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434B1 -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434B1
KR101797434B1 KR1020170055230A KR20170055230A KR101797434B1 KR 101797434 B1 KR101797434 B1 KR 101797434B1 KR 1020170055230 A KR1020170055230 A KR 1020170055230A KR 20170055230 A KR20170055230 A KR 20170055230A KR 101797434 B1 KR101797434 B1 KR 101797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odule
case
thicknes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원
Original Assignee
조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원 filed Critical 조재원
Priority to KR102017005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05Direct recuperation and re-use of scrap material during moulding operation, i.e. feed-back of us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지 원재료가 투입되어 혼합되는 원재료혼합모듈과, 상기 원재료혼합모듈로부터 공급된 시트지 원재료를 제공받아 가열하고, 가열된 시트지 원재료를 기 설정 두께의 시트지원단으로 추출하는 시트지원단추출모듈과, 상기 시트지원단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시트지원단을 최종 시트지 두께로 가공하는 두께가공모듈과, 상기 두께가공모듈로부터 두께가 조절된 시트지원단을 소정 폭으로 재단하는 절단모듈 및 상기 절단모듈에 의하여 절단된 시트지의 잔여부를 상기 시트지원단추출모듈로 재이송시키는 재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시트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Device with removing module for manufacturing paper sheet}
본 발명은 시트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시트지 제조과정 중 발생하는 시트지의 양측 잔여부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지는 실내, 외 건자재 및 각종 가구, 악세사리 용으로 다양하게 부착하여 심미감을 우수하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트지는 상황에 따라서 MDF, PB, 합판 또는 석고보드 등의 시트 표면에 다양한 칼라나 무늬를 형성하는 PVC 시트지를 코팅, 접착 제조하거나 인쇄된 종이 시트를 부착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한편 종래 시트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시트지 원재료를 멜팅 및 혼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후에 이와 같은 혼합 및 멜팅된 시트지 원재료를 소정 두께 및 폭으로 가공한 후, 별도의 장소에서 냉각과정을 통하여 냉각시킨 후 보관하는 형태로 제조가 되었는데, 각각의 과정에 있어서 적용되는 구성들이 별개로 이루어져 있어 각 과정마다 작업자가 해당 과정을 별개로 수행하여야 하는 등 작업상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전체 시트지 제조 공정 시간도 길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82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전체 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운영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는 시트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공급되는 시트지 원재료의 배출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트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지 원재료가 투입되어 혼합되는 원재료혼합모듈과, 상기 원재료혼합모듈로부터 공급된 시트지 원재료를 제공받아 가열하고, 가열된 시트지 원재료를 기 설정 두께의 시트지원단으로 추출하는 시트지원단추출모듈과, 상기 시트지원단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시트지원단을 최종 시트지 두께로 가공하는 두께가공모듈과, 상기 두께가공모듈로부터 두께가 조절된 시트지원단을 소정 폭으로 재단하는 절단모듈 및 상기 절단모듈에 의하여 절단된 시트지의 잔여부를 상기 시트지원단추출모듈로 재이송시키는 재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시트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재이송모듈은 시트지의 잔여부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된 잔여부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파쇄케이스 및 상기 파쇄케이스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시트지의 잔여부가 파쇄되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쇄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스크류는 한 쌍이 배치되되, 상기 한 쌍으로 배치된 파쇄스크류 사이로 시트지의 잔여부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모듈에 의하여 소정 폭을 가지도록 제작된 시트지의 일면에 소정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모듈은 시트지의 일면에 면상 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쇄드럼부와, 상기 인쇄드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드럼부의 표면에 소정 색상의 잉크가 제공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잉크수용부 및 상기 잉크수용부에 구비되어 수용된 잉크에 의하여 부양된 상태를 이루는 부양부와, 상기 부양부 하측에 구비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수위조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에 의하면, 원재료 혼합 공정에서부터 시트지 제조 및 냉각 그리고 보관과정까지 전체적으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상 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에 의하면, 절단모듈을 이루는 양측 절단날부의 폭 조절을 통하여 제조되는 시트지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에 의하면, 시트지의 폭 조절 시 절단된 시트지 잔여부를 다시 시트지원단추출모듈로 재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공정의 효율성을 가져옴과 동시에 재료비 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두께가공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재이송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인쇄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도 1에서 혼합케이스의 배출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상기 도 5에서 열풍공급관의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절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절단모듈의 일측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냉각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100)는 원재료혼합모듈(110)과, 시트지원단추출모듈(120)과, 두께가공모듈(130)과, 절단모듈(140)과, 냉각모듈(150)과, 재이송모듈(17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시트지는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PVC 재질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시트지 원재료는 작은 파편 또는 파우더 등과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원재료혼합모듈(1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시트지 원재료가 투입되어 혼합되는 구성을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원재료혼합모듈(110)은 외관을 이루며 내부 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원재료가 내부로 공급되는 공급부(112)와 다시 원재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102)가 구비된 혼합케이스(111)와, 상기 혼합케이스(111) 내부에 구비되어 투입된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스크류(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혼합스크류(113)는 혼합케이스(111) 외부에 구비된 구동모터(177)의 회전축에 축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77)의 작동 시 회전함에 따라서 혼합케이스(111)의 내부에 투입된 시트지 원재료가 혼합된 후 상기 배출부(10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혼합케이스(111) 내부 공간부 내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설치되어 시트지 원재료가 소정 용융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가열히터부(10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지원단추출모듈(120)은 상기 원재료혼합모듈(110)로부터 공급된 시트지 원재료를 제공받아 재가열하고, 가열된 시트지 원재료를 기 설정 두께의 시트지원단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지원단추출모듈(120)은 내부 수용부가 구비된 추출모듈케이스(121)를 구비하며, 상기 추출모듈케이스(121)는 상부로 메인공급부(122)와 보조공급부(12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공급부(122)로는 상기 원재료혼합모듈(110)로부터 공급되는 시트지 원재료가 공급되며, 상기 보조공급부(123)로는 후술하는 시트지 잔여부(2)가 공급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모듈케이스(121)는 내부로 공급된 시트지 원재료 혼합물을 소정 두께를 이루며 외부로 배출하는 추출부(124)가 구비된다. 상기 추출부(124)는 소정의 슬릿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추출모듈케이스(121) 또한 내부 공간부 내 온도를 상승시켜 시트지 원재료 혼합물이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열히터부(12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추출모듈케이스(121)는 내부 공간부 내 원재료 혼합물을 가압하여 상기 추출부(124)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모듈은 실린더(126) 및 피스톤(127)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127)이 추출모듈케이스(121) 내부에 유입된 용융된 상태의 원재료 혼합물을 가압함에 따라서 상기 추출부(124)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100)는 후술하는 절단모듈(140)에 의하여 소정 폭으로 절단된 시트지의 잔여부를 재공급받아 다시 상기 추출모듈케이스(121)로 공급하는 재이송롤러부(129) 및 재이송모듈(17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두께가공모듈(130)은 상기 시트지원단추출모듈(120)로부터 추출된 시트지원단을 제작하고자 하는 최종 시트지 두께로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두께가공모듈(130)은 상부와 하부로 두 개의 드럼부(131, 132)가 소정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드럼부(131, 132) 사이로 형성되는 틈을 이용 시트지의 두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드럼부(131, 132) 중 상부드럼부(131)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트지의 두께 변화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절단모듈(140)은 상기 두께가공모듈(130)로부터 두께가 조절된 시트지원단을 소정 폭으로 재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두께가공모듈(1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두께가공모듈(130)은 상부드럼부(131)와 하부드럼부(132)가 각 드럼부의 회전축(13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상부드럼부(131)와 하부드럼부(132) 각각의 회전축(139)은 각각 별도의 측부지지부(137)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별도의 모터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장치의 작동 시 상기 상부드럼부(131)와 하부드럼부(132)가 소정 속도로 회전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드럼부(131)의 양측 측부지지부(137)는 다시 하부가 개구된 상태를 이루며 상하로 슬라이딩홈(134)이 형성된 상부이동부(133)에 결합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하부드럼부(132)의 양측 측부지지부(137)는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홈(134)에 삽입되는 슬라이딩가이드(136)를 구비하는 하부고정부(135)에 결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하부고정부(13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가 설치되는 현장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상부이동부(133)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136)를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홈(134)이 구비된 상부이동부(133)가 상하로 상대 이동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드럼부(131) 또한 상기 하부드럼부(132)와 소정의 틈을 형성하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드럼부(131)와 하부드럼부(132)에 연결된 측부지지부(137)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는 전자석모듈(138)이 각각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원을 이용 전자석모듈(138)에 형성하는 자극을 이용하여 상부드럼부(131)와 하부드럼부(132)사이의 틈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재이송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재이송모듈(170)은 시트지의 잔여부(2)가 유입되는 유입부(172)와 유입된 잔여부(2)가 배출되는 배출부(173)가 구비된 파쇄케이스(171) 및 상기 파쇄케이스(17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172)로 유입된 시트지의 잔여부(2)가 파쇄되어 상기 배출부(173)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쇄스크류(174)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파쇄스크류(174)는 한 쌍이 각각의 회전축(175)이 별도의 모터부(176)에 축 연결된 상태로 서로 엇갈려 배치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한 쌍으로 배치된 파쇄스크류(174) 사이로 시트지의 잔여부(2)가 유입되도록 파쇄스크류(174)에 의하여 소정 파쇄된 상태를 이룬 후 상기 추출모듈케이스(121)의 보조공급부(123)로 재 공급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파쇄케이스(171) 내측으로 별도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호스(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여 파쇄된 상태의 시트지 잔여부가 보다 용융된 상태를 이룬 상태로 추출모듈케이스(121)로 재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차후 재추출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인쇄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모듈(160)은 시트지의 일면에 면상 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쇄드럼부(161)와, 상기 인쇄드럼부(16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드럼부(161)의 표면에 소정 색상의 잉크가 덮혀진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잉크수용부(162) 및 상기 잉크수용부(162)에 구비되어 수용된 잉크에 의하여 부양된 상태를 이루는 부양부(163)와 상기 부양부(163) 하측에 구비되는 접촉감지센서(1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양부(163)는 부력에 의하여 잉크수용부(162)에 수용된 잉크 상부에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부양부(163)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별도의 연결로드(164)에 연결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연결로드(164)의 하부에 상기 접촉감지센서(165)가 설치된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잉크수용부(162)의 일측으로는 잉크공급관(166)이 구비되되, 상기 잉크공급관(166)을 통한 잉크의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밸브(167)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잉크수용부(162)에 잉크가 설정된 양만큼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부양부(163)가 소정 높이로 수용된 잉크에 의하여 상부로 부양됨으로써 접촉감지센서(165)가 잉크수용부(162)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잉크수용부(162)에 잉크가 부족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감지센서(165)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잉크수용부(162)의 저면에 닿게 되는 경우 이를 센싱하여 자동적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개폐밸브(167)가 개방되어 소정양의 잉크를 잉크수용부(162)로 재공급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잉크가 공급된 잉크수용부(162)에 하부가 잠긴 상태를 이루는 인쇄드럼부(16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인쇄드럼부(161)의 표면에 접촉하는 시트지(1)의 일면에 소정 색의 잉크가 도색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인쇄드럼부(161)의 표면은 소정 패턴이 형성되어 인쇄드럼부(161)와 면상 접촉되어 이동하는 시트지에도 소정 색의 패턴이 형성된 인쇄가 행하여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쇄모듈(160)을 여러 개 배치하여 중첩적으로 소정 색 및 패턴이 시트지에 인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1에서 혼합케이스의 배출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열풍공급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혼합케이스(111)의 배출부(102)는 상기 혼합케이스(111)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배출관(114)과, 상기 배출관(114)의 단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배출공(119)이 구비된 배출케이스(115) 및 상기 배출관(114)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상기 배출케이스(115)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열풍이 공급되는 열풍공급관(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풍공급관(116)은 배출관(114) 내측에 삽입되는 단부가 폐쇄된 형태를 이루고 반대측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열풍공급관(116)의 개방된 측은 외부로부터 소정 고압으로 열풍이 공급되는 열풍공급호스(117)가 연결된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열풍공급관(116)은 시트지 원재료가 배출되는 방향 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열풍공급홀(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풍공급홀(118)은 유동통로가 협소한 배출관(114) 내부의 용융된 시트지 원재료가 용융 정도가 크게 되도록 하면서 열풍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배출공(1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절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절단모듈의 일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100)에 적용되는 절단모듈(140)은 절단테이블부(141)와, 상기 절단테이블부(141) 상측에 배치되는 커팅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팅모듈부는 상기 절단테이블부(141) 상부로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로 상기 절단테이블부(141) 양측을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지지로드부(142)와, 상기 지지로드부(142)의 양측에 지지로드부(14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이동편(143) 및 보조이동편(145)과, 상기 보조이동편(145)의 하부로 배치되는 절단날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이동편(143)은 상기 지지로드부(142)를 따라서 상기 메인이동편(143)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이동홈부(144)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홈부(144)에 지지로드부(14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이동편(143)이 지지로드부(142)를 따라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보조이동편(145)이 상기 메인이동편(143)의 이동홈부(144)를 폐쇄하는 형태로 볼트(147)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조이동편(145)과 메인이동편(143)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로드부(14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로드부(142)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눈금부가 적용되어 상기 커팅모듈부의 고정 위치를 시각적으로 지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서 시트지의 폭 조절 변경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메인이동편(143)은 자석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로드부(142)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이동편(143)을 지지로드부(142)의 일정 위치에 가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 후, 보조이동편(145)과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냉각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냉각모듈(150)은 롤러 형태로 이루어진 냉각롤러몸체부(15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롤러몸체부(151)는 중심축이 별도의 모터부(158)의 회전축에 축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58)의 작동 시 냉각롤러몸체부(151)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롤러몸체부(151)의 표면은 다수 개가 서로 수직 교차되게 이루어진 냉각공기유로부(152)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공기유로부(152)는 소정 이격된 위치마다 냉각공기공급홀(153)이 구비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냉각공기유로부(152)가 교차된 부위로 상기 냉각공기공급홀(15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공급홀(153)의 둘레부를 따라서 시온안료가 적용된 지시부(154)가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지시부(154)는 냉각공기공급홀(153)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각공기에 따라서 색이 변화되도록 하여 냉각공기가 적절 온도로 원활하게 공급되는지를 지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롤러몸체부(151)는 상기 냉각공기유로부(152) 이외 몸체 부분에 공기흡입홀(155)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홀(155)은 도 1에서와 같이 시트지(1)가 냉각롤러몸체부(151)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지 원재료를 상기 혼합케이스(111)의 공급부(112)를 통하여 혼합케이스(111) 내측에 투입한 후, 상기 가열히터부(105)를 작동시키어 용융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스크류(113)를 회전시키어 용융된 상태의 시트지 원재료가 상기 혼합케이스(111)의 배출공(1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114)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는 열풍공급관(116)의 열풍공급홀(118)을 통하여 고압의 열풍을 배출공(119) 측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원재료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멜팅 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풍공급홀(118)의 열풍 공급방향을 상기 배출공(119)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모듈케이스(121) 내부로 시트지 원재료가 이동된 후에는 다시 추출모듈케이스(121) 내측의 피스톤(127), 실린더(126)를 이용하여 추출부(124)를 통하여 소정 두께로 시트지 원단을 추출하게 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추출부(124)는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소정 시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127)을 왕복 이동시키어 추출모듈케이스(121) 내부로 유입된 시트지 원재료 혼합물의 혼합 및 융융 상태를 보다 강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추출부(124)에 별도의 개폐도어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추출된 시트지 원단은 상기 두께가공모듈(130)을 통과하면서 제조되고자 하는 시트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께가공모듈(130)을 통과하며 제조하고자 하는 두께로 이루어진 시트지는 다시 상기 절단모듈(140)을 통과하면서 실제 제작하고자 하는 폭을 가진 시트지(1)와 이를 제외한 양측 시트지 잔여부(2)가 제거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실제 제작되는 시트지를 제외한 잔여부는 다시 재이송롤러부(129)를 통과하면서 상기 추출모듈케이스(121)의 보조공급부(123)로 이송된 후, 메인공급부(122)로 공급되는 시트지 원재료와 혼합되어 다시 추출부(124)로 재추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상기 절단모듈(140)을 거치어 제조된 시트지(1)는 소정 온도를 지닌 상태를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절단모듈(140)을 거치어 제조된 시트지는 다시 상기 냉각모듈(150)을 거치어 냉각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냉각롤러몸체부(151)에 시트지(1)가 면상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공기흡입홀(155)을 이용하여 시트지가 냉각롤러몸체부(151)에 전체 면적에 걸쳐 최대한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냉각공기공급홀(153)을 통하여 공급된 냉각공기가 상기 냉각공기유로부(152)를 통하여 냉각롤러몸체부(151)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유동함으로써 시트지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모듈(150)에 의하여 냉각된 시트지의 일면은 상기 인쇄모듈(160)에 의하여 소정 색 및 패턴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적용되며, 최종 냉각 및 인쇄작업까지 완료된 시트지는 저장롤러부(190)에 기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감기도록 함으로써 전체 시트지의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지 제조장치에 의하면, 원재료 혼합 공정에서부터 시트지 제조, 냉각 및 인쇄과정까지 전체적으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상 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온다.
나아가, 시트지의 폭 조절 시 절단된 시트지 잔여부를 다시 시트지원단추출모듈로 파쇄 및 용융된 상태로 재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공정의 효율성을 가져옴과 동시에 재료비 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시트지 제조장치 102: 배출부
103: 이동풀리 105: 가열히터부
110: 원재료혼합모듈 111: 혼합케이스
112: 공급부 113: 혼합스크류
114: 배출관 115: 배출케이스
116: 열풍공급관 117: 열풍공급호스
118: 열풍공급홀 119: 배출공
120: 시트지원단추출모듈 121: 추출모듈케이스
122: 메인공급부 123: 보조공급부
124: 추출부 125: 가열히터부
126: 실린더 127: 피스톤
131: 상부드럼부 132: 하부드럼부
133: 상부이동부 134: 슬라이딩홈
135: 하부고정부 136: 슬라이딩가이드
137: 측부지지부 138: 전자석모듈
140: 절단모듈 141: 절단테이블
142: 지지로드부 143: 메인이동편
144: 이동홈부 145: 보조이동편
146: 절단날부 150: 냉각모듈
151: 냉각롤러몸체부 152: 냉각공기유로부
153: 냉각공기공급홀 154: 지시부
155: 공기흡입홀 170: 재이송모듈
171: 파쇄케이스 172: 유입부
173: 배출부 174: 파쇄스크류

Claims (5)

  1. 시트지 원재료가 투입되어 혼합되는 원재료혼합모듈과, 상기 원재료혼합모듈로부터 공급된 시트지 원재료를 제공받아 가열함과 동시에 가열된 시트지 원재료를 기 설정 두께의 시트지원단으로 추출하는 시트지원단추출모듈과, 상기 시트지원단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시트지원단을 최종 시트지 두께로 가공하는 두께가공모듈과, 상기 두께가공모듈로부터 두께가 조절된 시트지원단을 소정 폭으로 재단하는 절단모듈 및 상기 절단모듈에 의하여 절단된 시트지의 잔여부를 상기 시트지원단추출모듈로 재이송시키는 재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원재료혼합모듈은 외관을 이루며 내부 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공급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혼합케이스와, 상기 혼합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투입된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배출부는 상기 혼합케이스의 내부 수용부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배출공이 구비된 배출케이스 및 상기 배출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배출케이스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열풍이 공급되는 열풍공급관을 포함하는,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이송모듈은,
    시트지의 잔여부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된 잔여부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파쇄케이스; 및
    상기 파쇄케이스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시트지의 잔여부가 파쇄되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쇄스크류;
    를 포함하는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스크류는 한 쌍이 배치되되,
    상기 한 쌍으로 배치된 파쇄스크류 사이로 시트지의 잔여부가 유입되도록 하는,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모듈에 의하여 소정 폭을 가지도록 제작된 시트지의 일면에 소정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모듈을 더 포함하는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5. 삭제
KR1020170055230A 2017-04-28 2017-04-28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KR101797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230A KR101797434B1 (ko) 2017-04-28 2017-04-28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230A KR101797434B1 (ko) 2017-04-28 2017-04-28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434B1 true KR101797434B1 (ko) 2017-11-13

Family

ID=6038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230A KR101797434B1 (ko) 2017-04-28 2017-04-28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660A (ko) * 2021-08-09 2023-02-16 (주)이미인 하이드로겔 패치 제조장치 및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752A (ja) * 2001-06-08 2002-12-18 Dainippon Printing Co Ltd 両面加工装置
KR100936801B1 (ko) * 2009-08-31 2010-01-14 (주)동신폴리켐 난연성 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0158853A (ja) 2009-01-09 2010-07-22 Ishikawa Shoji:Kk 減容加工装置及び減容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752A (ja) * 2001-06-08 2002-12-18 Dainippon Printing Co Ltd 両面加工装置
JP2010158853A (ja) 2009-01-09 2010-07-22 Ishikawa Shoji:Kk 減容加工装置及び減容加工方法
KR100936801B1 (ko) * 2009-08-31 2010-01-14 (주)동신폴리켐 난연성 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660A (ko) * 2021-08-09 2023-02-16 (주)이미인 하이드로겔 패치 제조장치 및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 방법
KR102559041B1 (ko) 2021-08-09 2023-07-25 (주)이미인 하이드로겔 패치 제조장치 및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4807B1 (en) Apparatus for finishing garment fabric edges
KR101797434B1 (ko) 재이송모듈이 구비된 시트지 제조장치
KR101809412B1 (ko) 재혼합모듈이 구비된 플라스틱 시트 제조장치
CN107187184A (zh) 一种用于工件表面图案印制的丝印机
KR101799236B1 (ko) 플라스틱 시트 제조장치
CA3083973A1 (en)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texture on plastic floor
KR101912160B1 (ko) 종이와 합성수지 필름의 분리장치 및 방법
KR101799233B1 (ko) 시트지 제조장치
CN206277808U (zh) 一种纸板印刷驱动装置
CN107234035A (zh) 一种多功能钢板表面自动化喷胶机
US20070052129A1 (en) Embossed boards
CN207272981U (zh) 一种半自动静音干式滚加工装置
CN207724838U (zh) 一种具有切圆角功能的过塑机
CN107020662A (zh) 热针辊打孔机
CN205764457U (zh) 一种激光切割设备
CN205555609U (zh) 一种辅助tto赋码的分页装置
CN104450988A (zh) 半自动皮具加工用开料切割机
KR102652856B1 (ko) 건강 기능용 필름의 절단 장치
KR102652861B1 (ko) 건강 기능용 필름의 양 및 불량 선별 장치
CN207105733U (zh) 一种半自动深压纹液压机的进出料装置
CN205571745U (zh) 激光切割机显示屏调节装置
CN208930835U (zh) 一种可自动分拣的压痕机
KR102122072B1 (ko) 동 성분을 함유한 시트 제조장치
KR100866308B1 (ko) 폐필름 재생기
KR102624626B1 (ko) 천연가죽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천연가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