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977B1 - 전자식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977B1
KR101480977B1 KR20140007481A KR20140007481A KR101480977B1 KR 101480977 B1 KR101480977 B1 KR 101480977B1 KR 20140007481 A KR20140007481 A KR 20140007481A KR 20140007481 A KR20140007481 A KR 20140007481A KR 101480977 B1 KR101480977 B1 KR 10148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closing
lev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2014000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Abstract

전자식 잠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식 잠금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고,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부와, 개폐부의 작동을 단속하는 개폐단속부 및 본체에 구비되어 개폐단속부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잠금장치{ELECTRIC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요부품이 모듈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전자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헬스클럽) 등의 공공장소에는 개인용 사물함이 설치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사물함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기계식 잠금장치와 전자식 잠금장치들이 설치 구성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열쇠를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전자식 잠금장치들이 많이 개시되어 있다.
전자식 잠금장치는 사물함의 함실 정면에 설치된 도어에 키패드와 같은 일련의 암호를 입력해야 잠금을 해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크게 일련의 암호를 입력하는 키패드와, 키패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도어의 배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함실의 내측벽을 가로질러 이동되는 빗장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빗장의 끝단이 삽입 또는 이탈되는 공간을 갖는 함실의 내측벽에 마련되는 잠금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11151호(등록일:2011.01.20)에는 "가구용 도어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주요부품이 모듈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레버의 회동에 의해 도어의 잠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작동을 단속하는 개폐단속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단속부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뭉치 및 상기 걸림뭉치와 연결되며, 상기 걸림뭉치를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조립체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연결자 및 상기 연결자의 회전운동을 상기 걸림뭉치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자의 내부에는 마스터키의 삽입에 의해 상기 연결자와 분리 가능한 열쇠뭉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단속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안내스크류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스크류에 접촉되어 상기 안내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타단이 이동되는 연동스프링 및 상기 연동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레버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단속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모듈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플레이트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하며, 상기 개폐단속부와 상기 레버조립체는 상기 모듈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인가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신호입력버튼부와, 상기 신호입력버튼부에 입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단속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되는 리셋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단속부와 레버조립체가 모듈플레이트에 의해 모듈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컴팩트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조립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단속블럭이 안내스크류에 의해 이동되는 연동스프링에 의해 이동 가능한 구조를 지니고, 안내스크류가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시간 이후 다시 복귀하는 것에 의해 레버의 회동만으로 도어의 잠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조립체에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해제될 수 있어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본체에 리셋버튼부가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레버조립체의 회전에 의한 걸림뭉치의 이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개폐단속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모듈플레이트에 의한 모듈화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레버조립체의 회전에 의한 걸림뭉치의 이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개폐단속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모듈플레이트에 의한 모듈화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100)는 본체(110), 개폐부(120), 개폐단속부(140) 및 신호인가부(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어의 설치공에 매립되어 설치되는데, 설치공에 삽입되어 도어의 전면에 노출되는 전면케이스(112)와 도어의 후면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후술되는 걸림뭉치(122)가 구비되는 후면케이스(114)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면케이스(112)에는 후측으로 돌출되는 보스가 형성되고, 보스는 후면케이스(114)에 결속되어 나사결합된다. 이때, 후면케이스(114)에는 도어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속플랜지(116)가 구비된다.
개폐부(12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것으로서, 본체(1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고, 탄성스프링(124)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뭉치(122) 및 걸림뭉치(122)와 연결되며, 걸림뭉치(122)를 본체(110)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조립체(125)를 포함한다.
본체(110)의 후면케이스(114)에는 걸림뭉치(122)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슬라이드홈부(115)가 형성되고, 걸림뭉치(122)는 슬라이드홈부(115) 내에서 탄성스프링(124)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도 2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레버조립체(125)는 레버(126)와, 레버(126)와 연결되는 연결자(127) 및 연결자(127)의 회전운동을 걸림뭉치(12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브라켓(129)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자(127)의 내부에는 마스터키의 삽입에 의해 연결자(127)와 분리 가능한 열쇠뭉치(130)가 구비된다. 열쇠뭉치(130)는 연결자(127)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자(132)와 회전자(132)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의 삽입에 의해 정렬되어 연결자(127)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회전자(132)의 회전을 단속하는 정렬핀(134)으로 포함한다. 즉, 마스터키를 삽입하면 정렬핀(134)이 정렬되어 연결자(127)와 회전자(132)의 연결이 해체되어 회전자(132)만 회전될 수 있어 회전자(132)의 회전에 의해 전환브라켓(129)을 회전시킴으로써, 후술되는 신호인가부(160)의 작동 없이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개폐단속부(140)는 개폐부(120)의 작동을 단속하는 것으로서, 본체(110)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42)와, 구동모터(142)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안내스크류(144)와, 일단이 본체(110)에 고정되고, 안내스크류(144)에 접촉되어 안내스크류(144)의 회전에 의해 타단이 이동되는 연동스프링(146) 및 연동스프링(146)의 타단에 결합되어 안내스크류(144)의 회전에 따라 본체(1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며, 레버조립체(125)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단속블럭(148)을 포함한다.
구동모터(142)는 안내스크류(144)를 정·역회전시킨다. 그리고, 연동스프링(146)은 일단이 본체(11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로 연장되어 안내스크류(144)에 접촉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42)의 구동에 의해 안내스크류(144)가 회전되면 연동스프링(146)은 안내스크류(144)에 접촉되므로 타단이 이동되게 된다. 연동스프링(146)은 핀 형상의 스틸로 이루어져 자체 탄성력을 지닌다. 그리고, 연동스프링(146)의 타단에는 단속블럭(148)이 구비됨으로써, 안내스크류(144)의 회전에 의해 단속블럭(148)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단속블럭(148)의 선단에는 걸림돌기(149)가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돌기(149)는 레버조립체(125)에 결속되어 레버조립체(125)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걸림돌기(149)는 연결자(127)의 구속홈(128)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본체(110)는 모듈플레이트(150)를 포함하고, 모듈플레이트(150)는 본체(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개폐단속부(140)와 레버조립체(125)는 모듈플레이트(150)에 구비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플레이트(150)에는 레버조립체(125)가 구비되는 회전홀부(152)가 구비되고, 회전홀부(152)에 연결되어 걸림돌기(149)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블럭홈부(154)가 구비되며, 구동모터(142)가 장착되는 장착홈부(156)가 구비된다. 그리고, 모듈플레이트(150)의 가장자리는 본체(110)에 나사 결합되어 분리 가능한 구조를 지닌다.
신호인가부(16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개폐단속부(14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신호입력버튼부(162)와 신호입력버튼부(162)에 입력된 신호에 의해 개폐단속부(140)를 제어하는 회로기판부(164)를 포함한다.
이때, 회로기판부(164)는 신호입력버튼부(162)에서 비밀번호가 일치되면, 구동모터(142)를 작동시키도록 작동신호를 인가하는데, 이러한 작동신호는 구동모터(142)를 정회전시키고,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역회전시킨다. 이는 도어의 닫힘 시 도어를 잠금하지 않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인가부(160)와 개폐단속부(140)의 동작은 전원부(17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된다. 전원부(170)는 후면케이스(114)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건전지로 이루어지며, 전원부(170)의 전력은 구동모터(142)의 구동 시에만 사용된다.
한편, 본체(110)에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기 위해 회로기판부(164)와 접촉되는 리셋버튼부(180)가 더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케이스(114)의 내부에는 개폐부(120), 개폐단속부(140), 전원부(170)가 설치되고, 전면케이스(112)에는 신호인가부(160)가 설치되며, 신호인가부(160)의 회로기판부(164)와 개폐단속부(140)의 구동모터(142)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레버조립체(125)와 개폐단속부(140)는 모듈플레이트(150)에 결합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되어 구비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를 살펴보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플레이트(150)에는 레버조립체(125)가 구비되는 회전홀부(152)가 구비되고, 회전홀부(152)에 연결되어 걸림돌기(149)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블럭홈부(154)가 구비되며, 구동모터(142)가 장착되는 장착홈부(156)가 구비되어 각각의 부품이 모듈플레이트(150)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공간활용도를 높여 컴팩트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전면케이스(112)와 후면케이스(114)는 볼팅되어 결합된다.
이처럼 결합된 본체(110)는 결속플랜지(116)에 의해 도어의 설치공에 설치된다.
이후, 전자식 잠금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초 사물함 도어의 닫힘 시 걸림뭉치(122)가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물함의 걸림홈에 걸린 상태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단속블럭(148)의 걸림돌기(149)는 연결자(127)의 구속홈(128)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레버(126)는 회전되지 않아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물함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신호입력버튼부(162)에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회로기판부(164)에서 작동신호를 인가하고, 회로기판부(164)의 작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42)는 작동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42)의 작동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스크류(144)를 회전시켜 연동스프링(146)의 타단을 이동시킨다. 연동스프링(146)에 의해 단속블럭(148)이 슬라이드 이동되고 걸림돌기(149)가 구속홈(128)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레버(126)의 회전이 가능하여 레버(126)를 회전시키면 전환브라켓(129)이 레버(126)의 회전을 걸림뭉치(12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회로기판부(164)의 작동신호는 구동모터(142)를 정회전시킨 후 일정시간 후에 다시 역회전시켜 연동스프링(146)을 최초위치로 복원시킨다. 그리고, 레버조립체(125)의 연결자(127) 또한 탄성스프링(124)에 의해 바로 최초위치로 복원되므로 단속블럭(148)의 걸림돌기(149)는 연결자(127)의 구속홈(128)에 수용되어 레버조립체(125)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사물함에 물건을 수납한 후에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사용자가 도어를 잠금하지 않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70)의 소비전력이 구동모터(142)의 구동시에만 소모되므로 기존의 솔레노이드밸브 시 도어의 닫힘 전까지 지속적으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레버조립체(125)에는 열쇠뭉치(130)가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금해제할 수 있다. 레버(126)에 형성된 마스터키 삽입공에 마스터키를 삽입시키면 회전자(132) 내에 구비되는 정렬핀(134)이 정렬되어 회전자(132)와 연결자(127)의 연결이 해제되어 회전자(132) 단독으로 회전될 수 있어 전환브라켓(129)을 회전시켜 걸림뭉치(122)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는 회로기판부(164)와 접촉되어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는 리셋버튼부(18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리셋버튼부(180)를 눌러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잠금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단속부와 레버조립체가 모듈플레이트에 의해 모듈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내부 공간활용도가 향상되에 컴팩트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레버조립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단속블럭이 안내스크류에 의해 이동되는 연동스프링에 의해 이동 가능한 구조를 지니고, 안내스크류가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시간 이후 다시 복귀하는 것에 의해 도어를 잠금하지 않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작동시에 전력을 사용하므로 전원부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식 잠금장치 110 : 본체
112 : 전면케이스 114 : 후면케이스
115 : 슬라이드홈부 116 : 결속플랜지
120 : 개폐부 122 : 걸림뭉치
124 : 탄성스프링 125 : 레버조립체
126 : 레버 127 : 연결자
128 : 구속홈 129 : 전환브라켓
130 : 열쇠뭉치 132 : 회전자
134 : 정렬핀 140 : 개폐단속부
142 : 구동모터 144 : 안내스크류
146 : 연동스프링 148 : 단속블럭
149 : 걸림돌기 150 : 모듈플레이트
152 : 회전홀부 154 : 블럭홈부
156 : 장착홈부 160 : 신호인가부
162 : 신호입력버튼부 164 : 회로기판부
170 : 전원부 180 : 리셋버튼부

Claims (8)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작동을 단속하는 개폐단속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단속부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뭉치 및 상기 걸림뭉치와 연결되며, 상기 걸림뭉치를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조립체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연결자 및 상기 연결자의 회전운동을 상기 걸림뭉치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단속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안내스크류;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스크류에 접촉되어 상기 안내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타단이 이동되는 연동스프링; 및
    상기 연동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레버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단속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자의 내부에는 마스터키의 삽입에 의해 상기 연결자와 분리 가능한 열쇠뭉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잠금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모듈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플레이트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하며;
    상기 개폐단속부와 상기 레버조립체는 상기 모듈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잠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인가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신호입력버튼부;
    상기 신호입력버튼부에 입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단속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잠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되는 리셋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잠금장치.
KR20140007481A 2014-01-21 2014-01-21 전자식 잠금장치 KR10148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481A KR101480977B1 (ko) 2014-01-21 2014-01-21 전자식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481A KR101480977B1 (ko) 2014-01-21 2014-01-21 전자식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977B1 true KR101480977B1 (ko) 2015-01-14

Family

ID=5258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481A KR101480977B1 (ko) 2014-01-21 2014-01-21 전자식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641B1 (ko) 2015-08-13 2015-12-15 임정구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개폐 장치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005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우창 아이토프 다이얼 자물쇠의 리셋장치
KR101292848B1 (ko) 2013-01-18 2013-08-02 장근대 전자식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005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우창 아이토프 다이얼 자물쇠의 리셋장치
KR101292848B1 (ko) 2013-01-18 2013-08-02 장근대 전자식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641B1 (ko) 2015-08-13 2015-12-15 임정구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개폐 장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165B2 (en) Portable suitcase with electronic combination locking device
CN102016203B (zh) 凸轮锁
KR101480977B1 (ko) 전자식 잠금장치
US20220154491A1 (en) Latching Assembly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1409397B1 (ko) 도어 자동 잠금 장치
KR101292848B1 (ko) 전자식 잠금장치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JP2022121405A (ja) 磁気係合装置
KR20190013724A (ko) 조합식 잠금장치를 이용한 출구 장치 도깅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TWI811174B (zh) 具記憶功能之電子鎖具
KR100922344B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053576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20180024584A (ko) 디지털 푸쉬 풀 도어락
KR200444843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1467286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JP5352913B2 (ja) ドアロック装置
CN115341814B (zh) 磁性扣合装置
KR101200440B1 (ko) 전자식 개폐장치
KR20230032566A (ko) 래치 볼트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
JP2021172989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KR100581520B1 (ko)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JP2001032589A (ja) 扉用電気錠
KR101584971B1 (ko) 전동 및 수동 겸용 모티스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