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355B1 -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355B1
KR101786355B1 KR1020160071743A KR20160071743A KR101786355B1 KR 101786355 B1 KR101786355 B1 KR 101786355B1 KR 1020160071743 A KR1020160071743 A KR 1020160071743A KR 20160071743 A KR20160071743 A KR 20160071743A KR 101786355 B1 KR101786355 B1 KR 101786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electrode
terminal
housing
cable
sea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문정
박성근
김상학
송미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둥근 형태의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내부에 수용하며,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이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착 영역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며, 상기 터미널과 상기 유연전극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film anode and cable}
본 발명은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둥근 형태의 케이블과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을 효과적으로 연결 및 고정시켜줄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 셀이 주목 받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태양 전지 셀은 p형과 n형처럼 서로 다른 도전성 타입의 반도체로 각각 이루어지는 기판 및 에미터부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에미터부는 기판의 수광면 쪽에 위치하며, 기판과 에미터부의 계면에는 p-n 접합이 형성된다.
한편, 태양 전지 셀의 출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리도선, FPCB 등과 같은 필름 형태의 전선을 셀에 부착하여 둥근 형태의 전선과 연결해야 하는데, 이때 둥근 형태의 전선을 직접 태양전지에 접합하거나 혹은 딱딱한 재질의 전선을 사용하게 되면 태양전지 셀이 깨질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름 형태의 전선과 둥근 형태의 전선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의 구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3748호(2015.07.20.)
본 발명의 목적은, 둥근 형태의 케이블을 터미널에 삽입한 후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을 하우징의 타측에 고정시켜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형태가 다른 케이블 및 유연전극을 효과적으로 고정 및 연결시킬 수 있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는 둥근 형태의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내부에 수용하며,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이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착 영역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며, 상기 터미널과 상기 유연전극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터미널 삽입영역을 차폐하도록 회전 이동하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하부 커버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 차폐를 위한 회전 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에 마련된 관통 홈을 통해 상기 안착 영역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의 하부와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홈에 걸림 위치되도록 쐐기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상기 유연전극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1가압부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가압부와 동일한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 영역에서 돌출된 상기 유연전극의 돌출 부위를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유연전극의 돌출 부위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가압부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유연전극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 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착 영역의 내측면에서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유연전극에는 상기 걸림턱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끼움 홀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홀을 상기 걸림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상기 안착 영역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둥근 형태의 케이블을 터미널에 삽입한 후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을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시켜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형태가 다른 케이블 및 유연전극을 고정 및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하부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터미널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하부 커버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의 안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의 고정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의 안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10)과 둥근 형태의 케이블(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100), 하우징(200), 상부 커버(300) 및 하부 커버(400)를 포함한다.
터미널(100)은 통전을 위하여 구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둥근 형태의 케이블(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케이블(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터미널(100)은 고정부재(110), 결합부재(120) 및 접속부재(130)를 구비한다.
고정부재(110)는 케이블(20)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케이블(20)의 삽입 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재(120)는 케이블(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터미널 삽입영역으로 삽입되어 하우징(200)에서 케이블(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접속부재(130)는 터미널 삽입영역에 마련된 관통 홀(210)을 통해 안착 영역(A)으로 돌출되며,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의 하부와 접속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절곡 형성된다.
하우징(200)은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하며,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10)이 안착 영역(A)에 안착되어 터미널(100)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300)가 힌지 결합되며, 안착 영역(A)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여 안착 영역(A)의 차폐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상면과 동일면을 이루며 결합된다.
상부 커버(300)는 상기와 같이 결합됨을 통해 유연전극(10)을 가압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터미널(100), 즉 터미널(100)에 연결된 케이블(20)과 유연전극(10)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커버(300)는 유연전극(10)을 효과적으로 가압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310), 제1가압부(320) 및 제2가압부(330)를 구비한다.
몸체부(31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부(310)는 'ㄱ'자 형상의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하나의 돌출부재(310a)가 마련되어 유연전극(10)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 시 하우징(200)에 결합된 삽입홈(200b)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몸체부(310)에는 돌출부재(310a)가 마련되고,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돌출부재(310a)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홈(31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이동 이후 '딸깍' 소리와 함께 결합이 완료되면 하우징(200)과의 결합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가압부(320)는 몸체부(310)의 하부에서 유연전극(1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을 가압한다.
또한, 제2가압부(330)는 몸체부(310)의 하부에서 제1가압부(320)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1가압부(320)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구비된다.
제2가압부(330)는 터미널(100)과 접속되어 안착 영역(A)에서 돌출된 유연전극(10)의 돌출 부위를 가압하며, 그에 따라 제1가압부(3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가압부(330)는 관통 홈(210)을 통해 터미널(100)의 단부가 안착 영역(A)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면, 터미널(100)의 돌출 높이로 인해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이 서로 다른 높이로 안착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가압부(330)는 상기와 같이 안착된 유연전극(10)의 높이 차에 대응하도록 제1가압부(320)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몸체부(310)의 회전 이동 시 제1가압부(320)와 함께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을 효과적으로 가압 및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하부 커버(400)는 상부 커버(300)의 힌지 결합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하우징(20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또한 케이블(20)이 결합된 터미널(100)이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면, 회전 이동하여 하우징(200)에 결합됨으로써, 터미널(100)이 하우징(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 커버는(400)는 하우징(200)의 하부를 차폐하도록 회전 이동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하부가 되게 되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커넥터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이하,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하부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터미널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하부 커버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며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400)는 하우징(20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하우징(200)의 하부에 형성된 터미널 삽입영역(B)을 차폐하도록 회전 이동한다.
이러한 하부 커버(400)는 상부 커버(300)의 몸체(310)와 동일하게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돌출부재(400a)가 마련되어 터미널 삽입영역(B) 차폐를 위한 회전 시 하우징(200)에 형성된 삽입홈(20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400)에는 돌출부재(400a)가 마련되고,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돌출부재(400a)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홈(31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터미널 삽입영역(B)의 차폐를 위한 회전 이동 이후 '딸깍' 소리와 함께 결합이 완료되면 하우징(200)과의 결합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삽입영역(B)의 내측에는 걸림 홈(H)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터미널(100)의 결합부재(120)에는 쐐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터미널 삽입영역(B)으로 터미널(100)이 삽입되게 되면, 걸림 홈(H)과 쐐기(122)의 결합에 의해 터미널(100)이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6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의 안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의 고정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영역(A)에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10)이 안착되게 되면, 관통 홀(210)을 통해 돌출된 터미널(100)에 의해 유연전극(10)이 돌출 부위를 형성하며 안착된다.
여기서, 상부 커버(300)를 회전 이동시켜 하우징(200)에 결합시키게 되면, 제1가압부(320) 및 제2가압부(330)에 의해 유연전극(10)이 안착 영역(A)에서 가압 및 고정되게 되는데, 이때 터미널(100)의 돌출 높이에 의해 제1가압부(320) 및 제2가압부(320)의 높이는 서로 달라져야 한다.
다시 말해, 유연전극(10)을 가압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300)를 회전 이동시키게 되면, 제1가압부(320)는 유연전극(10)의 일측 부위를 가압하게 되고, 제2가압부(330)는 제1가압부(32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므로, 효과적으로 유연전극(10)의 돌출 부위를 가압할 수 있다.
만일, 제1가압부(320) 및 제2가압부(330)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게 되면, 몸체부(310)의 회전 이동 시 그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돌출된 터미널(100)이 손상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케이블(20)과 유연전극(10)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압부(320) 및 제2가압부(32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몸체부(31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을 효과적으로 가압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둥근 형태의 케이블(20)과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10)에 대한 전기적 접속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의 안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대한 유연전극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은 안착 영역(A)의 내측면에서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2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전극(10)에는 걸림턱(2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끼움 홀(1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끼움 홀(10a)을 걸림턱(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안착 영역(A)에서 유연전극(10)의 위치를 1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걸림턱(220)이 설치된 위치로 유연전극(10)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끼움 홀(10a)을 걸림턱(220)에 매칭시켜 길이 방향을 따라 밀어 내림으로써, 유연전극(10)이 걸림턱(220)에 의해 걸림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부 커버(300)를 회전 이동시키기 이전에 1차적으로 유연전극(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국 걸림턱(220)의 구조 및 상부 커버(300)의 구성을 통해 안착 영역(A)에 안착된 유연전극(10)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둥근 형태의 케이블을 터미널에 삽입한 후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을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시켜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형태가 다른 케이블 및 유연전극을 고정 및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유연전극 10a : 끼움 홀
20 : 케이블 20 : 터미널
110 : 고정부재 120 : 결합부재
122 : 쐐기 130 : 접속부재
200 : 하우징 200a, 200b : 삽입홈
210 : 관통 홈 220 : 걸림턱
300 : 상부 커버 310 : 몸체부
310a, 400a : 돌출부재 320 : 제1가압부
330 : 제2가압부 400 : 하부 커버
A : 안착 영역 B : 터미널 삽입영역
H : 걸림 홈

Claims (9)

  1. 둥근 형태의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내부에 수용하며, 필름 형태의 유연전극이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착 영역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며, 상기 터미널과 상기 유연전극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상부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터미널 삽입영역을 차폐하도록 회전 이동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부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폐되고, 상기 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체결되어 이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 차폐를 위한 회전 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에 마련된 관통 홈을 통해 상기 안착 영역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의 하부와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터미널 삽입영역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홈에 걸림 위치되도록 쐐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상기 유연전극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유연전극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1가압부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가압부와 동일한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 영역에서 돌출된 상기 유연전극의 돌출 부위를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유연전극의 돌출 부위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가압부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곡 영역의 내측면에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유연전극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 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착 영역의 내측면에서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유연전극에는, 상기 걸림턱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끼움 홀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홀을 상기 걸림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상기 안착 영역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20160071743A 2016-06-09 2016-06-09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178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743A KR101786355B1 (ko) 2016-06-09 2016-06-09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743A KR101786355B1 (ko) 2016-06-09 2016-06-09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355B1 true KR101786355B1 (ko) 2017-10-17

Family

ID=6029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743A KR101786355B1 (ko) 2016-06-09 2016-06-09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75A (ko) * 2018-09-28 2020-04-07 김황구 엘이디 피시비 기판과 전원선을 연결하는 접속장치
KR20220029876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정록 오존 살균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115A (ja) * 2006-09-29 2008-04-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接続構造の製造方法
JP2009087855A (ja) * 2007-10-02 2009-04-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115A (ja) * 2006-09-29 2008-04-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接続構造の製造方法
JP2009087855A (ja) * 2007-10-02 2009-04-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75A (ko) * 2018-09-28 2020-04-07 김황구 엘이디 피시비 기판과 전원선을 연결하는 접속장치
KR102129710B1 (ko) * 2018-09-28 2020-07-02 김황구 엘이디 피시비 기판과 전원선을 연결하는 접속장치
KR20220029876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정록 오존 살균기
KR102458396B1 (ko) 2020-09-02 2022-10-26 주식회사 정록 오존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298B1 (ko)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CN108232699B (zh) 电连接器
US10461478B2 (en) Connector having shell and connector device
JP6247604B2 (ja) 防水コネクタ
JP5949628B2 (ja) コネクタ
CN214478179U (zh) 太阳光发电用百叶窗
JP2008532244A (ja) 遊動型電子コネクタ
US10135173B2 (en) Cover unit with rubber plug and connector
KR101759529B1 (ko) 고접압 커넥터
KR101786355B1 (ko) 유연전극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1474486B1 (ko) 배터리용 커넥터
JP2013171739A (ja) 雌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20120009310A (ko) 태양전지 패널용 정션박스의 하우징 구조
CN109411939B (zh) 插头装置
KR101431411B1 (ko) 레버식 커넥터
FR2518829A1 (fr) Contact a broche electrique active
KR20150105993A (ko) 밀봉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70117693A (ko) 커넥터
US20110130043A1 (en) Combination of socket and plug for battery connector
TW202029584A (zh) 彈簧連接器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150072189A (ko) 커넥터
KR101783853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1723049B1 (ko) 고전압 커넥터
FR2783361A1 (fr) Ensemble conecteur blinde pouvant etre monte de maniere ferme sur une cart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