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856B1 -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 Google Patents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856B1
KR101792856B1 KR1020160067946A KR20160067946A KR101792856B1 KR 101792856 B1 KR101792856 B1 KR 101792856B1 KR 1020160067946 A KR1020160067946 A KR 1020160067946A KR 20160067946 A KR20160067946 A KR 20160067946A KR 101792856 B1 KR101792856 B1 KR 101792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evice
ventilation pipe
rainwater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현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가 개시된다.
이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는 통풍관의 단부에 조립되는 하측 개구와 빗물이 유입되는 상측 개구를 갖는 바디와, 빗물을 통풍관의 외경측으로 안내하도록 바디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개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HOOD VENTILATOR HAV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객선이나 화물선 등과 같은 대형 선박에는 선원들의 활동을 위한 활동공간이나 화물 등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과 함께, 선박 내 공간의 공기정화를 위한 환풍장치가 설치된다.
선박의 환풍장치 중에서, 머쉬룸 벤틸레이터(mushroom ventilator)는 선박 내부의 벤트(vent)와 연결되도록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어, 선박 내부 공간의 공기정화를 위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선박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선박 내부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한편, 해수나 빗물 등이 선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머쉬룸 벤틸레이터는 벤트와 연통되도록 선박의 갑판에 고정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코밍(coaming)과, 코밍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과,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샤프트가 승하강되면서 코밍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수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머쉬룸 벤틸레이터의 경우, 해수나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의 배출 방향이 아래를 향하도록 설계되는데, 머쉬룸 벤틸레이터의 아래 방향으로 배출된 가스는, 벤틸레이터의 주변으로 확산되어 잔존할 수 있으므로, 벤틸레이터 주변에 위치한 인원들에게 불쾌감 및 두통을 유발시킬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0724호(2010. 11. 02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풍관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상방향으로 안내하여 선박 내 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는, 통풍관의 단부에 조립되는 하측 개구와, 빗물이 유입되는 상측 개구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빗물을 상기 통풍관의 외경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하측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개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빗물 내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상측 개구에 설치되는 스크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통풍관의 단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빗물을 상기 통풍관의 외경측으로 안내하는 상측 경사면과, 상기 통풍관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측으로 안내하는 하측 경사면을 갖는 본체; 및 상기 개폐장치의 최대 외경이 상기 통풍관의 단부 외경보다 크도록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부에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하측 개구에는 상기 통풍관의 단부 외경면과의 이격 공간으로 상기 빗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통풍관의 단부 외경면 사이에 다수개의 바디 가스켓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바디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상기 바디의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개폐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는 가이드편; 상,하부가 상기 바디 및 상기 통풍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장치가 승강되도록 상기 개폐장치가 나사 결합되는 승강샤프트; 및 상기 승강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관에는 베어링을 통해 상기 승강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풍관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상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가스의 하방향 배출로 인한 선박 내 가스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빗물을 통풍관의 외측으로 유도함으로써, 빗물의 통풍관 내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10)는, 선박 내 가스(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 간 원활한 통풍을 위해, 선박의 갑판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통풍관(20)에 설치되되, 통풍관(20)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상방향으로 안내하고, 빗물을 통풍관(20)의 외경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후드 벤틸레이터(10)는 바디(100), 개폐장치(200), 스크린 부재(300) 및 승강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통풍관(20)의 단부에 조립되는 하우징으로, 바디(100)의 하부에는 선박 내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하측 개구(110)가 마련될 수 있고, 바디(100)의 상부에는 빗물 및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상측 개구(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0)의 하측 개구(110)에는 통풍관(20)의 단부 외경면 사이로 빗물이 배출되는 빗물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측 개구(110)는 다수개의 바디 가스켓(130)을 통해 통풍관(20)의 단부 외경면에 결합되는데, 다수개의 바디 가스켓(130)이 통풍관(20)의 단부 외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이들 바디 가스켓(130) 간 이격 공간은 빗물의 빗물유로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바디(100)의 상측 개구(120)에는 통풍관(20)의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풍관(20)에서 배출된 가스는 바디(100)의 내측벽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측 개구(120)의 가스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개폐장치(200)는 통풍관(20)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상방향으로 안내하면서, 빗물을 통풍관(20)의 외경측으로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구조체로, 바디(100)의 내부공간(201)에 설치되는 상하 원뿔형 형태의 본체(210)와, 본체(210)의 가장자리부에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210)의 상부에는 빗물을 통풍관(20)의 외경측으로 안내하는 상측 경사면(211)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210)의 하부에는 통풍관(20)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바디(100)의 가장자리측으로 안내하는 하측 경사면(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210)의 중심 가장자리부에는 연장 프레임(220)이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연장 프레임(220)은 개폐장치(200)의 최대 외경이 통풍관(20)의 단부 외경보다 크게 설계되므로, 바디(100)의 상측 개구(120)를 통해 유입된 빗물은 연장 프레임(220)에 의해 통풍관(20)의 내부로 유입없이, 통풍관(20)의 외경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스크린 부재(300)는 바디(100)의 상측 개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 상측 개구(12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측 개구(1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승강수단(400)은 개폐장치(200)에 의해 통풍관(20)의 단부가 개폐되도록 개폐장치(2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승강수단(400)은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서 바디(10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 브라켓(410)과, 개폐장치(200)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어 가이드 브라켓(410)을 따라 바디(100)의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편(420)과, 회전에 의해 개폐장치(200)가 승강되도록 개폐장치(200)가 나사 결합되는 승강샤프트(430)와, 승강샤프트(430)를 회전시키기 위해 승강샤프트(430)의 상단에 연결되는 핸들(4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샤프트(430)의 상,하부는 바디(100) 및 통풍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통풍관(20)에는 베어링(450)을 통해 승강샤프트(4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46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핸들(440)을 일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440)의 회전에 의해 승강샤프트(430)가 일방향으로 스핀하게 되고, 이때, 개폐장치(200)는 승강샤프트(430)의 스핀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410)을 따라 바디(100)의 하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바디(100)의 하측 개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도 4 참고). 이에 반해, 작업자가 핸들(440)을 타방향(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440)의 회전에 의해 승강샤프트(430)가 타방향으로 스핀하게 되고, 이때, 개폐장치(200)는 승강샤프트(430)의 스핀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410)을 따라 바디(100)의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바디(100)의 하측 개구(110)를 오픈할 수 있다(도 1 참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하측 개구(110)가 오픈된 상태의 경우, 통풍관(20)에서 배출된 가스는 바디(100)의 내측벽 및 본체(210)의 하측 경사면(212)을 따라 바디(100)의 상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측 개구(120)의 스크린 부재(3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0)의 상측 개구(120)로 유입된 빗물은 스크린 부재(300)를 통과하여, 바디(100)의 내측벽 및 본체(210)의 상측 경사면(211)을 따라 바디(100)의 하방향으로 이동된 후, 바디(100)의 하측 개구(110)와 통풍관(20)의 단부 외경면 사이의 공간, 다시 말해, 바디 가스켓(130) 간 이격 공간을 통해 통풍관(2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440)을 일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440)의 회전에 의해 승강샤프트(430)가 일방향으로 스핀하게 되고, 이때, 개폐장치(200)는 승강샤프트(430)의 스핀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410)을 따라 바디(100)의 하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바디(100)의 하측 개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
바디(100)의 하측 개구(110)가 닫힌 상태의 경우, 통풍관(20) 내 가스는 개폐장치(200)에 의해 통풍관(20)에서 배출되지 못하지만, 빗물은 스크린 부재(300)를 통과 후, 바디(100)의 내측벽 및 본체(210)의 상측 경사면(211)을 따라 바디(100)의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바디 가스켓(130) 간 이격 공간을 통해 통풍관(2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핸들(440)을 타방향(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440)의 회전에 의해 승강샤프트(430)가 타방향으로 스핀하게 되고, 개폐장치(200)는 승강샤프트(430)의 스핀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410)을 따라 바디(100)의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바디(100)의 하측 개구(110)를 오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풍관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상방향으로 안내하여, 가스의 하방향 배출로 인한 선박 내 가스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빗물을 통풍관의 외측으로 유도하여, 빗물의 통풍관 내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10: 하측 개구
120: 상측 개구 130: 바디 가스켓
200: 개폐장치 210: 본체
220: 연장 프레임 300: 스크린 부재
400: 승강수단 410: 가이드 브라켓
420: 가이드편 430: 승강샤프트
440: 핸들 450: 지지 브라켓

Claims (7)

  1. 통풍관의 단부에 조립되는 하측 개구와, 빗물이 유입되는 상측 개구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빗물을 상기 통풍관의 외경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하측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개폐장치;
    상기 빗물 내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상측 개구에 설치되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통풍관의 단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빗물을 상기 통풍관의 외경측으로 안내하는 상측 경사면과, 상기 통풍관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측으로 안내하는 하측 경사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개폐장치의 최대 외경이 상기 통풍관의 단부 외경보다 크도록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부에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하측 개구에는
    상기 통풍관의 단부 외경면과의 이격 공간으로 상기 빗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통풍관의 단부 외경면 사이에 다수개의 바디 가스켓이 이격 배치되는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바디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상기 바디의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개폐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는 가이드편;
    상,하부가 상기 바디 및 상기 통풍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장치가 승강되도록 상기 개폐장치가 나사 결합되는 승강샤프트; 및
    상기 승강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관에는
    베어링을 통해 상기 승강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이 마련되는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KR1020160067946A 2016-06-01 2016-06-01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KR101792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946A KR101792856B1 (ko) 2016-06-01 2016-06-01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946A KR101792856B1 (ko) 2016-06-01 2016-06-01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856B1 true KR101792856B1 (ko) 2017-11-01

Family

ID=6038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946A KR101792856B1 (ko) 2016-06-01 2016-06-01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8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97B1 (ko) * 2008-02-15 2011-02-14 (주)대성마린텍 머쉬룸 벤틸레이터
KR101158808B1 (ko) * 2010-03-29 2012-06-26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루프 환기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97B1 (ko) * 2008-02-15 2011-02-14 (주)대성마린텍 머쉬룸 벤틸레이터
KR101158808B1 (ko) * 2010-03-29 2012-06-26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루프 환기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52924A1 (en) Shrouded roof vent for a vehicle
KR20110128186A (ko) 위생 하수관 시스템의 통기 밸브를 위한 밀폐 및 밀봉 수단
KR20140011457A (ko) 선박의 외기 유입 개폐장치
KR200478332Y1 (ko) 양흡입 에어 벤트 밸브
CA2496512C (fr) Simulateur de vol en chute libre
US20190249439A1 (en) Vent and flashing system
KR101792856B1 (ko) 개폐장치를 갖는 후드 벤틸레이터
CN207350666U (zh) 零能耗自然风负压抽吸排气装置
CN206984290U (zh) 一种船用消音通风筒
KR200460355Y1 (ko) 선박용 머쉬룸 벤트
KR20130010951A (ko) 건물의 환기장치
CN109132799A (zh) 一种电梯空气控制流通装置
KR101964194B1 (ko) 선박
KR100532023B1 (ko) 공동주택용 환기장치
CN205448153U (zh) 双向风道装置
CN207111489U (zh) 一种出风孔上设有密封门的屋顶通风机
JP6241876B2 (ja) 地下構造物
DE10247102A1 (de) Luftabzug mit sich schrägstellender Haube
CN110254682A (zh) 一种船及船用防浪滤水通风装置
CN104180501B (zh) 一种固定叶片式低风阻风管雨罩
JP3153907U (ja) テント側面換気口の換気構造
US3078781A (en) Ventilator
KR200194375Y1 (ko)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102623118B1 (ko)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KR101286656B1 (ko) 원뿔형 개폐판에 의하여 공기 흡입시의 소음 저감구조를 가지는 공기흡입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