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088B1 -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088B1
KR101798088B1 KR1020167002915A KR20167002915A KR101798088B1 KR 101798088 B1 KR101798088 B1 KR 101798088B1 KR 1020167002915 A KR1020167002915 A KR 1020167002915A KR 20167002915 A KR20167002915 A KR 20167002915A KR 101798088 B1 KR101798088 B1 KR 101798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ass
polyol
acid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0222A (ko
Inventor
지사토 구리야마
겐지 나가오
미츠루 기타다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C08L67/07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04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 C08G18/0819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 C08G18/0823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containing carboxylate salt groups or groups form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15Poly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groups or benzoquino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2Two or more polyest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33Compounds of group C08G18/42
    • C08G18/6659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40Polyesters derived from ester-forming derivatives of polycarboxylic acids or of polyhydroxy compounds, other than from esters thereof
    • C08G63/42Cyclic ethers; Cyclic carbonates; Cyclic sulfites; Cyclic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에스테르 수지(A) 및 방향환을 갖는 우레탄 수지(B)가, 수성 매체(C) 중에 분산된 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a1)와, 산기 및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a2)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며, 상기 우레탄 수지(B)가, 방향환을 갖는 폴리올(b1-1) 및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올(b1-2)을 함유하는 폴리올(b1)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를 반응시켜서 얻어진 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프라이머는, 난접착의 기재여도, 그 기재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을 대폭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AQUEOUS RESIN COMPOSITION, LAMINATE PRODUCED US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기재 표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을 형성할 때에, 기재와 상기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을 향상하는 프라이머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성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최근, 광학 용도용 필름이나 시트에의 적용이 검토되어 있다. 상기 광학 용도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는, 통상, 선명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각종 기능을 갖는 다수의 광학 필름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광학 필름으로서는, 반사 방지 필름, 위상차 필름, 프리즘 렌즈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광학 필름의 기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광학 특성, 기계 강도,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광학 용도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도공, 경화함에 의해,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주형한 층을 마련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프리즘 시트로 하거나 하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결정성이 높은 것에 기인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을 향상하는 방법으로서,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사이에,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을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을 마련해도,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은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을 충분한 것으로 하는 프라이머층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가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국 특개2010-215843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난접착의 기재여도, 그 기재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을 대폭 향상하는 프라이머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의 에폭시 수지와 산기 및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 및 방향환을 갖는 우레탄 수지가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된 수성 수지 조성물을 프라이머로서 사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난접착의 기재여도, 그 기재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을 대폭 향상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비닐에스테르 수지(A) 및 방향환을 갖는 우레탄 수지(B)가, 수성 매체(C) 중에 분산한 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a1)와, 산기 및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a2)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며,
상기 우레탄 수지(B)가, 방향환을 갖는 폴리올(b1-1) 및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올(b1-2)을 함유하는 폴리올(b1)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를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난접착의 기재여도, 그 기재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을 대폭 향상하는 프라이머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하여, 그 표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을 형성한 적층체에 호적하다. 이러한 적층체로서는, 예를 들면, 반사 방지 필름, 위상차 필름, 프리즘 렌즈 시트 등의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광학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화상 표시 장치에 응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은, 비닐에스테르 수지(A) 및 방향환을 갖는 우레탄 수지(B)가, 수성 매체(C) 중에 분산된 수성 수지 조성물이다.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는,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a1)와, 산기 및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a2)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다.
상기 화합물(a2)이 갖는 중합성 불포화기는, 상기 에폭시 수지와의 반응에 있어서, 그 반응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는, 상기 화합물(a2) 유래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다. 이 비닐에스테르 수지(A)가 갖는 중합성 불포화기는,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수지나 단량체가 갖는 중합성 불포화기와 중합 반응함에 의해 공유 결합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이 강고한 것이 된다.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가 갖는 중합성 불포화기의 당량은, 250∼2,000g/eq.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a1)는,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이지만,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로서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AD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S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에폭시 수지(a1)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a1) 중에서도, 상기 화합물(a2)이 갖는 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에폭시기를 다수 갖는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a1)의 에폭시 당량은, 150∼2,000g/eq.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60∼1,000g/eq.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a1)가 갖는 에폭시기의 전량 중의 80∼100몰%를, 상기 화합물(a2)의 산기와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에폭시기의 전부가 상기 화합물(a2)의 산기와 반응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a2)은, 산기 및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것이다. 상기 화합물(a2)이 갖는 산기와, 상기 에폭시 수지(a1)가 갖는 에폭시기를 반응시킴에 의해,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에 중합성 불포화기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a2)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2,2,2,-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 중에서도,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중의 수지나 단량체가 갖는 중합성 불포화기와 중합 반응하기 쉬운 아크릴로일기를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에 도입할 수 있는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화합물(a2)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화합물(a2)의 전량 중에 아크릴산을 50질량%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a1)와 상기 화합물(a2)과의 반응 온도는, 60∼1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80∼12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a1)와 상기 화합물(a2)을 반응시킬 때에는, 상기 화합물(a2)이 갖는 중합성 불포화기의 열중합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합 금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금지제의 첨가량은, 상기 에폭시 수지(a1) 및 상기 화합물(a2)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500∼5000pp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금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2,6-비스(tert-부틸)-4-메틸페놀, 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메토퀴논), p-tert-부틸카테콜, 니트로벤젠, 니트로벤조산, o-디니트로벤젠, m-디니트로벤젠, p-디니트로벤젠, 2,4-디니트로페놀, 트리니트로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합 금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a1)와 상기 화합물(a2)을 반응시킬 때에는, 반응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촉매의 사용량은, 상기 에폭시 수지(a1) 100질량부에 대하여, 0.1∼5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아민 촉매, 이미다졸 촉매, 인 촉매, 붕소 촉매, 인-붕소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구아니딘, 트리메틸구아니딘, 페닐구아디닌, 디페닐구아니딘 등의 알킬 치환 구아니딘;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요소, 3-페닐-1,1-디메틸요소, 3-(4-클로로페닐)-1,1-디메틸요소 등의 3-치환 페닐-1,1-디메틸요소; 2-메틸이미다졸린, 2-페닐이미다졸린, 2-운데실이미다졸린, 2-헵타데실이미다졸린 등의 이미다졸린; 2-아미노피리딘 등의 모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N-(2-히드록시-3-아릴옥시프로필)아민-N'-락토이미드 등의 아민이미드; 에틸포스핀, 프로필포스핀, 부틸포스핀, 페닐포스핀, 트리메틸포스핀, 트리에틸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트리옥틸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트리페닐보란 착체, 테트라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등의 유기 인 촉매,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등의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반응 촉매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지는 비닐에스테르 수지(A)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수지 입자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하므로, 500∼1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00∼6,0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환을 갖는 우레탄 수지(B)는, 방향환을 갖는 폴리올(b1-1) 및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올(b1-2)을 함유하는 폴리올(b1)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를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다.
상기 폴리올(b1-1)을 상기 우레탄 수지(B)의 원료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우레탄 수지(B)가 방향환을 갖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폴리올(b1-1) 중의 방향환 농도는, 1.5∼8㏖/㎏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6∼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b1-1)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방향족 폴리에테르폴리올, 비스페놀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b1-1) 중에서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비스페놀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1종인 비스페놀A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기재 밀착성과 내블록킹성이 뛰어나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폴리올(b1-1)로서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비스페놀A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지만, 상기 다가 카르복시산 및 폴리올 중, 적어도 1개에 방향환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다가 카르복시산 중, 방향환을 갖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방향환을 갖지 않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말레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이타콘산, 세바스산, 클로렌드산, 1,2,4-부탄-트리카르복시산, 데칸디카르복시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다이머산, 푸마르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가 카르복시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중, 방향환을 갖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디메탄올, 톨루엔디메탄올, 자일렌디메탄올 등의 방향족 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방향환을 갖지 않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1,4-디올,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에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가 알코올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b1-2)은,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올이다. 상기 친수성기로서는, 음이온성기, 양이온성기, 비이온성기를 들 수 있지만, 음이온성기가 바람직하고, 음이온성기 중에서도 카르복시기, 설폰산기가 바람직하다.
친수성기로서 카르복시기를 갖는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2,2-디메틸올부탄산, 2,2-디메틸올발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폴리올과 다가 카르복시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도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기로서 설폰산기를 갖는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5-설포이소프탈산, 설포테레프탈산, 4-설포프탈산, 5-(4-설포페녹시)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들의 염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저분자 폴리올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기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염기성 화합물 등에 의해 중화되어 있는 것이, 상기 우레탄 수지(B)에 양호한 수분산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모르폴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틸에탄올아민 등의 유기 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금속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의 수분산 안정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염기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염기성 화합물과 음이온성기와의 몰비[염기성 화합물/음이온성기]이며, 0.5∼3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7∼1.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제조할 때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있어서는, 에스테르화 반응을 촉진할 목적으로, 에스테르화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스테르화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티타늄, 주석, 아연, 알루미늄, 지르코늄, 마그네슘, 하프늄, 게르마늄 등의 금속; 티타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티타늄테트라부톡시드, 티타늄옥시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부틸주석옥사이드,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옥탄산주석, 2-에틸헥산주석, 아세틸아세토나토아연, 4염화지르코늄, 4염화지르코늄테트라히드로퓨란 착체, 4염화하프늄, 4염화하프늄테트라히드로퓨란 착체, 산화게르마늄, 테트라에톡시게르마늄 등의 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A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은, 비스페놀A가 갖는 페놀성 수산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것이다.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몰의 비스페놀A에 대한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1∼8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4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b1)은, 상기 폴리올(b1-1) 및 상기 폴리올(b1-2)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지만, 그 이외의 폴리올(b1-3)을 함유해도 상관없다. 상기 폴리올(b1-3)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지방족 폴리에테르폴리올, 수첨 비스페놀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b1-3)로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원료로서 예시한 상기 다가 알코올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의 폴리올(b1-3)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올(b1) 중에 포함되는 방향환을 갖는 폴리올(b1-1)의 비율은,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향상하므로, 40∼98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60∼98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수지(B)의 원료가 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로서는, 예를 들면,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루드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 중에서도,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향상하므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 중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은, 15∼35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수지(B)는, 예를 들면, 무용제하 또는 유기 용제의 존재하에서, 상기 폴리올(b1)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를 혼합하고, 40∼120℃의 온도에서, 3∼20시간 반응시킴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수지(B)의 제조 시에, 필요에 따라 쇄신장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올(b1)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와의 반응은, 상기 폴리올(b1)이 갖는 수산기와,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당량비[이소시아네이트기/수산기]가, 0.5∼3.5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2.5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수지(B)를 제조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 용제;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상기 우레탄 수지(B)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기재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하므로, 3,000∼2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000∼100,0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수성 매체(C)로서는, 물, 물과 혼화하는 유기 용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물과 혼화하는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 용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알킬에테르 용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락탐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물과 혼화하는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수성 매체(C)로서는, 안전성이나 환경에 대한 부하 저감을 고려하면, 물만, 또는, 물 및 물과 혼화하는 유기 용제와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물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 중의 상기 수성 매체(C)의 비율은, 10∼9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0∼7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성 매체(C) 중에,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 및 상기 우레탄 수지(B)를 분산한 것이다. 이때,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와 상기 우레탄 수지(B)가, 상기 수성 매체(C) 중에서, 별개의 수지 입자로서 존재하고 있어도 되지만,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우레탄 수지(B) 입자 중에 내재한 수지 입자(D)를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가 코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우레탄 수지(B)가 쉘부를 형성한 코어·쉘형의 수지 입자(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입자(D)는,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 및 상기 우레탄 수지(B)를 미리 제조해 두고, 이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B)에,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 상기 우레탄 수지(B)가 갖는 음이온성기를 중화하는 염기성 화합물 및 상기 수성 매체(C)를 혼합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얻어진 수성 수지 조성물 중에 유기 용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안전성이나 환경에 대한 부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서, 증류법 등에 의해 상기 유기 용제를 제거해도 된다. 이에 따라, 수성 매체(C) 중에 상기 수지 입자(D)가 분산한 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와 상기 우레탄 수지(B)의 질량 비율[(A)/(B)]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하므로, 60/40∼10/9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5/45∼20/8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 범위는,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 및 상기 우레탄 수지(B)를 상기 수지 입자(D)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 중의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 및 상기 우레탄 수지(B)의 합계량의 비율은, 10∼9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0∼7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조막조제, 경화제, 가교제, 가소제, 대전 방지제, 왁스, 광안정제, 유동 조정제, 염료, 레벨링제, 레올로지 컨트롤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촉매성 화합물,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체질 안료 등의 첨가제;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그 외의 수지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멜라민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알킬화메틸올멜라민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알킬화메틸올멜라민 수지는, 예를 들면, 메틸올화멜라민 수지와, 메틸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탄소 원자수 1∼6의 알코올)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메틸올화멜라민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축합하여 얻어지는 아미노기를 갖는 메틸올멜라민 수지, 이미노기를 갖는 메틸올멜라민 수지, 트리메톡시메틸올멜라민 수지,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메톡시메틸올멜라민 수지,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킬화메틸올멜라민 수지로서는, 이미노기를 갖는 알킬화메틸올멜라민 수지, 아미노기를 갖는 알킬화메틸올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프라이머층을 가지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경화 도막을 갖는 것이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로서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 및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의 종류는,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의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로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아크릴(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한쪽 또는 양쪽을 말하고, 「(메타)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의 한쪽 또는 양쪽을 말한다.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우레탄화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우레탄 결합과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헵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1,5-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1,5-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2가 알코올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가의 알코올의 모노 또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혹은, 이들의 알코올성 수산기의 일부를 ε-카프로락톤으로 변성한 수산기를 갖는 모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관능의 수산기와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혹은, 당해 화합물을 또한 ε-카프로락톤으로 변성한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옥시알킬렌쇄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부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블록 구조의 옥시알킬렌쇄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테트라메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테트라메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랜덤 구조의 옥시알킬렌쇄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α,β-불포화이염기산 또는 그 산무수물, 방향족 포화 이염기산 또는 그 산무수물, 및, 글리콜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경화성 수지이다. 상기 α,β-불포화이염기산 또는 그 산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말레산, 무수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클로로말레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포화 이염기산 또는 그 산무수물로서는, 프탈산,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니트로프탈산,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엔도메틸렌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할로겐화무수프탈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혹은 지환족 포화 이염기산으로서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글루타르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메틸프로판-1,3-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비스페놀A, 수소화비스페놀A, 에틸렌글리콜카보네이트, 2,2-디-(4-히드록시프로폭시디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고, 그 외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산화물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로서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수산기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필요에 따라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를 얻은 후, 그 에폭시기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수지로서는, N-히드록시에틸말레이미드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화하여 얻어지는 2관능 말레이미드우레탄 화합물, 말레이미드아세트산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2관능 말레이미드에스테르 화합물, 말레이미드카프로산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테트라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4관능 말레이미드에스테르 화합물, 말레이미드아세트산과 다가 알코올 화합물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다관능 말레이미드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평균 분자량이 150∼1000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평균 분자량이 150∼1000의 범위에 있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방족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릴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화시클로데카트리엔(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헥실말레이미드, N-옥틸말레이미드, N-도데실말레이미드, N-스테아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2-말레이미드에틸-에틸카보네이트, 2-말레이미드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 N-에틸-(2-말레이미드에틸)카바메이트, N,N-헥사메틸렌비스말레이미드, 폴리프로필렌글리콜-비스(3-말레이미드프로필)에테르, 비스(2-말레이미드에틸)카보네이트, 1,4-디말레이미드시클로헥산 등의 말레이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기재 등에 도포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 도막으로 할 수 있다. 이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α선, β선, γ선 등의 전리 방사선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 도막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중에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경화성을 향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하면 광증감제를 더 첨가하여, 경화성을 향상할 수도 있다. 한편,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전자선, α선, β선 또는 γ선을 조사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 도막으로 하는 경우에는,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조속히 경화하기 때문에,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를 첨가할 필요는 없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메틸-1-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증감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아민, 방향족 아민 등의 아민 화합물, o-톨릴티오요소 등의 요소 화합물, 나트륨디에틸디티오포스페이트, s-벤질이소티우로늄-p-톨루엔설포네이트 등의 황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사용하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기재, 플라스틱 기재, 유리 기재, 종이 기재, 목재 기재, 섬유질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기재 중에서도,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 기재와의 밀착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을 프라이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기재가 호적하다.
상기 플라스틱 기재의 재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ABS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와의 복합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시클로올레핀(COP) 등),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플라스틱 기재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프라이머로서, 매우 유용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가전제품, 자동차 내외장재, OA기기 등의 플라스틱 성형품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한 필름 기재도 들 수 있다. 필름 기재를 본 발명의 적층체의 기재로 하는 경우에는, 반사 방지 필름, 위상차 필름, 프리즘 렌즈 시트 등의 광학 필름; 알루미늄 증착 필름 등의 식품 포장 등의 고기능 필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를 반사 방지 필름, 위상차 필름, 프리즘 렌즈 시트 등의 광학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OLE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등의 각종 화면 표시 장치의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상기 기재의 표면에 직접,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 경화시킴에 의해, 기재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을 건조하여 경화를 진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상온하에서 1∼10일 정도 양생하는 방법이어도 되지만, 경화를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100℃∼150℃의 온도에서, 1∼600초 정도 가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교적 고온에서 변형이나 변색을 하기 쉬운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70℃∼100℃ 정도의 비교적 저온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표면에,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비아 코터, 롤 코터, 콤마 코터, 나이프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커튼 코터, 키스 코터, 샤워 코터, 플로우 코터, 스핀 코터, 딥핑,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솔 도포, 애플리케이터, 바 코터 등을 사용한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도막의 막두께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적의 조정 가능하지만, 통상은, 0.01∼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의 도막인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에 의해,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을 형성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상기의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 방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합성예1 :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1)의 합성)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 중에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이소프탈산 26.3부, 테레프탈산 26.3부, 부탄디올 23.5부, 네오펜틸글리콜 27.2부 및 디부틸주석옥사이드 0.04부를 투입하여 180∼230℃에서 산가가 1 이하가 될 때까지 230℃에서 24시간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1)[산가 0.2, 수산기가 112.2, 방향환 농도 3.98㏖/Kg]을 얻었다.
(합성예2 :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1)의 합성)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 중에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아디프산 47.3질량부, 헥산디올 42.4질량부, 부탄디올 13.9질량부 및 디부틸주석옥사이드 0.05질량부를 투입하여 180∼230℃ 24시간 에스테르화한 후, 산가가 1 이하가 될 때까지 230℃에서 24시간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1)[산가 0.2, 수산기가 74.8, 방향환 농도 0㏖/Kg]을 얻었다.
(합성예3 :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2)의 합성)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 중에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이소프탈산 33.5질량부, 세바스산 17.8질량부, 아디프산 7.1질량부, 에틸렌글리콜 7.7질량부, 네오펜틸글리콜 25.8질량부, 부탄디올 11.2질량부, 및 디부틸주석옥사이드 0.05질량부를 투입하여 180∼230℃ 24시간 에스테르화한 후, 산가가 1 이하가 될 때까지 230℃에서 24시간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2)[산가 0.3, 수산기가 56.1, 방향환 농도 2.53㏖/㎏]을 얻었다.
(제조예1 : 비닐에스테르 수지(I-1)의 합성)
반응 용기에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DIC 가부시키가이샤제 「EPICLON N-673-80M」, 고형분 에폭시 당량 : 209g/eq., 불휘발분 : 80질량%, 용매 : 메틸에틸케톤)를 68.6질량부, 아크릴산 19.5질량부, 메토퀴논 0.11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1.3질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이어서 트리페닐포스핀 0.55질량부를 더해, 반응 온도 80℃하에서 산가가 1.5 이하가 될 때까지 반응시켜서, 비닐에스테르 수지(I-1)의 불휘발분 75질량%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2 : 비닐에스테르 수지(I-2)의 합성)
반응 용기에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DIC 가부시키가이샤제 「EPICLON N-740-80M」, 고형분 에폭시 당량 : 190g/eq., 불휘발분 : 80질량%, 용매 : 메틸에틸케톤)를 66.8질량부, 아크릴산 20.9질량부, 메토퀴논 0.11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1.6질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이어서 트리페닐포스핀 0.54질량부를 더해, 반응 온도 80℃하에서 산가가 1.5 이하가 될 때까지 반응시켜서, 비닐에스테르 수지(I-2)의 불휘발분 75질량%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3 : 비닐에스테르 수지(I-3)의 합성)
반응 용기에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DIC 가부시키가이샤제 「EPICLON N-865-80M」, 고형분 에폭시 당량 : 205g/eq., 불휘발분 : 80질량%, 용매 : 메틸에틸케톤)를 68.2질량부, 아크릴산 19.8질량부, 메토퀴논 0.11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1.4질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이어서 트리페닐포스핀 0.55질량부를 더해, 반응 온도 80℃하에서 산가가 1.5 이하가 될 때까지 반응시켜서, 비닐에스테르 수지(I-3)의 불휘발분 75질량%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1∼3에서 합성한 비닐에스테르 수지(I-1)∼(I-3)의 원료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6011028924-pct00001
(제조예4 :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1)의 합성)
반응 용기에 합성예1에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1) 100.0질량부를 감압하 100℃에서 탈수하고, 그 후 80℃까지 냉각 후, 메틸에틸케톤 111.0질량부를 더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다음으로,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8.1질량부를 더하고, 이어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8.0질량부와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0.08질량부를 더해서, 80℃에서 12시간 반응시켜, 우레탄화 공정을 실시했다. 이소시아네이트값이 0.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하고, n-부탄올 0.3질량부를 더해, 2시간 더 반응시킨 후, 50℃까지 냉각하여,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1)의 불휘발분 55질량%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5 :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2)의 합성)
반응 용기에 합성예2에서 얻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1) 100질량부와 합성예1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4.4질량부를 감압하 100℃에서 탈수하고, 그 후 80℃까지 냉각 후, 메틸에틸케톤 274.9부를 더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다음으로, 비스페놀A에 프로필렌옥사이드가 2몰 부가한 글리콜(수산기가=280)을 117.8질량부,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20.1질량부, 시클로헥산디메탄올 2.3질량부를 더하고, 이어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92.6질량부,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0.08질량부를 더해서, 80℃에서 12시간 반응시켜, 우레탄화 공정을 실시했다. 이소시아네이트값이 0.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하고, 메탄올 1부를 더하고, 2시간 더 반응시킨 후, 50℃까지 냉각하여,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2)의 불휘발분 55질량%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6 :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3)의 합성)
반응 용기에 합성예3에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2) 100질량부를 감압하 100℃에서 탈수하고, 그 후 80℃까지 냉각 후, 메틸에틸케톤 114.9질량부를 더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다음으로,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8.8질량부, 1,4-부탄디올 4.1질량부를 더하고, 이어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8.1질량부,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0.08질량부를 더해서, 80℃에서 12시간 반응시켜, 우레탄화 공정을 실시했다. 이소시아네이트값이 0.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하고, 1,3-부탄디올 0.4질량부를 더해, 2시간 더 반응시킨 후, 50℃까지 냉각하여,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Ⅲ-3)의 불휘발분 55질량%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1 : 수성 수지 조성물(Ⅲ-1)의 조제)
제조예4에서 얻어진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1)의 불휘발분 55질량% 용액 90.9질량부(상기 우레탄 수지(Ⅱ-1)로서 50질량부)에, 제조예1에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I-1)의 불휘발분 75질량% 용액 66.7질량부(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I-1)로서 50질량부), 트리에틸아민 3.6질량부를 더하고, 이온 교환수 150질량부를 천천히 첨가하여 수용화를 실시했다. 이어서 감압하, 30∼50℃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여, 불휘발분 40질량%의 수성 수지 조성물(Ⅲ-1)을 얻었다.
(실시예2∼5 : 수성 수지 조성물(Ⅲ-2)∼(Ⅲ-5)의 조정)
제조예4에서 얻어진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1) 및 제조예1에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I-1)의 불휘발분에서의 배합량이, 표 2에 나타낸 양이 되도록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불휘발분 40질량%의 수성 수지 조성물(Ⅲ-2)∼(Ⅲ-5)을 얻었다.
(실시예6 : 수성 수지 조성물(Ⅲ-6)의 조제)
제조예1에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I-1) 대신에, 제조예2에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I-2)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불휘발분 40질량%의 수성 수지 조성물(Ⅲ-6)을 얻었다.
(실시예7 : 수성 수지 조성물(Ⅲ-7)의 조제)
제조예1에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I-1) 대신에, 제조예3에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I-3)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불휘발분 40질량%의 수성 수지 조성물(Ⅲ-7)을 얻었다.
(실시예8 : 수성 수지 조성물(Ⅲ-8)의 조제)
제조예5에서 얻어진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2)의 불휘발분 55질량% 용액 90.9질량부(상기 우레탄 수지(Ⅱ-2)로서 50질량부)에, 제조예1에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I-1)의 불휘발분 75질량% 용액 66.7질량부(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I-1)로서 50질량부), 트리에틸아민 3.0질량부를 더하고, 이온 교환수 150질량부를 천천히 첨가하여 수용화를 실시했다. 이어서 감압하, 30∼50℃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여, 불휘발분 40질량%의 복합 수성 수지 조성물(Ⅲ-8)을 얻었다.
(실시예9 : 수성 수지 조성물(Ⅲ-9)의 조제)
제조예6에서 얻어진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3)의 불휘발분 55질량% 용액 90.9질량부(상기 우레탄 수지(Ⅱ-3)로서 50질량부)에, 제조예1에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I-1)의 불휘발분 75질량% 용액 66.7질량부(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I-1)로서 50질량부), 트리에틸아민 3.6질량부를 더하고, 이온 교환수 150질량부를 천천히 첨가하여 수용화를 실시했다. 이어서 감압하, 30∼50℃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여, 불휘발분 40질량%의 복합 수성 수지 조성물(Ⅲ-9)을 얻었다.
실시예1∼9에서 얻어진 수성 수지 조성물(Ⅲ-1)∼(Ⅲ-9)의 조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또, 표 중의 조성은 불휘발분량(수지만의 양)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6011028924-pct00002
(조제예1 :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1)의 조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DIC 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V-4260」) 50질량부,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50질량부 및 광중합개시제(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제 「이르가큐어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3질량부를 혼합함에 의해,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1)을 얻었다.
(조제예2 :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2)의 조제)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DIC 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V-5500」) 50질량부,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50질량부 및 광중합개시제(BASF재팬 가부시키가이샤제 「이르가큐어184」) 3질량부를 혼합함에 의해,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2)을 얻었다.
(실시예10 : 적층체(1)의 제작)
실시예1에서 얻어진 수성 수지 조성물(Ⅲ-1) 100질량부와, 멜라민 가교제(DIC 가부시키가이샤제 「벳카민M-3」) 5질량부와, 이온 교환수 185질량부를 혼합함에 의해 프라이머(P-1)를 얻었다. 이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로 약기함)제 필름 기재(두께 125㎛)의 표면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약 1㎛가 되도록, 상기에서 얻어진 프라이머(P-1)를 도포하고, 150℃에서 5분간 가열함에 의해, 상기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조제예1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1)을, 30㎛의 막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그 도포면에, 고압 수은등을 광원으로 하여, 조사량 400mJ/㎠로 자외선을 조사함에 의해, 상기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가지고, 그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이하, 「UV 도막」이라고 약기함)을 갖는 적층체(1)를 얻었다.
(실시예11 : 적층체(2)의 제작)
실시예10에서 사용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1) 대신에, 조제예2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2)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0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적층체(2)를 얻었다.
(실시예12∼19 : 적층체(3)∼(10)의 제작)
실시예10에서 사용한 수성 수지 조성물(Ⅲ-1) 대신에, 실시예2∼9에서 얻어진 수성 수지 조성물(Ⅲ-2)∼(Ⅲ-9)을 사용하여 프라이머(P-2)∼(P-9)를 조제하여 사용하고, 실시예10에서 사용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1) 대신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2)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0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적층체(3)∼(10)를 얻었다.
(실시예20 : 적층체(11)의 제작)
실시예1에서 얻어진 수성 수지 조성물(Ⅲ-1) 100질량부와, 에폭시 가교제(DIC 가부시키가이샤제 「CR-5L」) 3질량부와, 이온 교환수 185질량부를 혼합함에 의해 프라이머(P-10)를 조제하여 사용하고, 실시예10에서 사용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1) 대신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2)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0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적층체(11)를 얻었다.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성 수지 조성물 및 적층체를 사용하여, 하기의 밀착성의 평가를 행했다.
[기재와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초기)의 평가 방법]
막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에, 건조 시의 막두께가 약 1㎛가 되도록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150℃에서 5분간 가열함에 의해, 상기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험판을 제작했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한 시험판의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제의 24mm 폭의 점착 테이프를 첩부했다.
이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프라이머층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인장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를 프라이머층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했을 때의, 상기 프라이머층의 표면의 상태를,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목시로 평가했다.
◎ : 시험판을 구성하는 기재 표면으로부터 프라이머층이 전혀 박리하지 않았다.
○: 시험판을 구성하는 기재 표면으로부터, 극히 일부의 프라이머층이 박리했지만, 그 박리한 범위는, 시험판을 구성하는 피막의 전면적에 대하여 10% 미만이었다.
△ : 시험판을 구성하는 프라이머층의 면적에 대하여 10% 이상 50% 미만의 범위의 프라이머층이, 시험판을 구성하는 기재 표면으로부터 박리했다.
× : 시험판을 구성하는 프라이머층의 전면적에 대하여 50% 이상의 범위의 프라이머층이, 시험판을 구성하는 기재 표면으로부터 박리했다.
[프라이머층과 UV 도막과의 밀착성(초기)의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적층체를 구성하는 UV 도막의 표면에,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제의 24mm 폭의 점착 테이프를 첩부했다.
이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UV 도막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인장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를 UV 도막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했을 때의, 상기 UV 도막의 표면의 상태를,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목시로 평가했다.
◎ : 적층체를 구성하는 기재 표면으로부터 UV 도막이 전혀 박리하지 않았다.
○ : 적층체를 구성하는 기재 표면으로부터, 극히 일부의 UV 도막이 박리했지만, 그 박리한 범위는, 적층체를 구성하는 UV 도막의 전면적에 대하여 10% 미만이었다.
△ : 적층체를 구성하는 UV 도막의 면적에 대하여 10% 이상 50% 미만의 범위의 UV 도막이, 적층체를 구성하는 기재 표면으로부터 박리했다.
× : 적층체를 구성하는 UV 도막의 전면적에 대하여 50% 이상의 범위의 UV 도막이, 적층체를 구성하는 기재 표면으로부터 박리했다.
[프라이머층과 UV 도막과의 밀착성(내구 시험 후)]
상기 얻어진 적층체를 온도 60℃, 상대 습도 90%의 고온 항습기에 50시간 투입했다. 그 후, 상기 적층체를 취출하고, 프라이머층과 UV 도막과의 밀착성을, 상기 [프라이머층과 UV 도막과의 밀착성(초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했다.
[조막성의 평가 방법]
막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에, 건조 시의 막두께가 약 1㎛가 되도록 상기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150℃에서 5분간 가열함에 의해, 상기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 : 프라이머층의 표면을 목시 관찰하면, 투명했다.
△ : 프라이머층의 표면을 목시 관찰하면, 투명하지만 크랙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프라이머층의 표면을 목시 관찰하면, 백화할 정도의 크랙이 발현하고, 프라이머층의 일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여 있었다.
실시예10∼20에서 얻어진 적층체(1)∼(11)에 사용한 기재, 프라이머 및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과,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6011028924-pct00003
(합성예4 :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2)의 합성)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 중에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아디프산 63.1질량부, 에틸렌글리콜 39.9질량부, 및 디부틸주석옥사이드 0.005질량부를 투입하여 180∼230℃ 24시간 에스테르화한 후, 산가가 1 이하가 될 때까지 230℃에서 24시간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2)[산가 0.3, 수산기가 56.1]을 얻었다.
(제조예7 :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의 합성)
반응 용기에 합성예4에서 얻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2) 100질량부를 감압하 100℃에서 탈수하고, 그 후 80℃까지 냉각 후, 메틸에틸케톤 114.9질량부를 더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다음으로,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8.8질량부를 더하고, 이어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8.1질량부를 더해서, 80℃에서 12시간 반응시켜, 우레탄화 공정을 실시했다. 이소시아네이트값이 0.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하고, n-부탄올 0.4질량부를 더해, 2시간 더 반응시킨 후, 50℃까지 냉각하여,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를 얻었다.
(비교예1 : 수성 수지 조성물(Ⅲ')의 합성)
제조예7에서 얻어진 친수성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Ⅱ')의 불휘발분 55질량% 용액 90.9질량부(상기 우레탄 수지(Ⅱ')로서 50질량부)에, 제조예1에서 얻어진 비닐에스테르 수지(I-1)의 불휘발분 75질량% 용액 66.7질량부(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I-1)로서 50질량부), 트리에틸아민 3.0질량부를 더하고, 이온 교환수 150질량부를 천천히 첨가하여 수용화를 실시했다. 이어서 감압하, 30∼50℃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여, 불휘발분 40질량%의 수성 수지 조성물(Ⅲ')을 얻었다.
(비교예2 : 적층체(R1)의 제작)
비교예1에서 얻어진 수성 수지 조성물(Ⅲ') 100질량부와, 벳카민 M-3(DIC 가부시키가이샤제, 멜라민 가교제) 5질량부와, 이온 교환수 185질량부를 혼합함에 의해 프라이머(P')를 얻었다. 이어서, PET제 필름 기재(두께 125㎛)의 표면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약 1㎛가 되도록, 상기에서 얻어진 프라이머(P')를 도포하고, 150℃에서 5분간 가열함에 의해, 상기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조제예1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1)을, 15㎛의 막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그 도포면에, 고압 수은등을 광원으로 하여, 조사량 0.5J/㎠로 자외선을 조사함에 의해, 상기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가지고, 그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을 갖는 적층체(R1)를 얻었다.
(비교예3 : 적층체(R2)의 제작)
실시예10에서 사용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1) 대신에, 조제예2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UV-2)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0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적층체(R2)를 얻었다.
비교예2 및 3에서 얻어진 적층체(R1) 및 (R2)에 사용한 기재, 프라이머 및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과,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6011028924-pct00004
표 3에 나타낸 평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은, 기재와의 밀착성이 뛰어나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도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표 4에 나타낸 평가 결과는, 비교예1에서 얻어진 방향환을 함유하지 않는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예인 것이다. 이 비교예1의 수성 수지 조성물이 형성된 프라이머층은, 기재와의 밀착성은 불충분하며,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도막과의 밀착성이 현저히 불충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비닐에스테르 수지(A) 및 방향환을 갖는 우레탄 수지(B)가, 수성 매체(C) 중에 분산된 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a1)와, 산기 및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a2)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며,
    상기 우레탄 수지(B)가, 방향환을 갖는 폴리올(b1-1) 및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올(b1-2)을 함유하는 폴리올(b1)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를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며,
    상기 비닐에스테르 수지(A)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우레탄 수지(B) 입자 내에 내재하여 수지 입자(D)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비닐 에스테르 수지(A)와 상기 우레탄 수지(B)의 질량 비율[(A)/(B)]이 60/40∼10/9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b1-1) 중의 방향환 농도가, 1.5∼8㏖/㎏의 범위인 수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환을 갖는 폴리올(b1-1)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b1-a) 및 비스페놀A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b1-b)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폴리올인 수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b1) 중에 포함되는 방향환을 갖는 폴리올(b1-1)의 비율이 40∼98질량%의 범위인 수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2)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수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a2)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인 수성 수지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기재의 표면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가지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경화 도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와,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인 적층체.
  11. 제9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67002915A 2013-08-06 2014-07-29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98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3192 2013-08-06
JPJP-P-2013-163192 2013-08-06
PCT/JP2014/069913 WO2015019899A1 (ja) 2013-08-06 2014-07-29 水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222A KR20160030222A (ko) 2016-03-16
KR101798088B1 true KR101798088B1 (ko) 2017-11-15

Family

ID=5246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915A KR101798088B1 (ko) 2013-08-06 2014-07-29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69901B2 (ko)
JP (1) JP5839251B2 (ko)
KR (1) KR101798088B1 (ko)
CN (1) CN105452380B (ko)
TW (1) TWI647269B (ko)
WO (1) WO2015019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5464A (ja) * 2014-09-06 2016-04-21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WO2016052054A1 (ja) * 2014-09-30 2016-04-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ゲル粒子、感光性組成物、インク組成物、ゲル粒子の水分散物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CN107709615B (zh) * 2015-06-26 2019-10-11 Dic株式会社 钢板表面处理剂和具有其涂膜的钢板
JP2017014307A (ja) * 2015-06-26 2017-01-19 Dic株式会社 水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物品
CN110325592B (zh) * 2016-12-26 2021-09-21 Dic株式会社 水性树脂组合物、使用了其的层叠体、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EP3593205A4 (en) * 2017-03-09 2020-11-25 E Ink California, LLC PHOTOTHERMALLY INDUCED POLYMERIZATION INHIBITORS FOR ELECTROPHORETIC MEDIA
CN107501911B (zh) * 2017-09-29 2018-08-24 安徽嘉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高品质tpu薄膜的方法
CN109608611A (zh) * 2018-10-23 2019-04-12 合肥科天水性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环氧丙烯酸树脂改性水性聚氨酯及其制备方法
CN109796854A (zh) * 2019-01-28 2019-05-24 河南九阳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长效环保乙烯基酯树脂水性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WO2021131395A1 (ja) * 2019-12-27 2021-07-01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2377864B1 (ko) * 2020-06-01 2022-03-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7281026B1 (ja) * 2023-03-23 2023-05-24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プライマー用ポリウレタン水分散体及びプライマー層並びに積層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282A (ja) * 2000-08-18 2002-02-26 Mitsui Chemicals Inc コンクリート防食無臭被覆材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防食無臭被覆工法
JP2012092311A (ja) * 2010-09-28 2012-05-17 Dic Corp プライマーコート剤及び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9314B2 (ja) * 1992-06-17 2002-06-0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水性被覆用組成物
DE19810793A1 (de) * 1998-03-12 1999-09-16 Basf Ag Härtbares Polyurethanpolymerisat, Dispersion auf Basis dieses Polymerisat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1152018A1 (en) * 1999-04-01 2001-11-07 Nihon Parkerizing Co., Ltd. Aqueous coating composition for metal sheets, use thereof, surface-treated metal sheets and surface treating method
JP2003342344A (ja) 2002-05-30 2003-12-03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ウレタン樹脂
KR100725432B1 (ko) * 2003-03-06 2007-06-07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그 경화물
DE102007006492A1 (de) * 2007-02-09 2008-08-14 Bayer Materialscience Ag UV-härtbare Dispersionen auf Basis von Polyisocyanaten
DE102007038085A1 (de) 2007-08-11 2009-02-12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rten Beschichtungssystemen auf Basis wässriger Polyurethandispersionen
DE102009008949A1 (de) * 2009-02-13 2010-08-19 Bayer Materialscience Ag Wässrige Beschichtungssysteme auf Basis physikalisch trocknender Urethanacrylate
JP5396951B2 (ja) 2009-03-18 2014-01-22 三菱化学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および積層体
JP5737179B2 (ja) * 2009-07-23 2015-06-17 宇部興産株式会社 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2585296A1 (en) 2010-06-24 2013-05-01 SDC Technologies, Inc. High refractive index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 coating compositions
JP5553362B2 (ja) * 2010-09-20 2014-07-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学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BR112015004532B1 (pt) * 2013-07-18 2021-12-28 Mitsui Chemicals, Inc Estrutura de compósito de resina metálica e membro de met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282A (ja) * 2000-08-18 2002-02-26 Mitsui Chemicals Inc コンクリート防食無臭被覆材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防食無臭被覆工法
JP2012092311A (ja) * 2010-09-28 2012-05-17 Dic Corp プライマーコート剤及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7127A1 (en) 2016-06-23
TW201510041A (zh) 2015-03-16
CN105452380A (zh) 2016-03-30
US9969901B2 (en) 2018-05-15
KR20160030222A (ko) 2016-03-16
JPWO2015019899A1 (ja) 2017-03-02
TWI647269B (zh) 2019-01-11
JP5839251B2 (ja) 2016-01-06
WO2015019899A1 (ja) 2015-02-12
CN105452380B (zh)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088B1 (ko)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54872B1 (ko) 코팅제 및 적층체
KR102209385B1 (ko) 수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9334420B2 (en) Decorated sheet and decorated resin molded article using same
KR20150023483A (ko)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경화물 및 적층체
WO2002053619A1 (fr) Urethane (meth)acrylate polymerisable par rayonnement actinique, compositions polymerisables avec ce compose et utilisation de cet urethane (meth)acrylate et de ces compositions
US11981771B2 (en)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
JP5781406B2 (ja) 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剤
JP6071028B2 (ja) 積層体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5218267A (ja) 水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物品
JP2019006994A (ja)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保護膜
JP2017014307A (ja) 水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物品
JP6623744B2 (ja) 水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物品
TW201802132A (zh) 活性能量線硬化型組成物
JP6557966B2 (ja) 積層体及び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