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214B1 -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214B1
KR101799214B1 KR1020160162678A KR20160162678A KR101799214B1 KR 101799214 B1 KR101799214 B1 KR 101799214B1 KR 1020160162678 A KR1020160162678 A KR 1020160162678A KR 20160162678 A KR20160162678 A KR 20160162678A KR 101799214 B1 KR101799214 B1 KR 101799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unctional food
depress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tracell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웅
김재용
이규옥
신자원
강후원
조아라
최학준
반상오
박성윤
윤효정
임소정
김미리
김영욱
오둘리
최은진
김유진
배동혁
오교녀
정명아
홍지애
이현미
성락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6016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214B1/ko
Priority to EP17876695.2A priority patent/EP3549455A1/en
Priority to JP2019529558A priority patent/JP7189137B2/ja
Priority to CN201780074485.0A priority patent/CN110113957A/zh
Priority to US16/465,743 priority patent/US10925914B2/en
Priority to PCT/KR2017/012586 priority patent/WO201810163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214B1/ko
Priority to JP2021092660A priority patent/JP202115124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리나라 천연자원인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having anti-depressant a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원료인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울증은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한다. 우울장애는 감정, 생각, 신체 상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으로 한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영향을 준다. 우울증은 일시적인 우울감과는 다르며 개인적인 약함의 표현이거나 의지로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울장애는 매우 흔한 정신질환의 하나로, 국가에 따른 비교에서 유병률의 차이를 많이 보인다. 미국이나 유럽, 뉴질랜드 등은 주요 우울장애 평생 유병률이 10.1%~16.6%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데 비하여, 한국이나 중국을 비롯한 비서구권국가에서는 5% 이하의 낮은 수준의 유병률을 보인다.
2011년 보건복지부의 정신질환상태 역학조사에서는 주요우울장애 평생유병률이 6.7%, 일년유병률이 3.1%로서 2006년 역학연구에 비하여 다소 높은 수준의 유병률을 보이나, 서구권 국가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며, 비서구권 국가들과는 비슷한 수준이거나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우울증의 분명한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다른 정신 질환과 같이 다양한 생화학적, 유전적 그리고 환경적 요인이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다. 우울증은 다른 질환과는 달리 전문가의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상당한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이전의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는 진달래목의 쌍떡잎 속씨식물로 해변의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가 1∼3m로, 작은가지는 회갈색에서 회색이고 거의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두꺼운 가죽같은 질감을 갖는다.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뒷면 밑에 작은 선점(腺點)이 있으며, 꽃은 6월에 피고 홍백색이 돌며 밑으로 처지는 총상꽃차례[總狀花序]에 종처럼 생긴 꽃이 10여 개씩 달리고 포(苞)가 남아 있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흰가루로 덮이며 지름 6mm 정도로 10월에 익으며 먹을 수 있다.
최근 현대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부작용이 거의 없고 자연에서 채취가 가능한 천연자원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를 우수하게 함유하거나 질병의 예방과 회복에 특이하게 도움을 주는 천연 기능성물질을 함유한 건강식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모새나무 또한 그 기능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영양학적 가치나 생리활성 기능성에 대한 관련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025414호에서는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230644호에서는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고 인간 타이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억제효과를 가져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모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016787호에서는 상엽 추출물, 이의 다이클로로메탄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분획물 또는 퍼퓨린-7 디메틸 에틸에스테르, 하이드록시-페오포르바이드 A 에틸에스테르, 페오포르바이드 A 에틸에스테르, 디데하이드로-로도클로린 에틸메틸에스테르, 하이드록시 페오포르바이드 A 메틸에스테르 또는 페오포르바이드 A 메틸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 억제, 우울증의 예방 및 개선, 또는 불안증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80333호에서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 우울증 및 치매의 예방 및 치료와 기억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각종 스트레스, 폐경, 음주, 흡연 등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의 변화와 뇌손상을 받고 있는 현대인들의 불안, 우울증 및 치매의 예방 및 치료와 기억력 증진 효과를 유발하는 약제 및 건강보조식품에 이용할 수 있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생리활성기능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은 천연자원인 모새나무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모새나무 열매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우리나라 천연자원인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새나무 열매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우울증 예방 및 개선 기능을 갖는 약학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추출방법은 모새나무 열매에 증류수를 가하고, 환류추출기를 이용하여 100 ℃에서 온도가 올라간 후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상기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에서 가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추출물은 0.01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정제 및 캡슐제, 연질 캡슐제, 과립제, 액제 또는 음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은 사지를 전혀 움직이지 않는 부동시간을 감소시켜 항우울 효과가 비교군인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으며, 동물실험에서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을 투여했을 때,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에서 대조군보다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성을 보임으로서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은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 농도를 증가시켜 항우울제제로서의 효과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은 모새나무 열매의 분획물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6일간 투여한 흰쥐에 대한 강제수영시험법에 있어서, 부동 시간 (immobility time), 수영 시간 (swimming time), 기어오른 시간 (climbing time)을 대조군,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 투여군 생쥐와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 대한 혈액에서 신경전달물질의 증가유무에 있어서 대조군,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 투여군 생쥐와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SH-SY5Y 세포 (neuroblastoma, human dopaminergic neuronal cell) 에 미치는 세포독성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은 과산화수소 처리를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 유도에 대한 모새나무열매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7은 정신적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costerone 처리를 통한 세포 내 스트레스 유발 및 모새나무열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5-HT1A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주에서 5-HT 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Ca2+의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5-HT2A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주에서 5-HT 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Ca2+의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이 5-HT2A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주에서 5-HT 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Ca2+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1. 모새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의 제조
도 1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다. 모새나무 열매 2.0 kg을 증류수 30L를 가하고, 환류추출기를 이용하여 100 ℃에서 온도가 올라간 후 3시간동안 가열, 추출 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감압 필터 후 감압 농축하여 107.02 g의 농축액을 얻었다.
2. 모새나무 열매의 극성 용매, 비극성 용매 가용 분획물 제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새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로부터 계통분획을 실시하여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분획물 (15 g)을 제조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농축액을 물로 충분히 현탁하여 2배 부피의 헥산으로 1차 용매이행을 3회 수행하여 물 층과 hexane ext. (41.8 mg) 로 분리하였다. 물 층을 다시 2배 부피의 클로로포름으로 2차 용매이행을 3회 수행하여 CHCl3 ext. (79.9 mg)를 확보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3차 용매이행을 3회 수행하여 EtOAc ext. (312.4 mg) 를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n-부탄올로 3차 용매이행을 3회수행하여 n-BuOH ext. (5g)을 확보하였다.
3. 실험동물 및 사육
모새나무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 측정을 위한 실험동물로서 생후 6주령 된 수컷 ICR 마우스를 ㈜샘타코 (SAMTACO, Korea)부터 구입하여 동물 사육실에서 일전한 조건 (온도: 22±2℃, 습도:50±5%, 명암: 12시간 light/dark cycle)으로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4. 모새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우울 동물행동실험
수컷 ICR 마우스에 본 발명의 모새나무 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항우울제로 사용되는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을 경구투여하였다. 이들은 실험에 따라 6일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전 예비실험 (pre-swim)으로 원통모양의 수조 (직경 20 cm, 높이 40 cm)에 25℃ 내외의 수돗물을 실린더 바닥에서부터 15 cm까지 부은 후, 생쥐를 집어넣고 15분간 강제로 수영을 시키고, 물에서 건져 올려 마른 수건으로 닦고 사육상자로 돌려보냈다. 약물 투여 6일 후에 본 시험 (post-swim)을 시행하였으며, 실린더에 생쥐를 넣고 6분 동안 강제 수영을 시행하면서 비디오 촬영을 하였다. 기록된 영상에서 최초 1분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5분 동안 동물의 행동을 3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는데, 동물이 얼굴을 포함한 상체의 일부분만 수면 위로 드러낸 채 약간의 움직이만 나타낼 뿐 물위에 떠 있는 행동 (부동자세, immobility behavior), 실린더 주위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앞발과 뒷발을 물장구를 치는 행동 (수영, swimming behavior), 벽을 향해 앞발을 물 밖으로 차올리는 다소 격렬하게 움직이면서 벽을 긁는 행동 (기어오르기, climbing behavior)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6일간 투여한 흰쥐에 대한 강제수영시험법에 있어서, 부동 시간 (immobility time), 수영 시간 (swimming time), 기어오른 시간 (climbing time)을 대조군,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 투여군 생쥐와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약물을 6일 투여 후 강제 수영시키는 동안 부동시간은 대조군 (245.48±4.05초) 과 비교하여 볼 때 비교군인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은 169.65±7.15초,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100 및 200mg/kg p.o)은 각각 114.98±9.26초, 118.29±6.35초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P < 0.01 and P < 0.001). 그리고 수영 시간은 대조군 (51.82±3.38초)과 비교하여 볼 때 비교군인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은 128.16±6.65초,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100 및 200mg/kg p.o)은 각각 177.07±9.79초, 172.23±6.72초로 유의성 있게 증가를 보였다 (P < 0.01 and P < 0.001).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은 사지를 전혀 움직이지 않는 부동시간을 감소시키므로 항우울 효과가 비교군인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5. 모새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혈장 내 노르에피네프린 ( norepinephrine , NE) 및 코르티코스테론 ( corticosterone , COR ) 측정
정상적인 상태에서 우울증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인 NE와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 의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각 약물 6일 투여 후 생쥐로부터 혈장 (plasma)를 분리하여 Abnova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측정하였다.
도 4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 대한 혈액에서 신경전달물질의 증가유무에 있어서 대조군,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 투여군 생쥐와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NE와 COR 의 변동에 미치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우울 효능을 검증하였다. 우울한 기분이 느껴지는 이유는 뇌의 신경세포에서 외부로 분비되는 세로토닌 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의 양이 적기 때문이다.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통한 노르에피네프린 신경전달물질의 증가유무를 확인한 결과, 도 4에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동물에게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100 및 200 mg/kg),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 (10mg/kg)을 투여했을 때,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100 및 200 mg/kg 투여군에서 대조군보다 NE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성을 보였다. 따라서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은 NE 농도를 증가시킴으로 항우울제제로서의 효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100 및 200 mg/kg) 투여군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코스테론 수치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대조군에 비해 비교군인 에스시탈로프람 옥살산염은 감소 경향은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느낄 때 코르티코스테론의 수치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스트레스성 우울증 모델에서도 항우울효과를 나타낼 것을 시사한다.
6. 모새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에서 스트레스 완화 활성 확인
SH-SY5Y cell (neuroblastoma, human dopaminergic neuronal cell)을 1% antimicotics/antibiotics와 10% FBS를 함유한 MEM 배지에서 배양하고 96-well plate에 세포수가 105 cell/㎖가 되도록 seeding 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신경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모새나무열매 추출물 처리 24시간 후,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5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SH-SY5Y 세포 (neuroblastoma, human dopaminergic neuronal cell) 에 미치는 세포독성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세포독성정도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cytotoxicity를 MTT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사용농도의 최대안전범위를 설정하였다. 사용 세포주는 SH-SY5Y 세포로서 모새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농도 1, 3, 10, 30, 100 μg/ml 로 처리하여 세포독성 확인을 수행하였으며, 1, 3, 10, 30 μg/ml 에서는 control (0 μg/ml)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100 μg/ml 농도에서는 control 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세포 생존도가 감소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30 μg/ml 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신경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과산화수소 사용 농도결정을 위하여, 과산화수소 (H2O2)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여 50-60% 세포독성을 보이는 농도를 결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새나무열매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확인실험은 실험 세포주(SH-SY5Y cell line)를 96well micro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다음, 모새나무열매 추출물을 2시간 처리하고 10 μM H2O2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후, 세포 생존율 (cell viability)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6은 과산화수소 처리를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 유도에 대한 모새나무열매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A은 과산화수소 사용농도 결정을 위하여 사용 세포주인 SH-SY5Y 세포에 H2O2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 확인한 결과, 10 μM 에서는 control (0 μg/ml)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도가 50-60% 유의적 세포독성을 보이므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 6B 는 과산화수소 (H2O2) 10 μM 과 함께, 모새나무 열매의 열수추출물을 처리 하였을 때, 농도 0.3, 1, 3, 10 μg/ml에서 각각 54.75 ± 2.85 %, 52.18 ± 5.05 %, 69.01 ± 1.48 %, 80.24 ± 1.14 % 로 세포생존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P<0.05 또는 P<0.01).
모새나무 추출물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 활성을 세포수준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코스테론이 유발하는 신경세포 손상에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코르티코스테론 (corticosterone)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여 50-60% 세포독성을 보이는 농도를 결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새나무열매 추출물의 보호효과실험은 실험 세포주(SH-SY5Y cell line)를 96well micro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다음, 모새나무열매 추출물을 2시간 처리하고 1mM 코르티코스테론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후, 세포 생존율 (cell viability)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7은 정신적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costerone 처리를 통한 세포 내 스트레스 유발 및 모새나무열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코스테론 (corticosterine )의 사용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SH-SY5Y 세포에 corticosterone 농도 50, 100, 300, 500, 1000 μM 로 처리하여 세포독성 확인을 수행하였으며, 300, 500, 1000 μM 에서는 control (0 μg/ml)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도가 감소하였으며, 50-60% 세포독성을 보이는 1mM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 7B 는 corticosterone과 함께, 모새나무 열매의 열수추출물을 처리 하였을 때, 농도 0.3, 1, 3, 10 μg/ml에서 각각 63.28 ± 0.42 %, 66.55 ± 2.21 %, 86.91 ± 4.27 %, 89.08 ± 5.47 % 로 세포생존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P<0.05 또는 P<0.01).
7. 모새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5-HT 1A 수용체 또는 5-HT 2A 수용체 유전자 발현된 세포주에서 세포내 Ca 2+ 활성 측정
CHO-K1 세포주 (Chinese Hamster Ovary Cell) 를 ATCC로부터 구입하고 배양액 (RPMI 1640, fetal bovine serum 10%, penicilin 100 IU/ml, streptomycine 100 μg/ml)을 사용하여 96-well black wall/clear bottom (BD Falcon)에 세포를 분주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로토닌 1A 수용체 (5-HT1A receptor) 또는 세로토닌 2A 수용체 (5-HT2A receptor) 각각 cDNA를 플라스미드 트랜스펙션 시약인 lipofectamine 2000을 이용하여 48시간동안 세포내 일시적으로 발현시킨 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형광염색 전에 세포는 HEPES-buffered solution (155 mM NaCl, 2mM CaCl2, 1mM MgCl2, 3 mM KCl, 10 mM HEPES, 10 mM Glucose, pH 7.4) 으로 1회 세척한 다음, 세포내 칼슘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형광염료로 Fura-2/AM을 최종 5 μM 농도로 처리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60분 후 HEPES-buffered solution로 1회 세척한 다음 세포내 칼슘농도 측정은 high-throughput system (HTS) system을 이용하여 340/380nm 빛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 디지털 형광 분석기에 의해 분석된 340/380nm ratio 값을 측정하였다. 세포내에 존재하는 Fura-2/AM은 Ca2+과 결합한 상태에서는 340 nm에서 excitation되고,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380 nm에서 excitation되므로, 340/380 nm ratio값의 증가는 세포내 Ca2 +과 결합한 fura-2/AM이 많아졌다는 의미가 된다.
세로토닌 (5-HT) 100 μM을 처리하여 얻은 값을 control 로 사용하였고,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1, 3, 10, 30, 100 μg/ml 농도로 1분간 전 처리한 후 5-HT 100 μM을 처리하여 세포내 칼슘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참고로 도 8와 도 9에서 각 항목의 에러바 위에 표기된 숫자는 실험에 사용된 세포의 수를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5-HT1A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주에서 5-HT 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Ca2+의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5-HT1A 수용체에서 세로토닌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내 Ca2+ 의 증가에서 세로토닌과 비교하여 세포내 Ca2+ 활성화시켜 5-HT1A 수용체의 부분적인 효현제작용제로써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토닌 100 μM을 처리한 control 보다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1, 3, 10, 30, 100 μg/ml에서 각각 10.31±6.86%, 47.45±1.45%, 62.73±2.37%, 67.08±1.36%, 88.09±3.50% 로 5-HT1A 수용체-특이적 세로토닌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Ca2+ 이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8. 모새나무의 용매분획물을 이용한 5-HT 2A 수용체 유전자 발현된 세포주에서 세포내 Ca 2+ 활성 측정
CHO-K1 세포주 (Chinese Hamster Ovary Cell) 를 ATCC로부터 구입하고 배양액 (RPMI 1640, fetal bovine serum 10%, penicilin 100 IU/ml, streptomycine 100 μg/ml)을 사용하여 96-well black wall/clear bottom (BD Falcon)에 세포를 분주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로토닌 2A 수용체 (5-HT2A receptor) 각각 cDNA를 플라스미드 트랜스펙션 시약인 lipofectamine 2000을 이용하여 48시간동안 세포내 일시적으로 발현시킨 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형광염색 전에 세포는 HEPES-buffered solution (155 mM NaCl, 2mM CaCl2, 1mM MgCl2, 3 mM KCl, 10 mM HEPES, 10 mM Glucose, pH 7.4) 으로 1회 세척한 다음, 세포내 칼슘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형광염료로 Fura-2/AM을 최종 5 μM 농도로 처리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60분 후 HEPES-buffered solution로 1회 세척한 다음 세포내 칼슘농도 측정은 high-throughput system (HTS) system을 이용하여 340/380nm 빛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 디지털 형광 분석기에 의해 분석된 340/380nm ratio 값을 측정하였다. 세포내에 존재하는 Fura-2/AM은 Ca2+과 결합한 상태에서는 340 nm에서 excitation되고,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380 nm에서 excitation되므로, 340/380 nm ratio값의 증가는 세포내 Ca2+과 결합한 fura-2/AM이 많아졌다는 의미가 된다.
세로토닌 (5-HT) 100 μM을 처리하여 얻은 값을 control 로 사용하였고,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10 μg/ml 농도로 1분간 전 처리한 후 5-HT 100 μM을 처리하여 세포내 칼슘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5-HT2A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주에서 5-HT 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Ca2+의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9에 의하면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이 5-HT2A 수용체에서 세로토닌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내 Ca2+ 의 증가에서 세로토닌과 비교하여 세포내 Ca2+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에 나타낸바와 같이 세로토닌 100 μM을 처리한 control 보다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1, 3, 10, 30, 100 μg/ml에서 각각 29.15±0.81%, 37.53±0.49%, 42.09±0.92%, 54.39±0.55%, 59.03±0.48% 로 5-HT2A 수용체-특이적 세로토닌이 유도하는 세포내 Ca2+ 농도를 억제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이 5-HT2A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주에서 5-HT 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Ca2+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각 항목의 에러바 위에 표기된 숫자는 실험에 사용된 세포의 수를 의미한다. 도 10에 의하면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에 대한 5-HT2A 수용체에서 세로토닌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내 Ca2+ 의 증가에서 세로토닌과 비교하여 세포내 Ca2+ 농도 억제활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이 5-HT2A 수용체에서 세로토닌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내 Ca2+ 증가에 대한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9.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약제 또는 건강식품 제조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정제 및 캡슐제, 연질 캡슐제, 과립제, 액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음료 첨가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면역 증강용 약제 또는 건강식품은 상기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되도록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경피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 액으로 제형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멸균주사액의 경우, 상기 약학 조성물이 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하도록 하고 정제수 또는 포도당을 99.9 내지 0.01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 가능하며, 캡슐제의 경우, 상기 약학조성물을 동결 건조하여 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하도록 하고, 비타민제, 칼슘제을 99.9 내지 0.01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 가능하다.
상기 제조된 약학조성물의 1일당 투여량은 상기 추출물이 10 내지 2000mg/kg 체중 포함되는 함량으로 제공하며,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을 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하는 우울증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으로도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은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원인과 증상 질환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제조 원료를 자연에 서식하는 식물로 대체함으로 제조생산단가 절감과 산업화를 통한 수입대체 및 수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새나무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된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3. 제1항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0.01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4. 제3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성 식품은 정제, 캡슐제, 연질 캡슐제, 과립제, 액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5. 삭제
KR1020160162678A 2016-12-01 2016-12-01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179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78A KR101799214B1 (ko) 2016-12-01 2016-12-01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EP17876695.2A EP3549455A1 (en) 2016-12-01 2017-11-08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alleviating depression, containingvaccinium bracteatum
JP2019529558A JP7189137B2 (ja) 2016-12-01 2017-11-08 シャシャンボ実の抽出物を含む憂鬱症予防及び改善用健康機能性食品組成物
CN201780074485.0A CN110113957A (zh) 2016-12-01 2017-11-08 包含乌饭树果实提取物的用于预防及改善抑郁症的保健功能食品组合物
US16/465,743 US10925914B2 (en) 2016-12-01 2017-11-08 Method for alleviating depression using a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Vaccinium bracteatum Thunb fruit extract
PCT/KR2017/012586 WO2018101630A1 (ko) 2016-12-01 2017-11-08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JP2021092660A JP2021151245A (ja) 2016-12-01 2021-06-02 シャシャンボ実の抽出物を含む憂鬱症予防及び改善用健康機能性食品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78A KR101799214B1 (ko) 2016-12-01 2016-12-01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214B1 true KR101799214B1 (ko) 2017-11-20

Family

ID=6080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678A KR101799214B1 (ko) 2016-12-01 2016-12-01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5914B2 (ko)
EP (1) EP3549455A1 (ko)
JP (2) JP7189137B2 (ko)
KR (1) KR101799214B1 (ko)
CN (1) CN110113957A (ko)
WO (1) WO201810163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630A1 (ko) * 2016-12-01 2018-06-07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2388984B1 (ko) 2021-11-16 2022-04-2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388980B1 (ko) 2021-04-08 2022-04-22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Vaccinium bacteaum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보습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9821A (zh) * 2019-06-14 2019-09-24 珠海萱嘉君行健康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含有乌饭树提取物的防腐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292901B (zh) * 2021-09-08 2023-12-29 安徽师范大学 一种乌饭树实时荧光定量pcr内参基因的筛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40B1 (ko) * 2006-04-27 2008-12-29 사단법인 우리문화가꾸기회 수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 또는 항우울증 조성물
CN101244160A (zh) * 2007-01-09 2008-08-20 冯锦和 香蕉皮提取物抗应激及抗抑郁的新用途
CN101757130B (zh) * 2008-12-25 2013-12-04 中国科学院成都生物研究所 一种防治抑郁症的药物、其制备方法及用途
CN103432184B (zh) * 2013-09-16 2015-01-14 延边大学 牛蒡子提取物在制药或食品中的应用
KR20150113434A (ko) * 2014-03-28 2015-10-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N103876236B (zh) * 2014-04-04 2015-08-19 江苏九久环境科技有限公司 乌饭树果汁及其制备工艺
KR101756943B1 (ko) * 2014-08-27 2017-07-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5497433A (zh) * 2014-11-05 2016-04-20 石友爱 一种治疗抑郁症的中药
KR101726736B1 (ko) * 2015-04-03 2017-04-17 한국식품연구원 메밀 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4814995A (zh) 2015-05-12 2015-08-05 沈小玲 一种南烛子粉保健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169259A (zh) 2015-09-24 2015-12-23 杨立珍 治疗癫狂的方剂及制备方法
CN105748666A (zh) 2016-04-01 2016-07-13 广州三得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含艾叶的防治抑郁症和更年期综合症的药物组合物
CA3037712A1 (en) * 2016-09-21 2018-03-29 Mount Desert Island Biological Laborator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timulation and enhancement of regeneration of tissues
CN106389785A (zh) * 2016-10-20 2017-02-15 丁士彪 一种治疗产褥期抑郁症的中药
KR101799214B1 (ko) 2016-12-01 2017-11-20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1829583B1 (ko) * 2017-06-01 2018-02-20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및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Functional Foods. 2015, Vol 17, pp.388-398.*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630A1 (ko) * 2016-12-01 2018-06-07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US10925914B2 (en) 2016-12-01 2021-02-23 Jeonnam Bioindustry Foundation Method for alleviating depression using a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Vaccinium bracteatum Thunb fruit extract
KR102388980B1 (ko) 2021-04-08 2022-04-22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Vaccinium bacteaum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보습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0444A (ko) 2021-04-08 2022-10-18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Vaccinium bacteaum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8984B1 (ko) 2021-11-16 2022-04-2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9455A4 (en) 2019-10-09
WO2018101630A1 (ko) 2018-06-07
US20190381123A1 (en) 2019-12-19
JP7189137B2 (ja) 2022-12-13
EP3549455A1 (en) 2019-10-09
JP2019536798A (ja) 2019-12-19
CN110113957A (zh) 2019-08-09
JP2021151245A (ja) 2021-09-30
US10925914B2 (en)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214B1 (ko)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KR20050071355A (ko) 대사활성을 촉진시키는 탄시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증후군 치료제
KR101829583B1 (ko)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및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1009861A1 (en) Black pepper extract or its constituents for improving mental performance
KR102127570B1 (ko)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US9737582B2 (en) Method for improving memory of a subject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Cistanche and Ginkgo extracts
CN106659749A (zh) 包含葎草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退行性脑疾病的组合物
KR101278600B1 (ko) 가바와 아미노산이 다량 포함된 거대배아미 밀양263호의 쌀겨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71788B1 (ko) 신경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발효황금 천마복합액의 제조방법
KR20150083622A (ko)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KR102496450B1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0135B1 (ko)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또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두충 추출물
KR101401612B1 (ko)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30138679A (ko) 홍경천 발효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4145659B2 (ja) 細辛抽出物を含有する脳細胞保護及び記憶力増進用組成物
KR101500484B1 (ko) 꿀풀과, 백합과 또는 비름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hTRPA1 활성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US9301989B2 (en) hTRPA1-activat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190133457A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49024B1 (ko) 홍삼부산물의 고압효소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09274B1 (ko) 바랭이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20050092292A (ko) 기억력 증강 효과가 있는 생약재 조성물
Nadtochii et al. Functional nutrition for healthy and active longevity
TW202112382A (zh) 神經功能調節劑、醫藥組成物、食品組成物及調節神經功能之方法
KR20220016826A (ko) 포도 과피 추출물
KR100846522B1 (ko) 대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