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332B1 -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332B1
KR101303332B1 KR1020130004581A KR20130004581A KR101303332B1 KR 101303332 B1 KR101303332 B1 KR 101303332B1 KR 1020130004581 A KR1020130004581 A KR 1020130004581A KR 20130004581 A KR20130004581 A KR 20130004581A KR 101303332 B1 KR101303332 B1 KR 101303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gate
pressure
main body
pressur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소율
Original Assignee
한소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소율 filed Critical 한소율
Priority to KR102013000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거실과 부속실 간의 적정 차압을 만족하는 조건 하에서 풍도를 통해 부속실에 급기되는 에어를 풍도 외부로 배기하여 화재 연기가 피난을 위한 부속실에 침투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노약자도 적은 힘을 들여 방화문을 열고 부속실을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댐퍼는, 일측에는 부속실(3)에 공기를 송풍하는 풍도(1)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부(21)가, 타측에는 배출부(22)가 구비된 관형이며, 상기 풍도에 관이음 내지 일체로 형성되는 댐퍼 본체(20)와;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개폐하는 게이트(30)와; 상기 풍도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게이트에 의해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게이트 가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상기 게이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댐퍼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공(25)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압력조정봉(31), 양측이 상기 압력조정봉과 상기 댐퍼 본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게이트를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40), 상기 압력조정봉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구(41)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상기 댐퍼 본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가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압력조정봉(26), 양측이 상기 압력조정봉과 상기 게이트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게이트를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40)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웨이트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Relief damper and smoke control system with providing pressurized air thereof}
본 발명은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거실과 부속실 간의 차압을 유지하여 화재 연기가 피난을 위한 부속실에 침투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노약자도 적은 힘을 들여 방화문을 열고 부속실을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확보를 위하여 마련된 국내 화재안전기준 NFSC501A의 "특별피난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는 제연구역의 기압을 화재가 발생한 거실보다 높게 유지시켜 제연구역 내로 연기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예컨대 제연용 송풍기와 풍도 및 급기 댐퍼를 이용하여 거실과 계단실 사이의 부속실내 기압을 높여주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은 건물의 부속실에 급기 댐퍼가 각각 장착되고, 이와 같은 급기 댐퍼에는 건물 내에 배치된 풍도를 통하여 송풍기로부터 공기가 급기된다.
이때 부속실로 연기의 침투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속실과 거실 사이에 기준치 이상의 기압 차가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압 차가 너무 클 경우에는 대피자가 출입문을 개방하기 곤란할 수 있기 때문에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이 일정기준 이하가 되도록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기압 차를 유지해야 한다. NFSC501A에서는 부속실과 거실 사이에 40Pa이상의 차압(스프링 쿨러 설치시 12.5Pa이상)을 유지하고,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개방력이 110N 이하가 되도록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고층 또는 초고층, 다중이용 건축물의 주거인원을 안전하게 피난하기위하여 계단실로 연기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급기 가압 제연시스템은 국내 화재 안전기준에서 요구하는 연기침입 방지를 위한 차압 및 방연풍속과, 노약자 등이 피난 할 수 있는 방화문의 폐쇄력을 동시에 만족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즉 방연풍속을 만족 시키려면 차압을 높여야하나 차압을 높이면 개방력(또는 폐쇄력)이 초과(110N이하)하고 개방력을 만족시키려면 차압을 낮추어야 하나 차압을 낮추면 부속실 및 계단실의 연기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연풍속과 비 개방층의 차압(기준차압의 70%이상)이 미달 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대형화재 발생 시 마다 문제가 제기 되고 제연설비의 무용론이 제기 되기도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현재 대다수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는 설비가 자동 차압 과압조절형 급기 댐퍼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고 있는 자동 차압 과압조절형 급기 댐퍼는 부속실 벽면에 설치되어서 평상시에는 댐퍼 날개가 닫혀있어 풍도와 부속실 간 기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화재가 발생하면 댐퍼 날개가 회전하면서 풍도의 공급공기가 부속실로 급기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부속실과 거실사이의 압력차가 측정되고 이 차압이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댐퍼 날개의 개도가 조절되어 공급 풍량이 자동 조절된다.
그러나, 자동 차압 과압조절형 급기 댐퍼는 유체를 밀폐하는 능력부족으로 제연구역에 과압이 발생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제연구역과 거실과의 차압이 50Pa 전후가 되도록 송풍기 토출측의 풍량조절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설계량보다 적게 공급함으로써 차압과 풍속을 겨우 만족시키고 있으나, 비개방층의 70% 차압이 나오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513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4463호 등록특허 제10-096081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제연구역의 문이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에 필요한 공기량이 달라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문이 닫힌 경우에는 일정 공기량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기하여 화재 연기가 피난을 위한 부속실에 침투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노약자도 적은 힘을 들여 방화문을 열고 부속실을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댐퍼는, 일측에는 부속실에 공기를 송풍하는 풍도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부가, 타측에는 배출부가 구비된 관형이며, 상기 풍도에 관이음 내지 일체로 형성되는 댐퍼 본체와;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상기 풍도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게이트에 의해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게이트 가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상기 게이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댐퍼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압력조정봉, 양측이 상기 압력조정봉과 상기 댐퍼 본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게이트를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압력조정봉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구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상기 댐퍼 본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가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압력조정봉, 양측이 상기 압력조정봉과 상기 게이트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게이트를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웨이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화재 구역의 거실에서 발생된 연기가 부속실로 침투하지 않도록 부속실에 에어를 급기하되, 부속실과 거실 간의 차압을 적정 차압으로 유지하여 연기가 거실에서 부속실에 침투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노약자도 적은 힘으로 방화문을 열고 거실에서 부속실을 거쳐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줄이고 제연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비개방층의 차압을 유지하여 비개방층의 거주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댐퍼가 적용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의 예시도.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 댐퍼(10)는,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의 풍도(1)[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송풍기(2)와 부속실(3)을 연결하는 관]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댐퍼 본체(20), 댐퍼 본체(20)를 개폐하는 게이트(30), 댐퍼 본체(20)가 연결되는 풍도(1)의 압력을 근거로 하여 게이트(30)에 의해 댐퍼 본체(20)를 개폐하는 게이트 가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댐퍼 본체(20)는 풍도(1)와 연결되면서 에어의 배기가 가능하도록 유입부(21)와 배출부(22)가 구비된 관형이며, 기존 풍도(1)에 관이음되도록 유입부(21)에 외향 플랜지(23)가 형성될 수 있거나 풍도(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부(22)에는 게이트(3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외향 플랜지(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22)측의 외향 플랜지(24)에는 게이트(30)의 승강을 위한 압력조정봉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공(25)이 구비된다.
도면에서 댐퍼 본체(20)는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댐퍼 본체(20)는 사각형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30)는 댐퍼 본체(20)의 배출부(22)를 개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을 통해 개폐 동작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게이트(30)가 안정적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게이트(30)의 일측(도면 기준 하부)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2개 이상의 압력조정봉(31)이 구비된다. 압력조정봉(31)은 댐퍼 본체(20)의 배출부(22)측 외향 플랜지(24)에 형성된 가이드공(25)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게이트(30)의 압력조정봉(31)과 댐퍼 본체(20)에 각각 지지되어 고정체인 댐퍼 본체(20)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게이트(30)를 탄력 지지하되, 댐퍼 본체(20)의 배출부(2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게이트(3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40)이다. 탄성부재(40)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그 중앙에 압력조정봉(31)이 끼워지며, 상부는 배출부측의 외향 플랜지(24)에 지지되고 하부는 고정구를 통해 지지된다.
이때, 탄성부재(40)는 장력의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므로 다양한 송풍압력의 풍도(1)에 적용 가능하도록 장력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는 압력조정구(41)에 의해 이루어진다. 게이트(30)의 압력조정봉(31)의 외주면에 나사선(31a)이 형성되며 압력조정구(41)는 너트 형태로서 압력조정봉(31)의 나사선(31a)에 나사 체결되며, 즉, 압력조정봉(31)의 위치 변경을 통해 탄성부재(40)의 장력을 조정한다.
본 실시예는 압력조정봉(31), 탄성부재(40)가 외향 플랜지(24) 저부에 배치되어 주변 구조물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도출하며,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릴리프 댐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풍도(1) 내부의 압력이 적정 압력을 유지할 때 릴리프 댐퍼(10)의 작동을 도시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송풍기(2)에 의해 에어가 송풍되는데, 이 에어는 풍도(1)와 풍도(1)에서 각 층의 부속실로 분기된 급기관(5)을 경유한 후 급기 댐퍼(4)[급기 댐퍼(4)는 압력센서에 의해 적정 차압이 유지되도록 개폐 구동]를 통해 부속실(3)에 송풍된다.
급기 댐퍼(4)는 부속실(3)의 내부 압력 등을 통해 풍도(1)를 개폐하는 것인데, 부속실(3)이 적정 차압을 유지하도록 급기관(5)을 개방하여 에어가 부속실(3)에 급기한다.
이때는, 에어가 풍도(1)를 통해 부속실(3)에 공급되기 때문에 송풍 압력이 릴리프 댐퍼(10)의 탄성부재(40)의 장력보다 작아 게이트(30)가 탄성부재(40)의 장력에 의해 배출부(22)를 폐쇄한다.
한편, 부속실(3) 내부의 압력이 적정 차압에 도달하면 급기 댐퍼(4)에 의해 풍도(1)의 급기관(5)이 폐쇄되며, 이때, 풍도(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고, 이 압력이 탄성부재(40)의 장력보다 크게 되면 도 4와 같이 풍도(1) 내의 에어가 릴리프 댐퍼(10)의 게이트(30)를 밀게 되어 배출부(22)가 개방되고, 따라서 풍도(1) 내의 에어가 릴리프 댐퍼(10)의 배출부(2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즉, 풍도(1) 내의 에어가 부속실(3)에 과공급되지 않으므로 부속실(3)과 연결된 거주공간의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풍도(1) 내의 압력이 저하되며, 에어의 압력이 탄성부재(40)의 장력보다 작게 되면 탄성부재(40)의 장력에 의해 게이트(30)가 하강하여 도 3과 같이 배출부(22)를 폐쇄한다.
<실시예 2>
도 5 내지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릴리프 댐퍼(1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댐퍼 본체(20), 게이트(30), 게이트 가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이 탄성부재(40)인 것은 동일하고 탄성부재(40)의 설치 방식에 특징이 있다.
댐퍼 본체(20)에는 압력조정봉(26)이 돌출 형성되며, 게이트(30)는 압력조정봉(26)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게이트(30)를 관통한 압력조정봉(26)에 탄성부재(40)가 압력조정구(41)를 통해 장착된다.
압력조정봉(26)은 배출부(22)의 중앙에 지지대(27)를 매개로 하여 세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압력조정봉(26)만을 사용하면 게이트(30)가 압력조정봉(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이는 게이트(30)의 개폐 동작과 무관하고 불안정한 개폐 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30)의 안정적인 직선 왕복이동을 위하여 하나 이상(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의 가이드봉(28)이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봉(28)은 게이트(30)의 개폐 동작만을 안내하는 것이므로 탄성부재(40)가 설치되지 않는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봉(28)도 압력조정봉(26)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40)가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릴리프 댐퍼(10)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도 6과 같이 탄성부재(40)의 장력에 의해 게이트(30)가 배출부(22)를 폐쇄하며, 풍도(1) 내부의 압력이 적정 압력보다 커지면 즉 탄성부재(40)의 장력보다 커지면 게이트(30)가 상승하여 배출부(22)가 개방됨으로써 풍도(1)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어 풍도(1) 내부의 압력이 떨어진다.
이로써 풍도(1)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풍도(1) 내부의 압력이 탄성부재(40)의 장력보다 작아지면 탄성부재(40)의 장력에 의해 게이트(30)가 하강하여 배출부(22)가 폐쇄된다.
<실시예 3>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릴리프 댐퍼(10)는, 게이트 가동수단이 웨이트(50)인 것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 1,2는 게이트 가동수단이 탄성부재(40)이며, 탄성부재(40)는 자체 장력을 통해 게이트(3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경시적으로 탄성 변형(장력의 감소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 변형은 적정 압력보다 적은 송풍 압력에도 배출부(22)를 개방하는 오현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고, 물론 압력조정구(41)의 위치 조정을 통해 탄성부재(40)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지만 이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질 것이므로 현실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적용된 웨이트(50)는 자체 특성 및 외력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조정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다.
웨이트(50)는 자중에 의해 게이트(30)를 댐퍼 본체(20)의 배출부(2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지지하며,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즉, 다양한 중량의 웨이트(50)를 하나 이상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용량의 풍도(1)에 적용할 수도 있다.
웨이트(50)의 설치 구조는 예를 들어, 게이트(30)의 상부(도면 기준)에 압력조정봉(32)이 돌출 형성되고, 웨이트(50)는 압력조정봉(32)에 끼워진다.
웨이트(50)가 압력조정봉(3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압력조정봉(32)에는 조임구(51)가 예컨대 나사 체결된다. 웨이트(50)의 수량과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압력조정봉(32)에는 여유있는 폭의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30)는 가이드봉(33)을 통해 댐퍼 본체(20)에 연결되며, 가이드봉(33)은 댐퍼 본체(20)의 배출부측의 외향 플랜지(24)에 형성된 구멍에 관통되고, 이탈방지를 위하여 조임구(34)는 가이드봉(33)의 이탈을 방지하는 목적 달성을 위해서 반드시 너트 형태인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단, 너트형의 경우 게이트(30)의 개폐 동작 폭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릴리프 댐퍼(10)에 따르면, 평상시 도 9와 같이 웨이트(50)의 자중에 의해 게이트(30)가 눌리게 되어 릴리프 댐퍼(10)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며, 풍도(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즉, 에어의 압력이 웨이트(50)와 게이트(30)의 자중보다 큰 경우 게이트(30)가 상승하여 배출부(22)가 개방됨으로써 풍도(1)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된다.
본 실시예는 웨이트(50)에 의한 게이트(3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웨이트(50)의 설치 구조, 댐퍼 본체(20)와 게이트(30)의 연결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웨이트(50)는 실시예 1의 압력조정봉(31), 실시예 2의 압력조정봉(26)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실시예들 모두 배출부(22)의 폐쇄시 게이트(30)와 배출부(22) 사이를 통한 에어의 누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밀부재(오링 등)가 적용된다.
1 : 풍도, 2 : 송풍기
3 : 부속실, 4 : 급기 댐퍼
10 : 릴리프 댐퍼, 20 : 댐퍼 본체
21 : 유입부, 22 : 배출부
23,24 : 외향 플랜지, 25 : 가이드공
26,31,32 : 압력조정봉, 27 : 지지대
28,33 : 가이드봉,
30 : 게이트, 34 : 조임구

Claims (8)

  1. 일측에는 부속실(3)에 공기를 송풍하는 풍도(1)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부(21)가, 타측에는 배출부(22)가 구비된 관형이며, 상기 풍도에 관이음 내지 일체로 형성되는 댐퍼 본체(20)와;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개폐하는 게이트(30)와;
    상기 풍도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게이트에 의해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게이트 가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상기 게이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댐퍼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공(25)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압력조정봉(31), 양측이 상기 압력조정봉과 상기 댐퍼 본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게이트를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40), 상기 압력조정봉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구(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댐퍼.
  2. 삭제
  3. 일측에는 부속실(3)에 공기를 송풍하는 풍도(1)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부(21)가, 타측에는 배출부(22)가 구비된 관형이며, 상기 풍도에 관이음 내지 일체로 형성되는 댐퍼 본체(20)와;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개폐하는 게이트(30)와;
    상기 풍도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게이트에 의해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게이트 가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상기 댐퍼 본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가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압력조정봉(26), 양측이 상기 압력조정봉과 상기 게이트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게이트를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댐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봉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구(4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댐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가동수단은,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웨이트(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댐퍼.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댐퍼 본체의 배출부 외부에 돌출 형성되는 압력조정봉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댐퍼 본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압력조정봉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웨이트는 상기 압력조정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댐퍼.
  8. 에어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에어를 건축물의 거실과 연결되는 부속실에 급기하는 풍도와;
    상기 풍도에서 각 층별로 분기 형성되어 각 층의 부속실에 에어를 급기하는 급기관과;
    상기 급기관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급기관을 개폐하는 급기 댐퍼와;
    상기 풍도와 유체 연통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풍도 내부의 압력에 의해 게이트가 개방되어 상기 부속실과 거실간의 차압을 적정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의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용 릴리프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KR1020130004581A 2013-01-15 2013-01-15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KR101303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581A KR101303332B1 (ko) 2013-01-15 2013-01-15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581A KR101303332B1 (ko) 2013-01-15 2013-01-15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332B1 true KR101303332B1 (ko) 2013-09-06

Family

ID=4945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581A KR101303332B1 (ko) 2013-01-15 2013-01-15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33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5941A1 (en) * 2012-02-16 2014-03-06 Daelim Industrial Co., Ltd. Non-directional smoke control damper having chain gear type blade advancing/retreating device
KR20160101544A (ko) * 2015-02-17 2016-08-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지용 선박의 냉동창고 환기시스템, 그 냉동창고 환기시스템의 프레셔 릴리프 밸브장치, 그 냉동창고 환기시스템을 구비하는 극지용 선박, 및 냉동창고 환기방법
KR101997664B1 (ko) 2018-11-23 2019-07-09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연돌 현상으로 인한 상부 과압 현상을 제거한 제연 시스템과 차압형 댐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01055B1 (ko) 2018-09-19 2019-07-17 미래설비엔지니어링(주) 기밀성을 향상한 댐퍼
KR20200027262A (ko) * 2018-09-04 2020-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환기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KR102120798B1 (ko) * 2019-11-18 2020-06-09 한국중부발전(주) 압력식 자동 벤트 밸브
KR102146428B1 (ko) 2019-12-31 2020-08-20 홍성완 미세 차압조절용 릴리프 댐퍼
KR102252383B1 (ko) * 2020-10-26 2021-05-14 (주)코네스코퍼레이션 사용후핵연료 운반용기의 폐쇄뚜껑 승하강 구조
KR102252372B1 (ko) * 2020-10-26 2021-05-14 (주)코네스코퍼레이션 사용후핵연료 운반용기의 폐쇄뚜껑 승하강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451A (ja) * 1986-10-02 1988-04-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空調機器の安全装置
KR200397986Y1 (ko) * 2005-05-30 2005-10-12 오한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공기조절댐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451A (ja) * 1986-10-02 1988-04-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空調機器の安全装置
KR200397986Y1 (ko) * 2005-05-30 2005-10-12 오한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공기조절댐퍼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5941A1 (en) * 2012-02-16 2014-03-06 Daelim Industrial Co., Ltd. Non-directional smoke control damper having chain gear type blade advancing/retreating device
US9452304B2 (en) * 2012-02-16 2016-09-27 Daelim Industrial Co., Ltd. Non-directional smoke control damper having chain gear type blade advancing/retreating device
KR20160101544A (ko) * 2015-02-17 2016-08-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지용 선박의 냉동창고 환기시스템, 그 냉동창고 환기시스템의 프레셔 릴리프 밸브장치, 그 냉동창고 환기시스템을 구비하는 극지용 선박, 및 냉동창고 환기방법
KR101681724B1 (ko) * 2015-02-17 2016-12-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지용 선박의 냉동창고 환기시스템 및 그 냉동창고 환기시스템의 프레셔 릴리프 밸브장치
KR20200027262A (ko) * 2018-09-04 2020-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환기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KR102474222B1 (ko) * 2018-09-04 2022-12-05 삼성중공업(주) 환기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KR102001055B1 (ko) 2018-09-19 2019-07-17 미래설비엔지니어링(주) 기밀성을 향상한 댐퍼
KR101997664B1 (ko) 2018-11-23 2019-07-09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연돌 현상으로 인한 상부 과압 현상을 제거한 제연 시스템과 차압형 댐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120798B1 (ko) * 2019-11-18 2020-06-09 한국중부발전(주) 압력식 자동 벤트 밸브
KR102146428B1 (ko) 2019-12-31 2020-08-20 홍성완 미세 차압조절용 릴리프 댐퍼
KR102252383B1 (ko) * 2020-10-26 2021-05-14 (주)코네스코퍼레이션 사용후핵연료 운반용기의 폐쇄뚜껑 승하강 구조
KR102252372B1 (ko) * 2020-10-26 2021-05-14 (주)코네스코퍼레이션 사용후핵연료 운반용기의 폐쇄뚜껑 승하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332B1 (ko)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KR101409791B1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054889B1 (ko) 급기가압 차압제연장치
KR102247847B1 (ko) 제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99624B1 (ko) 디퓨저
KR101932622B1 (ko) 방화문
KR20200051293A (ko) 거실 제연설비 시스템
US9682257B2 (en) Life-saving system for fire in multi-storey building
KR20110077895A (ko) 화재 발생시의 강제 배기장치
KR101543341B1 (ko)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KR100421806B1 (ko)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KR20160131512A (ko) 엘리베이터 홀 환기 시스템
KR20130006253U (ko) 제연 시스템 댐퍼
KR101760440B1 (ko) 미닫이문 자동 닫힘 장치
KR20110082277A (ko) 급기가압 제연장치
JP2005127120A (ja) 自然換気装置
KR101054792B1 (ko) 과압배출용 댐퍼
KR20190001345A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디퓨져
KR200474019Y1 (ko) 복합댐퍼 수동개폐기
KR20100074603A (ko)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과압배출용 댐퍼장치
KR200316848Y1 (ko) 제연 댐퍼의 개폐장치
CN205822707U (zh) 防火型移动式变压排气道
JP4733440B2 (ja) 高層建物
KR101584539B1 (ko) 환기 설비용 디퓨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