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813Y1 -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 Google Patents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813Y1
KR200387813Y1 KR20-2005-0007898U KR20050007898U KR200387813Y1 KR 200387813 Y1 KR200387813 Y1 KR 200387813Y1 KR 20050007898 U KR20050007898 U KR 20050007898U KR 200387813 Y1 KR200387813 Y1 KR 200387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ntainer body
air
silo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서
Original Assignee
구홍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서 filed Critical 구홍서
Priority to KR20-2005-0007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01F25/22Venti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2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using ventilating she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일로의 본체내와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일어나도록 구성하여 고온·다습에 의한 사료의 질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방에 사료배출구를 갖고 상방에 사료투입구를 갖는 용기 본체의 내부에 사료가 저장 보관되는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에 있어서, 상기 사료투입구에 용기본체로부터 입설되는 원통벽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상면에는 사료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사료투입구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사료투입구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용기본체의 상면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측에는 공기유입구로 신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용기본체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수단이 설치되어 달성된다.

Description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Assorted feed silo ventilating device}
본 고안은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일로의 본체내와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일어나도록 구성하여 고온·다습에 의한 사료의 질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일로는 저면이 원추형 구조로 된 것으로, 곡물 및 사료의 단기 저장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곡물의 손상없이 완전배출이 가능하고 잔곡이 없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일로의 경사각에 의한 배출이므로 큰 경사각 확보를 위하여 용량에 비하여 사일로 전체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온 통풍(에어레이션)을 하기 곤란한 결점이 있어, 온도변화가 큰 국내에서는 단기보관이라 할지라도 곡물 변질등의 주의가 요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사일로의 하우징이 철판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열전도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며, 특히 여름같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사일로 내부에 저장된 사료를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즉, 고온 다습에 의한 곰팡이 서식, 거미줄 생성 등 사료의 질 저하를 촉진하는 유해요소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사일로 외부 온도가 30도 정도이면 사일로 내부 온도는 약 60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사료의 영양소가 파괴되며, 사료 입자가 뭉쳐져 엉키게 되어 배출 흐름이 나빠지고, 또한 사료를 배출 후에도 뜨거운 열기가 남아 있어 가축이 먹기에는 부적합하여 가축들이 사료 먹는 것을 회피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환풍장치를 하지 않았을 때의 사료 배출시 온도는 약 50도 이상으로써, 가축이 먹기에는 매우 부적합하다. 또한, 사료를 사일로에 저장하면서 먼지가 많이 배출되고, 이 먼지를 제거하지 않으면 가장자리에 엉겨붙게 되어 오래되면 곰팡이가 슬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사일로의 내부 온도를 적절한 수준에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일로의 구조 자체가 매우 크기 때문에 하우징을 식히기 위해 차양등을 따로 설치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사일로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환풍장치를 설치토록 하며, 상기 환풍장치를 수동으로 가동시키거나 또는 사일로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온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환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곰팡이 등의 서식을 방지하고 내부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양질의 사료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통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하방에 사료배출구를 갖고 상방에 사료투입구를 갖는 용기 본체의 내부에 사료가 저장 보관되는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에 있어서,
상기 사료투입구에 용기본체로부터 입설되는 원통벽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상면에는 사료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사료투입구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사료투입구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용기본체의 상면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측에는 공기유입구로 신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용기본체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수단이 설치되어 달성된다.
상기 환풍수단은 구동모터에 직결된 환풍팬으로 구성되거나 자연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환풍팬이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20)는 하방에 사료배출구(21)를 갖고 상방에 사료투입구(22)를 갖는 용기 본체(23)를 구비한다.
용기본체(23)는 하부가 하방으로 단면이 축소되는 원추형태로서, 설치면에 복수개의 지지대(10)를 통하여 안정되게 설치면에 입설된다.
상기 사료투입구(22)에는 용기본체(23)로부터 입설되는 원통벽(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벽(24)에는 환기를 목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공기유입구(24a)의 크기나 그 숫자는 환풍량을 고려하여 증감시킬 수 있다. 예로, 시간당 환기량이 많을 경우 공기유입구(24a)의 크기를 크게하거나 그 숫자를 증가시킨다.
상기 용기본체(23)의 상면에는 사료투입구(22)를 개폐시키는 사료투입구 덮개(30)가 설치되어 있다. 사료투입구 덮개(30)는 힌지(31)를 통하여 상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료 투입구 덮개(30)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투입구(22)는 물론이고 공기유입구(24a)로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일부가 돌출된 돌출창(30a)을 갖는다.
따라서 외기는 화살표(K) 방향을 따라 공기유입구(24a)를 통과하여 용기본체(23)내로 유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사료투입구(22)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용기본체(23)의 상면에는 도 4와 같이 공기배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구(25)와 사료투입구(22)간의 거리는 용기본체(23)내에 저장된 사료에 의해 공기흐름이 방해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배출구(25)측에는 공기유입구(24a)로부터 신기(대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용기본체(23)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환풍수단은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0)에 직결된 환풍팬(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40)는 외부의 수동 스위치 온(on)/오프(off) 조작에 의해 구동되거나 온도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온도감지센서는 용기본체(23)내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용기본체(23)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구동모터(40)가 구동되고 그 반대일 경우 구동모터(40)는 정지한다.
구동모터(40)가 회전 구동할 경우 환풍팬(42)은 송풍력과 동시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용기본체(23) 상부에 머무르고 있던 더운 공기(또는 습한공기)는 공기배출구(25)를 통하여 배출되고 동시에 공기유입구(24a)로부터 유입된 외기가 용기본체(23)내로 채워지게 된다. 즉, 환풍팬(42)의 회전시 용기본체(23)내 상부에는 압력이 떨어져 외부로부터 공기유입구(24a)를 통해 대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용기본체(23)내에 머물고 있는 고온의 열은 위와 같은 공기순환 과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여름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보다 용기본체(23)내의 온도가 올라간 경우 열배출에 따른 온도 하강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이 사일로 내부에 채워진 고온의 열을 배출시키고 신선한 에어가 공급되게 되므로 사일로(20)에 저장된 사료의 변질이 방지된다.
이러한 환풍팬(42)의 동작은 고온일 경우에만 동작되는 것은 아니며 습도가 높을 경우에도 가동이 이루어져 곰팡이 등의 서식 방지가 가능하고 쾌적한 분위기가 조성되어 사일로 내부에 저장된 사료의 질 저하를 방지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환풍팬(42)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23)에 장착된 보호덮개(60)내에 위치된다. 즉 보호덮개(60)는 공기배출구(25)측 상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은 전기적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구동모터(40)에 의해 환풍팬(42)을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환풍팬(7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환풍팬(70)은 공기배출구(25)측에 회전 자유롭게 축설된다. 즉, 공기배출구(25)측에 베어링(72)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72)에 환풍팬(70)의 회전축(71)을 설치함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자연적인 대류 현상에 의해 바람이 환풍팬(70)을 회전시킴으로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환풍이 일어날 수 있다.
미설명부호 '45'는 '방충망'이고, '80'은 '빗물막이용 덮개'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에 따르면, 사일로 내부와 외부와의 환기가 이루어지고, 열방출에 따른 온도 상승이 방지되므로서, 곰팡이 등의 서식 조건이 제거되어 저장된 사료의 변질을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사료투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일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사료투입구측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사일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일로 사료 투입구측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일로 공기배출구측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일로 공기배출구측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사료투입구
23 : 용기본체
24a : 공기유입구
25 : 공기배출구
30 : 사료투입구 덮개
40 : 구동모터
42,70 : 환풍팬

Claims (3)

  1. 하방에 사료배출구(21)를 갖고 상방에 사료투입구(22)를 갖는 용기 본체(23)의 내부에 사료가 저장 보관되는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20)에 있어서,
    상기 사료투입구(22)에 용기본체(23)로부터 입설되는 원통벽(24)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벽(2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24a)가 형성되고, 용기본체(23)의 상면에는 사료투입구(22)를 개폐시키는 사료투입구 덮개(30)가 설치되고, 상기 사료투입구(22)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용기본체(23)의 상면에는 공기배출구(25)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25)측에는 공기유입구(24a)로 신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용기본체(23)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수단은 구동모터(40)에 직결된 환풍팬(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수단은 자연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환풍팬(7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KR20-2005-0007898U 2005-03-23 2005-03-23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KR200387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898U KR200387813Y1 (ko) 2005-03-23 2005-03-23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898U KR200387813Y1 (ko) 2005-03-23 2005-03-23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813Y1 true KR200387813Y1 (ko) 2005-06-22

Family

ID=4368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898U KR200387813Y1 (ko) 2005-03-23 2005-03-23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8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600B1 (ko) 천장형 환풍장치
CN201166013Y (zh) 多功能换气扇
KR200387813Y1 (ko)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의 환풍장치
KR102182942B1 (ko) 천장용 환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실 환기 방법
CN113375330A (zh) 空调器
KR101264200B1 (ko) 무인국사의 외기공급장치
KR200284636Y1 (ko)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200415374Y1 (ko)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CN204335205U (zh) 旋转散热通信箱
KR200191210Y1 (ko) 배합사료 저장용 사일로
JP2003056880A (ja) 屋外スイッチギヤの換気装置
CN219019611U (zh) 粮仓除尘通风装置
KR101191053B1 (ko) 사료저장고용 사일로의 온도조절장치
CN1232154A (zh) 换气装置
KR101223553B1 (ko) 사료저장용 사일로의 공기조절장치
CN207379025U (zh) 出风面板及具有出风面板的空调室内机
KR200260546Y1 (ko) 사료 저장용 사일로
KR200194375Y1 (ko)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20170027043A (ko) 강제 증발식 가습기
CN212910853U (zh) 一种黄精种子储存装置
CN213863702U (zh) 一种粮油加工原料存放装置
KR100761062B1 (ko) 도어용 환기장치
CN211120472U (zh) 一种粉体聚硅氧烷干燥装置
EP1519119A3 (en) Shutter particularly for climate control units
CN218269439U (zh) 一种主动式通风结构和主动式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