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951A - 건물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951A
KR20130010951A KR1020110071755A KR20110071755A KR20130010951A KR 20130010951 A KR20130010951 A KR 20130010951A KR 1020110071755 A KR1020110071755 A KR 1020110071755A KR 20110071755 A KR20110071755 A KR 20110071755A KR 20130010951 A KR20130010951 A KR 20130010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uilding
ventilation
opening
ventil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6517B1 (ko
Inventor
이준용
Original Assignee
(주)용화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화씨아이 filed Critical (주)용화씨아이
Priority to KR102011007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5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8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환기장치는 공장 및 축사등의 지붕에 구비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의 상단에 배치되는 덮개; 상기 환기구의 측면에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덮개의 하부에 연결되어 덮개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승강장치를 개별제어하여 바람의 방향에 따라 덮개의 개폐방향과 개폐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기구의 덮개의 개폐방향과 정도를 바람의 방향에 따라 개방되는 변경시킬 수 있어 내부 공기의 배출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높이가 낮게 설계할 수 있어 건축법이나 기타 설치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여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물의 환기장치{VENTILATOR FOR HOUSE}
본 발명은 건물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이나 축사등의 대형건물 지붕에 설치된 환기구에 건물내부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역류가 방지되도록 하여 환기 성능을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구는 대형건물인 공장이나 축사등의 지붕상부 소정위치에 설치하여 건물내부에서의 작업시 발생하는 먼지 및 오염물질과 가축분뇨에서 발생하는 냄새 및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쾌적하게 실내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종래의 환기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지붕(40)에 길이 방향으로 구멍(41)을 형성하고, 이 구멍(41)의 상부에는 환기구(10)를 설치한다.
상기 환기구(10)는 내부에 통로(21)가 형성되는 통로부재(20)를 상측으로 구비하고, 통로부재(20)의 상부에는 상판(20A)을 구비하며, 통로부재(20)의 외부에는 외판(30)을 구비하고, 외판(30)의 상부 중앙에는 배출공(31)을 구비한다.
상기한 통로부재(10)와 외판(30)을 측면과 상부면에 다수개의 프레임(F)을 구비하고, 통로부재(10)의 내부에는 모터(M)에 의해 개패되는 댐퍼(D)와 측면에 다수의 공기유로판(22)을 구비하여 이에 공기배출구(23)를 구비하며, 상기 외판(30)의 상부 중앙에는 상측 중앙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구비하며, 이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출공(31)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환기구(10)는 건물내부의 오염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모터(M)의 구동으로 댐퍼(D)를 개방시키면 오염공기가 지붕(40) 상부에 구비된 환기구(10)내의 통로부재(20)에 형성된 통로(21)로 유입되고, 이때 유입되는 오염공기는 자연 대류방식에 의해 유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통로(21)에 유입된 오염공기는 측면에 구비된 다수의 공기유로판(22)에 의해 공기배출구(23)로 통과하여 통로부재(20)와 외판(30) 사이에 구비된 통로(28)로유입되고, 통로(28)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상부의 배출공(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환기구(10)는 건물내부의 오염공기가 자연대류 현상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때 외판(30)의 배출공(31)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에 의해 오염공기의 배출흐름을 저하시키거나 오염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건물내부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건물내부의 오염공기가 환기구(1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였고 더욱이 외부에서 역류되는 공기에 의해 건물내의 공기를 크게 오염시킴에 따라 건물내의 환경을 크게 저해시켜 불쾌감을 초래하였으며, 환기구(10)의 기능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41311호의 "건축용 환기구"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대해 살펴보면, 공장 및 축사들의 대형건물 지붕(40)에 내부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환기구(10)가 설치되고, 환기구(10)에는 내부의 구비된 다수의 프레임(F)에 건물내와 연통하는 통로(21)와 양측면에 공기배출구(23)를 가진 통로부재(20)와 통로부재(20)와 통로부재(20) 외부에 외판(30)과 외판(30)과 통로부재(20) 사이에 통로(28)와 외판(30)의 상부중앙에 배출공(31)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재(20) 내부의 통로(21)에 건물의 오염공기를 외판(30)과 통로부재(20)사이의 통로(28)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24)와, 상기 외판(30)의 배출공(31) 내부에 역류공기가 외판(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경사면을 가진 역류방지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바람이 측면에서 강하게 불면 내부의 공기가 역류하여 건물 내의 공기를 오염시켜 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바람이 강하게 불면 상부의 배출공을 지나가는 풍압이 너무 강하므로 배출공을 통해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환기구(10)의 높이가 너무 커서 건축법 또는 설치 환경 여건에 의해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장 및 축사등의 지붕에 구비되는 환기구의 덮개의 개폐방향과 정도를 일개소 또는 여러 개소에 장착된 승강장치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에 따라 개방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어 내부 공기의 배출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높이가 낮게 설계할 수 있어 건축법이나 기타 설치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여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 및 축사등의 지붕에 구비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의 상단에 배치되는 덮개; 상기 환기구의 측면에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덮개의 하부에 연결되어 덮개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승강장치를 개별제어하여 바람의 방향에 따라 덮개의 개폐방향과 개폐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환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덮개의 측면에 장착된 이탈방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브라켓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면이 덮개의 측면에 연결되고, 일정 높이의 측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는 모터가 장착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승강되는 피스톤로드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가 이탈방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덮개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는 이탈방지브라켓의 측벽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는 실린더모터,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실린더 잭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환기구의 상단에 밀착되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구의 측면에는 벌레나 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이 형성되고, 상기 방충망이 보관되는 케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충망은 롤형 방충망 또는 고정형 방충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태양빛이 투과되도록 투명의 채광패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기구의 덮개의 개폐방향과 정도를 바람의 방향에 따라 개방되는 변경시킬 수 있어 내부 공기의 배출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높이가 낮게 설계할 수 있어 건축법이나 기타 설치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여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환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환기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환기장치(A)는, 공장 및 축사등의 지붕(100)에 구비되는 환기구(1); 환기구(1)의 상단에 배치되는 덮개(2); 환기구(1)의 측면에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덮개(2)의 하부에 연결되어 덮개(2)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승강장치(3)를 포함하며, 다수의 승강장치(3)를 개별 제어하여 바람의 방향에 따라 덮개(2)의 개폐방향과 개폐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승강장치(3)는 덮개(2)의 측면에 설치된 이탈방지브라켓(4)에 장착되며, 외부에 설치된 컨트롤패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승강장치(3)의 작동은 지붕(100)에 설치된 풍향계(미도시)를 참조하여 바람의 방향을 판단하여 조작자가 제어한다.
이탈방지브라켓(4)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면이 덮개(2)의 측면에 연결되고, 일정 폭을 갖는 저판(42)과, 이 저판(42)의 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44)으로 구성된다.
승강장치(3)는 모터(32)가 장착된 바디(34)와, 상기 바디(34)에 결합되는 승강되는 피스톤로드(36)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34)가 이탈방지브라켓(4)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6)가 덮개(2)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바디(34)는 이탈방지브라켓(4)의 측벽(44)에 접촉되거나 미세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통상 이탈방지브라켓(4)은 평면에서 보았을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승강장치(3)가 이탈방지브라켓(4)의 양끝에 결합되는 것으로, 환기구(1)의 양측면에 이탈방지브라켓(4)이 장착되고, 각 이탈방지브라켓(4)의 양끝에 각기 승강장치(3)가 힌지 결합되므로 환기구(1)를 기준으로 총 4군데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덮개(2)의 개폐작동을 4지점에서 각기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3')는 환기구(1)의 일측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브라켓(4')의 양끝 2지점에 설치됨으로써 덮개(2)를 일단만 개폐시킬 수 있고, 덮개(2)의 타단은 힌지(6)로 결합된 구성도 가능하다.
승강장치(3,3')는 실린더모터,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실린더 잭 중 택일된다.
한편 덮개(2)의 하부에는 환기구(1)의 상단에 밀착되는 단턱(22)이 형성됨으로써 닫았을때 바람의 유입 또는 유출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단턱(22)은 기밀성을 요구하지 않는 정도면 충분하므로 구태여 패킹일 필요는 없다.
한편 환기구(1)의 측면에는 벌레나 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7)이 형성되고, 상기 방충망(7)이 보관되는 케이스(8)가 형성된다.
방충망(7)은 덮개(2)의 개방시 신장될 수 있고 접어지면 케이스(8) 내에 수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신장을 위해 권취 가능한 롤형 방충망이 권장된다.
물론 방충망(7)은 고정형 방충망도 적용이 가능하며, 고정형 방충망인 경우 덮개(2)의 최대 개방 높이를 감안하여 여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덮개(2)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써 양측으로 대칭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태양빛이 투과되도록 투명의 채광패널(2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2)의 채광패널(26)을 통해 태양빛이 입사되므로 자연 채광에 의해 전등 사용을 줄임으로써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폐작동을 시킬때는 풍향계(미도시)를 통해 바람의 방향을 측정한 후 컨트롤패널 또는 리모콘을 조작하여 덮개(2)의 개폐 및 개방 각도를 미세 조작하게 된다.
즉 도 4와 같이 환기를 안할때는 승강장치(3)를 오프시켜 덮개(2)가 환기구(1)를 덮어 폐쇄되도록 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풍향에 따라 바람이 부는 방향의 반대편의 승강장치(3)를 온작동시켜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덮개(2)를 경사지게 개방시킨다.
따라서 덮개(2)의 닫힌 쪽의 틈새(S)를 통해 바람이 유입되면서 내부의 공기를 끌어당겨 개구된 쪽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아울러 강한 바람이 불때 덮개(2)의 빗변을 타고 지나가게 되므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6과 같이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 덮개(2)를 수직되게 균등하게 상승시켜 개방함으로써 내부 공기가 모두 빠져 나갈 수 있다.
또한 덮개(2)를 개방시켰을때 방충망(7)이 전개되어 개구된 부위를 막아 곤충이나 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환기구 2 : 덮개
3 ; 승강장치 4 : 이탈방지브라켓
7 : 방충망 8 : 케이스
26 : 채광패널 34 ; 바디
36 : 피스톤로드 44 : 측벽

Claims (8)

  1. 공장 및 축사등의 지붕에 구비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의 상단에 배치되는 덮개;
    상기 환기구의 측면에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덮개의 하부에 연결되어 덮개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승강장치를 개별제어하여 바람의 방향에 따라 덮개의 개폐방향과 개폐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덮개의 측면에 장착된 이탈방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면이 덮개의 측면에 연결되고, 일정 폭을 갖는 저판과, 상기 저판의 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환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모터가 장착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승강되는 피스톤로드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가 이탈방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덮개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환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실린더모터,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실린더 잭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환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환기구의 상단에 밀착되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환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의 측면에는 벌레나 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이 형성되고, 상기 방충망이 보관되는 케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환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은 롤형 방충망 또는 고정형 방충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환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태양빛이 투과되도록 투명의 채광패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환기장치.


KR1020110071755A 2011-07-20 2011-07-20 건물의 환기장치 KR10128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55A KR101286517B1 (ko) 2011-07-20 2011-07-20 건물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55A KR101286517B1 (ko) 2011-07-20 2011-07-20 건물의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951A true KR20130010951A (ko) 2013-01-30
KR101286517B1 KR101286517B1 (ko) 2013-07-16

Family

ID=4784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755A KR101286517B1 (ko) 2011-07-20 2011-07-20 건물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5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309B1 (ko) * 2013-02-13 2014-07-28 대한민국 개폐식 지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축사 구조
KR101534581B1 (ko) * 2014-10-01 2015-07-09 김진수 곤충 사육장
CN109892231A (zh) * 2019-03-19 2019-06-18 嵊州陌桑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大规模养殖环境中侧向送风系统的操控方法
WO2021096039A1 (ko) * 2019-11-13 2021-05-20 (주)에스엔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KR102360701B1 (ko) * 2021-01-22 2022-02-14 김주형 작업통로를 구비한 지붕의 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1207A (zh) * 2016-05-31 2016-09-28 田东雄桂牧业有限公司 一种具有通风和透光功能的养猪舍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906Y1 (ko) * 1987-03-27 1990-10-20 강대근 환기창겸용벤츄레이터
NZ523395A (en) * 2002-12-24 2005-11-25 Redpath Pacific Ltd Ventilation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309B1 (ko) * 2013-02-13 2014-07-28 대한민국 개폐식 지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축사 구조
KR101534581B1 (ko) * 2014-10-01 2015-07-09 김진수 곤충 사육장
CN109892231A (zh) * 2019-03-19 2019-06-18 嵊州陌桑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大规模养殖环境中侧向送风系统的操控方法
CN109892231B (zh) * 2019-03-19 2021-04-23 嵊州陌桑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大规模养殖环境中侧向送风系统的操控方法
WO2021096039A1 (ko) * 2019-11-13 2021-05-20 (주)에스엔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KR20210057988A (ko) * 2019-11-13 2021-05-24 (주)에스엔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CN113412395A (zh) * 2019-11-13 2021-09-17 株式会社 Sn 室外机空气净化组件以及包括其的微尘净化系统
CN113412395B (zh) * 2019-11-13 2022-08-26 株式会社 Sn 室外机空气净化组件以及包括其的微尘净化系统
KR102360701B1 (ko) * 2021-01-22 2022-02-14 김주형 작업통로를 구비한 지붕의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517B1 (ko)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517B1 (ko) 건물의 환기장치
KR101599005B1 (ko) 창문의 미세먼지유입 방지장치
JP6748243B2 (ja) 通風装置
KR101303332B1 (ko)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US20150074886A1 (en) Toilet Deodorizing Apparatus
US6145750A (en) Ventilator for beneath enclosed structures
KR20090019388A (ko) 개폐식 지붕 채광 창
KR101480415B1 (ko) 텐트 하우스
WO2015155902A1 (ja) 鶏舎の換気構造及び鶏舎の換気方法
KR102240479B1 (ko) 에어커튼 시스템
KR20180034836A (ko) 환풍장치
KR101607390B1 (ko) 엘리베이터 홀도어의 디스플레이용 환기장치
KR100906325B1 (ko)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KR200415374Y1 (ko)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200389987Y1 (ko) 축사 환기용 천장형 입기창
JP2004222510A (ja) ハウス用換気装置
KR200303992Y1 (ko)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KR20180043416A (ko) 자율 주행 스마트 기류 제어 장치
JP3094544U (ja) 防虫網着脱可能な換気口
CN211229656U (zh) 一种顶部通风式岗亭
KR20090008095U (ko) 개폐장치를 구비한 흡출기
KR100803052B1 (ko)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JP2005105527A (ja) 住宅の換気装置、及び換気用の通気口を備えた開口部枠
KR200194375Y1 (ko)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