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020B1 -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020B1
KR101800020B1 KR1020110019080A KR20110019080A KR101800020B1 KR 101800020 B1 KR101800020 B1 KR 101800020B1 KR 1020110019080 A KR1020110019080 A KR 1020110019080A KR 20110019080 A KR20110019080 A KR 20110019080A KR 101800020 B1 KR101800020 B1 KR 10180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pening
headliner
fixed fram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286A (ko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02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spec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2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preassembled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과, 이의 조립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루프 콘솔은, 루프(roof)에 고정되고, 차량 주행 중에 때때로 필요할 수 있는 편의부품을 모듈 형태로 만든 편의부품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수용 개구를 구비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아래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가 노출될 수 있게 개방된 루프 콘솔 개구를 구비한 헤드라이너,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라이너 아래에 개재되어 상기 루프 콘솔 개구를 덮으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에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편의부품 모듈이 그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를 구비한 커버를 구비한다. .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Roof console of automotive headli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선글라스 케이스와 같은 편의부품만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과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루프(roof) 내측, 즉 자동차 실내의 천정 부분에는 실내의 단열과 소음 차단 및 흡수를 위하여 헤드라이너(headliner)가 설치된다. 그리고, 헤드라이너에는 예컨대, 선글라스 수납용 케이스, 램프(lamp), 스위치 박스(switch box) 등의 편의부품들이 모여있는 루프 콘솔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루프 콘솔은 차종에 따라 각각 다르게 디자인되고 이에 따라 상기 편의부품들도 차종마다 다르게 디자인되어 생산 비용이 증대되고, 신차종 생산을 위한 연구 개발 비용 및 시간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루프 콘솔은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편의부품들을 삽입 장착하고, 헤드라이너의 외관을 깨끗이 정리하고 상기 편의부품들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커버로 상기 헤드라이너의 개구를 봉하는 과정을 통해 조립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된 루프 콘솔은 상기 편의부품들 중의 어느 하나에 고장이나 작동 이상이 발생되면 커버를 헤드라이너에서 분리하고 헤드라이너 내부를 들여다보고 수리를 진행해야 하므로 수리가 매우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작업이 된다. 또한, 상기 편의부품들은 통상적으로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헤드라이너 개구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편의부품들을 부득이하게 분리해야 하는 경우 작업이 더욱 번거롭고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루프 콘솔에 장착되는 편의부품을 다수의 차종에 대해 공용화 및 표준화하여, 신차종 개발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선글라스 케이스, 램프와 같은 편의부품만을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환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과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루프(roof)에 고정되고, 차량 주행 중에 때때로 필요할 수 있는 편의부품을 모듈 형태로 만든 편의부품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수용 개구를 구비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아래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가 노출될 수 있게 개방된 루프 콘솔 개구를 구비한 헤드라이너,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라이너 아래에 개재되어 상기 루프 콘솔 개구를 덮으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에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편의부품 모듈이 그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를 구비한 커버를 구비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클립이 끼워지는 복수의 클립 장착공을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클립 장착공을 정렬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근접시키면 상기 커버가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에 삽입 가능하고 후크(hook)를 구비한 편의부품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편의부품 모듈은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모듈 장착 개구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를 폐쇄할 수 있고 후크(hook)를 구비한 더미 캡(dummy cap)을 더 구비하고, 상기 더미 캡은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모듈 장착 개구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에 때때로 필요할 수 있는 편의부품을 모듈 형태로 만든 편의부품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수용 개구를 구비한 고정 프레임을 루프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가 개방되도록 개방된 루프 콘솔 개구를 구비한 헤드라이너를 상기 고정 프레임 아래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에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편의부품 모듈이 그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를 구비한 커버를, 상기 루프 콘솔 개구를 덮도록 상기 헤드라이너 아래에 위치시키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의 조립 방법은, 상기 편의부품 모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은, 예컨대 선글라스 케이스와 같은 편의부품을 다수의 차종에 걸쳐 공용화 및 표준화하면서도 차종에 따라 루프 콘솔의 전체적 디자인을 변경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신차종 개발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고, 루프 콘솔의 생산 비용 및 조립 시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은 예컨대 선글라스 케이스와 같은 편의부품만을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환할 수 있어 조립과 수리가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에 따른 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에 따른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편의부품 모듈을 대체하여 탑재 개구에 탑재 가능한 더미 캡(dummy cap)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에 따른 절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 에 따른 절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10)은 헤드라이너(16)와, 헤드라이너(16) 위에 위치하는 고정 프레임(20)과, 헤드라이너(16) 아래에 위치하는 커버(3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20)은 차체(BIW: body in white)를 구성하는 루프 패널(roof panel)(미도시) 또는 루프 패널을 지지하는 루프 레일(roof rail)(미도시)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프레임(20)의 일측과 타측에 하나의 제1 브라켓(11)과 한 쌍의 제2 브라켓(14)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라켓(11)과 제2 브라켓(14)이 루프 패널 또는 루프 레일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20)은 중앙부에 3개의 모듈 수용 개구(25, 26, 27)를 구비한 판재 형태이고, 상기 모듈 수용 개구(25, 26, 27)를 상기 루프 패널 또는 루프 레일과 이격시키기 위한 하나의 제1 스페이서(21)와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스페이서(21)가 제1 브라켓(11)에 결합되고, 제2 스페이서(23)가 제2 브라켓(14)에 결합된다. 상기 루프 패널 또는 루프 레일과 모듈 수용 개구(25, 26, 27) 사이의 공간에 후술할 편의부품 모듈(50, 60, 70)이 수용될 수 있어 헤드라이너(16)에 매립되는 루프 콘솔(10) 컨셉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듈 수용 개구(25, 26, 27)의 형상 및 크기는, 복수의 차종에 공통 적용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제1 내지 제3 편의부품 모듈(50, 60, 70)의 외주면 형상 및 크기에 맞춰져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클립 장착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라이너(16)는 자동차의 루프 패널 내측에 설치되며, 실내의 단열과 소음 차단 및 흡수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복합소재(composit material)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헤드라이너(16)에는 고정 프레임(20)의 제1 내지 제3 모듈 수용 개구(25, 26, 27)와 복수의 클립 장착공(28)이 노출될 수 있게 개방된 루프 콘솔 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30)는 고정 프레임(20)의 제1 내지 제3 모듈 수용 개구(25, 26, 27)에 일대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라이너(16)의 루프 콘솔 개구(17)를 덮을 수 있는 판재 형태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는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듈 수용 개구(25, 26, 27)와 각각 겹쳐지기 때문에, 제1 편의부품 모듈(50)은 제1 모듈 장착 개구(31) 및 제1 모듈 수용 개구(25)에 끼워질 수 있고, 제2 편의부품 모듈(60)은 제2 모듈 장착 개구(32) 및 제1 모듈 수용 개구(26)에 끼워질 수 있으며, 제3 편의부품 모듈(70)은 제3 모듈 장착 개구(33) 및 제3 모듈 수용 개구(27)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의 테두리에는 수직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들(35, 36, 3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들(35, 36, 37)로 인해 제1 내지 제3 편의부품 모듈(50, 60, 70)을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를 통해 루프 콘솔(10) 내부로 밀어 넣을 때 상기 제1 내지 제3 편의부품 모듈(50, 60, 70)이 걸림 없이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커버(30)의 외주부에는 상기 클립 장착공(28)에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클립(45)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들(45)은 상기 커버(30)를 고정 프레임(20)에 근접하도록 밀어 올리면 상기 클립 장착공(28)에 삽입 체결된다. 이로써 커버(30)는 고정 프레임(20)에 결합된다. 상기 클립(45)은 탄성 복원 가능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30) 상측면의 클립 고정부(38)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30)를 헤드라이너(16)에서 이격되는 방향, 즉 아래로 당기면 상기 클립(45)이 탄성 수축하여 상기 클립 장착공(28)에서 미끄러지며 빠지므로 상기 커버(30)를 고정 프레임(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 장착 개구(31)에는 제1 편의부품 모듈(50)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편의부품은, 예컨대, 선글라스 케이스, 램프, 마이크로폰(microphone), 선루프 스위치(sunroof switch)와 같이 차량 주행에 있어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때때로 필요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부품을 의미하고, 편의부품 모듈은 이러한 편의부품을 모듈(module) 형태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편의부품 모듈(50)은 선글라스 케이스 모듈일 수 있다. 제1 편의부품 모듈(50)은 외장 박스(51)와 상기 외장 박스(51)에 힌지(hinge) 결합된 선글라스 선반(52)을 구비한다. 상기 외장 박스(51)의 하단 주변부에는 플랜지(flange)(53)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53) 위에는 탄성 복원 가능한 후크(hook)(5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편의부품 모듈(50)을 제1 모듈 장착 개구(31)에 대해 정렬하여 밀어올리면 상기 플랜지(53)가 제1 모듈 장착 개구(31)의 테두리에 걸려 진행하지 못할 때까지 제1 편의부품 모듈(50)이 제1 모듈 장착 개구(31)에 삽입된다. 이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5)가 제1 모듈 장착 개구(31)의 가이드 돌기(35) 상단을 지나 탄성 복원 돌출됨으로써 제1 편의부품 모듈(50)이 제1 모듈 장착 개구(31)에 장착된다. 제1 편의부품 모듈(50)은 후크(55)가 상기 가이드 돌기(35) 상단에 걸려 제1 모듈 장착 개구(3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 편의부품 모듈(50)을 아래로 당기면 상기 후크(55)가 탄성 수축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35) 상단에서 미끄러지며 빠지므로 상기 제1 편의부품 모듈(50)을 제1 모듈 장착 개구(31)에서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듈 장착 개구(31)의 테두리에는 상기 플랜지(53)가 안착될 수 있는 테두리 그루브(3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편의부품 모듈(50)이 제1 모듈 장착 개구(31)에 장착된 때 상기 테두리 그루브(38)에 상기 플랜지(53)가 안착됨으로써 제1 편의부품 모듈(50)의 하단부가 커버(30)의 표면과 단차지게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 모듈 장착 개구(32)에는 제2 편의부품 모듈(6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편의부품 모듈(60)은 램프(lamp)와 램프의 스위치(switch)를 모아 모듈 형태로 구성한 램프 모듈일 수 있다. 제2 편의부품 모듈(60)은 외장 박스(61)와, 하측면에 램프 윈도(미도시) 및 스위치 버튼(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외장 박스(61)의 하단 주변부에는 플랜지(flange)(63)와, 수직 상향 돌출된 가이드 돌기(6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64) 위에는 탄성 복원 가능한 후크(hook)(6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편의부품 모듈(60)을 제2 모듈 장착 개구(32)에 대해 정렬하여 밀어올리면 제2 편의부품 모듈(60)의 가이드 돌기(64)가 제2 모듈 장착 개구(32)의 가이드 돌기(36)에 대해 미끄러지며 상기 플랜지(63)가 제2 모듈 장착 개구(32)의 테두리에 걸려 진행하지 못할 때까지 제2 편의부품 모듈(60)이 제2 모듈 장착 개구(32)에 삽입된다. 이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66)가 제2 모듈 장착 개구(32)의 가이드 돌기(36) 상단을 지나 탄성 복원 돌출됨으로써 제2 편의부품 모듈(60)이 제2 모듈 장착 개구(32)에 장착된다. 제2 편의부품 모듈(60)은 후크(66)가 상기 제2 모듈 장착 개구(32)의 가이드 돌기(36) 상단에 걸려 제2 모듈 장착 개구(32)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2 편의부품 모듈(60)을 아래로 당기면 상기 후크(66)가 탄성 수축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36) 상단에서 미끄러지며 빠지므로 상기 제2 편의부품 모듈(60)을 제2 모듈 장착 개구(32)에서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듈 장착 개구(32)의 테두리에는 상기 플랜지(63)가 안착될 수 있는 테두리 그루브(39)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편의부품 모듈(60)이 제2 모듈 장착 개구(32)에 장착된 때 상기 테두리 그루브(39)에 상기 플랜지(63)가 안착됨으로써 제2 편의부품 모듈(60)의 하단부가 커버(30)의 표면과 단차지게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 모듈 장착 개구(33)에는 제3 편의부품 모듈(7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편의부품 모듈(70)은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선루프 작동 스위치(sunroof switch)를 모아 모듈 형태로 구성한 마이크 및 선루프 모듈일 수 있다. 제3 편의부품 모듈(70)은 외장 박스(71)와, 하측면에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스위치 버튼(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외장 박스(71)의 하단 주변부에는 플랜지(flange)(73)와, 수직 상향 돌출된 가이드 돌기(7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74) 위에는 탄성 복원 가능한 후크(hook)(76)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편의부품 모듈(70)을 제3 모듈 장착 개구(33)에 대해 정렬하여 밀어올리면 제3 편의부품 모듈(70)의 가이드 돌기(74)가 제3 모듈 장착 개구(33)의 가이드 돌기(37)에 대해 미끄러지며 상기 플랜지(73)가 제3 모듈 장착 개구(33)의 테두리에 걸려 진행하지 못할 때까지 제3 편의부품 모듈(70)이 제3 모듈 장착 개구(33)에 삽입된다. 이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76)가 제3 모듈 장착 개구(33)의 가이드 돌기(37) 상단을 지나 탄성 복원 돌출됨으로써 제3 편의부품 모듈(70)이 제3 모듈 장착 개구(33)에 장착된다. 제3 편의부품 모듈(70)은 후크(76)가 상기 제3 모듈 장착 개구(33)의 가이드 돌기(37) 상단에 걸려 제3 모듈 장착 개구(33)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3 편의부품 모듈(70)을 아래로 당기면 상기 후크(76)가 탄성 수축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37) 상단에서 미끄러지며 빠지므로 상기 제3 편의부품 모듈(70)을 제3 모듈 장착 개구(33)에서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모듈 장착 개구(33)의 테두리에는 상기 플랜지(73)가 안착될 수 있는 테두리 그루브(40)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편의부품 모듈(70)이 제3 모듈 장착 개구(33)에 장착된 때 상기 테두리 그루브(40)에 상기 플랜지(73)가 안착됨으로써 제3 편의부품 모듈(70)의 하단부가 커버(30)의 표면과 단차지게 돌출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도 1의 편의부품 모듈을 대체하여 탑재 개구에 탑재 가능한 더미 캡(dummy cap)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편의부품 모듈(50, 60, 70)이 루프 콘솔(10)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으나, 차량 구매자의 옵션 선택 여부에 따라 제1 내지 제3 편의부품 모듈(50, 60, 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루프 콘솔(10)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이때 제외된 편의부품 모듈을 대신하여 도 5의 더미 캡(dummy cap)(80, 85, 90)이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에 장착된다.
제1 더미 캡(80)은 제1 편의부품 모듈(50)을 대신하여 제1 모듈 장착 개구(31)에 장착 가능하고, 제2 더미 캡(85)은 제2 편의부품 모듈(60)을 대신하여 제2 모듈 장착 개구(32)에 장착 가능하며, 제3 더미 캡(90)은 제3 편의부품 모듈(70)을 대신하여 제3 모듈 장착 개구(33)에 장착 가능하다. 제1 내지 제3 더미 캡(80)은 각각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외주부에는 플랜지(flange)(81, 86, 91)와, 수직 상향 돌출된 가이드 돌기(82, 87, 9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82, 87, 92) 위에는 탄성 복원 가능한 후크(hook)(83, 88, 9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더미 캡(80, 85, 90)을 각각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에 대해 정렬하여 밀어 올리면 제1 내지 제3 더미 캡(80, 85, 90)의 가이드 돌기(82, 87, 92)가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의 가이드 돌기(35, 36, 37)에 대해 미끄러지며 올라간다. 제1 내지 제3 더미 캡(80, 85, 90)의 플랜지(81, 86, 91)가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의 테두리 그루브(38, 39, 40)(도 4 참조)에 걸려 진행하지 못할 때 후크(83, 88, 93)가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의 가이드 돌기(35, 36, 37) 상단을 지나 탄성 복원 돌출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더미 캡(80, 85, 90)이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에 장착된다. 제1 내지 제3 더미 캡(80, 85, 90)은 후크(83, 88, 93)가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의 가이드 돌기(35, 36, 37) 상단에 걸려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더미 캡(80, 85, 90)을 아래로 당기면 상기 후크(83, 88, 93)가 탄성 수축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35, 36, 37) 상단에서 미끄러지며 빠지므로 상기 제1 내지 제3 더미 캡(80, 85, 90)을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에서 빼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루프 콘솔(1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프레임(20)을 루프(미도시)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브라켓(11)과 제2 브라켓(14)을 고정 프레임(20)의 제1 스페이서(21)와 제2 스페이서(23)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1 브라켓(11)과 제2 브라켓(14)을 다시 루프에 고정 결합한다.
다음으로, 헤드라이너(16)의 콘솔 개구(17)가 고정 프레임(20)의 제1 내지 제3 모듈 수용 개구(25, 26, 27)와 클립 장착공(28)을 노출하도록 헤드라이너(16)를 정렬하여 고정 프레임(20)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커버(30)의 클립(45)이 고정 프레임(20)의 클립 장착공(28)에 삽입 체결되도록 정렬하여 커버(30)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커버(30)를 고정 프레임(2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커버(30)는 헤드라이너(16)의 루프 콘솔 개구(17)를 덮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편의부품 모듈(50, 60, 70)을 커버(30)의 제1 내지 제3 모듈 장착 개구(31, 32, 3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여 루프 콘솔(10)의 조립을 마무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편의부품 모듈(50, 60, 7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외된 편의부품 모듈을 대신하여 제1 내지 제3 더미 캡(80, 85, 90) 중 적어도 하나를 해당 모듈 장착 개구에 삽입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루프 콘솔 16: 헤드라이너
20: 고정 프레임 25, 26, 27: 모듈 수용 개구
30: 커버 31, 32, 33: 모듈 장착 개구
50, 60, 70: 편의부품 모듈 80, 85, 90: 더미 캡

Claims (6)

  1. 편의부품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수용 개구가 형성되고,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듈 수용 개구가 루프(roof)와 이격되도록 상기 루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아래에 개재된 것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가 노출될 수 있게 개방된 루프 콘솔 개구가 형성된 헤드라이너;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헤드라이너 아래에 개재되어 상기 루프 콘솔 개구를 덮으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에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편의부품 모듈이 그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를 구비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장착된 상기 편의부품 모듈은 상기 루프와 상기 모듈 수용 개구 사이의 공간까지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클립이 끼워지는 복수의 클립 장착공을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클립 장착공을 정렬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근접시키면 상기 커버가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에 삽입 가능하고 후크(hook)를 구비한 편의부품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편의부품 모듈은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모듈 장착 개구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를 폐쇄할 수 있고 후크(hook)를 구비한 더미 캡(dummy cap)을 더 구비하고, 상기 더미 캡은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모듈 장착 개구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5. 차량 주행 중에 때때로 필요할 수 있는 편의부품을 모듈 형태로 만든 편의부품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수용 개구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을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듈 수용 개구가 루프와 이격되도록 상기 루프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가 개방되도록 개방된 루프 콘솔 개구가 형성된 헤드라이너를 상기 고정 프레임 아래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모든 모듈 수용 개구에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편의부품 모듈이 그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를 구비한 커버를, 상기 루프 콘솔 개구를 덮도록 상기 헤드라이너 아래에 위치시키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의 조립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부품 모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 장착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의 조립 방법.
KR1020110019080A 2011-03-03 2011-03-03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80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080A KR101800020B1 (ko) 2011-03-03 2011-03-03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080A KR101800020B1 (ko) 2011-03-03 2011-03-03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286A KR20120100286A (ko) 2012-09-12
KR101800020B1 true KR101800020B1 (ko) 2017-11-21

Family

ID=4711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080A KR101800020B1 (ko) 2011-03-03 2011-03-03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881B1 (ko) * 2020-09-16 2022-01-03 (주)대한솔루션 선루프가 구비된 자동차의 오프닝 브래킷
KR102520509B1 (ko) * 2021-05-07 2023-05-09 주식회사 대유이피 루프 콘솔을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841A (ja) * 1999-07-15 2001-02-06 Imasen Electric Ind Co Ltd 天井一体化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の取り付け構造
US20050134072A1 (en) 2003-12-22 2005-06-23 Lear Corporation Modular overhead console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841A (ja) * 1999-07-15 2001-02-06 Imasen Electric Ind Co Ltd 天井一体化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の取り付け構造
US20050134072A1 (en) 2003-12-22 2005-06-23 Lear Corporation Modular overhead conso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286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309B1 (en) Automotive door trim assembly with removable access panel
CN106499272B (zh) 用于装配汽车套件的汽车设备以及包括这样的汽车设备的汽车套件
WO2013108494A1 (ja) 車両の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AU2018202931A1 (en) Heating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mounting a heating device
KR102110555B1 (ko) 전기자동차용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KR101800020B1 (ko) 차량용 헤드라이너의 루프 콘솔 및 이의 조립 방법
US9248779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utomotive room lamp
EP1574381A2 (en) Fuel tank filler cap module
KR101712224B1 (ko) 배출기 후드, 배출기 후드용 키트 및 배출기 후드 조립 방법
US20180147921A1 (en) Roof closure assembly
KR20170025240A (ko)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KR102178364B1 (ko)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JP3690133B2 (ja) 自動車用ランプの取付構造
JP530752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US20030066698A1 (en) Quick mount vehicle engine compartment splash panel
KR200381620Y1 (ko) 자동차 보조 번호판 홀더
JP4285434B2 (ja) 車両のバンパー支持構造
KR20160054190A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
US20200361400A1 (en) Anchor clip
JP4171143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KR102200610B1 (ko) 번호판의 테두리 보호구조를 갖도록 체결되는 자동차 번호판 장착대
JP2009089125A (ja) スピーカ取付け構造
KR102527668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후부 장착용 브래킷
KR100534476B1 (ko) 냉장고용 선반
KR200366763Y1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