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720B1 - 가변형 칸막이 벽체 - Google Patents

가변형 칸막이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720B1
KR101794720B1 KR1020160051560A KR20160051560A KR101794720B1 KR 101794720 B1 KR101794720 B1 KR 101794720B1 KR 1020160051560 A KR1020160051560 A KR 1020160051560A KR 20160051560 A KR20160051560 A KR 20160051560A KR 101794720 B1 KR101794720 B1 KR 10179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ceiling
coupled
fixed
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509A (ko
Inventor
남광호
정대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7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connecting partition walls or panels to the ce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칸막이 벽체를 천장 텍스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이를 상하부 커플러를 통해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진 가변형 칸막이 벽체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는, 천장 슬라브에 장착된 상부 러너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 슬라브에 매달린 천장 달대에 의해 고정되는 천장 텍스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하향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부 스터드와, 이 상부 스터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를 포함하는 상부 칸막이 벽체; 바닥 슬라브에 장착된 하부 러너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 슬라브에 매달린 천장 달대에 의해 고정되는 천장 텍스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 스터드와, 이 하부 스터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를 포함하는 하부 칸막이 벽체;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중간 러너; 및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의 하단과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의 상단이 고정 결합되고, 양측으로 상기 천장 텍스가 고정되는 상하부 커플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칸막이 벽체{VARIABLE PARTITION WALL}
본 발명은 가변형 칸막이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식산업센터 등에서 각 단위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 벽체를 가변형으로 만들어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해주는 가변형 칸막이 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식산업, 정보통신산업 등을 중심으로 산업의 집적화가 활성화되면서 소규모 공장이 다수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계의 실정에 발 맞추고 토지의 이용을 고도화할 목적으로 지식산업센터(종래 "아파트형 공장"에 해당함) 건물이 많이 세워지고 있다. 이 지식산업센터 건물은 다층형 집합건축물로서 3층 이상이며 6개 이상의 공장이 동시에 입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지식산업센터의 1개 층을 보면, 동일한 크기를 갖는 단위 공장이 복도 양쪽으로 나열되는 형태로 설계된다. 입주하는 회사는 단위 공장을 1개만 임대/분양하는 경우도 있지만, 단위 공장을 2개 이상 임대/분양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입주 회사가 2개 이상의 단위 공장을 임대/분양하는 경우에는 단위 공장을 구획하는 칸막이 벽체를 허물어 전체를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줄 필요가 있다. 보통 하나의 지식산업센터의 임대/분양이 완료되면 약 30% 정도의 칸막이 벽체가 해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종래의 지식산업센터의 건식 칸막이 벽체를 나타낸다. 이 건식 칸막이 벽체는 천장 슬라브(1)에서부터 바닥 슬라브(2)까지 하나로 연결된 고정식으로 설치된다. 먼저, 천장 슬라브(1)에 상부 러너(3)가 고정 설치되고, 바닥 슬라브(2)에는 하부 러너(4)가 고정 설치되어 칸막이 벽체가 설치될 위치를 잡아준다. 상기 상부 러너(3)와 하부 러너(4)의 사이에 지지 스터드(5)가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지고, 이 지지 스터드(5)의 일측에 바탕재 석고보드(6)와 마감재 석고보드(7)가 2장 설치된다. 방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글라스 울과 같은 흡음제(8)를 채워넣은 다음 상기 지지 스터드(5)의 타측에 다시 바탕재 석고보드(6)와 마감재 석고보드(7) 2장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천장 슬라브(1)에는 일정한 길이로 된 다수개의 천장 달대(9)가 설치되고, 이 천장 달대(9)의 하단에는 캐링 찬넬(C/C)과 같은 상단 지지바(10)가 장착된다. 이 상단 지지바(10)에는 엠바(M/Bar)와 같은 하단 지지바(11)가 상기 상단 지지바(10)와 상호 직교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거대한 바둑판과 같은 격자 구조를 구성한다. 이 하단 지지바(11)에 천장 텍스(12)가 나사 결합되고, 이 천장 텍스(12)가 상기 칸막이 벽체의 마감재 석고보드(7)에 테두리 몰딩(13)을 매개로 고정 결합되면 고정식 칸막이 벽체 및 천장 공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는 천장 슬라브(1)로부터 바닥 슬라브(2)까지 전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해체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 고정식 칸막이 벽체는 주요 공정(Critical path)으로서 천장 및 바닥 공사를 하기 이전에 먼저 설치되었고, 그 후에 천장이나 바닥 구조물이 칸막이 벽체에 결합 고정되었다. 따라서, 천장 텍스와 같이 단위 공장을 확장하더라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천장 구조물도 고정식 칸막이 벽체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같이 파손되어 천장 공사를 다시 해야만 하였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바닥 슬라브(2) 상에 플로어 패널과 같은 바닥 구조물이 설치된 경우에도 칸막이 벽체의 해체 과정에서 함께 파손되어 상당 부분을 폐기 처분하여야 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가 가진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지식산업센터에서 칸막이 벽체 제거를 요청하는 경우에 그 대응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칸막이 벽체를 천장 텍스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이를 상하부 커플러를 통해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진 가변형 칸막이 벽체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는, 천장 슬라브에 장착된 상부 러너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 슬라브에 매달린 천장 달대에 의해 고정되는 천장 텍스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하향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부 스터드와, 이 상부 스터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를 포함하는 상부 칸막이 벽체; 바닥 슬라브에 장착된 하부 러너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 슬라브에 매달린 천장 달대에 의해 고정되는 천장 텍스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 스터드와, 이 하부 스터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를 포함하는 하부 칸막이 벽체;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중간 러너; 및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의 하단과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의 상단이 고정 결합되고, 양측으로 상기 천장 텍스가 고정되는 상하부 커플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커플러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그 하부에 상기 하부 스터드의 상단이 고정 결합되고, 그 상부에 상기 중간 러너가 안착 고정되는 수평 베이스부와, 이 수평 베이스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천장 텍스가 안착 고정되는 텍스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 커플러는, 상기 하부 스터드가 결합될 위치에 장착되는 마감용 천장 텍스 또는 마감용 커버를 양측에서 안착 고정시켜 주는 하부 결합부가 상기 수평 베이스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 커플러는, 상기 수평 베이스부와 상기 텍스 결합부 사이에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를 따라 마이너스 몰딩 공간을 만들어주는 몰딩 형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는, 상기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의 사이 공간에 상부 흡음재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는, 상기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의 사이 공간에 하부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는, 상기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 안쪽에 하부 바탕재 석고보드가 추가로 설치되어 이중 석고보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달대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상단 지지바가 장착되고, 상기 상단 지지바에는 다수개의 하단 지지바가 상기 상단 지지바와 상호 교차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격자 구조의 천장 지지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 지지바에 상기 천장 텍스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달대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상단 지지바가 장착되고, 상기 상단 지지바에는 다수개의 하단 지지바가 상기 상단 지지바와 상호 교차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격자 구조의 천장 지지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 지지바에 상기 천장 텍스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바는 상기 상하부 커플러의 수평 베이스부에 안착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에 따르면, 지식산업센터 건물에서 2개 이상의 단위 공장을 확장하고자 하는 때에, 가변형 칸막이 벽체 중에서 천장 텍스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칸막이 벽체만을 해체하면 되므로 전체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던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에 비해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식산업센터의 칸막이 벽체 해체 요청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천장 텍스가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와는 별개로 상하부 커플러에 안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칸막이 벽체를 해체하더라도 천장 텍스는 파손되지 않아 천장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장 텍스를 기준으로 상부 칸막이 벽체와 하부 칸막이 벽체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지식산업센터에서 단위 공장을 시공할 때 상부 칸막이 벽체와 천정 텍스를 설치하는 공사만을 진행한 다음, 지식재산센터의 임대/분양이 완료된 후에 칸막이 벽체가 필요한 위치에만 하부 칸막이 벽체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칸막이 벽체를 별도로 해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에 칸막이 벽체를 해체하는데 소요된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커플러라는 시공 자재가 추가로 들어가는 대신에 방음의 필요성이 낮은 상부 칸막이 벽체의 석고보드 갯수를 줄이고, 천장 텍스를 고정시키는 상단 지지바를 상하부 커플러에 결합시켜 그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상단 지지바의 설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에 비해 시공비 자체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지지체로서 상하부 커플러를 사용함에 있어서 중간 러너를 이용하여 상부 칸막이 벽체, 하부 칸막이 벽체 및 천장 텍스가 여유 간격을 두고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벽체의 수직도와 천장의 수평도를 동시에 맞출 필요가 없어져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고정형 칸막이 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의 또 다른 부분 확대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천장 텍스를 기준으로 상부 칸막이 벽체와 하부 칸막이 벽체를 분리하고 이를 상하부 커플러를 이용해 결합 설치함으로써, 필요한 경우에 천장 텍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칸막이 벽체만을 분리/해체하는 것만으로 칸막이 벽체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구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의 일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가변형 칸막이 벽체는 크게 상부 칸막이 벽체, 하부 칸막이 벽체, 상부 칸막이 벽체를 하단이 결합되는 중간 러너 및 이 중간 러너와 하부 칸막이 벽체를 결합시키는 상하부 커플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는, 천장 슬라브(1)에 장착된 상부 러너(20)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 슬라브(1)에 매달린 천장 달대(30)에 의해 고정되는 천장 텍스(33)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하향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부 스터드(21)와, 이 상부 스터드(21)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22,24)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는 천장 텍스의 위쪽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마감용 천장 텍스 또는 마감용 커버 등으로 상하부 커플러(40) 부분을 마감 처리한 경우에는 천장 텍스 아래의 주거 공간에서는 보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지식산업센터에서 단위 공장을 확장하더라도 이 상부 칸막이 벽체는 해체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스터드(21)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부 칸막이 벽체의 뼈대 역할을 하고, 상기 상부 스터드(21)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22,24)가 외부틀을 만들어준다. 이 상부 스터드(21)와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22,24)에 의해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에는 방음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글라스 울과 같은 상부 흡음재(23)가 충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에서는 벽체 전체 면적에 걸쳐 바탕재 석고보드와 마감재 석고보드의 2장이 덧대어진 이중 석고보드 구조로 만들어진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상부 칸막이 벽체는 천장 텍스에 의해 소음이 이미 한번 차단되기 때문에 높은 방음 성능을 가질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벽체로서의 높은 지지력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의 석고보드를 1장으로 된 단일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이는 시공비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는 바닥 슬라브(2)에 장착된 하부 러너(50)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 슬라브(1)에 매달린 천장 달대(30)에 의해 고정되는 천장 텍스(33)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 스터드(51)와, 이 하부 스터드(51)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53,56)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스터드(51)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하부 칸막이 벽체의 뼈대 역할을 하고, 상기 하부 스터드(51)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53,56)가 외부틀을 만들어준다.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는 천장 텍스의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상부 칸막이 벽체에 비해 더욱 높은 방음 성능이나 구조적 지지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 스터드(51)를 상부 스터드(21)에 비해 규격(너비)이 더 큰 것을 사용하고,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의 석고보드를 상기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53,56)의 안쪽에 하부 바탕재 석고보드(52,55)를 추가로 설치한 이중 석고보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더욱 높은 구조적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하부 스터드(51)와 하부 바탕재 석고보드(52,55)에 의해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에는 방음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글라스 울과 같은 하부 흡음재(54)가 충진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 커플러(40)는 상부 칸막이 벽체의 하단과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의 상단이 고정 결합되고, 양측으로 상기 천장 텍스(33)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중간 지지체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상기 상하부 커플러(40)는 상부 칸막이 벽체의 하단이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 러너(47)를 매개로 간접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중간 러너(47)를 사용함으로써 상부 칸막이 벽체를 설치할 때에 천장 슬라브(1)로부터의 수직만을 맞추어 시공하면 되도록 해준다. 상기 중간 러너(47)는 아직 하부 칸막이 벽체와도 결합되지 않았고, 천장 텍스(33)와도 결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설치 시의 자유도가 높다. 따라서, 상부 칸막이 벽체를 천장 슬라브(1)로부터의 수평만을 맞추어 설치한 다음 그 하단에 상기 중간 러너(47)를 결합시키면 된다.
상기 상하부 커플러(40)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그 하부에 상기 하부 스터드(51)의 상단이 고정 결합되고 그 상부에 상기 중간 러너(47)가 안착 고정되는 수평 베이스부(41)와, 이 수평 베이스부(41)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천장 텍스(33)가 안착 고정되는 텍스 결합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베이스부(41)는 일정한 폭을 갖는 수평 부분과 양측 부분이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엎어 놓은 "ㄷ" 형태를 이룬다. 그 결과, 수평 베이스부(41)의 하부 공간에 상기 하부 스터드(51)가 끼움 결합된 다음 고정 나사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간 러너(47)는 상기 수평 베이스부(41)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위쪽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2개의 날개부가 상기 상부 스터드(21)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 결과, 중간 러너(47)의 사이 공간에 상기 상부 스터드(21)가 끼움 결합된 다음 고정 나사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부 스터드(21)가 결합된 중간 러너(47)는 고정 볼트(48) 등을 매개로 상기 수평 베이스부(41)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결합 설치된다.
이 때, 상술한 중간 러너(47)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와 하부 칸막이 벽체의 수직이 조금 맞지 않은 경우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왜냐하면, 벽체의 수직이 맞지 않아 중간 러너(47)의 하부면과 수평 베이스부(41)이 상부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도 고정 볼트(48)에 의해 충분히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와 천장 텍스가 설치되는 상단 지지바(31)의 수평이 조금 맞지 않은 경우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왜냐하면, 천장의 수평이 맞지 않아 중간 러너(47)가 결합된 수평 베이스부(41)의 상부면과 상단 지지바(31)의 하부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도 고정 볼트(미도시)에 의해 충분히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과 같이 2개의 분리된 부재(중간 러너, 상하부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부 칸막이 벽체와 하부 칸막이 벽체 및 천장 텍스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구조체의 수직,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에 비해, 하나의 부재(상하부 커플러)만을 이용하여 상부 칸막이 벽체와 하부 칸막이 벽체 및 천장 텍스를 모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벽체의 수직과 천장의 수평을 동시에 맞추어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다소 어려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텍스 결합부(45)는 상기 수평 베이스부(41)의 양측의 절곡된 부분에서부터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그 결과 형성되는 수평한 안착면 상에 판재 형태로 된 상기 천장 텍스(33)의 일부분이 안착된 다음 고정 나사 등으로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상하부 커플러(40)는 위쪽으로는 천장 슬라브(1)에 결합된 상부 칸막이 벽체가 결합되고, 아래쪽으로는 바닥 슬라브(2)에 결합된 하부 칸막이 벽체가 결합되며, 양쪽으로는 천장 슬라브(1)에 매달린 천장 달대(30)에 의해 고정되는 천장 텍스(33)가 안착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벽체가 그 기능을 발휘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하부 커플러(40)는 평소에 상부 칸막이 벽체와 하부 칸막이 벽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상부 스터드(21) 및 하부 스터드(51)와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가 하나의 뼈대로 구성될 때와 비교해서도 뒤떨어지지 않는 구조적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반면, 상하부 커플러(40)는 상부 칸막이 벽체와 하부 칸막이 벽체가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칸막이 벽체를 제거해야할 경우에도 하부 칸막이 벽체만을 해체하면 되므로 공사를 훨씬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하부 커플러(40)는 하부 칸막이 벽체가 결합되는 수평 베이스부(41)와 천장 텍스(33)가 안착 고정되는 텍스 결합부(45)를 상호 이격되게 별도로 구성하여 하부 칸막이 벽체와 천장 텍스가 직접 결합되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하부 칸막이 벽체를 해체하더라도 인접한 천장 텍스가 파손되지 않도록 해준다. 그 결과, 종래에 고정식 칸막이 벽체를 해체할 때 인접한 천장 텍스도 함께 파손되어 천장 공사를 다시 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해준다.
상하부 커플러(40)는 몇 가지 부가적인 기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하부 커플러(40)는 상기 하부 스터드(51)가 결합될 위치에 장착되는 마감용 천장 텍스 또는 마감용 커버를 양측에서 안착 고정시켜 주는 하부 결합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하부 결합부(43)는 상기 수평 베이스부(41)의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된 양 측단부에서 안쪽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하부 결합부(43)는 하부 칸막이 벽체가 해체된 이후에 상하부 커플러(40)의 하부를 마감 처리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 작용한다. 하부 결합부(43)를 이용한 마감 처리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하부 커플러(40)는 상기 수평 베이스부(41)와 상기 텍스 결합부(45) 사이에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를 따라 마이너스 몰딩 공간(46)을 만들어주는 몰딩 형성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몰딩 형성부(44)는 상기 수평 베이스부(41)의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된 양 측단부에서 바깥쪽으로 "ㄱ" 자 형태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다.
그 결과, 수평 베이스부(41)의 양 측단부와의 사이에 마이너스 몰딩 공간(46)을 형성한다. 마이너스 몰딩이란 천장 텍스(33)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더 위쪽으로 오목하게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별도의 몰딩 부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벽체와 천장 텍스(33)가 맞닿는 부분을 마감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커플러(40)에 몰딩 형성부(44)를 마련함으로써, 더욱 간편하게 마이너스 몰딩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하부 커플러(40)를 압축 공정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하부 커플러(40)는 수평 베이스부(41), 하부 결합부(43), 몰딩 형성부(44) 및 텍스 결합부(45)가 형성된 모울드를 통해 금속 소재를 강하게 압출시킴으로써 하나의 몸체로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하부 커플러(40)는 상부 칸막이 벽체와 하부 칸막이 벽체를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는 한편, 간단한 제조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천장 텍스(33)를 설치하는 천장 공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인 상하부 커플러(40)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천장 공사는 먼저 상기 천장 슬라브(1)에 다수개의 천장 달대(30)가 일정 간격으로 매달리도록 고정 설치된다. 이 천장 달대(30)의 하단에는 스퀘어 바와 같은 다수개의 상단 지지바(31)가 장착되고, 상기 상단 지지바(31)에는 엠 바(M/Bar)와 같은 다수개의 하단 지지바(32)가 상기 상단 지지바(31)와 상호 직교하도록 교차 설치되어 격자 구조의 천장 지지체를 형성한다. 이 하단 지지바(32)에 상기 천장 텍스(33)가 고정 설치된다. 이 천장 텍스(33)가 상기한 상하부 커플러(40)의 양측에 마련된 텍스 결합부(45)에 안착 고정되면 천장 공사는 마무리된다.
이 때, 상기 상단 지지바(31)는 상기 상하부 커플러(40)의 수평 베이스부(41)에 안착되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단 지지바(31)의 고정 지지력이 크게 향상되므로, 각각의 상단 지지바(31)의 설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에 따르면, 상단 지지바(10)가 벽체에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허공에 떠 있게 되므로 지지력이 약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단 지지바(10)의 설치 간격을 900mm 간격으로 하여야만 구조적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 지지바(31)가 상하부 커플러(40)의 수평 베이스부(41) 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높은 구조적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상단 지지바(10)의 설치 간격을 1200mm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단 지지바(31)의 제조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 지지바(31)의 갯수 감소를 통한 공사 비용 절감은 상술한 상부 칸막이 벽체에서 석고보드를 1장만 사용하는 것을 통한 공사 비용 절감과 함께 종래의 고정식 칸막이 벽체와 비교하여 전체 시공비 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부 칸막이 벽체를 해체한 경우에 사용되는 2 가지 마감처리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하부 칸막이 벽체를 해체하면 상하부 커플러(40)의 수평 베이스부(41)의 하부가 비워지게 된다. 이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상하부 커플러(40)가 그대로 천장 텍스 사이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공사를 하다가 만 듯한 나쁜 이미지를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 베이스부(41)의 하부에 마감용 천장 텍스(34)가 끼워지고, 이 마감용 천장 텍스(34)의 양측 일부분은 상하부 커플러(40)의 하부 결합부(43) 상에 고정 나사(35)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그 결과, 하부 칸막이 벽체가 해체된 경우에도 천장 텍스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형태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감용 천장 텍스(34)와 일반 천장 텍스(33) 사이에 마이너스 몰딩 공간(46)이 형성되어 별도의 몰딩 처리를 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하부 칸막이 벽체가 해체된 자리에 마감용 커버(36)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마감용 커버(36)는 천장 텍스(33) 사이에 일렬로 길게 설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인테리어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마감용 커버(36)와 일반 천장 텍스(33) 사이에 마이너스 몰딩 공간(46)이 형성되어 별도의 몰딩 처리를 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천장 슬라브 2: 바닥 슬라브
20: 상부 러너 21: 상부 스터드
22: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 23: 상부 흡음제
24: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 30: 천장 달대
31: 상단 지지바 32: 하단 연결바
33: 천장 텍스 34: 마감용 천장 텍스
35: 고정 나사 36: 마감용 커버
40: 상하부 커플러 41: 수평 베이스부
42: 상부 결합부 43: 하부 결합부
44: 몰딩 형성부 45: 텍스 결합부
46: 마이너스 몰딩 공간 47: 중간 러너
48: 고정 볼트 50: 하부 러너
51: 하부 스터드 52,55: 하부 바탕재 석고보드
54: 하부 흡음제 53,56: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

Claims (9)

  1. 천장 슬라브에 장착된 상부 러너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 슬라브에 매달린 천장 달대에 의해 고정되는 천장 텍스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하향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부 스터드와, 이 상부 스터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를 포함하는 상부 칸막이 벽체;
    바닥 슬라브에 장착된 하부 러너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 슬라브에 매달린 천장 달대에 의해 고정되는 천장 텍스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 스터드와, 이 하부 스터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를 포함하는 하부 칸막이 벽체;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중간 러너; 및
    상기 중간 러너가 안착 고정되고,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의 상단이 고정 결합되며, 양측으로 상기 천장 텍스가 고정되는 상하부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커플러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그 하부에 상기 하부 스터드의 상단이 고정 결합되고 그 상부에 상기 중간 러너가 안착 고정되는 수평 베이스부와, 이 수평 베이스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천장 텍스가 안착 고정되는 텍스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베이스부와 상기 텍스 결합부 사이에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를 따라 마이너스 몰딩 공간을 만들어주는 몰딩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 형성부는 상기 수평 베이스부의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된 양 측단부에서 바깥쪽으로 "ㄱ"자 형태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 베이스부, 상기 몰딩 형성부 및 상기 텍스 결합부는 하나의 몸체로 제조되며,
    상기 천장 달대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상단 지지바가 장착되고, 상기 상단 지지바에는 다수개의 하단 지지바가 상기 상단 지지바와 상호 교차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격자 구조의 천장 지지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 지지바에 상기 천장 텍스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바는 상기 상하부 커플러의 수평 베이스부에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커플러는, 상기 하부 스터드가 결합될 위치에 장착되는 마감용 천장 텍스 또는 마감용 커버를 양측에서 안착 고정시켜주는 하부 결합부가 상기 수평 베이스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벽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칸막이 벽체는, 상기 상부 마감재 석고보드의 사이 공간에 상부 흡음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는, 상기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의 사이 공간에 하부 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칸막이 벽체는, 상기 하부 마감재 석고보드 안쪽에 하부 바탕재 석고보드가 추가로 설치되어 이중 석고보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 벽체.
  8. 삭제
  9. 삭제
KR1020160051560A 2016-04-27 2016-04-27 가변형 칸막이 벽체 KR10179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60A KR101794720B1 (ko) 2016-04-27 2016-04-27 가변형 칸막이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60A KR101794720B1 (ko) 2016-04-27 2016-04-27 가변형 칸막이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09A KR20170122509A (ko) 2017-11-06
KR101794720B1 true KR101794720B1 (ko) 2017-11-07

Family

ID=6038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560A KR101794720B1 (ko) 2016-04-27 2016-04-27 가변형 칸막이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868A (ko) 2020-12-15 2022-06-23 광건티앤씨(주) 결속 보강구조의 슬래브 연결형 칸막이 벽체
KR20220085869A (ko) 2020-12-15 2022-06-23 광건티앤씨(주) 상측 보강구조의 슬래브 연결형 칸막이 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6477B (zh) * 2018-11-08 2024-04-19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灯槽系统
CN114293701A (zh) * 2021-12-20 2022-04-08 广东中特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装修工程施工用安装结构及施工方法
CN115434471A (zh) * 2022-08-19 2022-12-06 鑫源建设科技有限责任公司 轻钢龙骨石膏板吊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999A (ja) * 1999-06-16 2000-12-26 Taisei Corp 間仕切構造
KR200241343Y1 (ko) * 2001-04-14 2001-10-11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식 칸막이 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999A (ja) * 1999-06-16 2000-12-26 Taisei Corp 間仕切構造
KR200241343Y1 (ko) * 2001-04-14 2001-10-11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식 칸막이 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868A (ko) 2020-12-15 2022-06-23 광건티앤씨(주) 결속 보강구조의 슬래브 연결형 칸막이 벽체
KR20220085869A (ko) 2020-12-15 2022-06-23 광건티앤씨(주) 상측 보강구조의 슬래브 연결형 칸막이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09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720B1 (ko) 가변형 칸막이 벽체
KR101794718B1 (ko) 가변형 칸막이 벽체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MX2007005093A (es) Sistema de pared de hueco auto-centrado.
KR101174115B1 (ko) 조립식 파티션
JP2017214739A (ja) 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23155491A (ja) コーナ部材
KR101196031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KR20220085869A (ko) 상측 보강구조의 슬래브 연결형 칸막이 벽체
JP6770829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壁パネルの接合構造並びに接合方法
JP2003206583A (ja) 出窓付壁面パネル体および壁面構造体
KR101424604B1 (ko) 벽체 가구 시스템
JP7355626B2 (ja) 建築物
JP6392695B2 (ja) 衛生設備ユニット
KR102485934B1 (ko) 결속 보강구조의 슬래브 연결형 칸막이 벽체
KR102661116B1 (ko) 설치가 간편한 우물천장 조립체
JP5830912B2 (ja) 集合住宅、及びその施工方法
JP3183701U (ja) 店舗用建物
JP5970306B2 (ja) 建物
JP6371212B2 (ja) 外壁材保持ブラケット及びユニット式建物
JP6898129B2 (ja) 外廊下の手摺及び建物
JP2005264610A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H028036Y2 (ko)
JP5750026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H0640760Y2 (ja) 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