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298B1 -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298B1
KR101795298B1 KR1020160114748A KR20160114748A KR101795298B1 KR 101795298 B1 KR101795298 B1 KR 101795298B1 KR 1020160114748 A KR1020160114748 A KR 1020160114748A KR 20160114748 A KR20160114748 A KR 20160114748A KR 101795298 B1 KR101795298 B1 KR 101795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electrode
housing
terminal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문정
송인우
김상학
송미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둥근 형태의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내부에 수용하며,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이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터미널 삽입영역을 차폐하도록 회전 이동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착 영역을 향해 회전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대한 방수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터미널과 상기 유연전극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film anode and cable}
본 발명은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둥근 형태의 케이블과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을 효과적으로 연결 및 고정시켜줄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 셀이 주목 받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태양 전지 셀은 p형과 n형처럼 서로 다른 도전성 타입의 반도체로 각각 이루어지는 기판 및 에미터부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에미터부는 기판의 수광면 쪽에 위치하며, 기판과 에미터부의 계면에는 p-n 접합이 형성된다.
한편, 태양 전지 셀의 출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리도선, FPCB 등과 같은 필름 형태의 전선을 셀에 부착하여 둥근 형태의 전선과 연결해야 하는데, 이때 둥근 형태의 전선을 직접 태양전지에 접합하거나 혹은 딱딱한 재질의 전선을 사용하게 되면 태양전지 셀이 깨질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름 형태의 전선과 둥근 형태의 전선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의 구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3748호(2015.07.20.)
본 발명의 목적은, 둥근 형태의 케이블을 터미널에 삽입한 후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을 하우징의 타측에 고정시켜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형태가 다른 케이블 및 유연전극을 효과적으로 고정 및 연결시킬 수 있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는 둥근 형태의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내부에 수용하며,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이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터미널 삽입영역을 차폐하도록 회전 이동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착 영역을 향해 회전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대한 방수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터미널과 상기 유연전극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커버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 차폐를 위한 회전 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에 마련된 관통 홈을 통해 상기 안착 영역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의 하부와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하부 커버에서 돌출 형성된 삽입부재가 관통하도록 내부에 관통 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하부 커버의 회전 이동 시 상기 관통 홀 및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함께 관통하도록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상기 유연전극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방수의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계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유연전극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 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둥근 형태의 케이블을 터미널에 삽입한 후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을 하우징의 타측에 고정시켜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형태가 다른 케이블 및 유연전극을 효과적으로 고정 및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터미널에 대한 가압 및 고정을 위하여 하우징에 마련된 하부 커버를 회전 이동시키는 경우, 하부 커버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재가 터미널 및 유연전극을 함께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및 유연전극이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전극에 대한 가압 및 고정을 위하여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에 방수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대한 방수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터미널의 삽입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터미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하부 커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하부 커버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상부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의 고정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터미널의 삽입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터미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하부 커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하부 커버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10)과 둥근 형태의 케이블(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100), 하우징(200), 하부 커버(300) 및 상부 커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터미널(100)은 통전을 위하여 구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둥근 형태의 케이블(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케이블(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터미널(100)은 케이블(20)의 위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터미널 삽입영역(B)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 결합부재(120) 및 접속부재(130)를 구비한다.
고정부재(110)는 케이블(20)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케이블(20)의 삽입 시 케이블(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120)는 고정부재(110)를 통해 케이블(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터미널 삽입영역(B)에 삽입되어 하우징(200)에서 케이블(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접속부재(130)는 터미널 삽입영역(B)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터미널 삽입영역(B)에 삽입 시 터미널 삽입영역(B)에 마련된 관통 홈(210)을 통해 하우징(200)의 상부에 마련된 안착 영역(A)으로 돌출되며,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과 접속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접속부재(130)는 유연전극(10)과의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연 전극(10)의 폭에 대응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속부재(130)는 하부 커버(300)에서 돌출 형성된 삽입부재(310)가 관통하도록 내부에 관통 홀(130a)을 구비한다.
이러한 삽입부재(310)는 하부 커버(300)의 회전 이동 시 관통 홀(130a) 및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을 함께 관통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삽입부재(310)는 상기와 같이 접속부재(130) 및 유연전극(10)을 함께 관통하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커버(300)를 통한 터미널 삽입영역(B)의 차폐 시 터미널(100) 및 유연전극(10)이 하우징(200)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하며,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10)이 안착 영역(A)에 안착되어 터미널(100)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하부 커버(300)가 힌지 결합되며, 터미널 삽입영역(B)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여 터미널 삽입영역(B)의 차폐 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하면과 동일면을 이루며 결합된다.
하부 커버(300)는 상기와 같이 결합됨을 통해 케이블(20)을 고정시키는 터미널(100)을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삽입부재(310)를 통해 터미널(100)과 유연전극(20)을 함께 관통하도록 하여 케이블(20)과 유연전극(10) 사이의 접속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커버(30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한 쌍의 돌출부재(300a)가 마련되어 터미널 삽입영역(B)의 차폐를 위한 하부 커버(300)의 회전 시 하우징(20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20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하부 커버(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300a)가 마련되고,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돌출부재(300a)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한 쌍의 삽입홈(200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커버(300)의 회전 이동 이후 '딸깍' 소리와 함께 하우징(200)과의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커버(400)는 하부 커버(300)의 힌지 결합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 즉 하우징(2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 커버(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착 영역(A)을 향해 회전 이동하고, 터미널(100)과 유연전극(10)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을 가압 및 고정시킨다.
상부 커버(400)는 하우징(200)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회전 이동하게 되면, 하부 커버(300)와 동일하게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상부가 되게 되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커넥터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이하,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상부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의 고정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대한 방수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을 가압 및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커버(40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부 커버(400)는 몸체부(410) 및 가압부(420)를 구비한다.
먼저, 몸체부(41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우징(2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몸체부(41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하나의 돌출부재(410a)가 마련되어 유연전극(10)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 커버(400)의 회전 시 하우징(200)에 마련된 삽입홈(200b)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몸체부(410)에는 돌출부재(410a)가 마련되고, 하우징(200)에는 돌출부재(410a)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홈(200b)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커버(400)의 회전 이동 이후 '딸깍' 소리와 함께 결합이 완료되면 하우징(200)과의 결합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가압부(420)는 몸체부(410)의 하부에서 유연전극(1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을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부(420)는 상기와 같이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하우징(200)의 내부에 대한 방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는 것으로, 방수의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계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즉, 가압부(420)는 상부 커버(400)의 회전을 통해 안착 영역(A)이 차폐됨에 따라 유연전극(10)과 면으로 접촉하게 되며, 접촉면에서의 마찰을 높일 수 있도록 실리콘계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 커버(4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유연전극(10)이 케이블(20)을 고정하는 터미널(100)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가압부(420)는 상기와 같이 실리콘계 고무 재질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하우징(200) 내부에 대한 방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재질의 사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유연전극(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부재(310)가 관통된 상태로 안착 영역(A)에 안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데, 이러한 경우 1차적으로 유연전극(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유연전극(10)의 위치 고정을 위한 형상 변형 및 고정 부재의 설치 없이도 공정 중 유연전극(10)이 하우징(200)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둥근 형태의 케이블을 터미널에 삽입한 후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을 하우징의 타측에 고정시켜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형태가 다른 케이블 및 유연전극을 효과적으로 고정 및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터미널에 대한 가압 및 고정을 위하여 하우징에 마련된 하부 커버를 회전 이동시키는 경우, 하부 커버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재가 터미널 및 유연전극을 함께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및 유연전극이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전극에 대한 가압 및 고정을 위하여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에 방수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대한 방수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유연전극 20 : 케이블
100 : 터미널 110 : 고정부재
120 : 결합부재 130 : 접속부재
130a : 관통 홀 200 : 하우징
200a, 200b : 삽입홈 300 : 하부 커버
300a, 400a : 돌출부재 310 : 삽입부재
400 : 상부 커버 410 : 몸체부
420 : 가압부 A : 안착 영역
B : 터미널 삽입영역

Claims (8)

  1. 둥근 형태의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내부에 수용하며,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이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터미널 삽입영역을 차폐하도록 회전 이동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착 영역을 향해 회전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대한 방수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터미널과 상기 유연전극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에 마련된 관통 홈을 통해 상기 안착 영역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의 하부와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하부 커버에서 돌출 형성된 삽입부재가 관통하도록 내부에 관통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 차폐를 위한 회전 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하부 커버의 회전 이동 시 상기 관통 홀 및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함께 관통하도록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상기 유연전극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방수의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계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유연전극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 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20160114748A 2016-09-07 2016-09-07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1795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748A KR101795298B1 (ko) 2016-09-07 2016-09-07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748A KR101795298B1 (ko) 2016-09-07 2016-09-07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298B1 true KR101795298B1 (ko) 2017-11-07

Family

ID=6038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748A KR101795298B1 (ko) 2016-09-07 2016-09-07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2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2622A (zh) * 2018-12-27 2019-05-10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硬盘信号连接线缆
KR200490428Y1 (ko) * 2019-07-19 2019-11-11 (주)한신단자공업 플랙시블보드용 접속 터미널
KR20220029876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정록 오존 살균기
US11374351B2 (en) 2018-04-06 2022-06-28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Multipolar connector
KR20220115337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파루인쇄전자 면상발열체의 전원접속단자
US11616324B2 (en) 2018-04-06 2023-03-28 Conextivity Group Sa Multipolar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6706A (ja) * 2007-01-30 2008-08-14 Fujikura Ltd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CN202585819U (zh) * 2012-03-01 2012-12-05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线缆组合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6706A (ja) * 2007-01-30 2008-08-14 Fujikura Ltd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CN202585819U (zh) * 2012-03-01 2012-12-05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线缆组合结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4351B2 (en) 2018-04-06 2022-06-28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Multipolar connector
US11616324B2 (en) 2018-04-06 2023-03-28 Conextivity Group Sa Multipolar connector
US11616320B2 (en) 2018-04-06 2023-03-28 Conextivity Group Sa Multipolar connector
CN109742622A (zh) * 2018-12-27 2019-05-10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硬盘信号连接线缆
CN109742622B (zh) * 2018-12-27 2024-03-01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硬盘信号连接线缆
KR200490428Y1 (ko) * 2019-07-19 2019-11-11 (주)한신단자공업 플랙시블보드용 접속 터미널
KR20220029876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정록 오존 살균기
KR102458396B1 (ko) 2020-09-02 2022-10-26 주식회사 정록 오존 살균기
KR20220115337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파루인쇄전자 면상발열체의 전원접속단자
KR102498861B1 (ko) * 2021-02-10 2023-02-13 주식회사 파루인쇄전자 면상발열체의 전원접속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298B1 (ko)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ES2690870T3 (es) Conector de cable coaxial con blindaje contra interferencias de radiofrecuencia y puesta a tierra
US9444178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compressed into an opening in the housing
JP2009123584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2199051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90058288A1 (en) Connector including shell having lock mechanism and connector device
WO2017210276A8 (en) HIGH PERFORMANCE CABLE TERMINATION
CN102222841A (zh) 连接器
US11417969B2 (en) Body clamp connector
KR850005032A (ko) 시일드 케이블(shielded cable)용 코넥트
TW201212426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to an antenna
KR101786355B1 (ko)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US9444180B2 (en) Connector strain relief assembly
CN105474473A (zh) 连接器
US3621448A (en) Accordion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s
US20180031789A1 (en) Optical module
JP6834645B2 (ja) 防水コネクタ
JP2001185280A (ja) 携帯電子機器
CN104518348A (zh) 连接器
EP2076944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entre deux fiches, de structure compacte et simplifiee
CN201616967U (zh) 电器附件用防水盒
JP6763827B2 (ja) 電気コネクタ
CN103140098B (zh) 电线固定构件和电线固定方法
FR2681732A1 (fr) Systeme de connexion electrique pour cable plat.
US20110111613A1 (en) Rotatable power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