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301B1 -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301B1
KR101799301B1 KR1020160067361A KR20160067361A KR101799301B1 KR 101799301 B1 KR101799301 B1 KR 101799301B1 KR 1020160067361 A KR1020160067361 A KR 1020160067361A KR 20160067361 A KR20160067361 A KR 20160067361A KR 101799301 B1 KR101799301 B1 KR 101799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soup
gas
nozzles
burn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선
채수백
장석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6Protecting flame and burn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외면에 가스주입공을 형성하되, 내측 상면에 가스를 상방으로 토출하는 한 쌍의 노츨을 형성한 컵바디를 구비하고, 이 컵바디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날개부와, 날개부 저면에 노즐과 대응되는 한 쌍의 혼합관을 형성한 버너바디를 구비하며, 저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국물이 노즐의 직하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국물차단부를 형성한 버너헤드로 버너바디 상부를 덮어 커버함으로써, 조리용기에서 넘쳐흘러 버너헤드 표면을 따라 흐르는 국물이 버너헤드 저면 테두리부분에서 국물차단부에 차단되어, 노즐의 직하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이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너헤드 표면을 따라 흐르던 국물이 버너헤드 저면 테두리부분에서 국물차단부에 차단되어, 노즐의 직상방향에 도달하지 못하고, 국물이 국물차단부에 의해 노즐 테두리 부분으로 낙하 또는 흘러내려 노즐에 직접적으로 침투되지 못하며, 국물 침투 방지로 노즐에 국물이 고착될 우려가 없고, 또한, 가스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항시 동일한 가스량을 공급할 수 있으며, 국물 고착에 의한 노즐구멍 막힘이 방지되어 버너의 점화력 유지와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Foreign substance penet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the gas burner}
본 발명은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헤드 저면에 환형의 국물차단부를 형성하여, 조리용기에서 넘쳐흐른 국물이 노즐의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가스버너는 가스연료를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열 및 고온을 이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정용 풍로에 사용되는 소규모의 것에서부터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 쓰이는 대규모의 공업용 버너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형식이 있으며, 연료와 공기를 혼합시키는 방식으로서 예혼합형(豫混合型)과 확산형(擴散型)의 2가지로 크게 대별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빌트인용 가스버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측 상면에 2개의 노즐을 형성한 컵바디와, 상기 컵바디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저면에 상기 노즐과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노즐에서 토출되는 가스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혼합하여 상방으로 안내하는 혼합관을 형성하며, 상단 외면에 상기 가스안내공을 통해 상방으로 이동된 가스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염공부를 형성한 버너바디와, 판재형상으로 상기 가스안내공을 통해 상방으로 토출된 가스가 상기 염공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버너바디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버너헤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혼합관은 상기 노즐에서 토출되는 가스와 상기 컵바디와 버너바디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상방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은 상기 혼합관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가스를 토출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을 통해 상기 버너바디 상방으로 토출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헤드 저면에 충돌된 후, 상기 버너바디의 측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염공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이때, 점화플러그의 스파크에 의해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화염이 생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조리용기에서 넘쳐흐른 국물이 버너헤드 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저면에서 직하방향으로 그대로 낙하되어 노즐에 국물이 침투되고, 노즐상으로 낙하된 국물이 고착되면서 노즐 구멍을 막아 노즐에서 토출되는 가스량에 변화가 발생되며, 특히, 노즐로 연속하여 낙하되는 국물이 점차적으로 고착되면서, 노즐 구멍이 막힘되어 가스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고, 가스공급의 영향으로 버너의 점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260877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면에 가스주입공을 형성하되, 내측 상면에 가스를 상방으로 토출하는 한 쌍의 노츨을 형성한 컵바디를 구비하고, 이 컵바디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날개부와, 날개부 저면에 노즐과 대응되는 한 쌍의 혼합관을 형성한 버너바디를 구비하며, 저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국물이 노즐의 직하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국물차단부를 형성한 버너헤드로 버너바디 상부를 덮어 커버함으로써, 조리용기에서 넘쳐흘러 버너헤드 표면을 따라 흐르는 국물이 버너헤드 저면 테두리부분에서 국물차단부에 차단되어, 노즐의 직하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이 차단되는 가스버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가스주입공 및 점화플러그를 형성하고, 내측 상면에 상기 가스주입공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상방으로 토출하는 한 쌍의 노즐을 형성한 컵바디와; 판재형상으로 상기 컵바디 상부를 덮어 마감하되, 그 외면을 따라 복수개의 염공을 형성한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 저면에상기 노즐과 대응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상방으로 안내하는 혼합관을 형성한 버너바디; 및 판재형상으로 상기 버너바디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너바디 상부를 커버하고, 저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조리용기에서 넘쳐흐른 국물이 상기 노즐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국물차단부를 형성한 버너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의 국물차단부는, 한 쌍의 상기 노즐 사이를 잇는 직선의 원호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노즐 사이를 잇는 직선의 원호 직경의 외측둘레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의 국물차단부는, 상기 버너헤드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국물이 상기 노즐의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는, 상기 국물차단부의 하단 테두리가 버너바디의 혼합관 상단 테두리에 맞닿아, 상기 국물차단부에 차단된 국물이 상기 혼합관 벽면을 따라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의 국물차단부는, 상기 버너헤드 상방으로 함몰형성되어 국물이 상기 노즐의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너바디의 혼합관은,상협하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버너헤드의 국물차단부에 차단된 국물이 상기 혼합관의 벽면을 따라 상기 노즐 외측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너헤드 표면을 따라 흐르던 국물이 버너헤드 저면 테두리부분에서 국물차단부에 차단되어, 노즐의 직상방향에 도달하지 못하고, 국물이 국물차단부에 의해 노즐 테두리 부분으로 낙하 또는 흘러내려 노즐에 직접적으로 침투되지 못하며, 국물 침투 방지로 노즐에 국물이 고착될 우려가 없고, 또한, 가스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항시 동일한 가스량을 공급할 수 있으며, 국물 고착에 의한 노즐구멍 막힘이 방지되어 버너의 점화력 유지와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컵바디(1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가스주입공(101) 및 점화플러그(102)를 형성하고, 내측 상면에 상기 가스주입공(101)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상방으로 토출하는 한 쌍의 노즐(103)을 형성한다.
상기 가스주입공(101)은 가스를 공급하는 외부의 가스관(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노즐(103)은 상기 가스주입공(101)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공급받아, 직상방으로 가스를 토출한다.
상기 점화플러그(102)는 상기 가스주입공(101)과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화플러그(102)는 외부의 전원선(미도시)과 연결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스파크를 일으켜, 상기 날개부(201)의 염공(201a)을 통해 토출된 혼합가스를 점화한다.
버너바디(200)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컵바디(100) 상부를 덮어 마감하되, 그 외면을 따라 복수개의 염공(201a)을 형성한 날개부(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201) 저면에상기 노즐(103)과 대응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노즐(103)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상방으로 안내하는 혼합관(202)을 형성한다.
상기 날개부(201)는 상기 혼합관(202)을 통해 상방으로 토출된 혼합가스를 상기 염공(201a)을 통해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혼합관(202)은 상기 노즐(103)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와, 상기 버너바디(200)와 상기 컵바디(1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동시에 공급받아 가스와 공기를 혼합한 후, 이 혼합가스를 상방으로 안내한다.
상기 버너바디(200)의 혼합관(202)은 상협하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버너헤드(300)의 국물차단부(301)에 차단된 국물이 상기 혼합관(202)의 벽면을 따라 상기 노즐(103) 외측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버너헤드(300)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버너바디(2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너바디(200) 상부를 커버하고, 저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조리용기에서 넘쳐흐른 국물이 상기 노즐(103)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국물차단부(301)를 형성한다.
상기 버너헤드(300)는 상기 버너바디(200)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버너바디(200)의 혼합관(202)을 통해 상방으로 토출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날개부(201)의 염공(20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국물차단부(301)는 "C"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너헤드(300)의 국물차단부(301)는 한 쌍의 상기 노즐(103) 사이를 잇는 직선의 원호 직경(d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d2)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노즐(103) 사이를 잇는 직선의 원호 직경(d1)의 외측둘레에 위치된다.
상기 버너헤드(300)의 국물차단부(301)는 상기 버너헤드(300)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버너헤드(300) 상방으로 함몰형성되어 국물이 상기 노즐(103)의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버너헤드(300)는 상기 국물차단부(301)의 하단 테두리가 버너바디(200)의 혼합관(202) 상단 테두리에 맞닿아, 상기 국물차단부(301)에 차단된 국물이 상기 혼합관(202) 벽면을 따라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컵바디(100)의 가스주입공(101)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여, 한 쌍의 노즐(103)을 통해 가스가 컵바디(100)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노즐(103)에서 토출된 가스압에 의해 상기 버너바디(200)의 혼합관(202) 내에 상승기류가 발생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버너바디(200)와 상기 컵바디(100) 사이의 간극 사이를 통해 공급되는 유입공기가 상기 혼합관(202) 내의 상승기류에 의해 상기 혼합관(202) 내로 공급된 후, 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가스가 생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202) 내의 혼합가스는 상기 혼합관(202) 상방을 통해 토출된 후, 상기 버너헤드(300) 저면에 충돌되어 상기 혼합관(20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혼합관(202)은 상협하광 구조로 형성되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토출압이 상승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20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던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바디(200)의 날개부(201)에 형성된 염공(201a)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이후, 상기 점화플러그(102)의 스파크에 의해 점화된다.
즉, 상기한 과정을 통해 상기 가스버너 상부에 올려진 조리용기를 가열하게 되면, 조리용기가 점차적으로 가열되면서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조리되고, 이때, 조리용기 내에 담겨져 있던 국물이 넘쳐흐르게 되면, 이 국물이 버너헤드(300) 상면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버너헤드(300) 상면으로 낙하된 국물은 상기 버너헤드(300) 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버너헤드(300) 저면에 도달 한 후, 상기 버너헤드(300)의 국물차단부(301)에 차단되어 상기 버너헤드(300) 저면 중앙부분으로 더 이상 진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너헤드(300)의 국물차단부(301)는 노즐(103) 사이를 잇는 직선의 원호직경(d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d2)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따라, 상기 국물차단부(301)가 상기 노즐(103) 사이를 잇는 직선의 원호직경(d1)의 외측둘레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103)의 직하방으로 국물이 낙하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국물차단부(301)는 그 하단 테두리 직경이 상기 혼합관(202)의 상단 테두리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국물차단부(301)에 차단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는 국물이 상기 혼합관(202) 내벽을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여,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혼합관(202) 내벽면을 따라 흐르는 국물이 상기 혼합관(202) 하단 테두리 부분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 국물이 상기 혼합관(202) 하단 테두리 부분에서 상기 노즐(103)의 주변부로 낙하되어, 상기 노즐(103)에 국물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국물차단부(301)는 상기 버너헤드(300) 상면으로 함몰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버너헤드(300)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국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그 형상은 "C"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버너헤드(300)의 국물차단부(301)로 국물의 진입을 차단하여, 국물이 버너헤드(300) 저면에서 노즐(103)의 직하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는, 버너헤드(300) 표면을 따라 흐르던 국물이 버너헤드(300) 저면 테두리부분에서 국물차단부(301)에 차단되어, 노즐(103)의 직상방향에 도달하지 못하고, 국물이 국물차단부(301)에 의해 노즐(103) 테두리 부분으로 낙하 또는 흘러내려 노즐(103)에 직접적으로 침투되지 못하며, 국물 침투 방지로 노즐(103)에 국물이 고착될 우려가 없고, 또한, 가스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항시 동일한 가스량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컵바디 101 : 가스주입공
102 : 점화플러그 103 : 노즐
200 : 버너바디 201 : 날개부
201a : 염공 202 : 혼합관
300 : 버너헤드 301 : 국물차단부
d1, d2 : 직경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가스주입공(101) 및 점화플러그(102)를 형성하고, 내측 상면에 상기 가스주입공(101)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상방으로 토출하는 한 쌍의 노즐(103)을 형성한 컵바디(100)와;
    판재형상으로 상기 컵바디(100) 상부를 덮어 마감하되, 그 외면을 따라 복수개의 염공(201a)을 형성한 날개부(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201) 저면에상기 노즐(103)과 대응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노즐(103)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상방으로 안내하는 혼합관(202)을 형성한 버너바디(200); 및
    판재형상으로 상기 버너바디(2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너바디(200) 상부를 커버하고, 저면에 버너헤드(300) 상방으로 함몰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어 조리용기에서 넘쳐흐른 국물이 상기 노즐(103)의 직하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국물차단부(301)를 형성한 버너헤드(3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300)의 국물차단부(301)는,
    한 쌍의 상기 노즐(103) 사이를 잇는 직선의 원호 직경(d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d2)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노즐(103) 사이를 잇는 직선의 원호 직경(d1)의 외측둘레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바디(200)의 혼합관(202)은,
    상협하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버너헤드(300)의 국물차단부(301)에 차단된 국물이 상기 혼합관(202)의 벽면을 따라 상기 노즐(103) 외측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KR1020160067361A 2016-05-31 2016-05-31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 KR10179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61A KR101799301B1 (ko) 2016-05-31 2016-05-31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61A KR101799301B1 (ko) 2016-05-31 2016-05-31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301B1 true KR101799301B1 (ko) 2017-11-21

Family

ID=6080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361A KR101799301B1 (ko) 2016-05-31 2016-05-31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2024A (zh) * 2018-05-18 2018-09-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火盖和燃烧器
CN110966600A (zh) * 2018-09-30 2020-04-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燃气灶的火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08B1 (ko) * 2005-07-13 2007-04-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렌지용 버너
KR101260877B1 (ko) * 2010-12-16 2013-05-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빌트인용 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08B1 (ko) * 2005-07-13 2007-04-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렌지용 버너
KR101260877B1 (ko) * 2010-12-16 2013-05-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빌트인용 가스버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2024A (zh) * 2018-05-18 2018-09-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火盖和燃烧器
CN108592024B (zh) * 2018-05-18 2024-04-3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火盖和燃烧器
CN110966600A (zh) * 2018-09-30 2020-04-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燃气灶的火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9814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с обращенным внутрь пламенем
KR101840296B1 (ko) 휴대용 가스스토브
KR101799301B1 (ko) 가스버너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
KR102078769B1 (ko) 버너 캡 및 버너
WO2008018430A1 (fr) Brûleur à pulvérisation à deux fluides
KR102102148B1 (ko) 가스버너
JP2007024359A (ja) こんろ用バーナ
KR101787388B1 (ko) 가스버너
CN109416174B (zh) 燃气燃烧器和家用烹饪器具
JP5666198B2 (ja) 水素調理装置
EP2986913B1 (en) Gas burner for cooking hobs
CN103851616A (zh) 燃烧器及烹调机
KR101885690B1 (ko) 예혼합가스 버너
KR101787386B1 (ko) 가스버너
JP6842957B2 (ja) コンロバーナ
KR102264587B1 (ko) 이중가스버너
JP6666201B2 (ja) コンロ用バーナ及びコンロ
KR101300899B1 (ko) 버너
JP2009276020A (ja) こんろバーナ
CN219453954U (zh) 内环火盖引流装置和灶具燃烧器
KR101953871B1 (ko) 가스 버너
KR100764622B1 (ko) 고화력 가스버너
KR101808168B1 (ko) 오조립 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버너
KR200483096Y1 (ko)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KR20160109673A (ko) 가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