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722B1 - 도어락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722B1
KR101795722B1 KR1020160172902A KR20160172902A KR101795722B1 KR 101795722 B1 KR101795722 B1 KR 101795722B1 KR 1020160172902 A KR1020160172902 A KR 1020160172902A KR 20160172902 A KR20160172902 A KR 20160172902A KR 101795722 B1 KR101795722 B1 KR 10179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fixing
disposed
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칵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2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for lock parts held in place before or during mounting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작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어 외부의 도어락을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락 작동장치{Door-lock op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락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가정, 사무실 및 자동차 등에서 출입, 사용, 접근 등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 출입문에 도어-락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 시스템은 기계적 메커니즘(Mechanism)만을 포함하는 도어-락 시스템과, 기계적 메커니즘과 더불어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전자 도어-락 시스템까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락 시스템은 일반 도어락보다 편리함이 우수한 디지털화된 잠금 장치로 주로 키패드가 바깥쪽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물리적인 키를 가지고 다니지 않고도 비밀번호를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을 개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자동차의 경우 전자 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키(Smart Key)시스템이 개발되어 종래의 물리적 키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키는 원격지에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동차의 도어(Door)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시동의 온-오프까지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락 작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에 배치된 도어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거나 상기 도어락의 조그셔틀을 회전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에 연결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몸체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는 도어락 작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자기력으로 상기 제1 몸체를 상기 도어에 부착시키는 자기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도어에 배치된 도어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거나 상기 도어락의 조그셔틀을 회전시키는 작동부; 및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는 제1 위치고정부와, 상기 제1 위치고정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제2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고정부 또는 상기 제2 위치고정부 중 하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고정부 또는상기 제2 위치고정부 중 다른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선형 운동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누름돌기와, 상기 누름돌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도어락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도어에 배치된 도어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거나 상기 도어락의 조그셔틀을 회전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제2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몸체 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제1 몸체가 삽입되는 위치한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몸체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는 일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거나 도어락의 조그셔틀을 회전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복원력생성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결합바디부와, 상기 결합바디부로부터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력생성부는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의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력생성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의 외면에 고정되고, 일단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의 외면과 분리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거나 도어락의 조그셔틀을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케이스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복원력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선형 운동하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치가 간단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시로 인증 번호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동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누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작동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작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의 작동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의 작동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2 몸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결합부 및 고정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작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어락 작동장치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동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누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작동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도어락 작동장치(100)는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작동부(130), 고정부(140), 가이드부(150), 커넥터부(160), 전원부(170), 제어부(180) 및 수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10)에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몸체(110)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몸체(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몸체(110)는 일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몸체(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특정 부위만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몸체(110)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몸체(110)는 외부 물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부 물체는 자동차 등과 같은 교통수단의 도어 또는 건물 벽멱 등에 설치되는 도어(D)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몸체(110)는 도어(D)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몸체(110)는 도어락(L)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몸체(110)는 도어락(L)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몸체(110)는 도어락(L)보다 지면으로부터 낮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몸체(110)는 도어락(L)과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도어락(L)의 전후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몸체(110)가 도어락(L)보다 지면으로부터 낮은 곳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로부터 절곡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서로 수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1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120)는 제1 방향(예를 들면, 도어락(L)이 설치된 도어(D)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 또는 도 1의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2 몸체(120)의 이동에 따라서 제2 몸체(120)와 도어락(L)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작동부(130)는 제2 몸체(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130)는 도어락(L)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작동부(130)는 도어락(L)을 작동시키는 버튼, 조그셔틀 등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작동부(130)는 도어락(L)을 작동시키는 버튼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작동부(130)는 도어락(L)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작동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부(130)는 도어락(L)의 작동버튼(B)을 누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130)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동부(130)는 제2 몸체(120)에 설치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도어락(L)의 작동버튼(B)을 누르는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작동부(130)는 도어락(L)의 작동버튼(B) 또는 조그셔틀 등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작동부(130)는 도어락(L)의 작동버튼(B)을 누르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부(130)가 도어락(L)의 작동버튼(B)을 누르는 형태인 경우 작동부(130)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작동부(130)가 실린더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작동부(130)는 구동부(131), 회전부(132), 누름부(133) 및 탄성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1)는 제2 몸체(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31)는 제어부(180) 및 전원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할 수 있다. 구동부(131)는 제어부(180)의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32)는 구동부(131)에 연결되어 구동부(131)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써 회전부(132)는 구동부(131)와 연결되어 구동부(131)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회전부(132)는 회전부(132)의 외면에는 나사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회전부(132)는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회전부(132)는 구동부(131)에 설치되어 구동부(131)가 작동하는 경우 회전하면서 선형 운동하도록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회전부(132)는 구동부(131)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전진하거나 후진함으로써 도어락(L)의 작동버튼(B)과 접촉하여 작동버튼(B)을 가력하거나 작동버튼(B)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부(132)가 구동부(131)에 연결되어 구동부(131)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 운동만 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누름부(133)는 회전부(132)에 설치되어 회전부(132)의 회전에 따라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누름부(133)는 회전부(132)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누름부(133)는 회전부(13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부(132)의 외면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누름부(133)는 노름돌기(133a) 및 선형가이드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름돌기(133a)는 제2 몸체(120)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몸체(120)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름돌기(133a)는 회전부(132)의 회전에 따라서 선형 운동할 수 있으며, 노름돌기(133a)의 내부에는 회전부(132)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암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형가이드부(133b)는 노름돌기(133a)의 외면으로부터 노름돌기(133a)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선형가이드부(133b)는 제2 몸체(120)에 삽입됨으로써 노름돌기(133a)가 선형 운동하는 경우 노름돌기(133a)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제2 몸체(120)에는 선형가이드부(133b)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은 직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선형가이드부(133b)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과 노름돌기(133a)는 회전부(132)가 회전하는 경우 노름돌기(133a)가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전부(132)의 회전에 따라 노름돌기(133a)가 선형 운동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탄성부(134)는 노름돌기(133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34)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34)는 노름돌기(133a)가 도어락(L)의 작동버튼(B)에 힘을 가하는 경우 노름돌기(133a)가 도어락(L)의 작동버튼(B)에 과도한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40)는 도어(D)에 제1 몸체(110)를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140)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40)는 제1 몸체(110)를 도어(D)에 결합하는 나사,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40)는 제1 몸체(110)를 도어(D)에 부착시키는 접착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40)는 제1 몸체(110)와 도어(D)에 각각 설치되는 벨크로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40)는 제1 몸체(110)에 설치되어 도어(D)를 제1 몸체(110)에 자기력으로 부착시키는 자기력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기력부(141)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40)가 자기력부(14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150)는 제1 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50)는 제2 몸체(120)와 연결되어 제2 몸체(120)가 제1 방향으로 제1 몸체(110)를 슬라이딩할 때 제2 몸체(120)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1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150)는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가이드부(150)는 제1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홈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가이드부(150)는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부(150)가 제1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홈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넥터부(160)는 가이드부(150)에 결합하며, 제2 몸체(120)와 가이드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120)는 커넥터부(16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6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150)가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커넥터부(160)의 일부가 가이드부(150)의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가이드부(150)가 레일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커넥터부(160)는 가이드부(150)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부(150)와 커넥터부(160)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와 형태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넥터부(160)가 돌기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150)와 커넥터부(160)는 제2 몸체(120)가 이동된 후 특정 위치에서 제2 몸체(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150)의 내면에는 요철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160)에는 가이드부(150)의 내면에 형성된 요철의 홈에 걸리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넥터부(160)에는 요철 형태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50)에는 요철이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를 이동한 후 특정 위치에서 돌기가 요철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제2 몸체(1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가이드부(150)와 커넥터부(160)에 각각 삽입되는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제2 몸체(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부재는 커넥터부(160)에 삽입됨으로써 제2 몸체(120)의 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부(150)의 내면에 요철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커넥터부(160)에는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의 홈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홈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제1 몸체(110) 또는 제2 몸체(1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충전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170)는 2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원부(170)가 제1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8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외부 단말기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외부 단말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외부 단말기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외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전용 휴대용 단말기, 휴대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80)가 제1 몸체(110)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회로기판으로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부(190)는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신부(190)는 외부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90)는 제어부(180)와 별도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수신부(190)는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 또는 작동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신부(190)는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락 작동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도어(D)에 도어락(L)이 설치된 후 도어락(L)의 측면에 제1 몸체(1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10)는 고정부(140)를 통하여 도어(D)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몸체(110)는 도어락(L)의 외면에 접촉하거나 도어락(L)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몸체(110)를 배치하는 경우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로부터 절곡된 상태로 도어락(L)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서로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몸체(120)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2 몸체(120)의 위치를 제1 방향(예를 들면, X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작동부(130)와 도어락(L)의 작동버튼(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몸체(12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탄성부(134)와 작동버튼(B)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락 작동장치(100)를 도어(D)에 설치한 후 외부 단말기(1)로부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도어락 작동장치(10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단말기(1)는 별도로 제작한 도어락 작동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단말기(1)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로 통신을 위한 신호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외부 단말기(1)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단말기(1)에는 별도의 전용 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전용 앱을 통하여 입력한 비밀번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외부 단말기(1)는 도어(D)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단말기(1)에서 사용자가 비밀번호, 승인번호 등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80)로 작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외부 단말기(1)의 형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는 모든 수단 및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작동신호가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면, 수신부(190)에는 작동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수신부(190)는 작동신호를 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제어부(180)는 작동신호가 기 설정된 신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작동신호가 기 설정된 신호와 일치하는 경우 구동부(13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1)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부(132)가 회전하고, 회전부(132)는 노름돌기(133a) 내부에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132)의 회전에 따라서 노름돌기(133a)는 선형가이드부(133b)에 의해 회전하지 않으면서 회전부(132)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34)는 작동버튼(B)과 접촉하여 작동버튼(B)에 힘을 가함으로써 작동버튼(B)을 누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부(131)가 작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구동부(131)에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에는 구동부(131)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구동부(131)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누름부(133)의 이동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구동부(131)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전류의 변화량 범위 또는 기 설정된 전류의 변화량과 상이한 경우 작동버튼(B)이 더 이상 눌리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작동버튼(B)은 특정 거리 이상 눌려진 경우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구동부(131)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근거로 작동버튼(B)의 누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L)의 종류에 따라 작동버튼(B)의 누름 깊이가 상이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최초 작동버튼(B)을 누를 때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량을 근거로 작동버튼(B)의 누름 깊이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작동버튼(B)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131)의 작동을 중지하고 회전부(132)가 초기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부(132)는 상기와 반대로 회전하고, 노름돌기(133a)는 후진함으로써 탄성부(134)를 작동버튼(B)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작동버튼(B)이 눌려짐에 따라서 도어락(L)이 벽면이나 건물에 설치된 구속부재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어(D)는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락 작동장치(100)는 설치가 간단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작동장치(100)는 임시로 인증 번호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작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도어락 작동장치(200)는 제1 몸체(210), 제2 몸체(220), 작동부(230), 고정부(240), 위치고정부(291), 전원부(270), 제어부(280) 및 수신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210), 제2 몸체(220), 전원부(270), 제어부(280) 및 수신부(29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작동부(230)는 구동부(231), 회전부(232), 누름부(233) 및 탄성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31)는 모터 또는 실린더(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232)는 구동부(231)와 연결되어 구동부(231)의 작동 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232)는 외팔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부(232)는 구동부(231)에 일단이 연결되고, 누름부(233)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누름부(233)는 회전부(232)와 연결되어 회전부(232)의 회전 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누름부(233)는 노름돌기(233a)만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노름돌기(233a)와 선형가이드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누름부(233)가 노름돌기(233a)만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부(234)는 누름부(233)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234)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24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240)가 자기력부(24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고정부(291)는 제1 몸체(210) 및 제2 몸체(2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는 서로 분리 가능할 수 있으며, 위치고정부(291)는 제2 몸체(220)를 제1 몸체(210)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시킬 수 있다.
위치고정부(291)는 제1 몸체(210)에 설치되는 제1 위치고정부(291a)와 제2 몸체(220)에 설치되는 제2 위치고정부(29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위치고정부(291a) 또는 제2 위치고정부(291b) 중 하나는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고정부(291a) 또는 제2 위치고정부(291b) 중 다른 하나는 제1 위치고정부(291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는 영구 자석, 전자석 및 금속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자성체가 금속부재인 경우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에 붙는 금속일 수 있으며, 제1 몸체(210) 또는 제2 몸체(220) 중 하나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위치고정부(291a)는 영구 자석이면서 제2 몸체(220)에 배치되고, 제2 위치고정부(291b)는 금속부재이면서 제1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분리되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는 별도의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제1 몸체(210) 내부에 있는 제어부(280), 수신부(290) 및 전원부(270)를 제2 몸체(220)의 작동부(230)와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커넥터는 제1 몸체(210) 및 제2 몸체(2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몸체(210)의 커넥터는 제1 몸체(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락 작동장치(200)는 도어(D)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210)는 고정부(240)를 통하여 도어(D)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2 몸체(220)는 제1 몸체(210)에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부(291)를 통하여 제2 몸체(220)를 제1 몸체(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제2 몸체(220)의 위치를 도어락(L)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제2 몸체(220)를 제1 몸체(210)로부터 분리하여 제1 몸체(210)의 원하는 위치에 제2 몸체(22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락 작동장치(200)의 배치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작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외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구동부(231)를 작동시켜 회전부(2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232)는 회전하면서 누름부(233)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으며, 누름부(233)의 선형 운동에 따라 탄성부(234)는 도어락(L)의 작동버튼(B)을 누를 수 있다. 이때, 작동버튼(B)이 눌러지는 경우 도어락(L)이 작동하여 도어락(L)은 도어(D)를 개방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동안 제어부(280)는 구동부(231)의 전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80)는 구동부(231)의 전류 변화량 감지를 통하여 작동버튼(B)의 작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이러한 결과값을 근거로 향후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구동부(23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된 후 도어(D)가 개방된 후 폐쇄되면, 도어락(L)이 작동하여 도어(D)가 열리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어락(L)의 작동 방법은 누름부(233)가 작동버튼(B)을 가력한 후 일정 시간이 도과된 뒤 작동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작동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 도어락(L)의 위치가 감지되는 경우, 도어(D)의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 등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락 작동장치(200)는 설치가 간단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작동장치(200)는 임시로 인증 번호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의 작동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작동부(330)는 구동부(331) 및 회전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31)는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회전 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32)는 구동부(331)에 연결되어 구동부(331)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332)에는 도어락(L)의 조그셔틀(회전버튼 등)에 접촉할 수 있다. 특히 회전부(132)는 도어락(L)의 조그셔틀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부(3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어락 작동장치(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작동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외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331)가 작동하여 회전부(3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부(332)는 도어락(L)의 작동버튼(B)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락(L)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작동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 또는 상기의 작동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구동부(331)가 작동하여 회전부(332)를 상기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락(L)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의 작동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작동부(430)는 구동부(431) 및 선형운동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31)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작동하는 모터(미도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형운동부(432)는 상기 제1 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시 선형 운동하는 제2 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어는 스퍼 기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어는 랙기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331)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형운동부(432)는 실린더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경우 구동부(431)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431)는 모터를 포함하고, 선형운동부(432)는 모터에 연결되는 볼스크류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부(431)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선형운동부(432)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어락 작동장치(미도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작동부(43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작동부(430)는 외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431)가 작동하여 선형운동부(432)를 도어락(L)의 작동버튼(B)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부(432)의 끝단은 도어락(L)의 작동버튼(B)을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형운동부(432)의 끝단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탄성부(미도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선형운동부(432)가 도어락(L)의 작동버튼(B)을 가력하는 경우 도어락(L)이 작동하여 도어(D)를 개방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외부로부터 다시 작동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에서 입력된 작동신호를 입력한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하면 구동부(431)가 다시 작동하여 선형운동부(432)를 도어락(L)의 작동버튼(B)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부(43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작동부(430)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도어락(L)의 작동버튼(B)을 가력하거나 작동버튼(B)으로부터 분리되는 모든 구조 및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2 몸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도어락 작동장치(500)는 제1 몸체(510), 제2 몸체(520), 작동부(530), 고정부(540), 위치고정부(591), 전원부(570), 제어부(580) 및 수신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동부(530), 전원부(570), 제어부(580) 및 수신부(59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몸체(510)는 도어(D)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510)는 일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몸체(510)는 제1 바디부(511)와 제2 바디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511)는 도어(D)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바디부(51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512)는 제1 바디부(5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바디부(51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디부(511)와 제2 바디부(512)는 서로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512)는 플레이트 형태, 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부(512)에는 결합홀(5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홀(512a)은 제2 바디부(512)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고정부(59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몸체(510)는 절곡된 형태로 인하여 자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몸체(510)는 자체 탄성력으로 인하여 제2 몸체(520)를 도어(D) 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따로 작동부(530)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면, 집 안에서 나갈 때)에도 제2 몸체(520)가 가리고 있어서 도어락 버튼을 손으로 누를 수 없지만 제2 몸체(520)를 누르면 제2 몸체(520)의 작동부(530)이 도어락의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52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제1 몸체(510)의 자체 탄성력으로 제2 몸체(520)는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몸체(51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몸체(510)는 2mm 내지 3mm 정도의 두께의 금속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몸체(510)는 약간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합성 수지 재질인 것도 가능하다.
제2 몸체(5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520)에는 작동부(530), 위치고정부(591), 전원부(570), 제어부(580) 및 수신부(59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540)는 도어(D)와 제1 몸체(510)를 결합시킴으로써 제1 몸체(510)를 도어(D)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5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540)는 테이프 형태의 접착부재, 핀, 볼트, 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540)는 도어(D) 및 제1 몸체(51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력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540)는 제1 몸체(51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540)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고정부(540)는 제1 고정부(541)와 제2 고정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고정부(541) 및 제2 고정부(542) 중 적어도 하나는 접착부재, 핀, 볼트, 나사, 자석 등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고정부(541)는 필름 형태의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제2 고정부(542)는 볼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고정부(591)는 제1 몸체(510) 및 제2 몸체(5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부(591)는 고정부(5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부(591)는 일부가 제2 바디부(512)에 삽입되어 제2 바디부(51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위치고정부(591)는 결합홀(512a)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홀(51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591)는 제1 위치고정부(591a)와 제2 위치고정부(59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위치고정부(591a)는 자석 또는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고정부(591b)는 제2 몸체(520)와 결합하고, 결합홀(512a)에 삽입되는 볼트, 나사, 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 위치고정부(591b)는 제2 몸체(5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결합홀(512a)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위치고정부(591a)는 자석을 포함하고, 제2 위치고정부(591b)는 볼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몸체(510) 또는 제2 몸체(520) 중 하나는 제1 몸체(510) 또는 제2 몸체(520) 중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되는 위치한정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한정부(521)는 제2 바디부(51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치한정부(521)는 제2 바디부(512)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제2 몸체(5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치한정부(521)는 제2 몸체(520)에 형성되어 제1 몸체(510) 측으로 돌출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락 작동장치(500)의 설치 및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제1 몸체(510)를 도어(D)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541) 및 제2 고정부(542)는 제1 몸체(510)를 도어(D)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몸체(510)는 도어락(미표기)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510)는 도어(D)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몸체(510)이 고정이 완료되면, 제2 몸체(520)를 제1 몸체(5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위치고정부(591b)를 결합홀(512a)에 삽입할 수 있다. 특히 제2 위치고정부(591b)는 제1 위치고정부(591a)를 관통하도록 제2 몸체(520)와 결합함으로써 제2 몸체(5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 몸체(520)는 제2 바디부(512)의 길이 방향 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몸체(520)는 제2 바디부(512)의 일정 위치에 배치된 후 제1 위치고정부(591a) 및 제2 위치고정부(591b)를 통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락 작동장치(5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동부(530)는 상기 도어락의 작동 버튼 등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5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작동부(530)가 상기에서 설명한 도 7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58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부(53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59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58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80)가 신호에 따라서 작동부(530)를 작동시키는 경우 작동부(530)는 상기 도어락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80)가 구동부(531)를 작동시키면, 구동부(531)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부(532)회전하고, 누름부(533) 및 탄성부(534)는 회전부(532)의 회전에 따라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80)가 작동부(530)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어락 작동장치(500)는 설치가 간단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작동장치(500)는 임시로 인증 번호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결합부 및 고정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작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도어락 작동장치(600)는 몸체부(610,620), 고정부(640), 작동부(630), 복원력생성부(650), 결합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610,620)는 제1 몸체(610)와 제2 몸체(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620)와 제1 몸체(610)는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620)와 제1 몸체(610)는 외팔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몸체(620)는 도어(미도시)의 외면과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610)는 제2 몸체(620)와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몸체(610)는 상기 도어의 외면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도어락(미도시)의 작동버튼(미도시) 또는 상기 도어락의 조그셔틀(미도시)과 대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몸체(620)와 제1 몸체(610)는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몸체(620)와 제1 몸체(610)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640)는 몸체부(610,620)와 결합하여 몸체부(610,620)를 상기 도어 등과 같은 외부 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640)와 몸체부(610,620) 사이에는 결합부(660)가 배열될 수 있다.
고정부(640)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640)는 상기 도어락의 일측에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부(640)는 볼트, 나사, 자석 또는 접착테이프 등을 통하여 상기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작동부(630)는 구동부(631), 제1 기어(632), 제2 기어(633) 및 누름부(6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631)는 모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632)는 스퍼 기어 형태 또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633)는 제1 기어(632)와 연결되어 제1 기어(632)의 회전 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기어(633)는 제1 기어(632)와 치합하도록 배치되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634)는 제2 기어(633)와 연결되어 제2 기어(633)의 선형 운동 시 제2 기어(633)와 함께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누름부(634)는 제2 기어(633)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락과 몸체부(610,6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부(63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누름부(634)에 설치되는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누름부(634)의 외면에 코팅되거나 누름부(634)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63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동부(630)는 상기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작동부(630)는 구동부(631), 제1 기어(632), 제2 기어(633) 및 누름부(634)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원력생성부(650)는 몸체부(610,620)와 고정부(6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원력생성부(650)는 결합부(660)와 고정부(6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원력생성부(650)는 몸체부(610,6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몸체부(610,620)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몸체부(610,620)의 위치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원력생성부(650)는 몸체부(610,620) 또는 고정부(640) 중 하나의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몸체부(610,620) 또는 고정부(640) 중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610,6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몸체부(610,620) 또는 고정부(640) 중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된 타단이 몸체부(610,620) 또는 고정부(640) 중 다른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몸체부(610,620)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원력생성부(650)가 고정부(640)의 외면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원력생성부(650)는 연결부(651)와 접촉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651)는 고정부(640)의 외면에 일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일단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고정부(640)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652)는 연결부(651)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651)의 끝단으로부터 몸체부(610,620) 측(또는 결합부(66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원력생성부(650)는 몸체부(610,6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몸체부(610,620)의 일부 또는 결합부(660)의 일부가 접촉부(652)에 접촉하여 접촉부(652)를 가력할 수 있다. 특히 몸체부(610,620)를 상기 도어 측으로 가력하는 경우 접촉부(652)는 고정부(64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촉부(652)와 연결된 연결부(651)는 형상이 가변하고, 복원력이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몸체부(610,62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생성부(650)는 연결부(65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접촉부(652)를 통하여 몸체부(610,620)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몸체부(610,62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결합부(660)는 몸체부(610,620)의 하단, 즉 제1 몸체(6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660)는 몸체부(610,620)의 하단과 고정부(6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660)는 몸체부(610,620) 또는 고정부(640) 중 하나에 결합하거나 몸체부(610,620) 또는 고정부(640)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부(660)가 몸체부(610,620) 또는 고정부(640) 중 하나와 별도로 구비되어 몸체부(610,620)와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660)는 결합바디부(661) 및 돌기부(6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바디부(66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몸체(6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바디부(661)에는 별도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제1 몸체(6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몸체(610)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662)는 결합바디부(66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662)는 결합바디부(661)로부터 고정부(64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부(66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기부(66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662)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돌기부(662)는 사각 기둥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돌기부(662)는 삼각 기둥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돌기부(662)는 끝단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부(662a)와, 삽입부(662a)와 결합바디부(661) 사이를 연결하는 돌기연결부(66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써 돌기연결부(662b)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돌기연결부(662b)의 면적은 삽입부(662a)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돌기연결부(662b)는 'T'자 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기부(662)가 삽입부(662a)와 돌기연결부(662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고정부(640)에는 돌기부(662)가 삽입되도록 돌기부삽입홀(6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삽입홀(641)은 삽입부(662a)의 면적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1 돌기부삽입홀(641a)과, 제1 돌기부삽입홀(641a)과 연결되며, 돌기연결부(662b)의 면적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2 돌기부삽입홀(64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돌기부삽입홀(641a)의 크기는 제2 돌기부삽입홀(641b)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662)는 제1 돌기부삽입홀(641a)을 통과하여 삽입된 후 제2 돌기부삽입홀(641b)을 따라 돌기연결부(662b)가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락 작동장치(600)의 설치 및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고정부(640)를 상기 도어에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640)의 고정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640)의 고정이 완료되면, 결합부(660)를 몸체부(610,620)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몸체부(610,620)를 고정부(6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660)가 설치된 제1 몸체(610) 부분에 고정부(6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66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하는 경우 삽입부(662a)는 제1 돌기부삽입홀(641a)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돌기연결부(662b)는 삽입부(662a)와 함께 제1 돌기부삽입홀(641a)을 통과하여 고정부(64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몸체부(610,62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돌기연결부(662b)는 제2 돌기부삽입홀(641b)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결합부(660)가 고정부(64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삽입부(662a)의 면적이 제2 돌기부삽입홀(641b)의 크기보다 큼으로써 삽입부(662a)가 제2 돌기부삽입홀(641b)을 통하여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610,620)가 고정부(640)에 고정되면, 결합바디부(661)와 고정부(640) 사이에 복원력생성부(6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촉부(652)가 결합바디부(661)로부터 약간 이격되거나 결합바디부(661)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락 작동장치(6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어락 작동장치(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어락 작동장치(6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우선 도어락 작동장치(600)가 수동으로 작동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작동부(630)가 설치된 몸체부(610,620) 부분을 가력하는 경우 몸체부(610,620)는 상기 도어락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작동부(630)의 일부가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과 접촉하여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복원력생성부(650)가 몸체부(610,6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610,620)에 상기와 같이 힘이 가해지는 경우 몸체부(610,620)는 고정부(640)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결합바디부(661)의 일부가 복원력생성부(650)와 접촉하여 복원력생성부(650)를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원력생성부(650)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구비도리 수 있으며, 복수개의 복원력생성부(650)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바디부(661)와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결합바디부(661)가 접촉부(652)를 가력하면, 연결부(651)의 형상이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652)가 고정부(640) 내부로 진입하면 연결부(651)는 평평한 상태에서 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651)의 탄성력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원력생성부(650)의 형상이 가변된 상태에서 몸체부(610,62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복원력생성부(650)는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연결부(651)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복원력생성부(650)는 몸체부(610,6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610,620)는 초기 위치하였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어락 작동장치(600)가 자동으로 작동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구동부(631)가 작동하여 제1 기어(6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632)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633)는 선형 운동할 수 있으며, 제2 기어(633)와 함께 누름부(634)가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누름부(634)는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를 수 있다. 또한, 구동부(631)가 작동하여 제1 기어(632)를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기어(632)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633)는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선형 운동하고, 누름부(634)는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누름부(634)가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는 경우 몸체부(610,620)에는 작동부(630)의 작동에 따른 진동, 누름부(634)와 작동버튼의 접촉으로 인한 반발력 등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원력생성부(65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작동함으로써 작동부(630)의 작동이 완료된 후 몸체부(610,620)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원력생성부(650)는 몸체부(610,6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의 일부를 흡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어락 작동장치(600)는 설치가 간단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작동장치(600)는 임시로 인증 번호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어락 작동장치(60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초기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작동 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작동장치(60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락 작동장치(60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전원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 및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원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수신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어락 작동장치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도어락 작동장치(미도시)는 몸체부(미도시), 작동부(미도시), 고정부(740) 및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 상기 작동부 및 상기 결합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740)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결합부의 돌기부(미도시)가 고정부(74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돌기부는 고정부(740)에 형성되는 제1 돌기부삽입홀(741a)과 제2 돌기부삽입홀(741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740)는 제1 케이스(741), 제2 케이스(742), 제1 복원력생성부(743), 연결부재(7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741)와 제2 케이스(74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케이스(741) 또는 제2 케이스(742) 중 하나의 일부가 제1 케이스(741) 또는 제2 케이스(742)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케이스(741) 또는 제2 케이스(742) 중 하나는 제1 케이스(741) 또는 제2 케이스(742)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케이스(741)의 일부가 제2 케이스(74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복원력생성부(743)는 제1 케이스(741)와 제2 케이스(74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복원력생성부(743)는 코일스프링(예를 들면,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복원력생성부(743)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복원력생성부(743)는 고무바 또는 실리콘바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복원력생성부(743)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재(744)는 제1 케이스(741)와 제2 케이스(74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케이스(741)와 제2 케이스(74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스(741)는 연결부재(744)를 따라 일정 거리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744)는 볼트, 나사, 핀, 바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744)가 볼트 또는 나사인 경우 제2 케이스(742)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제1 케이스(741)에는 끝단이 삽입되어 제1 케이스(741)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고정부(740)는 제1 복원력생성부(743) 이외에도 제2 복원력생성부(75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2 복원력생성부(750)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복원력생성부(750)는 제1 케이스(74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복원력생성부(750)는 제2 연결부(751) 및 제2 접촉부(7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연결부(751) 및 제2 접촉부(752)는 상기 도 13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연결부(651) 및 접촉부(65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락 작동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락 작동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는 경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작동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락 작동장치가 수동으로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에 힘을 가하여 도어락(미도시)의 작동버튼(미도시)을 누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몸체부는 고정부(740)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부의 일부가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가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결합부 부분은 제1 케이스(741)와 접촉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결합부는 제1 케이스(741)의 전면에 균일한 힘을 가하지 않고 제1 케이스(741)의 일정 부분만 다른 부분보다 큰 힘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장 큰 힘이 가해지는 제1 케이스(741) 부분에 배치된 제1 복원력생성부(743)의 길이는 가변하면서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741)의 다른 부분은 제1 복원력생성부(743)의 초기 길이보다 줄어든 만큼 또는 늘어난 만큼의 복원력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몸체부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제1 복원력생성부(743)는 제1 케이스(741)에 저장된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1 케이스(741)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스(741)는 상기 결합부에 상기와 같은 힘을 전달하여 상기 결합부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몸체부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동은 상기 도어락 작동장치가 자동을 작동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락 작동장치는 설치가 간단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작동장치는 임시로 인증 번호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작동장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초기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작동 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작동장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락 작동장치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전원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 및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원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수신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도어락 작동장치(800)는 몸체부(810,820), 고정부(840), 작동부(830), 복원력생성부(850), 결합부(860) 및 높이조절부(87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810,820)는 서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 몸체(810)와 제2 몸체(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810)와 제2 몸체(820)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팔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몸체(820)의 내부에는 작동부(8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몸체(810)는 고정부(84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810)에는 결합부(86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몸체(8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는 결합부(860)가 상기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860)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몸체(810)의 끝단 부분은 적어도 일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몸체(810)의 끝단 부분은 작동부(830)로부터 멀수록 고정부(840)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810)의 끝단 부분은 작동부(830)와 가까운 부분은 고정부(840)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몸체(810)는 고정부(840)와 인접하도록 돌출된 제1 돌출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811)는 몸체부(810,8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몸체부(810,820)가 일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돌출부(811)는 작동부(830)의 작동 시 작동부(830)이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가력하는 경우 작동부(830)의 작동으로 인한 반발력으로 몸체부(810,820)가 회전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동부(830)가 일정 힘 이상으로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가력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고정부(840)는 몸체부(810,820)를 도어(미도시) 등과 같은 외부 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840)의 일부는 제1 몸체(8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840)에는 나사, 볼트, 자석 또는 접착테이프 등이 배치되어 상기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작동부(830)는 제2 몸체(8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8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원력생성부(850)는 몸체부(810,820)와 고정부(8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원력생성부(850)는 상기 도 16에서 설명한 제1 복원력생성부(743) 및 제2 복원력생성부(75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원력생성부(850)가 연결부(851) 및 접촉부(852)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연결부(851) 및 접촉부(852)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복원력생성부(850)는 고정부(84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원력생성부(850)는 제1 돌출부(811)가 없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852)는 제1 돌출부(8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811)보다 작동부(83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870)는 고정부(84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870)는 고정부(840)와 결합함으로써 몸체부(810,8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높이조절부(870)는 다양한 높이을 갖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정부(840)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락 작동장치(8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어락(미도시)이 설치된 상기 도어에 도어락 작동장치(8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높이조절부(870) 중 적당한 높이의 높이조절부(870)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870)에 고정부(84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높이조절부(870)는 작동부(83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 또는 조그셔틀까지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부(840)의 설치가 완료되면, 몸체부(810,820)를 고정부(84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860)의 돌기부(862)를 고정부(840)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부(860)와 고정부(840)의 고정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840)와 결합부(860)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1 돌출부(811)와 고정부(840)는 접촉하거나 아주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제1 돌출부(811)가 없는 제1 몸체(810) 부분은 고정부(840)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몸체부(810,820)에 힘을 가하는 경우 제1 돌출부(811)는 고정부(840)에 접촉함으로써 제1 돌출부(811) 측으로 몸체부(810,820)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몸체부(810,820)는 제1 돌출부(811)가 없는 측으로 회전하고, 작동부(830)는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가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810,820)가 회전하는 경우 복원력생성부(850)는 결합부(860)와 접촉함으로써 변형이 발생되고, 변형으로 인하여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810,82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원력생성부(850)는 복원력을 몸체부(810,820)에 제공하면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도어락 작동장치(800)는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이외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외부의 명령 또는 외부 단말기 등을 통하여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어락 작동장치(800)는 설치가 간단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작동장치(800)는 임시로 인증 번호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어락 작동장치(80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초기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작동 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작동장치(80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200,500,600,800: 도어락 작동장치
110,210,510,610,810: 제1 몸체
120,220,520,620,820: 제2 몸체
130,230,330,430,530,630,830: 작동부
140,240,540,640,840: 고정부
150: 가이드부
160: 커넥터부
170,270,570: 전원부
180,280,580: 제어부
190,290,590: 수신부
870: 높이조절부

Claims (21)

  1. 도어에 배치된 도어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거나 상기 도어락의 조그셔틀을 회전시키는 작동부;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에 연결시키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몸체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는 도어락 작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자기력으로 상기 제1 몸체를 상기 도어에 부착시키는 자기력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4. 도어에 배치된 도어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는 작동부; 및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선형 운동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누름돌기; 및
    상기 누름돌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선형 운동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누름돌기; 및
    상기 누름돌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도어락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도어락 작동장치.
  9. 도어에 배치된 도어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는 작동부; 및
    상기 제2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몸체 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제1 몸체가 삽입되는 위치한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선형 운동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누름돌기; 및
    상기 누름돌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는 선형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몸체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일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도어락 작동장치.
  13.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며, 상기 몸체부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거나 도어락의 조그셔틀을 회전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복원력생성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결합바디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로부터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생성부는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의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생성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의 외면에 고정되고, 일단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하나의 외면과 분리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18.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며, 상긱 몸체부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도어락의 작동버튼을 누르거나 도어락의 조그셔틀을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케이스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복원력생성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21. 제 1 항, 제 4 항, 제 9 항, 제 13 항 또는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선형 운동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작동장치.
KR1020160172902A 2016-06-16 2016-12-16 도어락 작동장치 KR101795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087 2016-06-16
KR20160075087 2016-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722B1 true KR101795722B1 (ko) 2017-11-09

Family

ID=6038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902A KR101795722B1 (ko) 2016-06-16 2016-12-16 도어락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078B1 (ko) * 2020-08-31 2021-09-27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디지털 도어락용 언락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240B1 (ko) * 2015-07-22 2015-12-21 (주)아이티엘 디지털 도어록의 자동 개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240B1 (ko) * 2015-07-22 2015-12-21 (주)아이티엘 디지털 도어록의 자동 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078B1 (ko) * 2020-08-31 2021-09-27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디지털 도어락용 언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239B2 (en) Smart lock
US7363065B2 (en) Automatic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automatically driving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detecting incoming call to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564600B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KR101090379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US10465420B2 (en) Locking system for a door
KR101795722B1 (ko) 도어락 작동장치
EP3204577A1 (en) Door mount mechanism for a smart lock system
KR20140098956A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US20100041450A1 (en) Sliding-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645937A2 (en) Hinge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hinge unit
JP2010033952A (ja) スイッチ遠隔操作機構
JP5221500B2 (ja) イモビライザ認証システム用スロット装置
CN107346809B (zh) 电子装置的电池装卸结构
US8213600B2 (en) Sliding mechanism
JP6647010B2 (ja) 信号発生装置
JP2015190297A (ja) 電気錠システム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錠システム
JPH1191510A (ja) イモビライザキー
CN113555262A (zh) 电子设备
TWI512226B (zh) 電子裝置的鎖定機構
KR101480977B1 (ko) 전자식 잠금장치
CN114125091A (zh) 一种输入结构及电子设备
KR101048648B1 (ko)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JP3751787B2 (ja) ロック機構
JP2001303808A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CN214099426U (zh) 一种墙壁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