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535B1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535B1
KR101797535B1 KR1020160078540A KR20160078540A KR101797535B1 KR 101797535 B1 KR101797535 B1 KR 101797535B1 KR 1020160078540 A KR1020160078540 A KR 1020160078540A KR 20160078540 A KR20160078540 A KR 20160078540A KR 101797535 B1 KR101797535 B1 KR 101797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display
bar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김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석 filed Critical 김현석
Priority to KR102016007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60R2011/004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with visible part, e.g. flush mounted
    • B60R2011/00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with visible part, e.g. flush mounted using hidden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천장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구동 바아; 상기 디스플레이 및 구동 바아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상기 구동 바아의 직선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기 구동 바아가 직선 이동하면, 상기 연결 바아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바아에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FO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내부에 영화나 TV 프로그램과 같은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고정형과 틸팅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형 디스플레이는, 센터페시아나 암 레스트 등에 고정되고, 회동형 디스플레이는 암 레스트나 천장에 기설정된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형 디스플레이는, 암 레스트나 천장에 고정된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하는 디스플레이가 사용 여부에 따라서 베이스에 수납되거나 베이스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는 그 일단에 구비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 모터의 모터축이 힌지에 연결됨으로써,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가 힌지를 중심으로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디스플레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가 힌지에 의해서만 베이스에 지지된다. 따라서 화면 크기의 증가에 따른 중량의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차량의 급정거나 급출발시의 관성에 의하여 힌지 또는/및 구동 모터가 손상되거나 디스플레이가 탈거되어 안전을 위협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베이스가 차량의 천장에 체결되는 별도의 체결구에 의하여 차량의 천장에 고정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차량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차량의 손상이 우려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05585호(명칭: 루프형 후석 모니터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천장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구동 바아; 상기 디스플레이 및 구동 바아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상기 구동 바아의 직선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기 구동 바아가 직선 이동하면, 상기 연결 바아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바아에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선택적으로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 제1걸림 후크가 구비되는 제1베이스 부재;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타단에 상기 제1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단에 제2걸림 후크가 구비되는 제2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걸림 후크가 차량의 내부에 각각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걸림 후크는, 차량의 선루프 사이에 위치되는 크로스 부재에 걸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바아는, 그 외주면을 따라서 적어도 1개의 연속되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웜 기어와 맞물리는 웜; 및 상기 웜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연결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웜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바아의 양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및 구동 바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힌지축 및 구동 바아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 바아의 직선 이동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회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견고하게 디스플레이가 베이스 부재에 지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보다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베이스 부재가 상대 이동하여 제1 및 제2걸림 후크가 차량의 내부에 걸린 상태에서, 고정 부재에 의하여 제1 및 제2베이스 부재가 고정됨으로써, 베이스 부재가 차량의 천장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차량의 천장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가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가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 부재(100), 디스플레이(200), 구동 바아(300), 연결 바아(400) 및 구동 모터(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차량의 천장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가, 제1 및 제2베이스 부재(101)(102) 및 고정 부재(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선택적으로 수납되는 수납홈(120)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수납홈(120)은,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의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 후크(111)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내부에 걸어진다. 상기 제2베이스 부재(102)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의 타단에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에 대하여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 후크(111)에 대향되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102)의 일단에는 제2걸림 후크(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걸림 후크(112)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102)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내부에 걸어진다. 상기 고정 부재(103)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102)가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걸림 후크(111)(112)가 차량의 내부에 각각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 부재(101)(102)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102)가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걸림 후크(111)(112)가, 차량의 선루프 사이에 위치되는 크로스 부재(10)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 부재(101)(102)가 상기 고정 부재(103)에 의하여 고정된다. 여기스 '크로스 부재'란 2개의 선루프로 구성되는 파노라마 선루프가 적용된 차량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루프 사이를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는 지지 홀더(1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홀더(13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바아(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 홀더(130)에는 상기 구동 바아(300)가 삽입되는 삽입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3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는, 관통 개구(14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 개구(140)는, 상기 제1걸림 후크(111)의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관통 개구(140)는, 상기 지지 홀더(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구동 바아(300)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관통 개구(140)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는 지지 돌출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돌출부(15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걸림 후크(111)(112)가 상기 크로스 부재(10)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10)의 저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수납홈(120)에 수납되거나, 상기 수납홈(120)의 외부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이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수납홈(12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바아(400)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 바아(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직선 이동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 바아(300)는,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바아(300)가 웜(310) 및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웜(310)은, 그 외주면을 따라서 적어도 1개의 연속되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후술할 웜 기어(미도시)와 맞물린다. 실질적으로 상기 웜(310)은, 상기 지지 홀더(130)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개구(14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웜(310)은,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 개구(140)를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웜(310)의 일단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320)는,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 바아(300)에 상기 연결 바아(4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웜(310)의 형상에 따라서 삭제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연결 바아(400)는, 상기 디스플레이(200) 및 구동 바아(30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바아(400)의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 바아(400)의 타단은 상기 구동 바아(300),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부(3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 모터(5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한 상기 구동 바아(300)의 직선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 모터(500)는, 모터 브라켓(510)에 의하여 상기 지지 홀더(130) 및 관통 개구(140)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00)의 구동축(미도시)에는, 상기 웜(310)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웜 기어(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500)가 구동하면, 이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바아(300)가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직선 이동한다. 그런데 상기 연결 바아(400)는 그 양단이 상기 디스플레이(200) 및 구동 바아(3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바아(300)의 직선 이동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납홈(120)에 수납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힌지축(210) 및 구동 바아(300)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순히 힌지축에 의해서만 디스플레이가 지지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가 차량에 기설치된 상기 크로스 부재(10)에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고정을 위하여 차량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부재 200: 디스플레이
300: 구동 바아 400: 연결 바아
500: 구동 모터

Claims (6)

  1. 차량의 천장에 고정되고, 수납홈(120)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100);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힌지축(210)이 설치되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홈(120)의 내외부로 출납되고, 상기 수납홈(120)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00);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구동 바아(300);
    상기 디스플레이(200) 및 구동 바아(300)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400); 및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한 상기 구동 바아(300)의 직선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500);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바아(400)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2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회동하는 선단에 인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후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 바아(400)의 타단은, 상기 구동 바아(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상기 구동 바아(300)가 직선 이동하면, 상기 연결 바아(400)에 의하여 상기 구동 바아(300)에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납홈(120)의 내외부로 출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회동하는 선단은,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납홈(12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바아(300)의 이동 방향을 향하는 궤적을 형성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상기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 제1걸림 후크(111)가 구비되는 제1베이스 부재(101);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의 타단에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에 대하여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단에 제2걸림 후크(112)가 구비되는 제2베이스 부재(102);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102)가 상기 제1베이스 부재(101)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걸림 후크(111)(112)가 차량의 내부에 각각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 부재(101)(102)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03); 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걸림 후크(111)(112)는, 차량의 선루프 사이에 위치되는 크로스 부재(10)에 걸어지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바아(300)는,
    그 외주면을 따라서 적어도 1개의 연속되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모터(500)에 의하여 회전하는 웜 기어와 맞물리는 웜(310); 및
    상기 웜(310)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연결부(320); 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웜(310)은,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형성되는 관통 개구(140)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KR1020160078540A 2016-06-23 2016-06-23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97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540A KR101797535B1 (ko) 2016-06-23 2016-06-23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540A KR101797535B1 (ko) 2016-06-23 2016-06-23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535B1 true KR101797535B1 (ko) 2017-11-14

Family

ID=6038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540A KR101797535B1 (ko) 2016-06-23 2016-06-23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5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582A (ja) * 2008-01-15 2009-07-30 Panasonic Corp 開閉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582A (ja) * 2008-01-15 2009-07-30 Panasonic Corp 開閉式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9161B2 (ja) モニター開閉機構
EP2292968B1 (en)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JP2010241334A (ja) 車両用シートの表示装置
EP2990267B1 (en) Vehicle visual recognition device
JP2002274261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FR2793741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radiateur sur un support d'un vehicule
CN110100132A (zh) 相机控制方法和装置
US20160250974A1 (en) Full display mirror with worm gear driven toggle mechanism
EP2095982A1 (en) Window regulator and jig
KR102310560B1 (ko) 회전 인출식 디스플레이 인사이드 미러
JP4843622B2 (ja) 構成要素の固定具および固定具の取り付け
KR101797535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26061A (ko) 디스플레이 미러 토글 패들
KR10095547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8702254B1 (en) Mirror adjustment mechanism
CN109562728B (zh) 薄型镜枢轴
JP6623105B2 (ja) 視認装置の視認角度調整機構
KR20160000529U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20190359137A1 (en) Vehicle visual recognition device
JP5199558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機構
JP2007218045A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のワイヤガイド構造
EP3023300A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EP3412510A1 (en) Viewing device for vehicle
JP4184629B2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6961538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