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118B1 -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118B1
KR102623118B1 KR1020200161679A KR20200161679A KR102623118B1 KR 102623118 B1 KR102623118 B1 KR 102623118B1 KR 1020200161679 A KR1020200161679 A KR 1020200161679A KR 20200161679 A KR20200161679 A KR 20200161679A KR 102623118 B1 KR102623118 B1 KR 10262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greenhouse
upward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528A (ko
Inventor
김진구
박석호
문종필
이충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61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1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10)의 천창에 설치되는 상부 환기 장치(100)로서, 하부가 개방되어 비닐하우스(10) 내측과 연통하며 비닐하우스(10) 내의 내기(B)가 유입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외기 유입부(13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140)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유입부(130)는, 상기 상부 환기 장치(100)를 향해 유동한 외기(A)를 상기 하우징(110) 내측으로 안내하되 상방으로 안내하여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굴곡진 유입 가이드(131); 및 상기 유입 가이드(13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연통되는 유입로(133)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로(133)는 유입홀(132)을 통해 상기 유입 가이드(131)와 연통되고 유출홀(134)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연통되며, 상기 유출홀(134)은 상방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외기(A)가 이를 통해 유출되면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형성된 상승기류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내에 유입된 내기(B)가 더 상승하게 되며, 상기 덮개(140)에는 상기 하우징(110) 내측으로 돌출된 유출홀 마개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유출홀 마개부(142)는 상기 덮개(140)의 폐쇄시 상기 유출홀(134)에 이르도록 돌출되어 있는, 상부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A ventilation device on the top of a greenhouse for natural ventilation}
본 발명은 농업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로서 자연환기를 위한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설재배에 사용되는 비닐하우스에서 내부 공기의 적절한 환기는 농작물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환기는 과도한 실내 온도 상승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실내외 온도를 교환하여 적절한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며, 일정한 기류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작물의 생육환경에 영향을 준다.
비닐하우스의 환기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한 강제환기와 그렇지 않은 자연환기로 나눌 수 있다. 강제환기에 이용되는 기계 장치로서 환기를 위한 개폐창과 팬 등이 있으며, 측창이나 천창에 이를 설치하여 운용하게 된다. 기계 장치를 이용한 강제환기는 환기 성능이 우수하지만, 기계 장치의 설치가 어렵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운용 및 점검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팬 운용에 따라 많은 전력을 사용하여 운용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영세하거나 노동력이 많지 않은 일반적인 농가에서는 주로 자연환기를 이용한다.
자연환기의 가장 큰 단점은 환기 성능이 우수하지 않다는 점이다. 주로, 풍압력의 차이 또는 실내외 기온차 등에 의해 환기가 되기에, 이러한 차이점들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단지 창을 개방하였다는 것만으로는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많은 농가에서는 경험에 의존하여 환기를 시행하고 있으며, 예컨대, 몇 시에 환기를 한다거나, 외기 조건만을 살펴보고 환기를 수행하는 실정이다.
자연환기를 수행하기 위해 상시 측창 또는 천창을 개방할 수는 없다. 이 경우, 온도 조절이 어려워지고, 외부 악요인들이 비닐하우스 실내에 유입되는 등 다른 종류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의 자연환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등록특허 제10-1972086호는 덕트 캡을 이용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를 개시한다. 본 종래기술에서는, 덕트를 통해 비닐하우스에 찬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평시에는 자동으로 폐쇄되면서도, 환기가 필요한 시점에는 풍압차 또는 온도차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는 자연 환기용 상부 환기 장치를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7581호는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용 기계 장치를 개시한다. 본 종래기술에서, 승강 장치를 통해 원하는 시점에 기계 장치를 작동시켜 환기용 개구가 개방시킬 수 있다. 기계 장치는 개폐에만 사용되며, 개방된 이후에는 자연환기 방식으로 환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1602호는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되는 기계 장치로서 팬을 채택한 환풍기를 개시한다. 사용자가 환기를 시키기 위해 환풍기를 작동시키면 팬이 회전하면서 그 회전축에 체결된 스크류가 상승함에 따라 환풍기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구조이다. 환기를 하지 않는 경우 덮개가 자동으로 폐쇄된다는 점이 장점이나, 팬을 사용한 강제환기이기에, 팬 운용시 많은 전력이 사용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208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7758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11602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실1987-000058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67477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8783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239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085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517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강제환기 방식이 아닌 자연환기 방식을 구현하면서도 비닐하우스 외기를 자연환기에 이용함으로써 환기 효율을 상승시키고자 한다.
비닐하우스에서의 풍향은 다양할 수 있는데, 어떠한 풍향의 외기더라도 자연환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식의 환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외기에 이물질 등이 있어서 환기 장치 일부가 고장나거나, 또는 덮개를 개방시키는 기계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모든 풍향의 외기를 여전히 이용하여 자연 환기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환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종래의 특허문헌들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농작물 보호를 위해 환기 장치에는 덮개가 있어야 하는데, 덮개가 환기되는 내기의 상방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환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닐하우스(10)의 천창에 설치되는 상부 환기 장치(100)로서, 하부가 개방되어 비닐하우스(10) 내측과 연통하며 비닐하우스(10) 내의 내기(B)가 유입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외기 유입부(13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140)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유입부(130)는, 상기 상부 환기 장치(100)를 향해 유동한 외기(A)를 상기 하우징(110) 내측으로 안내하되 상방으로 안내하여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굴곡진 유입 가이드(131); 및 상기 유입 가이드(13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연통되는 유입로(133)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로(133)는 유입홀(132)을 통해 상기 유입 가이드(131)와 연통되고 유출홀(134)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연통되며, 상기 유출홀(134)은 상방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외기(A)가 이를 통해 유출되면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형성된 상승기류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내에 유입된 내기(B)가 더 상승하게 되며, 상기 덮개(140)에는 상기 하우징(110) 내측으로 돌출된 유출홀 마개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유출홀 마개부(142)는 상기 덮개(140)의 폐쇄시 상기 유출홀(134)에 이르도록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0)은,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부(120)를 구비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기(B)가 유입되는 하부 하우징(111), 상기 하부 하우징(111)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외기 유입부(130)가 위치한 중간 하우징(112) 및 상기 중간 하우징(1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덮개(140)가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11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13)과 상기 중간 하우징(112)은 동축이되, 상기 상부 하우징(113)의 직경이 상기 중간 하우징(112)의 직경보다 커서 단차(114)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114) 상에 상기 유출홀(134)이 위치하여 상방으로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출홀 마개부(142)의 하단이 상기 단차(114)에 이르는, 상부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중간 하우징(112)은 원통형이며, 상기 외기 유입부(130)는 4개이어서, 상기 중간 하우징(112)의 네 방향에서 외측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기 유입부(130)가 상기 중간 하우징(112)을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양측 측면에 각각 개구가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개구에 굴곡진 상기 유입 가이드(131)가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유입된 외기(A)를 상방으로 안내하며, 상기 유입로(133)의 내측 말단이 상기 단차(114)에 이르며, 여기에 상기 유출홀(134)가 위치하여, 1개의 외기 유입부(130)마다 2개의 유입 가이드(131), 2개의 유입로(133) 및 2개의 유출홀(134)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단차(114)에 8개의 유출홀(134)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140)는 1/4원 형상으로 4개이되, 방사상으로, 어느 하나의 외기 유입부(130)의 중간에서 시작되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외기 유입부(130)의 중간에 이르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유출홀 마개부(142)는 1/4호 형상으로 상기 덮개(140)에서 하방으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단차(114)에 이르며, 어느 하나의 외기 유입부(130)에 구비된 2개의 유출홀(134)을 서로 다른 덮개(140)의 유출홀 마개부(142)가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4개의 덮개(140) 각각은 상기 상부 하우징(113)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 힌지(141)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140)들은 상기 덮개 힌지(141)에 의해 피벗 운동하며 개방되어, 개방시, 상기 하우징(110)의 축 상부에 구조물이 위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통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첫째, 비닐하우스 외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환기 효과를 상승시킨다. 별도의 팬을 구동하지 않아도 자연환기로서 효과적 환기가 가능하기에, 팬을 사용함에 따른 유지 보수의 문제, 전력 소비의 문제 등을 해결하면서도 우수한 환기 성능이 구현된다.
둘째, 비닐하우스의 어느 방향에서 불어오는 외기이든 상부 환기 장치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환기 효율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비닐하우스에 대한 풍향이 어떠하든 사용자가 자연환기를 원하는 경우 효과적인 환기가 가능하다.
셋째, 덮개가 수직으로 상승하는 방식으로 개방된다면 덮개를 개방시키는데 많은 동력이 필요하며 환기를 위해 배기되는 내기의 상방 흐름을 덮개가 방해하여 환기 효과가 감소하나, 본 발명은 4개의 덮개를 이용하고 약 60도 내지 90도 피벗하여 개방되기에 환기장치 상부에 구조물을 남기지 않으므로 배기되는 내기가 상승하는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넷째,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부에 2개의 유입로가 위치한다. 따라서,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먼지, 낙엽 등)에 의해 어느 하나의 유입로가 막히더라도, 다른 유입로에 의해 해당 방향의 외기를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다섯째, 4개의 외기 유입부와 4개의 덮개가 구비되면서도, 1개의 외기 유입부에 있는 2개의 유출홀을 서로 다른 덮개가 폐쇄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덮개를 개방시키는 기계 부품이 고장나서 개방시키지 못하더라도, 다른 덮개가 개방되어 해당 외기 유입부로 유동하는 외기를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의 외기 유입부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에서 덮개가 개방되는 동안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덮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의 단면도이며,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의 단면도이며, 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100)는 비닐하우스(10)의 천창에 설치된다. 비닐하우스(10)의 상부 일부에 천창을 설치한 후, 여기에 상부 환기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부 환기 장치(100)가 설치되면, 어떠한 방향의 외기(A)도 상부 환기 장치(100)의 내측으로 안내되고, 내측으로 안내된 외기(A)는 상방으로 상승한다. 이러한 상승기류가 형성되면, 이로 인해, 비닐하우스(10)에서 환기시키고자 하는 내기(B)의 상방 유동이 촉진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팬과 같은 기계 장치 없이 비닐하우스(10)를 자연환기하면서도 그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도 9 참조).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부 환기 장치(100)는 하부가 개방되어 비닐하우스(10)의 내측과 연통하는 원통형의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이는 높이에 따라 하부 하우징(111), 중간 하우징(112), 상부 하우징(113)으로 구분된다.
하부 하우징(111)은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부(120)를 구비하며 하부가 개방되어, 그 내측으로 비닐하우스(10) 내부에서 상승하는 내기(B)가 유입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1)의 아래 부분은 많은 내기(B)를 유입하도록 직경이 클 수 있으나, 후술할 바와 같이 중간 하우징(112)의 직경은 작아야 하기에, 이를 연결하는 부분은 원뿔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120)에는 반원통형 홈이 하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 4개가 구비되어, 상부 환기 장치(100)를 비닐하우스(10)의 천창에 단단히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1 참조).
중간 하우징(112)은 하부 하우징(111)의 상측에 위치하며, 외기(A)가 유입되는 다수의 외기 유입부(130)가 여기에 위치한다.
상부 하우징(113)은 중간 하우징(1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덮개(140)가 위치한다.
하부 하우징(111)과 중간 하우징(112)과 상부 하우징(113)은 동축이며 원통형 또는 원뿔대형 또는 그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11)의 아래 부분은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하우징(113)의 직경은 중간 하우징(1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중간 하우징(112)의 외측에 외기 유입부(130)가 위치하게 하고,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보면 상부 하우징(113)과 중간 하우징(112) 사이에 단차(114)가 형성되도록 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단차(114)에는 유출홀(134)이 구비되어 외기(A)가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하며, 동시에 유출홀 마개부(142)가 단차(114)에 이르도록 하여 유출홀(134)을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우징(110)의 외측 측면, 즉 중간 하우징(112)의 외측 측면에는 다수의 외기 유입부(130)가 구비된다.
외기 유입부(130)는 비닐하우스(10)의 외기(A)를 상부 환기 장치(100)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환기시, 보다 많은 외기(A)가 보다 빠른 속도로 상부 환기 장치(100) 내측으로 유입될수록 자연환기의 효율이 증가한다.
외기 유입부(130)는, 상부 환기 장치(100)를 향해 유동하는 외기(A)를 하우징(110) 내측으로 안내하되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굴곡진 유입 가이드(131)와, 안내된 외기(A)가 유입되는 유입홀(132)과, 유입홀(132)을 통과한 외기(A)가 유동하는 유입로(133)와, 유입로(133)를 유동한 외기(A)가 하우징(110) 내측으로 진입하게 하는 유출홀(134)을 포함한다.
달리 표현하여, 유입로(133) 측면에서 살펴보면, 유입홀(132)을 통해 유입 가이드(131)와 연통되고, 유출홀(134)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측과 연통된다.
유출홀(134)은 상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외기(A)가 유출홀(134)에서 유출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유동할 때에 상승 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승 기류가 형성되어야 하우징(110) 내측으로 진입한 내기(B)가 이에 의해 보다 더 상승하게 되어 자연환기 효율이 증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유입부(130)는 중간 하우징(112)의 네 방향에서 외측 측면에서 방사상 90도 간격으로 총 4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닐하우스(10)의 축 방향에 2개, 축에 수직인 방향에 2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닐하우스(10)에 대한 어떠한 풍향으로 외기(A)가 유동하여도 보다 많은 외기(A)가 상부 환기 장치(1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닐하우스(10)의 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외기(A1)와, 비닐하우스의 지붕면을 타고 상승하는 외기(A2)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든 종류의 외기(A)가 상부 환기 장치(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1개의 외기 유입부(130)에는 2개의 개구가 존재한다.
즉, 외기 유입부(130)가 중간 하우징(112)을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양측 측면에 각각 개구가 위치하고, 각각의 개구에 굴곡진 유입 가이드(131)가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유입된 외기(A)를 유입시켜 상방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유입로(133)의 내측 말단이 단차(114)에 이르며, 여기에 유출홀(134)이 위치한다(도 3 및 도 8 참조). 단차(114)가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해, 유출홀(134)은 상방으로 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기(A)는 상승기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외기 유입부(130)마다 2개의 유입 가이드(131), 2개의 유입로(133) 및 2개의 유출홀(134)이 구비된다. 이 경우, 단차(114)에 8개의 유출홀(134)이 상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외기 유입부(130)에 2개의 유입로(133)가 형성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유입로(133)가 외기에 포함된 먼지, 낙엽 등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다른 유입로(133)가 외기를 계속 유입시킬 수 있다. 만약 1개의 유입로만 존재하였다면, 특정 방향에서 먼지나 낙엽을 포함한 이물질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1개의 유입로가 막히면 그 방향으로는 상승기류를 형성할 수 없을 것이다. 비닐하우스(10)가 설치되는 농가에서는 이러한 이물질을 포함한 외기가 자주 형성되므로, 이러한 구조는 매우 실질적이고 효과적이다.
덮개(140)는 상부 하우징(113)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동작한다.
덮개(140)는, 개폐를 위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상부 하우징(113)에 힌지 연결된 덮개 힌지(141)와, 상부 하우징(113) 내측으로 돌출되어 유출홀(134)을 막는 유출홀 마개부(142)와, 사용자가 덮개(14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와이어(미도시) 등이 연결되는 연결부(143)를 포함한다.
덮개(140)에 구비된 유출홀 마개부(142)는 덮개(140) 폐쇄시 유출홀(134)을 막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유출홀 마개부(142)의 하단이 단차(114)에 이르도록 하방 돌출되게 구성된다. 만약 유출홀(134) 자체가 막히지 않을 경우, 덮개(140)가 폐쇄된 상태, 즉 사용자가 환기를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외기(A)는 유입로(133)를 통과하여 지속적으로 하우징(110) 내측에 유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유입된 외기(A)가 비닐하우스(10) 내측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어서 농작물에 냉해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유출홀 마개부(142)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방지한다.
한편, 종래기술에서 상부 환기 장치의 덮개들은 상부로 상승함으로써 측방으로 환기용 개구를 형성하여 내기(B)의 상방 진행 방향을 막게 되어 내기(B)의 환기를 방해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내기(B)의 상방 진행 방향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개방된다.
이를 위해, 덮개(140)는 1/4원 형상으로 4개 구비된다. 4개의 덮개(140) 각각이 상부 하우징(113)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 힌지(141)를 구비하기에, 4개의 덮개(140)는 개별적으로 덮개 힌지(141)에 의해 약 60도 내지 90도 피벗 운동하며 개방된다. 이에 따라, 덮개(140)가 개방되어도 하우징(110)의 축 상부에 구조물이 위치하지 않아 내기(B)의 환기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덮개(140)가 중간 정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8은 덮개(1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러한 구조가 잘 도시된다.
한편, 도 7에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140)는 어느 하나의 외기 유입부(130)의 중간에서 시작되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외기 유입부(130)의 중간에 이르도록 형성된다. 즉, 1개의 외기 유입부(130)에 구비된 2개의 유출홀(134)을 막는 유출홀 마개부(142)는 서로 다른 덮개(140)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덮개(14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 개방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외기 유입부(130)의 2개의 유출홀(134) 중 1개만을 막게 되어(보다 정확하게, 2개의 외기 유입부(130)의 유출홀(134) 하나씩만을 막게 되어) 해당 방향에서의 외기(A)를 여전히 사용하여 자연환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140)는 1/4원 형상으로 4개 구비됨에 따라, 유출홀 마개부(142) 역시 1/4호 형상으로 덮개(140)에서 하방으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단차(114)에 이르게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환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덮개(140)가 개방된 경우이다.
비닐하우스(10)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외기(A)는, 어떠한 방향이더라도 외기 유입부(13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에 유입된다. 즉, 외기(A)는 유입 가이드(131)에 의해 안내되어 유입홀(132)을 통과해 유입로(133)를 유동하게 되며, 이 때에 유입 가이드(131)의 굴곡진 형상에 의해 큰 방해 없이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형태가 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유출홀(134)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승기류를 형성한다.
한편, 비닐하우스(10) 내부에서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된 내기(B)는, 외기(A)에 의한 것으로 하우징(110) 내부에서 형성된 상승기류를 만나게 되며, 이러한 상승기류에 의해 한층 더 상승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에 덮개(140)가 내기(B)의 상방 진행에 방해를 주지 않아 환기 효율이 증가한다.
도 10은 덮개(140)가 폐쇄된 경우이다. 본 발명에 의해, 덮개(140)가 폐쇄되면 유출홀 마개부(142)에 의해 유출홀(134)도 폐쇄된다.
비닐하우스(10)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외기(A)는 외기 유입부(130)를 통해, 즉 유입 가이드(131)에 의해 안내되어 유입홀(132)을 통과하고 유입로(133)로 진입할 수 있지만, 유출홀 마개부(142)에 의해 유출홀(134)이 폐쇄되어 있기에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기(A)가 비닐하우스(10) 내측으로는 유입되지 않아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비닐하우스
100: 상부 환기 장치
110: 하우징
111: 하부 하우징
112: 중간 하우징
113: 상부 하우징
114: 단차
120: 체결부
130: 외기 유입부
131: 유입 가이드
132: 유입홀
133: 유입로
134: 유출홀
140: 덮개
141: 덮개 힌지
142: 유출홀 마개부
143: 연결부
A; 외기
B: 내기

Claims (7)

  1. 비닐하우스(10)의 천창에 설치되는 상부 환기 장치(100)로서,
    하부가 개방되어 비닐하우스(10) 내측과 연통하며 비닐하우스(10) 내의 내기(B)가 유입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외기 유입부(13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140)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유입부(130)는,
    상기 상부 환기 장치(100)를 향해 유동한 외기(A)를 상기 하우징(110) 내측으로 안내하되 상방으로 안내하여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굴곡진 유입 가이드(131); 및
    상기 유입 가이드(13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연통되는 유입로(133)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로(133)는 유입홀(132)을 통해 상기 유입 가이드(131)와 연통되고 유출홀(134)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연통되며,
    상기 유출홀(134)은 상방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외기(A)가 이를 통해 유출되면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형성된 상승기류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내에 유입된 내기(B)가 더 상승하게 되며,
    상기 덮개(140)에는 상기 하우징(110) 내측으로 돌출된 유출홀 마개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유출홀 마개부(142)는 상기 덮개(140)의 폐쇄시 상기 유출홀(134)에 이르도록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0)은,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부(120)를 구비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기(B)가 유입되는 하부 하우징(111);
    상기 하부 하우징(111)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외기 유입부(130)가 위치한 중간 하우징(112); 및
    상기 중간 하우징(1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덮개(140)가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11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13)과 상기 중간 하우징(112)은 동축이되, 상기 상부 하우징(113)의 직경이 상기 중간 하우징(112)의 직경보다 커서 단차(114)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114) 상에 상기 유출홀(134)이 위치하여 상방으로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출홀 마개부(142)의 하단이 상기 단차(114)에 이르는,
    상부 환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하우징(112)은 원통형이며,
    상기 외기 유입부(130)는 4개이어서, 상기 중간 하우징(112)의 네 방향에서 외측 측면에 위치하는,
    상부 환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130)가 상기 중간 하우징(112)을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양측 측면에 각각 개구가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개구에 굴곡진 상기 유입 가이드(131)가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유입된 외기(A)를 상방으로 안내하며,
    상기 유입로(133)의 내측 말단이 상기 단차(114)에 이르며, 여기에 상기 유출홀(134)가 위치하여,
    1개의 외기 유입부(130)마다 2개의 유입 가이드(131), 2개의 유입로(133) 및 2개의 유출홀(134)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단차(114)에 8개의 유출홀(134)이 위치하는,
    상부 환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40)는 1/4원 형상으로 4개이되, 방사상으로, 어느 하나의 외기 유입부(130)의 중간에서 시작되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외기 유입부(130)의 중간에 이르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유출홀 마개부(142)는 1/4호 형상으로 상기 덮개(140)에서 하방으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단차(114)에 이르며,
    어느 하나의 외기 유입부(130)에 구비된 2개의 유출홀(134)을 서로 다른 덮개(140)의 유출홀 마개부(142)가 폐쇄하는,
    상부 환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덮개(140) 각각은 상기 상부 하우징(113)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 힌지(141)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140)들은 상기 덮개 힌지(141)에 의해 피벗 운동하며 개방되어, 개방시, 상기 하우징(110)의 축 상부에 구조물이 위치하지 않는,
    상부 환기 장치.
KR1020200161679A 2020-11-26 2020-11-26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KR102623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679A KR102623118B1 (ko) 2020-11-26 2020-11-26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679A KR102623118B1 (ko) 2020-11-26 2020-11-26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28A KR20220073528A (ko) 2022-06-03
KR102623118B1 true KR102623118B1 (ko) 2024-01-10

Family

ID=8198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679A KR102623118B1 (ko) 2020-11-26 2020-11-26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1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586A (ko) 1985-06-05 1987-02-19 배기은 합성직물의 품위 평가방법 및 그 장치
US5669177A (en) * 1996-05-06 1997-09-23 Frounfelker; Carl R. Thermal controlled plant protector
KR200268783Y1 (ko) 2001-10-10 2002-03-16 이덕표 연소기의 연소가스 배출촉진장치
KR20040051705A (ko) 2002-12-11 2004-06-19 이태현 환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닐하우스
KR200440859Y1 (ko) 2007-06-05 2008-07-04 주식회사 한테크 환기와 온도 조절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KR100977581B1 (ko) 2009-12-11 2010-08-23 (주) 일진온실설비 비닐하우스용 환기장치
KR101311602B1 (ko) 2012-04-03 2013-09-26 이재부 하우스 환풍기
KR101447658B1 (ko) * 2013-03-18 2014-10-08 이행건 배기 성능이 향상된 무동력 고정식 벤틸레이터
KR20160002392U (ko) 2014-12-30 2016-07-08 (주)현대금속농공 비닐하우스 천장 상부의 고정형 양 방향 환기장치
KR101767477B1 (ko) 2015-11-18 2017-08-11 신용선 굴뚝용 배출장치
KR101972086B1 (ko) 2017-04-19 2019-04-24 대한민국 비닐 하우스의 덕트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28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4380A (en) Dryer exhaust vent
WO2005072171A2 (en) Vertical door fan shutter
RU2011117226A (ru) Кондиционер с узлом экономайзера и фильтра
KR102623118B1 (ko) 자연환기를 위한 비닐하우스 상부 환기 장치
US6454247B2 (en) Anti-backdraft shutter assembly for an axial flow fan
US9664399B2 (en) Ventilator and blade therefor
KR20150072638A (ko) 차량용 송풍장치
DK180278B1 (en) A roof window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assembly with an exhaust device
KR200309757Y1 (ko) 환기공 개폐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환풍기
WO2011096186A1 (ja) 外壁端末換気口
KR20080094160A (ko) 기계환기실 상부에 자연환기 풍도를 갖는 지하철 환기구
US10234154B2 (en) Roof exhaust with counterweighted damper
EP2264376B1 (en) Air ventilator with non-return valve and filter for leading replacement air into a room
CN205332445U (zh) 通风管及新风机
KR200415374Y1 (ko)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US679932A (en) Ventilator.
KR101066785B1 (ko) 비닐하우스용 배기장치
KR200389987Y1 (ko) 축사 환기용 천장형 입기창
CA2901288C (en) Roof exhaust
KR200194375Y1 (ko)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101623921B1 (ko) 지붕 벤틸레이터
KR200387288Y1 (ko) 축사 환기용 입기창
CN108980111A (zh) 一种风压式换气扇
CN213153372U (zh) 通风窗
KR102263459B1 (ko) 에어 벤트 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