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375Y1 -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 Google Patents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375Y1
KR200194375Y1 KR2020000009669U KR20000009669U KR200194375Y1 KR 200194375 Y1 KR200194375 Y1 KR 200194375Y1 KR 2020000009669 U KR2020000009669 U KR 2020000009669U KR 20000009669 U KR20000009669 U KR 20000009669U KR 200194375 Y1 KR200194375 Y1 KR 200194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closing
open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태기
Original Assignee
김차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곤 filed Critical 김차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3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풍구의 개폐가 가능한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하로 개방되어 상부에 송풍구(12)를 형성한 본체(10)의 외주면에 동일한 높이로 된 수 개의 가림판지지대(20)를 설치하여 이 가림판지지대(20) 상부에 가림판(30)을 결합하고 본체(10) 내부에는 횡으로 모우터지지대(50)를 설치하여 송풍날개(70)를 회전시키는 모우터(60)를 모우터지지대(50)위에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환풍기에 있어서, 가림판(30)의 중심부에서 수직 하향으로 안내봉(32)을 설치하여 얇은 판형으로 된 승강개폐판(40)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42)을 상기 안내봉(32)에 끼워서 본체(10) 상단부에 탄력성 소재로 된 완충부(14)위에 상기의 승강개폐판(40)이 얹혀지게 하므로서 송풍날개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한 풍력으로 본체 상부의 송풍구를 막고 있는 승강개폐판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환풍기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환풍기의 송풍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환풍기를 통해 자연광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건물내부의 조명숫자를 줄여 전기세를 줄임으로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Ventilation fan with rise and fall and opening and shutting board}
본 고안은 송풍구의 개폐가 가능한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와 이 본체 내부로의 빗물등의 유입을 막기위해 본체 상부에 설치되는 가림판 사이에 승강개폐판을 설치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우터의 송풍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풍력으로 본체의 송풍구를 덮는 승강개폐판을 승강시켜 송풍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주로 공장 건물이나 비닐하우스등의 천정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환풍기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의 본체 내부에 모우터를 설치하여 이 모우터로 송풍날개를 회전시키므로서 건물 내부의 공기를 본체 상부에 형성된 송풍구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본체의 상부에는 본체에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본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가림판을 설치하여 이 가림판이 송풍구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하므로서 공기의 출입을 위한 송풍구를 통해 빗물이나 눈, 기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환풍기는 본체 상부에 지지대로서 설치되는 가림판의 크기가 송풍구를 가릴 정도의 크기로 제작 되며 원활한 환기를 위하여 본체와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기때문에 많은 비가 올 경우 가림판과 본체간의 틈새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어 이 빗물이 송풍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므로서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우터가 빗물에 의해 고장나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발생할 뿐 만 아니라 곤충이나 기타 이물질등의 유입이 자유롭기 때문에 건물 내부가 쉽게 오염되며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작물 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의 경우 송풍구가 항상 개방되어 있기때문에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한 것으로 본체에 지지대로 설치되는 가림판의 중심부에 수직 하향으로 으로 안내봉을 설치하고 이 안내봉에 승강개폐판의 통공을 끼워 본체 상부의 송풍구를 덮을 수 있도록 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우터를 회전시키면 모우터에 설치된 송풍날개가 풍력을 발생시켜 본체 상부의 송풍구를 덮어서 막고 있는 승강개폐판을 풍력으로 승강시키므로서 송풍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승강개폐판이 회전날개의 풍력에 의해 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승강개폐판이 송풍구를 막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송풍구
14 : 완충부 20 : 가림판지지대
30 : 가림판 32 : 안내봉
40 : 승강개폐판 42 : 통공
50 : 모우터지지대 60 : 모우터
70 : 송풍날개
상·하로 개방되어 상부에 송풍구(12)를 형성한 본체(10)의 외주면에 동일한 높이로 된 수 개의 가림판지지대(20)를 설치하여 이 가림판지지대(20) 상부에 가림판(30)을 결합하고 본체(10) 내부에는 횡으로 모우터지지대(50)를 설치하여 송풍날개(70)를 회전시키는 모우터(60)를 모우터지지대(50)위에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환풍기에 있어서, 가림판(30)의 중심부에서 수직 하향으로 안내봉(32)을 설치하여 얇은 판형으로 된 승강개폐판(40)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42)을 상기 안내봉(32)에 끼워서 본체(10) 상단부에 탄력성 소재로 된 완충부(14)위에 상기의 승강개폐판(40)이 얹혀지게 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의 승강개폐판(40)은 합성수지재로 된 얇은 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환풍기가 설치된 건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환풍기의 모우터(60)를 작동시키면 모우터(60)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날개(70)가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키게 되며 이 바람에 의한 풍력이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본체(10) 상단부의 완충부(14)위에 얹혀져 본체(10)의 송풍구(12)를 막고있는 승강개폐판(40)의 아래에서 작용하여 얇은 판형으로 되어 중량이 가벼운 승강개폐판(40)을 위로 밀어올리게되는데 이때, 승강개폐판(40)은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42)이 가림판(30)의 중심부에서 수직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안내봉(32)에 끼워져 있기때문에 송풍날개(70)에서 발생한 풍력에 의해 위로 밀어올려질때 이 안내봉(32)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게 될 뿐 만 아니라 본체(10) 외주에 설치된 가림판지지대(20)가 승강개폐판(40)의 외부에서 가이드역활을 하기때문에 승강개폐판(40)이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송풍날개(70)에서 발생판 풍력에 의해 위로 밀어올려진 승강개폐판(40)은 본체(10) 상부에 설치된 가림판(30)의 저면에 밀착되어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상태가 유지되고 본체(10) 상부의 송풍구(12)는 완전히 개방되기 때문에 환풍기가 설치된 건물 내부의 공기는 송풍날개(70)에 회전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건물 내부의 환기가 완료되어 모우터(60)의 작동을 멈추게 되면 모우터(60)의 송풍날개(70)에서 발생한 풍력에 의해 밀어올려져 가림판(30) 저면에 밀착되어 있던 승강개폐판(40)이 모우터(60)의 작동정지에 의해 점점 약해지는 풍력때문에 아래로 서서히 하강하여 송풍날개(70)의 회전이 완전히 멈추는 시점에서는 본체(10) 상단부에 형성된 완충부(14)위에 완전히 안착되어 다시 본체(10)의 송풍구(12)를 밀폐시키게 되므로서 외부에서의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본체(10) 상부의 송풍구(12)를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완충부(14)는 탄력성 소재로 되어 얇은 판상의 승강개폐판(40)이 내려와 얹혀질 때의 충력을 흡수할 수 있기때문에 합성수지로 된 얇은 판 형상의 승강개폐판(40)이 하강하는 충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승강개폐판(40)을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면 환풍기의 모우터(70)가 작동하지 않아 본체(10)의 송풍구(12)를 막고있는 평상시에도 자연광이 투명한 재질인 승강개폐판(40)을 투과하여 건물 내부를 비칠 수 있기때문에 건물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을 숫자를 줄일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환풍기의 모우터에 설치된 송풍날개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한 풍력으로 인해 승강개폐판이 승강하여 본체 상부의 송풍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환풍기의 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환풍기의 송풍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상·하로 개방되어 상부에 송풍구(12)를 형성한 본체(10)의 외주면에 동일한 높이로 된 수 개의 가림판지지대(20)를 설치하여 이 가림판지지대(20) 상부에 가림판(30)을 결합하고 본체(10) 내부에는 횡으로 모우터지지대(50)를 설치하여 송풍날개(70)를 회전시키는 모우터(60)를 모우터지지대(50)위에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환풍기에 있어서, 가림판(30)의 중심부에서 수직 하향으로 안내봉(32)을 설치하여 얇은 판형으로 된 승강개폐판(40)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42)을 상기 안내봉(32)에 끼워서 본체(10) 상단부에 탄력성 소재로 된 완충부(14)위에 상기의 승강개폐판(40)이 얹혀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승강개폐판(40)은 합성수지재로 된 얇은 판 일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 기재의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2020000009669U 2000-04-06 2000-04-06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2001943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798A KR20010094251A (ko) 2000-04-06 2000-04-06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798A Division KR20010094251A (ko) 2000-04-06 2000-04-06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375Y1 true KR200194375Y1 (ko) 2000-09-01

Family

ID=196619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669U KR200194375Y1 (ko) 2000-04-06 2000-04-06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1020000017798A KR20010094251A (ko) 2000-04-06 2000-04-06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798A KR20010094251A (ko) 2000-04-06 2000-04-06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43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246B1 (ko) * 2008-12-29 2011-03-21 (주)동서그린산업 공기혼합기
CN103953995B (zh) * 2014-05-06 2016-08-24 余祥艮 一种组合式管道通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251A (ko)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4375Y1 (ko)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102182942B1 (ko) 천장용 환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실 환기 방법
KR200284636Y1 (ko)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101480415B1 (ko) 텐트 하우스
KR100667447B1 (ko) 도어 액츄에이터 수분유입방지장치
EP0050488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ventilators
KR102300469B1 (ko) 원심력, 풍력 및 중력을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환풍기 개폐장치
KR200494254Y1 (ko) 비닐하우스 환풍장치용 비닐고정장치
KR200415374Y1 (ko)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CN207229481U (zh) 一种带有防尘装置的屋顶通风机
KR102623118B1 (ko)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KR200375702Y1 (ko) 온실용 지붕 환풍기
KR200205399Y1 (ko) 개폐댐퍼내장형 원심벤틸레이터
CN218376214U (zh) 一种具有通风窗框的窗户
US3826183A (en) Motor-powered self-opening and closing ventilators
WO2018158970A1 (ja) 換気扇
KR101623921B1 (ko) 지붕 벤틸레이터
KR200208293Y1 (ko) 환기구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환풍기
KR200214093Y1 (ko) 항아리형 장독의 덮개
JP2003096988A (ja) 換気天窓装置
KR200387813Y1 (ko)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CN210267426U (zh) 一种新型抽油烟机风门
KR200367865Y1 (ko) 환풍기 개폐문
KR960004916Y1 (ko) 임펠러 환풍기
JPH09177445A (ja) 窓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