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770B1 -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770B1
KR101798770B1 KR1020160076858A KR20160076858A KR101798770B1 KR 101798770 B1 KR101798770 B1 KR 101798770B1 KR 1020160076858 A KR1020160076858 A KR 1020160076858A KR 20160076858 A KR20160076858 A KR 20160076858A KR 101798770 B1 KR101798770 B1 KR 101798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line
supply pipe
pip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한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granular particles or dispersed in a porous, fibrous or cellula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015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solar energy
    • F24D17/0021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solar energy with accumulation of the heated water
    • F24J2/4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4Heat exchang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하우징(300)과 그 내측에 열 교환 모듈(100) 및 온수 모듈(200)을 포함하는 열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모듈(100)은, 가열된 제 1 열 매체가 유입되는 제 1 공급관(110)과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관(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급관(110)과 상기 제 1 배출관(120)은 다수의 제 1 연결 배관(1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온수 모듈(200)은, 시수가 유입되는 제 2 공급관(210)과 유입된 시수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관(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급관(210)과 상기 제 2 배출관(220)은 다수의 제 2 연결 배관(2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서 상기 열 교환 모듈(100) 및 상기 온수 모듈(200)은 상호 교차하도록 나선형으로 말려서 이중나선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가열 모듈(100) 및 상기 온수 모듈(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축열부(310)에 하나 이상의 캡슐화된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311)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열 매체와 상기 시수가 열 교환하는 열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Thermal storage device using capillary tube}
본 발명은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 저장장치 내에 모세 유관을 포함하는 열 교환 모듈과 온수 모듈이 위치하여, 컴팩트해진 열 저장장치로 인해 적은 설치공간에도 설치 가능하고, 열 효율이 우수한 열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난방 및 온수 공급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열 저장장치는 주로 연탄, 기름, 가스 및 전기 등의 연료에 의한 열원을 사용하는 형태로 개발되어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석연료의 고갈이 심화되고, 대체 에너지 자원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그 일환으로 대체 에너지에 의한 열원을 사용하는 열 저장장치가 개발되었다.
그 중 태양 에너지는 시간과 기후조건에 따라 취득할 수 있는 열 에너지가 시시각각 변화하기 때문에 태양 열에너지의 수요와 공급 사이에 발생하는 시간적 지연을 극복하여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 저장장치의 통합 적용이 매우 중요하다. 즉, 태양열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에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태양열에너지를 집열하여 저장하였다가 유용한 형태의 열에너지로 균일하게 건물에 전달되어 급탕 또는 난방온수로 사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국내외 저온 태양열 시스템에서는 물을 열 저장매체로 이용하는데, 공기식 태양열 시스템의 경우는 자갈 등의 축열재를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축열방법은 크게 현열축열과 잠열축열로 나눌 수 있는데, 현열축열은 물질의 온도상승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물, 모래, 자갈 등에 축열하는 일반적인 축열방법이고, 잠열축열은 특정 온도범위에서 큰 축열밀도를 가지는 상변화물질(PCM)의 융해열, 즉 잠열을 이용하여 축열하는 방법으로 특정 온도범위에서의 축열량이 현열축열에 비하여 매우 크다.
최근에는 열 저장장치의 설치공간을 줄이고, 열사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잠열축열방식의 축열시스템을 통한 열에너지의 효율적인 저장, 활용 및 소형화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잠열축열 방식의 경우 잠열을 이용한 열에너지 저장을 통해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잉여 열에너지를 회수하고, 에너지의 공급과 수요의 시간적 불일치 및 에너지 손실량을 감소하여 열사용효율을 높이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열 효율이 높은 잠열 축열 방식이 보다 널리 연구 개발되는 추세이다.
잠열 축열 방식의 열 저장장치는 잉여 열 에너지를 회수하고, 에너지의 공급과 수요의 시간적 불일치 및 에너지 손실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현열 축열 방식의 열 저장장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열 효율을 갖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잠열 축열 방식의 태양열 시스템에 구비되는 열 저장장치의 경우, 열 매체와 축열재의 열 교환이 필요하기에, 높은 열 효율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잠열 축열 방식의 태양열 시스템에 구비되는 열 저장장치는 시간에 따른 축열 및 방열 성능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고, 과냉 또는 과열의 문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KR 1999-0012206 A KR 1994-0007501 A KR 144353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잠열 축열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한 열 효율이 좋은 열 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날씨와 시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과냉 현상 및 과열 문제를 해결한 열 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적은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는 열 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입되는 열 매체에 따라 열의 저장용량 및 효율을 조절할 수 있는 열 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300)과 그 내측에 열 교환 모듈(100) 및 온수 모듈(200)을 포함하는 열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모듈(100)은, 가열된 제 1 열 매체가 유입되는 제 1 공급관(110)과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관(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급관(110)과 상기 제 1 배출관(120)은 다수의 제 1 연결 배관(1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온수 모듈(200)은, 시수가 유입되는 제 2 공급관(210)과 유입된 시수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관(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급관(210)과 상기 제 2 배출관(220)은 다수의 제 2 연결 배관(2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서 상기 열 교환 모듈(100) 및 상기 온수 모듈(200)은 상호 교차하도록 나선형으로 말려서 이중나선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가열 모듈(100) 및 상기 온수 모듈(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축열부(310)에 하나 이상의 캡슐화된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311)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열 매체와 상기 시수가 열 교환하는 열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및 상기 제 2 연결 배관(230)은 모세 유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슐화된 상변화물질(311)은 파이프에 의해 캡슐화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슐화된 상변화물질(311)이 삽입된 상기 축열부(310)에 축열재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된 제 1 열 매체는 태양열 집열기(400)에 의해 가열된 제 2 열 매체와 열 교환기(450)에서 열 교환 됨으로써 가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공급관(110)은,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채널 밸브(115); 일측이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일 지점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채널 밸브(115)와 연결되는 제 1 라인(111); 및 일측이 상기 제 1 라인(111)의 일 지점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채널 밸브(115)와 연결되는 제 2 라인(112)을 포함하여, 상기 채널 밸브(11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열 매체가 상기 제 1 공급관(110), 상기 제 1 라인(111) 또는 상기 제 2 라인(112)에 공급되고, 상기 제 2 라인(112)의 길이 보다 상기 제 1 라인(111)의 길이가 길고, 상기 제 1 라인(111)의 길이 보다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길이가 긴 열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채널 밸브(115)는 상기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상기 제 1 열 매체를 바이패스시키며, 상기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상기 제 1 열 매체는 상기 제 1 라인(111) 또는 상기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되거나, 바이패스되지 않고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하부로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 밸브(11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열 매체에 의해 상기 열 저장장치에 축열되는 면적이 상이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상기 제 1 열 매체가, 바이패스되지 않는 경우보다, 상기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에 상기 열 저장장치에 축열되는 면적이 크고, 상기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보다, 상기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에 상기 열 저장장치에 축열되는 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상기 제 1 열 매체가,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하부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에 연결된 상기 제 1 연결배관(130)에 상기 제 1 열 매체가 공급되고, 상기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 상기 제 1 라인(111)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 및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연결배관(130)에 상기 제 1 열 매체가 공급되며, 상기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 상기 제 2 라인(112), 상기 제 1 라인(111)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 및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연결배관(130)에 상기 제 1 열 매체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따른 모세 유관을 사용하는 열 저장장치는 우수한 구조로 인해 높은 열 효율을 갖는다.
그 구조로 인해, 날씨와 시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과냉 현상 및 과열 현상을 해소되어 안정적인 난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 저장장치가 모듈 형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적은 공간에도 설치 가능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
또한, 유입되는 열 매체에 포함된 열원의 특성에 따라 열 저장용량 및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 모듈이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모듈이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저장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예가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저장장치가 적용된 태양열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저장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저장장치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저장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관련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서 "태양열 집열기(400)"는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기기로, 온수 코일이 포함된 태양열 집열기라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열 집열기(400)"는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공기열원, 지열원, 수열원 등 다양한 열원을 집열할 수 있는 집열기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난방 시설(500)"는 열 저장장치에서 배출되는 온수가 사용되는 시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거나, 이외의 특징들을 구비하는 다른 형태의 열 저장장치도 용이하게 도출 가능할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열 저장장치의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 저장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시스템용 축열조는 열 교환 모듈(100), 온수 모듈(200) 및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열 교환 모듈(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열 교환 모듈(100)은 후술할 온수 모듈(200)의 시수와 열 교환할 수 있는 제 1 열 매체가 수용되어 유동하는 모듈로, 제 1 공급관(110), 제 1 배출관(120) 및 제 1 연결배관(130)을 포함한다.
제 1 공급관(110)을 통해 열 교환기(450)에 의해 가열된 제 1 열 매체가 열 교환 모듈(100)로 유입된다.
제 1 배출관(120)을 통해 제 1 공급관(110)에 의해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열 교환 모듈(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열 교환기(450)로 재공급된다.
제 1 연결 배관(130)은 다수 개로 구성되어, 제 1 공급관(110)과 제 1 배출관(120)을 연결한다.
또한, 제 1 연결 배관(130)은 모세 유관으로 형성되며, 제 1 지지부재(131)를 포함한다.
제 1 연결 배관(130)은 모세 유관으로 형성되어 열 교환 모듈(100)이 모세유관 매트를 이루게 되며, 종래의 열 교환 모듈에 비해 약 15% 정도의 추가적인 공간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모세유관 매트는 내구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최소의 비용으로 관리 및 보수가 가능하다.
제 1 지지 부재(131)는 미세한 모세 유관의 엉킴을 방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조로서, 열 교환기(450)에 의해 가열된 제 1 열 매체가 열 교환 모듈(100)의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다수의 제 1 연결 배관(130)으로 이송되고, 다수의 제 1 연결 배관(130)을 통과한 제 1 열 매체는 제 1 배출관(120)으로 배출된다.
도 2를 더 참조하여 온수 모듈(200)을 상세히 설명한다.
온수 모듈(200)은 열 교환 모듈(100)의 제 1 열 매체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는 시수가 수용되어 유동하는 모듈로, 제 2 공급관(210), 제 2 배출관(220) 및 제 2 연결 배관(230)을 포함한다.
제 2 공급관(210)을 통해 외부의 시수가 온수 모듈(200)로 유입된다.
제 2 배출관(220)을 통해 제 2 공급관(210)에 의해 유입된 시수가 제 1 열 매체와 열 교환되어 가열된 후 온수 모듈(200) 외부로 배출된다. 온수 모듈(200)의 외부로 배출된 온수는 난방 시설(500) 또는 온수 사용처로 공급된다.
제 2 연결 배관(230)은 다수 개로 구성되어, 제 2 공급관(210)과 제 2 배출관(220)을 연결한다.
또한, 제 2 연결 배관(230)은 모세 유관으로 형성되며, 제 2 지지부재(231)를 포함한다.
제 2 지지 부재(231)는 미세한 모세 유관의 엉킴을 방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 2 연결 배관(230) 내를 시수가 통과할 때, 시수는 열 교환 모듈(100)의 제 1 열 매체와 열 교환하며 가열된다.
이러한 구조로서, 외부에서 공급된 시수가 온수 모듈(200)의 제 2 공급관(210)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시수가 다수의 제 2 연결 배관(230)으로 이송되고, 다수의 제 2 연결 배관(230)을 통과하며 열 교환되어 가열된 시수(온수)는 제 2 배출관(220)으로 배출된다.
도 3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 저장장치의 결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열 교환 모듈(100) 및 온수 모듈(200)의 제 1 연결 배관(130) 및 제 2 연결 배관(230)이 모세 유관으로 형성되어 있기에, 전체적으로 플렉시블하다.
이에 따라, 열 교환 모듈(100) 및 온수 모듈(200)이 상호 교차하도록 나선형으로 말려서 이중나선으로 형성된 후 하우징(300)에 내장된다. 하우징(300)은 단열재로 형성되어 보온한다.
축열부(310)는 열 교환 모듈(100), 온수 모듈(200) 및 하우징(300)의 결합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하나 이상의 캡슐화된 상변화물질(PCM)(311)이 삽입된다.
캡슐화된 상변화물질(311)은 바람직하게는 파이프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변화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를 이용하여 캡슐화하여도 무방하다.
축열부(31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캡슐화된 상변화물질(311)은 높은 잠열 밀도와 열 전달률의 열적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라면 종류는 크게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변화온도가 65℃인 물질일 수 있다. 이는, 태양열 집열기(400)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열 매체 온도가 60~70℃이기 때문이다.
또한, 축열부(310)에 캡슐화된 상변화물질(311)이 삽입된 후의 공간에 축열재가 충진 된다.
축열부(310)에 사용되는 축열재는 자갈 및 모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열 저장장치가 적용된 태양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주간과 야간의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열 교환기(450)는 태양열 집열기(40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제 2 열 매체와 열 교환 모듈(100)에서 공급된 제 1 열 매체를 수용하여, 제 2 열 매체와 제 1 열 매체 각각을 열 교환 시킨다.
열 교환기(450)에 수용된 제 2 열 매체와의 열 교환에 의해 제 1 열 매체가 가열되며, 가열된 제 1 열 매체는 열 교환 모듈(100)로 재공급된다.
주간의 경우, 태양열 집열기(400)에서 가열된 제 2 열 매체가 열 교환기(450)로 공급된다.
열 교환기(450)로 공급된 제 2 열 매체는 열 교환 모듈(100)에서 공급된 제 1 열 매체와 열 교환한 후 태양열 집열기(400)로 재공급된다.
열 교환 모듈(100)에서의 열 교환으로 인해 가열된 제 1 열 매체는 제 1 공급관(110)을 통해 열 교환 모듈(100)로 공급되고, 공급된 제 1 열 매체는 다수의 제 1 연결 배관(130)으로 분배된다.
제 1 열 매체가 제 1 연결 배관(130)을 통과할 때, 제 1 열 매체의 열 에너지가 축열부(310)에 위치한 캡슐화된 상변화물질(311)에 축열되는 동시에, 다른 일부의 열 에너지는 온수 모듈(200)의 시수와 열 교환한다.
제 1 연결 배관(130)을 통과한 제 1 열 매체는 제 1 배출관(120)을 통해 열 교환기(450)로 재공급된다.
달리 표현하면, 외부에서 공급된 시수가 제 2 공급관(210)을 통해 온수 모듈(200)로 공급되고, 공급된 시수는 제 2 연결 배관(230)으로 분배된다.
시수는 제 2 연결 배관(230)을 통과하며 열 교환 모듈(100)의 제 1 열 매체와의 열 교환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시수(온수)는 제 2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되어 난방 시설(500) 또는 온수 사용처로 공급된다.
야간 또는 태양열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흐린 날씨), 태양열 집열기(400)를 통해 열 매체가 가열될 수 없다.
이 경우, 제 2 공급관(210)을 통해 온수 모듈(200)로 공급된 시수는 제 2 연결 배관(230)으로 분배되어 통과할 때, 축열부(310)에 위치한 캡슐화된 상변화물질(311)의 잠열 에너지로 인하여 열 교환하여 가열된다. 가열된 시수(온수)는 다시 제 2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되어 난방 시설(500) 또는 온수 사용처로 재공급된다.
열 저장장치의 제 2 실시예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 저장장치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의 경우, 열 교환 모듈(100)만 상이하므로, 열 교환 모듈(1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제 1 실시예의 경우, 열 교환 모듈(100)과 온수 모듈(200)의 구성이 동일하나, 제 2 실시예의 경우, 열 교환 모듈(100)의 구성이 온수 모듈(200)의 구성과 상이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 모듈(100)은 제 1 라인(111), 제 2 라인(112) 및 채널 밸브(115)를 더 포함한다.
채널 밸브(115)는 제 1 공급관(110)으로 공급된 제 1 열 매체의 채널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로, 제 1 열 매체를 공급받는 제 1 공급관(11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위치한다.
채널 밸브(115)는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를 제 1 라인(111) 또는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시킨다.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바이패스되지 않을 경우, 유입된 제 1 열 매체는 제 1 공급관(110)의 내측에서 유동된다.
제 1 라인(111)은 일측이 제 1 공급관(110)의 일 지점과 연결되고, 타측이 채널 밸브(115)와 연결되며, 채널 밸브(115)의 조작에 의해 유입된 제 1 열 매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라인(112)은 일측이 제 1 라인(111)의 일 지점과 연결되고, 타측이 채널 밸브(115)와 연결되며, 채널 밸브(115)의 조작에 의해 유입된 제 1 열 매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 2 라인(112)의 길이보다 제 1 라인(111)의 길이가 길어야 하고, 제 1 라인(111)의 길이보다 제 1 공급관(110)의 길이가 길어야 한다.
설명하자면, 제 1 공급관(110)의 상부로 공급된 제 1 열 매체가 채널 밸브(115)의 제어에 의해 제 1 공급관(110) 내에서 유동되거나, 제 1 라인(111) 또는 제 2 라인(112)에 바이패스되어 공급된다.
도 8을 더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 저장장치의 저장용량을 설명한다.
채널 밸브(115)의 제어에 따라, 제 1 열 매체에 의해 열 저장장치에 축열되는 면적이 상이해진다.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바이패스되지 않는 경우보다,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에 열 저장장치에 축열되는 면적이 크다.
또한,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보다,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에 열 저장장치에 축열되는 면적이 크다.
열 교환 모듈(100)의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의 유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바이패스되지 않는 경우, 제 1 공급관(110)의 일 지점부터 그 하부에 연결된 제 1 연결배관(130)에 제 1 열 매체가 공급된다.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 제 1 라인(111)의 일 지점부터 그 하부 및 제 1 공급관(110)의 일 지점부터 그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배관(130)에 제 1 열 매체가 공급된다.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 제 2 라인(112), 제 1 라인(111)의 일 지점부터 그 하부 및 제 1 공급관(110)의 일 지점부터 그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배관(130)에 제 1 열 매체가 공급된다.
바람직한 예로,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체크 밸브(115)에 의해 바이패스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유동되는 경우, 도 8의 (a)와 같이 열 저장장치의 약 1/3 부분(제 1 공급관(110)의 일 지점부터 하부)에만 축열된다.
즉, 제 1 열 매체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열 에너지의 양이 적은 경우, 고온의 잠열을 축적하기 원하면 채널 밸브(115)의 제어를 통해, 바이패스되지 않도록 하여, 제 1 공급관(110)의 내측으로 제 1 열 매체를 유동시킨다.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체크 밸브(115)에 의해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될 경우, 도 8의 (b)와 같이 열 저장장치의 2/3 부분(제 1 라인(111)의 일 지점부터 하부)에만 축열된다.
즉, 제 1 열 매체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열 에너지의 양이 일반적인 경우, 고온의 잠열을 축적하기 원하면 채널 밸브(115)의 제어를 통해, 제 1 열 매체를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시켜 제 2 라인(112) 내측으로 제 1 열 매체를 유동시킨다.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체크 밸브(115)에 의해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될 경우, 도 8의 (c)와 같이 열 저장장치의 전체 부분에 축열된다.
즉, 제 1 열 매체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열 에너지의 양이 충분한 경우, 채널 밸브(115)의 제어를 통해, 제 1 열 매체를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시켜 제 2 라인(112) 내측으로 제 1 열 매체를 유동시킨다.
결론적으로,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 저장장치의 채널 밸브(115)를 제어하여 열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열의 용량 및 품질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열 교환 모듈
110: 제 1 공급관
111: 제 1 라인
112: 제 2 라인
115: 채널 밸브
120: 제 1 배출관
130: 제 1 연결 배관
131: 제 1 지지부재
200: 온수 모듈
210: 제 2 공급관
220: 제 2 배출관
230: 제 2 연결 배관
231: 제 2 지지부재
300: 하우징
310: 축열부
311: 상변화물질(PCM)
400: 태양열 집열기
450: 열 교환기
500: 난방 시설

Claims (10)

  1. 하우징(300)과 그 내측에 열 교환 모듈(100) 및 온수 모듈(200)을 포함하는 열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모듈(100)은,
    가열된 제 1 열 매체가 유입되는 제 1 공급관(110)과 유입된 제 1 열 매체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관(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급관(110)과 상기 제 1 배출관(120)은 다수의 제 1 연결 배관(1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온수 모듈(200)은,
    시수가 유입되는 제 2 공급관(210)과 유입된 시수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관(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급관(210)과 상기 제 2 배출관(220)은 다수의 제 2 연결 배관(2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서 상기 열 교환 모듈(100) 및 상기 온수 모듈(200)은 상호 교차하도록 나선형으로 말려서 이중나선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열교환 모듈(100) 및 상기 온수 모듈(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축열부(310)에 하나 이상의 캡슐화된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311)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열 매체와 상기 시수가 열 교환하고,
    상기 제 1 공급관(110)은,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채널 밸브(115);
    일측이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일 지점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채널 밸브(115)와 연결되는 제 1 라인(111); 및
    일측이 상기 제 1 라인(111)의 일 지점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채널 밸브(115)와 연결되는 제 2 라인(112);을 포함하여,
    상기 채널 밸브(11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열 매체가 상기 제 1 공급관(110), 상기 제 1 라인(111) 또는 상기 제 2 라인(112)에 유입되고,
    상기 제 2 라인(112)의 길이 보다 상기 제 1 라인(111)의 길이가 길고, 상기 제 1 라인의 길이 보다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길이가 긴,
    열 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및 상기 제 2 연결 배관(230)은 모세 유관인,
    열 저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상변화물질(311)은 파이프에 의해 캡슐화 된 것인,
    열 저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상변화물질(311)이 삽입된 상기 축열부(310)에 축열재가 충진되는,
    열 저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제 1 열 매체는 태양열 집열기(400)에 의해 가열된 제 2 열 매체와 열 교환기(450)에서 열 교환 됨으로써 가열된 것인,
    열 저장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밸브(115)는 상기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상기 제 1 열 매체를 바이패스시키며,
    상기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상기 제 1 열 매체는 상기 제 1 라인(111) 또는 상기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되거나, 바이패스되지 않고 제 1 공급관(11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열 저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밸브(11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열 매체에 의해 상기 열 저장장치에 축열되는 면적이 상이해지는,
    열 저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상기 제 1 열 매체가,
    바이패스되지 않는 경우보다, 상기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에 상기 열 저장장치에 축열되는 면적이 크고,
    상기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보다, 상기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에 상기 열 저장장치에 축열되는 면적이 큰,
    열 저장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관(110)으로 유입된 상기 제 1 열 매체가,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하부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에 연결된 상기 제 1 연결배관(130)에 상기 제 1 열 매체가 공급되고,
    상기 제 1 라인(111)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 상기 제 1 라인(111)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 및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연결배관(130)에 상기 제 1 열 매체가 공급되며,
    상기 제 2 라인(112)으로 바이패스 되는 경우, 상기 제 2 라인(112), 상기 제 1 라인(111)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 및 상기 제 1 공급관(110)의 상기 일 지점부터 그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연결배관(130)에 상기 제 1 열 매체가 공급되는,
    열 저장장치.
KR1020160076858A 2016-06-20 2016-06-20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 KR10179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58A KR101798770B1 (ko) 2016-06-20 2016-06-20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58A KR101798770B1 (ko) 2016-06-20 2016-06-20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770B1 true KR101798770B1 (ko) 2017-12-13

Family

ID=6094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858A KR101798770B1 (ko) 2016-06-20 2016-06-20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7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7000A (zh) * 2018-04-16 2018-09-07 天津天爱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电加热式供热装置
CN108534211A (zh) * 2018-04-16 2018-09-14 天津天爱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相变储热暖气片
CN112682839A (zh) * 2020-12-21 2021-04-20 北京华厚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蓄供冷/热的梯级相变毛细管网辐射墙体末端装置
US20220023794A1 (en) * 2017-01-18 2022-01-27 Ion Clean Energy, Inc. Carbon dioxide capture system and method with mass transfer conta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289A (ja) * 2001-05-07 2002-11-22 Atago Seisakusho:Kk 熱交換器
JP2005140390A (ja) * 2003-11-06 2005-06-02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熱交換方法および潜熱蓄熱式熱交換器
JP2007107828A (ja) * 2005-10-14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289A (ja) * 2001-05-07 2002-11-22 Atago Seisakusho:Kk 熱交換器
JP2005140390A (ja) * 2003-11-06 2005-06-02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熱交換方法および潜熱蓄熱式熱交換器
JP2007107828A (ja) * 2005-10-14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3794A1 (en) * 2017-01-18 2022-01-27 Ion Clean Energy, Inc. Carbon dioxide capture system and method with mass transfer contactor
CN108507000A (zh) * 2018-04-16 2018-09-07 天津天爱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电加热式供热装置
CN108534211A (zh) * 2018-04-16 2018-09-14 天津天爱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相变储热暖气片
CN112682839A (zh) * 2020-12-21 2021-04-20 北京华厚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蓄供冷/热的梯级相变毛细管网辐射墙体末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770B1 (ko) 모세 유관을 이용한 열 저장장치
DK2438358T3 (en) Heating System
KR100983887B1 (ko) 진공관을 이용한 태양열 집열기 일체형 태양열 온수기
KR101306903B1 (ko) 냉,난방과 급탕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일체형 컴팩트화된 공급장치
US20090211567A1 (en) Energy storage for PV water heater
CN105352023A (zh) 一种具有低谷电加热蓄能的二次换热供热系统
EP2924364B1 (en) Solar collector with integrated storage tank
KR102362508B1 (ko) 복합 집열기 적용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
RU2009112291A (ru) Активная систем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KR101745902B1 (ko) 태양열 및 공기열 복합집열기에 의한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CN101278155A (zh) 改进的能量存储系统
CN104864449A (zh) 一种具有太阳能、低谷电加热蓄能的热水供热装置及应用
JP2002081763A (ja) 太陽熱、地中熱利用システム
KR101202281B1 (ko) 난방과 급탕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컴팩트한 열공급장치 및 이에 따른 제어방법
CN101666518B (zh) 太阳能采暖蓄热系统
Malekpour et al. In situ latent thermal energy storage in underfloor heating system of building connected to the parabolic trough solar collector-an experimental study
KR101329439B1 (ko) 태양열 에너지의 축열 온실 가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8859689U (zh) 熔盐供热系统
US20120125320A1 (en) Method for providing heat
KR101045005B1 (ko) 태양열 복합 난방장치
US20110259006A1 (en) Versatile thermal solar system for producing hot water up to high temperatures
KR101769242B1 (ko) 태양열 시스템용 축열조
JP6926027B2 (ja) 太陽熱利用システムの運転制御方法
CN208095438U (zh) 直热和蓄能智能切换的大棚供暖系统
JP6973238B2 (ja) 太陽熱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