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894B1 - 산화물계 전해질 이동 차단층이 형성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 Google Patents

산화물계 전해질 이동 차단층이 형성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894B1
KR101795894B1 KR1020150186477A KR20150186477A KR101795894B1 KR 101795894 B1 KR101795894 B1 KR 101795894B1 KR 1020150186477 A KR1020150186477 A KR 1020150186477A KR 20150186477 A KR20150186477 A KR 20150186477A KR 101795894 B1 KR101795894 B1 KR 10179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oxide
barrier layer
felt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343A (ko
Inventor
문지웅
이성연
윤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894B1/ko
Priority to JP2018532620A priority patent/JP6640360B2/ja
Priority to US16/065,719 priority patent/US20190013529A1/en
Priority to PCT/KR2016/015249 priority patent/WO2017111562A1/ko
Priority to CN201680079889.4A priority patent/CN108701854A/zh
Publication of KR2017007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6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6Processes for forming se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comprising framed electrodes or intermediary frame-like gas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매니폴드형 MCFC 스택의 매니폴드 밀봉부에서 스택의 Ÿ‡트 실(wet seal)부를 구성하는 용융탄산염 전해질과 직접 접촉하는 MCFC용 가스켓으로서, 상기 가스켓은 스택 적층방향으로 분리된 2 이상의 부분 가스켓이 연결되되 상기 부분 가스켓과 사이에 용융탄산염 전해질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차단층(blocking layer)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차단층은 부분 가스켓의 재질과 동일한 산화물 분말로 구성된 후막층 혹은 그린시트 층이며 가스켓 소결과정에서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와 상기 차단층을 함께 동시 소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화물계 전해질 이동 차단층이 형성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GASKET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HAVING A OXIDE BARRIER LAYER FOR THE PREVENTION OF ELECTROLYTE MIGRATION}
본 발명은 외부 매니폴드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의 매니폴드 밀봉에 사용되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릭스에 함침된 용융탄산염 전해질이 가스켓을 통하여 스택의 양극단에서 음극단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해질 이동 차단층을 갖는 가스켓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가스켓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밀봉부 및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매니폴드 밀봉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 매니폴드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에서는 연료 및 공기를 공급하는 금속재질의 매니폴드와 스택 사이에서 기체 밀봉과 절연을 유지하는 매니폴드 밀봉부재 필요하다. 매니폴드 밀봉부는 스택과 직접 접촉하여 가스 밀봉기능을 제공하는 가스켓, 가스켓과 금속재질의 매니폴드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지지하면서 절연기능을 제공하는 유전체(dielectric)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은 스택과 매니폴드 사이의 기체 밀봉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산화물 펠트를 기본 소재로 이용하여 기체밀봉, 절연 및 스택과 매니폴드 사이의 완충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가스켓은 구조적으로 다공성이기 때문에 MCFC 작동 중 액체 전해질의 이동 통로가 된다.
MCFC 스택은 수백장의 단전지가 직결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중에 양극단(positive electrode END)과 음극단(negative electrode END) 사이에 수백볼트의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전압이 구동력이 되어 다공성인 가스켓 소재에 웨팅(wetting)된 용융탄산염 전해질의 양이온 성분인 Li+, K+, Na+ 등 양이온이 양극단에서 음극단으로 이동하고 CO3 2- 이온은 양극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전해질 이동량은 가스켓 소재 및 미세구조 제어 방법에 따라 크게 변화 하는데, 장시간 운전 후에는 상기 "전해질 이동 현상"에 의하여 양극단의 셀은 전해질 부족으로 인하여 성능감소 및 가스 누설이 발생하고, 음극단의 셀은 전해질 과잉상태가 되어 성능이 급감한다. 따라서, 가스켓은 기본적으로 밀봉성능을 갖추어야 하며, 가스켓을 통해 전해질이 이동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초기의 MCFC 제품에는 ZrO2계 펠트를 이용하였으나 가스켓을 통한 전해질의 이동량이 많아서 스택 수명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CeO2 펠트로 대체 사용되어 지르코니아계 대비 상당히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MCFC의 경제성 확보를 위한 기대 수명을 달성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는 이러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전해질이 고갈되는 양극쪽에는 용융탄산염 담지량이 큰 하이 필(High Fill) 셀을 사용하고, 음극쪽에는 용융탄산염 담지량이 작으며 양극으로부터 이동한 전해질을 담지할 수 있는 용량이 증가된 로우 필(Low Fill) 셀을 별도로 제작하여 "전해질 이동" 현상으로 인한 스택 수명 단축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스택 구조가 복잡해졌으며, 표준 규격외의 별도 셀을 생산 관리해야 하는 비효율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통상 발전사업자가 요구하는 20년 수준의 시스템 수명에 대한 보증에 필요한 스택 교체비용의 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8~10만 시간의 스택 수명을 고려할 때 보다 근본적인 처방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매트릭스에 함침된 용융탄산염 전해질이 가스켓을 통하여 양극단에서 음극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켓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킷을 구비하는 매니폴드 밀봉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견지로서, 외부매니폴드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의 매니폴드 밀봉부에서 상기 스택의 매트릭스와 직접 접촉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용 가스켓을 제공하며, 상기 가스켓은 스택 적층방향으로 분리된 2 이상의 부분 가스켓이 연결되고, 상기 부분가스켓 사이에 용융탄산염 전해질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차단층(blocking layer)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차단층은 치밀질 산화물 소재이다. 상기 산화물 층은 상기 부분 가스켓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상기 스텍 적층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기울어져 경사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부분 가스켓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컷팅하는 경우 가스켓의 길이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도를 주고 절단 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4 참조).
상기 차단층은 가스켓의 두께 방향으로 가능한 많은 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분가스켓은 2~5cm의 길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층은 두께가 0.1~0.3mm 일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을 형성하기 위한 가스켓 제조단계는, 산화물 소재의 펠트를 적층하고 접착하여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산화물 펠트 적합체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절단면에 산화물 분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물 분말층이 형성된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연결하는 단계, 연결된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에 하중을 인가하면서 동시 소결하여 가스켓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층 재료는 산화물 분말의 페이스트 또는 산화물 분말의 그린시트일 수 있다.
도 5에는 다공성인 부분 가스켓(CeO2 펠트 소결체) 위에 동시소결을 통하여 형성된 치밀한 산화물(CeO2) 층이 차단층으로서 형성된 예를 보여 준다.
본 발명은 다른 견지로서 상기 차단층이 형성된 MCFC용 가스켓을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조하고 상기 가스켓을 지지하는 유전체에 부착된 매니폴드 밀봉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견지로서, 매니폴드 밀봉부 형성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조된 MCFC용 가스켓을 유전체에 부착하여 매니폴드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는 99.5% 이상의 순도를 갖는 알루미나 재질의 절연체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견지로서, 상기 매니폴드 밀봉부가 외부 매니폴드 및 스택 사이에 배치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MCFC용 연료전지에 있어서, 가스켓을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으로 나누고, 상기 각 단과 단 사이에 전해질 이동을 방해할 수 있는 차단층을 형성함으로써 용융탄산염 전해질이 양극 엔드판 쪽에서 음극 엔드판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차단층의 형성을 스택 적층과정에서 수행함으로 인하여 가스켓 설치 작업이 복잡해지고 차단층의 배열이나 위치에 오류가 발생하면 스택에서 그 효과를 얻기 힘들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스켓 소결 단계에서 내부에 차단층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기 때문에, 현재 상용 스택제조에 적용되고 있는 차단층이 없는 일체형 가스켓과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상 및 경제적으로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절연 코팅된 금속소재 등 용융탄산염과의 화학반응의 가능성이 높은 소재를 차단층으로 제안한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스켓 소재로 사용되어 용융탄산염과의 화학반응에 대한 안정성이 확인된 산화물 소재를 차단층으로 사용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차단층의 효과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MCFC 스택의 전해질 이동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며 스택의 장기 수명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스택 및 셀의 설계를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어, MCFC 시스템의 가격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가스켓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적층체(스택)를 포함하는 외부 매니폴드형 MCFC의 일반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부분 가스켓 사이에 차단층이 삽입된 본 발명의 가스켓 구조를 종래의 발명예와 비교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가스켓 제조 방법 및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켓 제조 공정을 간략히 도식화 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이동 차단층을 갖는 부분가스켓을 포함하는 밀봉부가 적용된 MCFC 매니폴드의 밀봉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공성인 부분 가스켓에 동시 소결을 통하여 산화물(CeO2) 차단층이 결합된 예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가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생락된다. 아래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에서는 축적비가 적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있어서, 스택의 반복 구성요소(Repeating Component)인 매트릭스, Ÿ‡트 실(wet seal)부,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개질유닛 등의 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에 사용되는 가스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해질 이동을 억제하고자 한다.
도 1은 가스켓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적층체(스택)를 포함하는 외부 매니폴드형 MCFC의 일반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매니폴드형 MCFC의 스택은 다수의 연료 전지 셀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택은 그 측면에 가스켓 및 외부 매니폴드가 샌드위치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스택의 상하에는 엔드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외부 매니폴드형 MCFC에서는 연료 및 공기를 공급하는 금속재질의 매니폴드와 스택 사이에서 가스밀봉과 절연을 유지치하는 매니폴드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매니폴드 밀봉부는 스택과 직접 접촉하는 가스켓, 가스켓을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절연성을 부여하는 유전체(dielectric)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가스켓, 상기 가스켓을 포함하는 밀봉부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매니폴드 밀봉부는 금속 매니폴드와 스택 사이에 유전체를 배치하여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하고, 가스켓을 배치하여 일정한 면압을 인가하면 가스켓이 변형 되어 스택과 매니폴드 사이에 틈을 메꾸어 가스 밀봉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매니폴드와 절연체는 면가공을 통하여 평탄성 확보가 가능하지만, 이들과 접촉하는 것은 매트릭스와 분리판 등 서로 다른 구성요소가 수백층 적층된 상태인 스택의 모서리 부분으로서, 스택 제작 적층 단계에서 모든 반복 구성요소의 끝부분이 일치되어 완벽한 평탄면을 형성하기는 불가능하다. 더욱이, 스택을 장시간 운전하면 금속분리판의 성장이 일어나는데, 그 정도가 스택의 위치별로 다르기 때문에 스택의 모서리 부분은 완벽한 평탄편을 이룰 수 없다.
그러므로, 절연체와 스택 사이를 밀봉하는 가스켓 소재는 스택의 모서리 부분과 가스켓 사이의 상기 틈새를 매꾸어 줄 수 있는 변형력이 있는 재질이면서 600~700 이상의 공기 및 연료 가스 하에서 안정하고, 전기 전도도가 극히 낮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성을 만족하는 대표적인 소재로 산화물 펠트나 텍스타일로서, 예를 들면, 지르코니아 펠트, 세리아(CeO2)펠트 등이 사용되어 왔다.
이들 소재는 상대밀도가 20% 이하이고 섬유상 구조를 갖기 때문에 압력을 인가하면 변형을 통하여 스택 모서리부위와 절연체 사이의 틈새를 채울 수 있기 때문에 틈새를 통하여 공기극 및 연료극 가스가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통상 2m 이상인 상용 MCFC 스택 전체 길이를 한장으로 감당하는 산화물 가스켓 소재나 산화물 펠트 소재를 상업적으로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 십cm 길이의 가스켓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여 스택 적층 방향으로 양극단 및 음극단까지 전체 길이를 담당한다.
예를들어, 가스켓의 원료로 사용되는 세리아 펠트(Ceria Felt)의 경우 현재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펠트는 미국 Zircar Zirconia Inc. 사에서 제조되는 두께 0.01 inch 가로세로 12 inch x 12 inch의 제품이다. 그러므로 가스켓은 통상 30cm 내외로 제작되어 스택 적층시 적당한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이때 가스켓 간의 연결부는 비스듬하게 커팅 후 겹치도록 배치하여 이음새를 통한 가스 누설 발생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실제로 스택에서는 수직방향으로 가스켓이 양극단에서 음극단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스켓은 분리판과 매트릭스 등 스택 구성요소와 접촉하는데, 이때 매트릭스는 스택 컨디셔닝 중에 전해질인 탄산염이 용융하여 기공을 채우면서 치밀한 가스 밀봉부를 형성하는데, 이를 Ÿ‡트 실링(wet sealing)이라 한다. 상기 웨트 실링이 형성되면 매트릭스를 채우고 있는 용융탄산염 전해질이 가스켓의 접촉부를 통하여 다공성인 가스켓에 접촉하게 되고, 스택의 컨디셔닝이 끝나고 운전이 시작되면 양극단과 음극단 사이에 걸리는 수 백 볼트의 전위차에 의하여 양극단 매트릭스의 용융탄산염 전해질이 가스켓의 통하여 음극단 쪽으로 이동하는 "이동(migration)"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해질 이동 현상이 장시간 지속되면 양극단의 매트릭스는 전해질 부족 현상이 발생하여 연료와 공기의 크로스오버(cross over), 다시 말해 연료 및 공기의 누설이 발생하게 되며, 음극단의 매트릭스는 전해질 과잉현상에 의하여 셀 성능이 크게 감소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가스켓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일 예를 들어 두께 0.1 inch 의 미국 Zircar zirconia 사의 CeF-100 Felt 를 여러장 (4~6장) 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후 1600~1700도 범위에서 소결하여 펠트와 펠트 사이를 접합함과 동시에 고온 열처리에 의하여 원료 세라아 펠트(ceria felt)의 미세조직을 제어하여 용융탄산염 흡수량을 줄이고 MCFC 가스켓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계적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3 및 도4를 통하여 본 발명의 가스켓 제조방법에 대한 상세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의 명칭을 도식적으로 정리하였다. 우선 산화물 펠트를 여러장 유기물 접착제로 접합한 것을 "산화물 펠트 접합체"라고 표현하였다. 상기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가스켓의 길이에 수직 방향으로 다시 말해 스택 적측방향에 평행하게 절단한 것을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로 표현하였다. 상기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절단면에 형성하는 용융탄산염 전해질 이동을 억제하는 치밀층을 "차단층"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차단층이 형성된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연결하여 소결하여 일체화 하면 상기 다수의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가 다수의 "부분 가스켓"이 되고 상기 다수의 "부분 가스켓"과 차단층의 길이 방향으로 일체화된 완성품을 "가스켓"으로 표현하였다.
도4에는 상기 "가스켓"의 제조 공정을 도식적으로 표현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양극단의 전위차에 의한 전해질 이동을 막는 차단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산화물 펠트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는데 있어서 각 펠트와 펠트를 유기계 접착재를 사용하여 접합시키고, 상기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스택의 적층방향으로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측면에서는 길이 방향으로)에 따라 커팅하여 소정 길이의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제작하고, 그 절단면에는 산화물 분말층을 형성한 후 상기 산화물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연결하고 및 이를 소결하여 일체화된 산화물 가스켓을 완성한다. 이때 산화물 가스켓을 구성하는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절단면에는 상기 소성과정에서 치밀한 산화물 소결체를 형성하여 용융탄산염의 이동을 차단 할 수 있는 산화물 분말층으로 구성된 차단층을 형성시킨다.
동시 소결을 통하여 상기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는 부분 가스켓이 되며, 차단층은 치밀화 되면서 부분 가스켓과 부분 가스켓을 접합하여 일체화된 산화물 가스켓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동시 소결 과정에서 상기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절단면에 형성된 산화물 층은 치밀화 되어, 전해질의 이동을 중간에서 물리적으로 막을 수 있는 "전해질 이동 차단층"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가스켓의 길이 방향으로의 전해질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양극단에서 음극단으로 향하는 전해질 이동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전해질 이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소정 길이로 컷팅한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는, 그 길이가 짧을수록 더 많은 차단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짧을수록 가스켓의 성능이 향상된다.
다만, 단 하나의 차단층이라도 형성되면 차단층이 없는 기존의 연속된 다공 구조의 가스켓에 비하여 전해질 이동 현상을 억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상의 허용 가능한 짧은 길이로 자르는 것, 다시 말해 동시 소결후 완성된 가스켓의 단위 길이당 부분 가스켓의 수가 많을수록, 달리 표현하면 차단층의 수는 많을수록 전해질 이동 차단효과는 극대화되기 때문에, 단위길이당 제조 공정에서 허용 가능한 다수의 차단층을 형성 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동시소결된 가스켓에 2~5cm 당 1개의 차단층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으나, 차단층 간의 거리 최적화가 본 발명의 본질적인 요소는 아니다.
상기 산화물 부분 가스켓 사이에 형성되는 차단층은 다공성 구조인 가스켓을 통하여 전해질이 이동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치밀한 구조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용융탄산염 전해질이 통과할 수 있는 수준의 관통 기공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융탄산염 전해질이 통과할 수 있는 있는 연결된 기공 내지 균열이 전혀 없거나, 극히 일부 존재 한다고 하더라도 그 분율이 극히 낮고, 연결성이 불량하여 전기장에 의한 용융탄산염의 이동에 대한 저항이 매우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층은 약 500~700℃ 의 온도범위에서 산화/ 환원 분위기 및 연료가스와 수증기, 이산화탄소와 접촉한다. 또한 MCFC의 웨트 실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용융탄산염과의 화학반응에서 안정성이 확보된 물질이어야 한다. 나아가, 상기 차단층 소재는 500~700 범위에서 열적으로 안정하면서 전기적 절연 특성이 있거나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단위전지 대비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갖는 소재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고분자 및 금속소재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기존에 가스켓 소재를 구성하는 산화물 소재가 가장 바람직하다.
산화물 소재 중에서도 알루미나, LiAlO2, Y2O3-doped ZrO2, CeO2 등의 소재가 적용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존에 MCFC용 매니폴드 가스켓의 원료로 사용되는 Y2O3-doped ZrO2 계와 CeO2 계 소재가 바람직한 소재이다.
도 6은 다공성인 부분 가스켓에 동시 소결을 통하여 산화물(CeO2) 차단층이 결합된 예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또한, 상기 산화물 소재는 조성 선택은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구성하는 산화물과 동일한 조성의 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원료인 산화물 펠트가 Y2O3-doped ZrO2 소재인 경우는 동일한 Y2O3-doped ZrO2를 차단층으로 사용하고, 원료인 산화물 펠트가 CeO2 소재인 경우는 CeO2를 차단층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동시 소결 과정에서 이종 물질간의 화학 반응 등에 의한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부분 가스켓과 차단층이 동일 소재인 것이 부분 가스켓-차단층- 부분 가스켓 접합부의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 할 때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항목은, 동시 소결에 의하여 제조되는 일체화된 가스켓을 구성하는 부분 가스켓과-차단층이 강건하게 접합되어 있으며 최대한 치밀한 차단층을 형성하여 차단층 내부의 관통 기공 및 관통 균열을 통한 용융탄산염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차단층을 관통하는 용융탄산염의 이동 억제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산화물 소재의 선정이 중요한데, 산화물 소재 중에서 CeO2 소재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것은 CeO2는 용융탄산염과의 반응이나 용해 반응이 없으며, 차단층이 없는 종래의 가스켓 중에서 전해질 이동량이 가장 작기 때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사상은 CeO2 소재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도 Y2O3-안정화 지르코니아, LiAlO2 와 같이 용융탄산염과의 산화물 소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동시소결 (차단층과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동시소결) 온도의 선정이 중요하다. 가스켓 동시소결 온도는 차단층을 제외한 부분가스켓의 미세구조를 결정하는 요소가 되기 때문에 1600~1700℃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0℃ ~ 1650℃ 범위가 적합하다. 이때 소결은 대기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사상은 산화물 펠트를 적층 후 소결에 의하여 접합하여 가스켓을 제조 한 후 차단층을 형성시키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산화물 펠트를 소결하기 전에 유기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여 "산화물 펠트 적합체"를 제작하고 다시 이를 절단하여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제작하여 그 절단면에 후막층 혹은 그린시트와 같은 차단층 구성 분말을 일정 두께로 형성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정에서 예를 들어 미국 Zircar Zirconia 사 CeF-100 펠트는 1600~1650℃로 소결하면, 두께 방향으로 약 36~38%, 폭 방향으로 약 12~15% 수준의 선 수축을 한다. 차단층 구성 분말이 동시 소결 온도에서 충분한 치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수축률을 이용하여 동시소결 과정에서 산화물 분말로 구성된 차단층의충분한 소결 수축이 가능해야 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 산화물 펠트를 1600~1650 범위에서 소결 완료한 가스켓에는 동일 조성의 차단층을 형성하여도 상기 완성된 가스켓이 더 이상 소결 수축을 하지 않고 차단층의 치밀화를 방해하기 때문에 상기 동시 소결의 최적온도인 1600~1650oC의 대기압 소결 방식으로는 연속 기공이나 균열이 없는 치밀한 소결체 형성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는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와 차단층의 동시 소결시 충분한 수축률을 가질 수 있으면서, 각층 다시 말하면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와 차단층의 소결 수축의 온도 프로파일이 유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차단층을 구성하는 CeO2 분말의 선정이 중요하다.
차단층 구성 분말에 있어서, 일례을 들어 CeO2 평균입경이 너무 크면 동시 소결 최적 온도인 1600~1650℃ 범위에서 치밀화가 어렵다. 이 경우 동시 소결된 차단층에 관통기공과 균열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차단층 구성분말의 평균입경이 너무 작으면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구성하는 CeO2 펠트(예를 들어 미국 Zircar 사의 CEF-100)보다 저온에서 소결 수축이 발생하고, 보다 저온에서 소결 수축이 완료되기 때문에 부분가스켓과 차단층의 계면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절한 CeO2 입자의 크기는 평균입경 기준 0.5um 이상에서 3u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시 소결시 다수의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와 그 사이에 형성 혹은 배치된(부착된) 산화물 분말층(나중에 소결되어 차단층으로 되는)을 배치하고 계면접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가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은 동시 소결시 이 두께 방향으로 수축량을 증가 시키기 때문에 치밀한 차단층을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법이다. 동시 소결 후 완성되는 전체 가스켓의 최종 두께를 제어하기 위하여, 원하는 두께의 스토퍼(stopper)를 설치하여 최종적인 가스켓의 두께를 컨트롤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여러 겹의 산화물 펠트를 원하는 폭의 가스켓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절단한 후 동시 소결 과정에서 열분해 및 산화로 제거 가능한 접착제와 같은 유기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가스켓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스택에 장착시 스택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 즉 용융탄산염 이동 방향에 대하여 절단면이 수직방향이 될 수 있도록 절단, 다르게 말하면 스택 적층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상기 산화물 펠트 접합체와 구분하여 편의상 이를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라고 명칭한다. 이때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길이는 전체 가스켓에 형성하고자 하는 차단층의 수에 맞추어 그 길이를 조절한다. 다시 말해,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 하나의 길이가 짧아 질수록 전체 가스켓에 형성되는 차단층의 숫자는 증가한다.
다음 단계로, 상기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절단면에 산화물 펠트와 동일한 조성과 결정구조를 갖는 산화물계 차단층을 형성 혹은 배치(=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작한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절단면에 상기 산화물 펠트와 동일한 조성과 결정 구조의 산화물 분말의 현탁액을 제조하여 칠하거나 분무하여 차단층을 형성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산화물 분말을 일정 점도를 갖는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이를 상기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절단면에 바르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테이프 캐스팅 혹은 압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산화물 분말의 그린시트를 적당한 두께로 적층하여 산화물 분말 그린시트 적층체를 제작하고, 상기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절단면 크기에 맞추어 재단한 그린시트 적층체를,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와 산화물 펠트 접합체 사이에 배치 혹은 부착하는 방법을 적용 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의 형상, 차단층을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 사이에 배치하는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2에 부분 가스켓 사이에 차단층이 삽입된 가스켓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단층은 스택 적층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절단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와 차단층이 동시 소결 과정에서 강건한 접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중을 인가하는데, 이때 상기 하중이 접합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절단하여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스켓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 아니라 경사를 갖도록 절단하여, 달리 표현하면 스택 적층 방향에 정확히 평행하게 절단하지 않고 경사를 갖도록 절단하여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층의 간격은, 다공성의 가스켓을 통한 용융탄산염 전해질의 이동에 의한 양극단 셀의 전해질 부족 및 음극단 셀의 전해질 과잉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는 기능을 고려할 때, 하나의 부분 가스켓, 즉, 하나의 차단층과 이에 인접하는 차단층에 의해 분리된 부분 가스켓이 접촉하는 영액 내의 스택(부분 스택) 내에서, 양극단 셀의 전해질 부족 및 음극단 셀의 전해질 과잉으로 인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의 분리 및 이에 따른 부분 가스켓과 부분 가스켓 사이에 삽입되는 차단층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단위셀 별로 별도의 하나의 차단층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2, 3, 5, 7, 10 등 다양한 개수의 단위셀당 하나의 차단층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로서, 전해질 이동 억제 효과는, 부분 가스켓의 길이가 짧을수록, 다시 말해 차단층 삽입이 많을수록 증대하기 때문에 차단층의 간격은 좁을수록 유리하지만, 가스켓 제조과정에서의 편의성을 생각하여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분가스켓의 길이를 2~5c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차단층이 전혀 없는 종래의 가스켓과 비교하여 차단층이 한층이라도 존재하면 전해질 이동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차단층의 수와 간격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단층을 갖는 가스켓을 유전체 재료에 부착하고 상기 가스켓과 유전체를 외부 매니폴드와 스택 사이에 배치하고 면압을 인가하여 가스켓이 변형되어 스택과 절연체 사이에 밀착되면서 외부 매니폴드형 MCFC의 매니폴드 밀봉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유전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이라면 본 발명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나 재질의 유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이동 차단층을 갖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밀봉부가 적용된 MCFC 매니폴드의 밀봉 개념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차단층을 포함하는 가스켓이 적용된 밀봉부를 포함함으로써, 매트릭스에 함침된 용융탄산염 전해질이 가스켓을 통하여 공기극에서 연료극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상기 차단층에 의해 억제되며, 이에 의해 연료전지의 양극단 셀에서 전해질 부족 및 음극단 셀에서의 전해질 과잉으로 인하여 연료전지의 성능 감소 및 가스 누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외부 매니폴드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스택 적층방향으로 분리된 2 이상의 부분 가스켓이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부분 가스켓과 부분 가스켓 사이에 용융탄산염 전해질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차단층(blocking layer)이 개재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부분 가스켓과 동일한 성분과 결정 구조를 갖는 산화물계 차단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가스켓의 길이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 되거나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가스켓은 2~5c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두께가 0.1 내지 0.3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6. 산화물 펠트 소재를 소결하여 가스켓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산화물 펠트를 적당한 폭으로 절단하여 적층 및 접착하여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가스켓의 길이 방향에 수직 혹은 경사를 갖도록 절단하여,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의 절단면에 차단층을 배치하는 단계,
    차단층이 형성된 부분 산화물 펠트 접합체를 다수 연결한 후 전체를 동시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소결이 1600~1650℃ 범위에서 대기 분위기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이 분말을 이용한 후막 또는 그린시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이 산화물 펠트와 동일한 조성과 결정구조의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이 알루미나(Al2O3), LiAlO2, Y2O3-doped ZrO2 또는 CeO2 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이 세리아(CeO2)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리아(CeO2) 산화물의 분말의 입자크기가 평균입경 기준 0.5um 내지 3um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제조방법.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이 하중을 인가한 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제조방법.
KR1020150186477A 2015-12-24 2015-12-24 산화물계 전해질 이동 차단층이 형성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KR10179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77A KR101795894B1 (ko) 2015-12-24 2015-12-24 산화물계 전해질 이동 차단층이 형성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JP2018532620A JP6640360B2 (ja) 2015-12-24 2016-12-23 酸化物系電解質移動遮断層が形成された溶融炭酸塩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
US16/065,719 US20190013529A1 (en) 2015-12-24 2016-12-23 Gasket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with oxide-based electrolyte transport-blocking layer formed therein
PCT/KR2016/015249 WO2017111562A1 (ko) 2015-12-24 2016-12-23 산화물계 전해질 이동 차단층이 형성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CN201680079889.4A CN108701854A (zh) 2015-12-24 2016-12-23 其中形成有基于氧化物的电解质传输阻挡层的用于熔融碳酸盐燃料电池的衬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77A KR101795894B1 (ko) 2015-12-24 2015-12-24 산화물계 전해질 이동 차단층이 형성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343A KR20170076343A (ko) 2017-07-04
KR101795894B1 true KR101795894B1 (ko) 2017-12-01

Family

ID=5908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477A KR101795894B1 (ko) 2015-12-24 2015-12-24 산화물계 전해질 이동 차단층이 형성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13529A1 (ko)
JP (1) JP6640360B2 (ko)
KR (1) KR101795894B1 (ko)
CN (1) CN108701854A (ko)
WO (1) WO2017111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745B1 (ko) * 2017-09-19 2022-03-0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반응방지층을 갖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용 매니폴드 다이일렉트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9630A1 (en) 2003-09-23 2005-03-31 Ansaldo Fuel Cells S.P.A. Electrolyte migration control for large area mcfc stacks
US8088697B2 (en) 2008-09-18 2012-01-03 Fuelcell Energy, Inc. Fibrous ceramic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0692A (en) * 1990-08-20 1992-05-05 Energy Research Corporation Gasket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US7294427B2 (en) * 2004-12-27 2007-11-13 Fuelcell Energy, Inc. Manifold gasket accommodating differential movement of fuel cell stack
US20060257721A1 (en) * 2005-05-13 2006-11-16 Gengfu Xu Electrolyte matrix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improved pore siz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939219B2 (en) * 2005-05-27 2011-05-10 Fuelcell Energy, Inc. Carbonate fuel cell and components thereof for in-situ delayed addition of carbonate electrolyte
US8057955B2 (en) * 2006-03-31 2011-11-15 Fuelcell Energy, Inc. Wet-seal caulk for carbonate fuel cell
KR101105016B1 (ko) * 2008-12-30 2012-01-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세라믹 유전체 절연물
US9005837B2 (en) * 2009-10-29 2015-04-14 Fuelcell Energy, Inc. Gasket for fuel cell system manifold seal
KR101439687B1 (ko) * 2012-12-26 2014-09-12 주식회사 포스코 샌드위치 구조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밀봉재 및 그의 제조방법
EP2846390B1 (en) * 2013-08-07 2018-05-09 Fuelcell Energy, Inc. Gasket for fuel cell system manifold se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9630A1 (en) 2003-09-23 2005-03-31 Ansaldo Fuel Cells S.P.A. Electrolyte migration control for large area mcfc stacks
US8088697B2 (en) 2008-09-18 2012-01-03 Fuelcell Energy, Inc. Fibrous ceramic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1498A (ja) 2019-01-17
WO2017111562A1 (ko) 2017-06-29
US20190013529A1 (en) 2019-01-10
KR20170076343A (ko) 2017-07-04
CN108701854A (zh) 2018-10-23
JP6640360B2 (ja)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9021B1 (en) Thin plate member for unit cell of solid oxide fuel cell
KR20160048809A (ko) 금속지지체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US11239493B2 (en) Method for bonding solid electrolyte layer and electrodes, method for manufacturing fuel cell, and fuel cell
JP2011150813A (ja) 電解質・電極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1289A (ja) 電解質・電極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185316B2 (ja)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スタック
JP2013093305A (ja) 燃料電池
WO2016199223A1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
US20160197359A1 (en)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95894B1 (ko) 산화물계 전해질 이동 차단층이 형성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가스켓
KR20080106472A (ko) 탄산염 연료전지용 습식 밀봉 콜크
KR20140043039A (ko) 금속 기판으로 지지된 음극-전해질-양극 장치를 가지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용
US20110027683A1 (en) Solid Oxide Fuel Cell Devices With Serpentine Seal Geometry
JP4984802B2 (ja)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KR101857747B1 (ko) 금속지지체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의 제조방법 및 금속지지체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셀
JP5727915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セル本体、及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
US20190379076A1 (en) Hybrid seal and planar arrangement comprising at least one high temperature electrochemical cell and a hybrid seal
KR20150017664A (ko) 연료 전지 시스템의 매니 폴드 씰용 가스켓
CA2484237C (en) Fuel cel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101778376B1 (ko) 전해질 이동 차단층을 갖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가스켓
JP2022145221A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488689A (zh) 固体氧化物燃料电池堆及其制备方法
JP5326330B2 (ja)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6637939B2 (ja) 燃料電池セル及びセルスタック装置
JP5734582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