가 1X10-6torr가 되도록 한 후, Alq3(350Å), LiF(5Å), Al(500Å)의 순서로 성막하였다.
9mA/cm2에서 412cd/m2(4.8V)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CIE x = 0.145, y = 0.245, 1000nit에서 T(50)=915hr를 나타내었다.
실험예3
기판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층의 발광 면적이 3mm X 3mm 크기가 되도록 패터닝한 후 세정하였다. 상기 기판을 Spin Coater에 장착한 후 ITO층 위에 하기 화학식5-1 및 5-2로 표시된 PEDOT:PSS를 spin-coating(500Å)한다. 15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정공수송물질 A-49를 자일렌(xylene)에 녹여 spin-coating(300Å)한다. 10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킨 후, 20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교결합시킨다. 하기 화학식5-3으로 표시된 호스트 AND와 하기 화학식5-4로 표시된 도펀트 DPAVBi(4%)를 자일렌에 녹인 용액을 spin-coating하고 (300Å) 10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킨 후, 진공 챔버에 장착하고 base pressure가 1X10-6torr가 되도록 한 후, Alq3(350Å), LiF(5Å), Al(500Å)의 순서로 성막하였다.
9mA/cm2에서 445cd/m2(4.9V)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CIE x = 0.140, y = 0.239, 1000nit에서 T(50)=1055hr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기판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층의 발광 면적이 3mm X 3mm 크기가 되도록 패터닝한 후 세정하였다. 상기 기판을 Spin Coater에 장착한 후 ITO층 위에 하기 화학식5-1 및 5-2로 표시된 PEDOT:PSS를 spin-coating(500Å)한다. 15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다음, 하기 화학식5-5로 표시된 정공수송물질 2-NPD를 자일렌에 녹여 spin-coating(300Å)한다. 10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킨 후, 20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교결합시킨다. 하기 화학식5-3으로 표시된 호스트 AND와 하기 화학식5-4로 표시된 도펀트 DPAVBi(4%)를 자일렌에 녹인 용액을 spin-coating하고 (300Å) 100℃의 Hot plate에 10분간 건조시킨 후, 진공 챔버에 장착하고 base pressure가 1X10-6torr가 되도록 한 후, Alq3(350Å), LiF(5Å), Al(500Å)의 순서로 성막하였다.
9mA/cm2에서 422cd/m2(5.5V)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CIE x = 0.137, y = 0.241, 1000nit에서 T(50)=640hr를 나타내었다.
화학식5-1
Figure 112010076188117-pat00080
화학식5-2
Figure 112010076188117-pat00081
화학식5 -3
Figure 112010076188117-pat00082
화학식 5-4
Figure 112010076188117-pat00083

화학식5 -5
Figure 112010076188117-pat00084
상술한 실험예1 내지 실험예3과 비교예의 비교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전압의 단위는 V, 전류의 단위는 mA, 휘도의 단위는 cd/m2, 전류효율의 단위는 cd/A, 전력효율의 단위는 lm/W, T(50)의 단위는 시간(hr)이다.
전압 전류 휘도 전류효율 전력효율 CIE (X) CIE (Y) T(50)
실험예1 4.9 0.9 423 4.23 2.71 0.141 0.248 1012
실험예2 4.8 0.9 412 4.12 2.70 0.145 0.245 915
실험예3 4.9 0.9 445 4.45 2.85 0.140 0.239 1055
비교예 5.5 0.9 422 4.22 2.41 0.137 0.241 640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예1 내지 실험예3은 아릴아민 중심부 유도체를 도입함으로써 비교예에 비해 수명이 50~70% 정도 향상되었다. 또한, 구동 전압이 약 0.6V 정도 낮아졌다. 즉, 정공수송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공수송물질를 이용하여 코팅 방법에 의해 대면적 소자의 제조가 가능하며 전력소모가 감소하고 수명이 향상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기판(미도시)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미도시)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E)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E)는 양극 역할을 하는 제 1 전극(110), 음극 역할을 하는 제 2 전극(130)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110, 130)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전극(110)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인듐-틴-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전극(130)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낮은 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AlNd)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층(120)은 적색, 녹색, 청색은 유기발광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발광층(120)은 발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중층 구조 즉, 제 1 전극(1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TL) (121),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IL) (122),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EML) (123),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124)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12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정공수송층(122)은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된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공수송물질은 자일렌과 같은 유기 용매에 녹여 스핀코팅 방법 등에 의해 상기 정공수송층(122)을 형성하게 되고 열 또는 빛에 의한 경화 공정에 의해 가교결합이 발생하면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 특성을 갖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공수송층(122) 형성 후 상기 발광물질층(123)을 스핀코팅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유기 용매에 의해 상기 정공수송층(122)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정공수송층(122)은 스핀코팅(spin-coating) 공정, 노즐프린팅(nozzle-printing) 공정, 잉크젯프린팅(inkjet-printing) 공정, 슬롯코팅(slot-coating) 공정, 딥코팅(dip-coating) 공정, 롤투롤(roll-to-roll)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정공수송물질을 코팅하여 상기 정공수송층(122)을 형성하기 때문에, 대면적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에 장점을 갖는다. 또한, 발광효율이 향상되어 저전력구동이 가능하며 수명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 1 전극
120: 유기발광층
121: 정공주입층
122: 정공수송층
123: 발광물질층
124: 전자수송층
125: 전자주입층
130: 제 2 전극

Claims (14)

  1.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며,
    A 및 B 각각은 하기 화학식2 또는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aryl group)에서 선택되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2이며, R1, R2 각각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그룹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그룹에서 선택되고, R3, R4는 각각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그룹(aryl group)에서 선택되고, L은 디알킬옥사이드에서 선택되며, m은 0 또는 1의 정수이고, n은 1~3의 정수인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화학식1
    Figure 112017070417102-pat00094

    화학식2
    Figure 112017070417102-pat00095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 및 2에서 L은 디메틸옥사이드기 또는 디에틸옥사이드기이고, R1, R2 각각은 페닐렌기이며, m은 1인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5~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그룹은 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펜타듀트륨페닐기, 2-트리메틸실릴페닐기, 3-트리메틸실릴페닐기, 4-트리메틸실릴페닐기, 3,5-다이플루오로페닐기, 4-에틸페닐기, 바이페닐기, 4-메닐바이페닐기, 4-에틸바이페닐기, 4-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기, 터페닐기, 3,5-다이클로로페닐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는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수송층은,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정공수송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수송층은 스핀코팅 공정, 노즐프린팅 공정, 잉크젯프린팅 공정, 슬롯코팅 공정, 딥코팅 공정, 롤투롤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정공수송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과;
    상기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과;
    상기 전자수송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주입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100116343A 2010-11-22 2010-11-22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80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43A KR101800355B1 (ko) 2010-11-22 2010-11-22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43A KR101800355B1 (ko) 2010-11-22 2010-11-22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938A KR20120054938A (ko) 2012-05-31
KR101800355B1 true KR101800355B1 (ko) 2017-12-21

Family

ID=4627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343A KR101800355B1 (ko) 2010-11-22 2010-11-22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126B1 (ko) * 2013-05-20 2021-03-10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트라이페닐아민 유도체 및 그 이용
US11569448B2 (en) 2018-02-19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Cross-linkable arylamine-based compound, polymer obtained therefrom,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polym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light-emit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3335A (ja) * 1998-08-17 2000-02-29 Minolta Co Ltd 新規アミノ化合物、その製造法及び用途
JP2007208102A (ja) * 2006-02-03 2007-08-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3335A (ja) * 1998-08-17 2000-02-29 Minolta Co Ltd 新規アミノ化合物、その製造法及び用途
JP2007208102A (ja) * 2006-02-03 2007-08-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938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006B1 (ko) 방향족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614740B1 (ko) 유기전기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KR101195863B1 (ko) 방향족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285640B1 (ko)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EP1586616A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1742517B1 (ko)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CN110078755B (zh) 化合物、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20150061811A (ko)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11904A (ko)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KR101794795B1 (ko)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984188B1 (ko) 청색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79379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311840B1 (ko) 신규한 3차 아릴 아민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30120855A (ko) 티오펜를 사용한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800355B1 (ko) 정공 수송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327301B1 (ko) 아민계 정공수송 물질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80032347A (ko)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EP1577364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1922050B1 (ko)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99033B1 (ko) 적색 인광 호스트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802855B1 (ko) 용액 공정이 가능한 저분자 발광 화합물, 발광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표시장치
KR20110120108A (ko) 청색 형광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10062496A (ko) 유기 광전자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
KR20080062807A (ko) 페닐카바졸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전계발광소자
CN103833732B (zh) 发光化合物和使用该发光化合物的有机发光二极管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