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699B1 - 본딩 장치 - Google Patents

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699B1
KR101792699B1 KR1020150038395A KR20150038395A KR101792699B1 KR 101792699 B1 KR101792699 B1 KR 101792699B1 KR 1020150038395 A KR1020150038395 A KR 1020150038395A KR 20150038395 A KR20150038395 A KR 20150038395A KR 101792699 B1 KR101792699 B1 KR 10179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iving
shaft
secondary barrie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413A (ko
Inventor
이인호
김성태
조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5003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6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95Floating coating head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75Manipulators for painting o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8Panellings; Lin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31Three or mor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3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 F17C2209/232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of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딩 장치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외부 단열패널, 주 2차 방벽 및 내부 단열패널 중 상기 내부 단열패널의 사이를 주행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을 상기 내부 단열패널 사이로 주행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주 2차 방벽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유닛;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주 2차 방벽 상에 도포된 접착제 위로 보조 2차 방벽을 공급하는 보조 2차 방벽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내부 단열패널을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 부재; 및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바디부와 상기 주행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딩 장치{Bo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사용되는 보조 2차 방벽을 주 2차 방벽 상에 접합하는 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는 공해물질이 거의 없고, 열량이 우수하여 점차 중요한 에너지 자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천연가스의 보관 및 운송은 주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최근 액화천연가스를 대량으로 운송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C: LNG Carrier)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cargo tank)은 그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를 약 -163℃ 이하의 초저온 상태로 유지하고, 또 그로 인한 냉기로부터 선체를 보호하기 위해 특수한 이중 단열 구조로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이중 단열 구조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강과 같이 내저온성이 강한 재질의 멤브레인 구조로 형성되는 1차 방벽, 트리플렉스(triplex)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2차 방벽 및 다양한 단열 패널(insulation panel)을 포함하며, 선체에 단열 패널, 2차 방벽 및 1차 방벽을 순차로 시공하여 형성된다. 2차 방벽은 주 2차 방벽과 보조 2차 방벽으로 구성되며, 주 2차 방벽 상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보조 2차 방벽을 접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사용되는 보조 2차 방벽을 주 2차 방벽 상에 자동 접합하기 위한 본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폭이 조절될 수 있는 구동 유닛을 갖는 본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순차적으로 적층된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외부 단열패널, 주 2차 방벽 및 내부 단열패널 중 상기 내부 단열패널의 사이를 주행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을 상기 내부 단열패널 사이로 주행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주 2차 방벽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유닛;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주 2차 방벽 상에 도포된 접착제 위로 보조 2차 방벽을 공급하는 보조 2차 방벽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내부 단열패널을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 부재; 및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바디부와 상기 주행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암을 포함하는 본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기; 상기 구동축 상에 위치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연동축 상에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공되는 연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는 주행 하우징;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주행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 바퀴를 갖는 주행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암은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연동축의 회전을 상기 주행축으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 부재는, 링 형상으로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연동축 가운데 하나의 외면과 상기 주행축의 외면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축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 1 주행축 및 제 2 주행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바퀴는 상기 제 1 주행축 및 상기 제 2 주행축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부재는, 상기 제 1 주행축과 상기 제 2 주행축이 서로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부재는 링 형상으로 상기 제 1 주행축의 외면과 상기 제 2 주행축의 외면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사용되는 보조 2차 방벽을 주 2차 방벽 상에 자동 접합할 수 있는 본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폭이 조절될 수 있는 구동 유닛을 갖는 본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본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구동유닛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구동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주행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구동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9는 주행 부재들의 이격 거리가 가변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본딩 장치가 작업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는 LNG 운반선, LNG 알브이선(Regasification Vessel), LNG 부유식 생산 저장 하역(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설비 또는 LNG 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설비(FSRU;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구조물의 화물창이나 저장소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는 액화천연가스를 -163℃ 이하의 초저온 상태로 냉각시켜 액체 상태로 저장하고, 그 냉기가 구조물(M)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는 이중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 부분은 구조물(M)에 외부 단열패널(14), 2차 방벽(12), 내부 단열패널(13) 및 1차 방벽(11)이 모두 시공된 상태의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를 보여준다. (B) 부분은 구조물(M)에 외부 단열패널(14), 2차 방벽(12) 및 내부 단열패널(13)이 시공된 후 단열재(H2)와 1차 방벽(11)이 시공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준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는 (A) 부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조물(M)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외부 단열패널(14), 2차 방벽(12), 내부 단열패널(13) 및 1차 방벽(11)을 포함한다.
외부 단열패널(14)은 구조물(M)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며,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의 외벽을 형성한다. 외부 단열패널(14)은 2차 방벽(12)과 구조물(M)의 사이에서 단열 기능을 수행하며,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외부 단열패널(14)은 제1 단열부재(14a) 및 제1 단열부재(14a)에 부착되는 제1 보호부재(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열부재(14a)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과 같은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단열패널(14)은 제1 보호부재(14b)를 매개로 하여, 스터드 볼트(stud bolt)(미도시)에 의해 구조물(M)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보호부재(14b)는 외부 단열패널(14)에 강성을 부여하여 외부 단열패널(14)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라이우드(plywood)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단열패널(14)의 팽창시 외부 단열패널(1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단열패널(14)들은 서로 간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단열패널(14)들 사이의 이격된 틈새에는 글래스 울(glass wool)과 같은 유리섬유 재질 등의 단열재(H1)가 채워질 수 있다.
2차 방벽(12)은 외부 단열패널(1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2차 방벽(12)은 외부 단열패널(14)과, 내부 단열패널(13) 및 단열재(H2)의 사이에 개재되어, 1차 방벽(11)에 이어 이차적으로 액화천연가스를 단열하고 외부 유출을 차단한다. 2차 방벽(12)은 트리플렉스(triplex)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섬유 복합재(glass-fiber composite)의 양면에 금속 포일이 부착된 금속 복합 재료층(metal composite lamina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방벽(12)은 주 2차 방벽(12b) 및 보조 2차 방벽(12a)을 포함한다. 주 2차 방벽(12b)은 외부 단열패널(14) 상에 설치된다. 주 2차 방벽(12b)은 단열 기능을 가지며, 액화천연가스의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주 2차 방벽(12b)은 리지드 트리플렉스(rigid triplex)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단열패널(14)들과 마찬가지로 주 2차 방벽(12b)들은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주 2차 방벽(12b)의 팽창시 손상이 방지된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주 2차 방벽(12b)들 사이의 틈새를 가리도록 시공된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외부로 액화천연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액화천연가스의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셔플 트리플렉스(supple triplex)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주 2차 방벽(12b)의 상면 중 내부 단열패널(13)들 사이로 노출된 노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주 2차 방벽(12b) 상에 도포된 접착제(G) 위에 시트(T)를 부착하고, 접착제(G)를 경화하여 시공될 수 있다.
내부 단열패널(13)은 주 2차 방벽(12b) 상에 설치된다. 내부 단열패널(13)은 1차 방벽(11)과 주 2차 방벽(12b)의 사이에서 단열 기능을 수행한다. 내부 단열패널(13)은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내부 단열패널(13)들은 서로 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내부 단열패널(13)들은 후술되는 본딩 장치(도 2의 도면부호 100)의 너비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딩 장치에 의하여 주 2차 방벽(12b) 상에 보조 2차 방벽(12a)이 시공되면, (A) 부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내부 단열패널(13)들 사이의 공간에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재질의 단열재(H2)가 채워질 수 있다. 내부 단열패널(13)과 단열재(H2)는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져, 상면이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단열재(H2)는 내부 단열패널(13)들 사이의 틈새를 메워 액화천연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고, 단열성을 향상시킨다.
일 예로, 내부 단열패널(13)은 제2 보호부재(13a) 및 제2 보호부재(13a)에 부착되는 제2 단열부재(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열부재(13b)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보호부재(13a)는 내부 단열패널(13)에 강성을 부여하여 내부 단열패널(13)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보호부재(13a)는 플라이우드(plywood)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차 방벽(11)은 제2 보호부재(13a)를 매개로 앵커 스트립(anchor strip)(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내부 단열패널(1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1차 방벽(1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의 내벽을 형성한다. 1차 방벽(11)은 일차적으로 액화천연가스를 단열하고 그 유출을 차단한다. (A) 부분에서 1차 방벽(11)의 위쪽이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의 내부 공간이다. 1차 방벽(1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예를 들어, 1차 방벽(11)은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합금, 인바(Invar), 니켈강 등과 같은 저온 취성에 강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1차 방벽(1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에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그 온도가 초저온으로 냉각되고,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된다. 1차 방벽(11)은 요철(11a)이 형성된 주름형 멤브레인(corrugated membrane)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온도가 초저온으로부터 상온까지 변화함에 따라 1차 방벽(11)에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1차 방벽(11)에 형성된 요철(11a)은 1차 방벽(11)의 열 변형시 버퍼 역할을 하여 1차 방벽(11)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본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딩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 장치(100)는 도 1의 (B) 부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10)의 내부 단열패널(13)들 사이를 주행하면서 주 2차 방벽(12b) 상에 접착제(G) 및 시트(T)를 도포하여 보조 2차 방벽(12a)을 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딩 장치(100)는 제2 단열부재(13b)들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S)에 인스톨되고, 주 2차 방벽(12b)들 사이의 틈새 라인을 따라 주행하면서, 주 2차 방벽(12b) 상에 접착제(G)를 도포하고, 접착제(G)가 도포된 주 2차 방벽(12b)의 위에 보조 2차 방벽용 시트(T)를 도포하여 보조 2차 방벽(12a)을 접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딩 장치(100)는 프레임(110), 구동유닛(120), 접착제 도포유닛(130), 보조 2차 방벽 공급부(140), 및 가열유닛(160)을 포함한다. 구동유닛(120), 접착제 도포유닛(130), 보조 2차 방벽 공급부(140) 및 가열유닛(160)은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프레임(110)은 본딩 장치(100)의 몸체를 이룬다. 프레임(110)은 대차 형태의 골격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10)은 내부 단열패널(13)들의 사이에서 제1 방향(X)으로 주행한다. 여기서, 제1 방향(X)은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서, 본딩 장치(100)가 내부 단열패널(13)들의 사이에 인스톨된 상태에서 주 2차 방벽(12b)들 사이의 틈새 라인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Y)은 본딩 장치(100)의 상부에서 내려다 본 평면에서 제1 방향(X)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모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본딩 장치(100)에서 접착제 도포유닛(130)이 배치된 방향 측을 전방으로 지칭하고, 보조 2차 방벽 공급부(140)가 배치된 방향 측을 후방으로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10)은 양측 축부재(111)와 복수의 연결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양측 축부재(111)는 제1 방향(X)과 나란한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부재(113)들은 양측 축부재(111)를 연결한다. 축부재(111)와 연결부재(113)는 볼트 너트 체결, 용접 등과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축부재(111)와 연결부재(113)는 강성이 뛰어나고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 또는 철제 구조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유닛(120)은 본딩 장치(100)의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프레임(110)을 제1 방향(X)의 경로를 따라 전방으로 주행시킨다.
도 5는 구동유닛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구동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구동유닛(120)은 본딩 장치(100)의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프레임(110)을 제1 방향(X)의 경로를 따라 전방으로 주행시킨다.
구동유닛(120)은 바디부(1200) 및 주행 부재(1300)를 포함한다.
바디부(1200)는 하우징(1210) 및 구동기(1220)를 포함한다. 바디부(1200)는 본딩 장치(10)가 주행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하우징(1210)은 바디부(1200)의 외형을 제공한다. 하우징(1210)은 개략적 외형이 상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210)은 제 2 방향(Y)으로 양측이 개방되게 제공된다. 하우징(1210)은 연결부재(113)로 축부재(111)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기(1220)는 하우징(1210)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구동기(1220)는 일 면은 하우징(12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 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1220)는 하우징(1210)의 내측면에 고정 되게나 하우징(1210)을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동기(1220)는 구동축(1221)을 통해 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구동기(1220)는 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축(1221)은 길이 방향이 제 3 방향(Z)을 따라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하우징(1210)의 내측에 위치된다. 구동축(1221)의 단부는 하우징(1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거나, 하우징(1210) 대해 이격 되게 위치될 수 있다. 구동축(1221)에는 구동 기어(1222)가 제공된다. 구동 기어(1222)는 구동축(1221)과 함께 회전 된다.
하우징(1210)의 내측에는 연동축(1230)이 위치된다. 연동축(1230)은 구동축(1221)과 나란하게 위치된다. 연동축(1230)은 양단이 하우징(121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연동축(1230)은 일단이 하우징(1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하우징(1210)의 내측과 이격되게 위치될 수 도 있다. 연동축(1230)에는 연동 기어(1231)가 제공된다. 연동 기어(1231)는 구동 기어(1222)와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구동 기어(1222)와 연동 기어(1231)는 서로 동일한 수의 기어 이(gear tooth)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주행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주행 부재(1300)는 주행 하우징(1310) 및 구동 바퀴(13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주행 부재(1300)는 바디부(1200)의 제 2 방향(Y) 양측에 위치된다. 주행 부재(1300)는 바디부(1200)가 제공하는 동력을 이용해 본딩 장치(10)를 주행시킨다.
주행 하우징(1310)은 주행 부재(1300)의 골격을 제공한다. 주행 하우징(1310)은 축부재(111)의 아래쪽 또는 위쪽에 위치된다. 주행 하우징(1310)은 축부재(111)에 대해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축부재(111)와 주행 하우징(1310)이 서로 접하는 면들 가운데 하나의 면에 제공되는 돌기가 다른 하나의 면에 형성된 아크 형상의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축부재(111)와 주행 하우징(1310)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주행 하우징(1310)의 슬라이드 속도를 감쇄하는 댐핑 구조물, 주행 하우징(1310)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구조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댐핑 구조물, 복원력을 가하는 구조물 등은 제 1 방향(X)을 따라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주행 하우징(1310)은 제 1 방향(X)을 따라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주행 하우징(131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주행축(1311a, 1311b)이 위치된다. 주행축(1311a, 1311b)은 바디부(1200)와 직접적으로 연동하는 제 1 주행축(1311a) 및 제 1 주행축(1311a)과 설정거리 이격 되게 위치되는 제 2 주행축(1311b)을 포함한다. 제 2 주행축(1311b)은 제 1 주행축(1311a)에 대해 전방에 위치되거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주행축(1311a) 및 제 2 주행축(1311b)에는 각각 구동 바퀴(1320)가 위치된다. 구동바퀴(122)는 내부 단열패널(13)의 측면과 구름 접촉하여 프레임(110)을 주행시킬 수 있다.
각각의 제 1 주행축(1311a)은 연결암(1350)을 통해 구동축(1221) 또는 연동축(1230)에 연결된다. 연결암(1350)은 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연결암(1350)의 양단은 각각 바디부(1200)와 주행 부재(1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암(1350)은 제 1 링크부(1351), 제 2 링크부(1352) 및 전달 부재(1355)를 포함한다.
제 1 링크부(1351)의 일단은 구동축(1221) 또는 연동축(12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링크부(1351)의 타단은 제 1 주행축(1311a)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링크부(1352)는 제 1 링크부(1351)와 제 3 방향(Z)으로 이격 되게 위치된다. 제 2 링크부(1352)의 일단은 구동축(1221) 또는 연동축(12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링크부(1352)의 타단은 제 1 주행축(1311a)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 부재(1355)는 링 형상의 구조로 제공되고 구동축(1221)(또는 연동축(1230))의 외면과 제 1 주행축(1311a)의 외면에 걸쳐 위치되어, 구동축(1221)(또는 연동축(1230))의 회전을 제 1 주행축(1311a)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전달 부재(1355)는 벨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구동축(1221)(또는 연동축(1230))과 제 1 주행축(1311a)에는 각각 구동축(1221)(또는 연동축(1230)) 및 제 1 주행축(1311a)과 함께 회전되는 풀리 구조의 회전부(1355a)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1355a)는 링 형상의 벨트 구조를 갖는 전달부(1355b)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축(1221)(또는 연동축(1230))의 동력이 제 1 주행축(1311a)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달 부재(1355)는 체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회전부(1355a)는 스프로킷 구조로 제공되고, 전달부(1355b)는 체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전달 부재(1355)는 제 1 링크부(1351)와 제 2 링크부(13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달 부재(1355)는 제 1 링크부(1351)의 위쪽 또는 제 2 링크부(1352)의 아래쪽에 위치될 수 도 있다.
연동 부재(1331, 1332)는 제 1 주행축(1311a)와 제 2 주행축(1311b)이 서로 연동되어 회전 되도록 한다. 연동 부재(1331, 1332)는 링 형상의 구조로 제공되고 제 1 주행축(1311a)의 외면과 제 2 주행축(1311b)의 외면에 걸쳐 위치되어, 제 1 주행축(1311a)의 회전을 제 2 주행축(1311b)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연동 부재(1331, 1332)는 벨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 1 주행축(1311a)과 제 2 주행축(1311b)에는 각각 제 1 주행축(1311a) 및 제 2 주행축(1311b)과 함께 회전되는 풀리 구조의 제 1 회전부(1331a, 1331b)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1331)는 링 형상의 벨트 구조를 갖는 전달부(1332)에 의해 연결되어 제 1 주행축(1311a)의 동력이 제 2 주행축(1311b)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동 부재(1331, 1332)는 체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회전부(1331)는 스프로킷 구조로 제공되고, 전달부(1332)는 체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연동 부재(1331, 1332)는 구동 바퀴(1320)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구동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하, 상부에서 볼 때, 구동 기어(1222)가 좌측에 위치되고, 연동 기어(1231)가 우측에 위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구동 기어(1222) 및 연동 기어(123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 기어(1222)가 연동 기어(1231)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기(1220)는 구동 기어(1222)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되도록 구동축(1221)을 회전 시킨다. 구동 기어(1222)의 회전에 따라 연동 기어(123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축(1221) 및 연동축(1230)의 회전은 전달 부재(1355)에 의해 제 1 주행축(1311a)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 1 주행축(1311a)의 회전은 연동 부재(1331, 1332)에 의해 제 2 주행축(1311b)으로 전달된다. 좌측에 위치된 주행 부재(1300)의 구동바퀴(1320)는 구동 기어(1222)와 동일하게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측에 위치된 주행 부재(1300)의 구동바퀴(1320)는 연동 기어(1231)와 동일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본딩 장치(10)는 구동바퀴(1320)가 내부 단열패널(13)의 측면과 구름 접촉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주행 할 수 있다.
도 9는 주행 부재들의 이격 거리가 가변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딩 장치(10)에 제공되는 연결암(1350)은 일단이 바디부(1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타단이 주행 부재(1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됨에 따라, 주행 부재(1300)와 바디부(1200)의 이격 거리가 가변 될 수 있다. 본딩 장치(10)가 주행하는 내부 단열 패널(13) 측면의 이격 거리는 영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본딩 장치(10)는 주행 부재(1300)들의 이격 거리가 변함에 따라, 내부 단열 패널(13) 측면의 이격 거리가 변하여도, 구동 바퀴(1320)가 내부 단열 패널(13)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헛 구르거나, 구동 바퀴(1320)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접착제 도포유닛(130)은 프레임(110)에서 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유닛(130)은 접착제(G)를 토출하여 주 2차 방벽(12b) 상에 접착제(G)를 도포할 수 있다. 접착제 도포유닛(130)은 프레임(110)에서 보조 2차 방벽 공급부(140)보다 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유닛(130)은 외부로부터 접착제(G)를 공급받아 주 2차 방벽(12b) 상의 도포면으로 접착제(G)를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도포면은 내부 단열패널(13)들의 사이로 노출된 주 2차 방벽(12b)의 상면 혹은 그 일부를 의미하며, 도포면에 접착제(G)와 시트(T)가 도포되어 보조 2차 방벽(12a)이 시공된다.
접착제 도포유닛(130)은 공급포트(131), 실린더(132) 및 노즐건(133)을 포함한다. 공급포트(131)는 외부의 공급라인과 연결된다. 공급라인을 통해 접착제 도포유닛(130)의 공급포트(131)로 접착제(G)가 공급된다. 노즐건(133)은 프레임(110)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토출구(134)를 통해 접착제(G)를 토출한다. 노즐건(133)은 도포면의 후방 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노즐건(133)의 토출구(134)는 주 2차 방벽(12b)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132)는 공급포트(131)로 공급된 접착제(G)를 노즐건(133)으로 공급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132)는 외부의 에어라인에 연결되고, 에어라인의 공압에 의해 공급포트(131)로 공급된 접착제(G)가 노즐건(133)을 통해 주 2차 방벽(12b)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132)에 가해지는 에어라인의 공압을 조절하여 공급포트(131)로부터 노즐건(133)으로 전달되는 접착제(G)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제 도포유닛(130)에 의해 주 2차 방벽(12b)으로 토출되는 접착제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실린더(132)는 밸브 등과 같이 접착제(G)의 토출 여부 또는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른 유량 조절 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접착제 도포유닛(130)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0)에는 한 쌍의 노즐 유닛(1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접착제 도포유닛(130) 각각은 주 2차 방벽(12b)의 틈새 라인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주 2차 방벽(12b) 상에 접착제(G)를 토출할 수 있다.
보조 2차 방벽 공급부(140)는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주 2차 방벽(12b) 상에 도포된 접착제(G) 위로 보조 2차 방벽(12a) 시공을 위한 시트(T)를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보조 2차 방벽 공급부(140)는 시트거치유닛(141), 시트안내유닛(142) 및 롤러유닛(1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 예에서 접착제 도포유닛(130), 시트안내유닛(142), 롤러유닛(143), 가열유닛(160), 시트거치유닛(141) 및 구동부(120)는 프레임(110)에 제1 방향(X)을 따라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설치 순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0은 도 1의 본딩 장치가 작업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트거치유닛(141)은 지지부(1411) 및 권취 로드(1412)를 포함한다.
시트거치유닛(141)은 보조 2차 방벽(12a)의 시공을 위한 시트(T)를 권취하며, 보조 2차 방벽(12a) 시공시 시트(T)를 권출한다.
지지부(1411)는 시트거치유닛(14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지지부(1411)는 시트거치유닛(141)에 위치된 시트(T)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41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411)는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권취 로드(1412)는 지지부(1411)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권취 로드(1412)는 지지부(1411)의 중심 영역에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1411)가 원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권취 로드(1412)는 지지부(1411)의 중심에 위치되게 제공될 수 있다.
시트거치유닛(141)은 보조 2차 방벽(12a)의 시공을 위한 시트(T)를 롤 형태로 권취하며, 보조 2차 방벽 시공시 시트(T)를 권출한다. 시트거치유닛(141)은 예를 들어 봉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시트거치유닛(141)은 축부재(111)에 위치된 회전 지지부재(150)에 위치된다. 회전 지지부재(150)는 시트거치유닛(141)을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시트거치유닛(141)에 위치 된 시트 롤에서 풀린 시트(T)는 시트안내유닛(142)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시트거치유닛(141)은 가열유닛(16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유닛(130)과 가열유닛(160) 간의 간격이 크면, 그 간격만큼 접착제를 도포하지 못하여, 보조 2차 방벽의 시공이 제한되는 데드존이 증가될 수 있는데, 공간을 차지하는 시트거치유닛(141)을 가열유닛(160)의 후방에 설치하면, 접착제 도포유닛(130)과 가열유닛(160) 간의 간격이 줄일 수 있어, 데드존을 줄일 수 있다.
시트안내유닛(142)은 시트거치유닛(141)으로부터 권출된 시트(T)를 주 2차 방벽(12b)의 접착제(G) 도포면 측으로 안내하며, 이에 따라 시트(T)가 주 2차 방벽(12b) 상의 접착제(G)가 토출된 도포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안내유닛(142)은 장력조절부재(1421), 안내부재(1422) 및 테이프 카트리지(1423)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조절부재(1421)는 시트거치유닛(141)으로부터 제공되는 시트(T)의 장력을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장력조절부재(1421)는 상하로 배열되는 장력롤러(1421a)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롤러(1421a)는 서로 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재(1421)는 장력롤러(1421a)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시트(T)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시트(T)는 장력롤러(1421a)의 사이로 제공되며, 장력조절부재(1421)가 시트(T)에 장력을 가함에 따라, 시트거치유닛(141)으로부터 시트(T)가 팽팽하게 풀릴 수 있다.
안내부재(1422)는 장력조절부재(1421)로부터 시트(T)를 제공받아 이를 주 2차 방벽(12b) 상의 도포면으로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부재(1422)는 복수의 안내봉(1422a)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봉(1422a)들은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안내봉(1422a)들 중 가장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안내봉은 도포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안내봉(1422a)은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내봉(1422a)은 각각 너비 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장력조절부재(1421)를 거친 시트(T)가 도포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423)는 시트(T)의 양측 가장자리를 테이프로 마감하여 시트(T) 하부의 접착제(G)가 시트(T)의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테이프 카트리지(1423)에는 테이프가 롤 형태로 감긴다. 테이프 카트리지(1423)는 그에 감긴 테이프를 시트(T)의 가장자리에 부착시킨다. 테이프는 시트(T)의 가장자리를 덮어 시트(T) 하부의 접착제(G)가 옆으로 퍼질 때 접착제(G)를 가두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423)는 양측 축부재(111)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시트(T)의 양측 가장자리에 테이프를 부착시킬 수 있다.
롤러유닛(143)은 시트안내유닛(142)에 의해 주 2차 방벽(12b)의 접착제(G) 도포면으로 공급된 시트(T)를 주 2차 방벽(12b) 측으로 가압하여, 주 2차 방벽(12b) 상의 도포면에 접착제(G) 및 시트(T)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한다. 롤러유닛(143)에 의해 시트(T)가 가압되어 접착제(G)가 퍼질 때, 테이프 카트리지(1423)에 의하여 시트(T)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테이프에 의해 접착제(G)가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롤러유닛(143)은 링크(1431), 액추에이터(1432) 및 하나 이상의 가압롤러(1433)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1431)는 프레임(1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압롤러(1433)는 링크(1431)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롤러(1433)는 프레임(110)의 너비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압롤러(1433)는 너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압롤러(1433)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가압롤러(1433)는 시트(T)에 접촉하여 시트(T)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T) 하부에 토출된 접착제(G)와 시트(T)가 도포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압롤러(1433)가 시트(T)를 가압함에 따라 시트(T) 하부의 접착제(G)의 압착 형상 또는 스퀴즈 아웃 형상(squeeze-out shape)이 일정하게 될 수 있다. 링크(1431)에는 가압롤러(1433)가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롤러(1433)는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432)는 링크(1431)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링크(14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 2차 방벽(12b) 상의 도포면과 가압롤러(1433)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본딩 장치(100)에는 이러한 롤러유닛(143)이 양측 축부재(111)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유닛(143) 각각은 주 2차 방벽(12b)들 간의 틈새 라인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주 2차 방벽(12b) 상에 도포된 시트(T) 및 그 하부의 접착제(G)를 가압할 수 있다.
가열유닛(160)은 주 2차 방벽(12b) 상에 도포된 접착제(G)를 가열하여, 접착제(G)를 경화시킨다. 접착제(G)에 열이 가해지면 접착제(G)가 경화되어 접착제(G) 및 시트(T)가 도포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열유닛(160)은 링크(161), 액추에이터(162), 가열 플레이트(163) 및 히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161)는 프레임(1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열 플레이트(163)는 링크(161)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열 플레이트(163)는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열 플레이트(163)의 하면은 도포면과 마주보도록 제공될 수 있다. 히터(164)는 가열 플레이트(163)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64)는 가열 플레이트(163)의 내부에 부설되는 전열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62)는 링크(161)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링크(16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62)가 링크(161)를 조절하여 도포면을 향해 연장함에 따라 가열 플레이트(163)는 도포면에 도포된 시트(T)에 접촉하거나 근접된다. 히터(164)의 발열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가열 플레이트(163)는 시트(T)와 접착제(G)에 열을 가하고, 이에 따라 시트(T)가 경화되면서 도포면에 부착되어 보조 2차 방벽이 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11: 1차 방벽
12: 2차 방벽 12a: 보조 2차 방벽
12b: 주 2차 방벽 13: 내부 단열패널
13a: 제2 보호부재 13b: 제2 단열부재
14: 외부 단열패널 14a: 제2 단열부재
14b: 제2 보호부재 M: 구조물
G: 접착제 T: 시트
100: 본딩 장치 110: 프레임
111: 축부재 112: 가이드 부재
113: 연결부재 120: 구동유닛
130: 접착제 도포유닛 131: 공급포트
132: 실린더

Claims (8)

  1. 순차적으로 적층된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외부 단열패널, 주 2차 방벽 및 내부 단열패널 중 상기 내부 단열패널의 사이를 주행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을 상기 내부 단열패널 사이로 주행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주 2차 방벽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유닛;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주 2차 방벽 상에 도포된 접착제 위로 보조 2차 방벽을 공급하는 보조 2차 방벽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를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구동기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바퀴를 통해 상기 내부 단열패널을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 부재; 및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바디부와 상기 주행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주행 부재의 이격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하는 연결암을 포함하는 본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상기 구동기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 상에 위치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연동축 상에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공되는 연동 기어를 포함하는 본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는 주행 하우징;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주행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 바퀴를 갖는 주행축을 포함하는 본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은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연동축의 회전을 상기 주행축으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본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링 형상으로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연동축 가운데 하나의 외면과 상기 주행축의 외면에 걸쳐 위치되는 본딩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축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 1 주행축 및 제 2 주행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바퀴는 상기 제 1 주행축 및 상기 제 2 주행축에 각각 위치되는 본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부재는,
    상기 제 1 주행축과 상기 제 2 주행축이 서로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 부재를 포함하는 본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는 링 형상으로 상기 제 1 주행축의 외면과 상기 제 2 주행축의 외면에 걸쳐 위치되는 본딩 장치.
KR1020150038395A 2015-03-19 2015-03-19 본딩 장치 KR101792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95A KR101792699B1 (ko) 2015-03-19 2015-03-19 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95A KR101792699B1 (ko) 2015-03-19 2015-03-19 본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413A KR20160113413A (ko) 2016-09-29
KR101792699B1 true KR101792699B1 (ko) 2017-11-03

Family

ID=5707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395A KR101792699B1 (ko) 2015-03-19 2015-03-19 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6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6315B2 (ja) 2011-12-20 2016-02-09 サムスン ヘヴィ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用補助2次防壁の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6315B2 (ja) 2011-12-20 2016-02-09 サムスン ヘヴィ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用補助2次防壁の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413A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938B1 (ko) 도포 장치
KR101325709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JP5856315B2 (ja) 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用補助2次防壁の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KR101735324B1 (ko) 본딩 장치
KR101702523B1 (ko) 본딩 장치
KR101444384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본딩 장치 및 본딩 방법
KR101792699B1 (ko) 본딩 장치
KR101378896B1 (ko) 본딩 장치
KR101744634B1 (ko) 본딩 장치
KR101702524B1 (ko) 본딩 장치
KR20130116113A (ko) 본딩 장치
KR101774918B1 (ko) 주행 장치
KR101378906B1 (ko) 본딩 장치
KR101744633B1 (ko) 주행 장치
KR10181462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본딩 장치
KR101580788B1 (ko) 자동 본딩 장치
KR102553180B1 (ko) 2차 방벽 자동 접착 장치
KR102553187B1 (ko) 2차 방벽 자동 접착 장치
KR102553174B1 (ko) 2차 방벽 자동 접착 장치
KR10181469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본딩 장치
KR102588977B1 (ko) 2차 방벽 자동 접착 장치
KR101634999B1 (ko) 자동 본딩 장치
KR101600289B1 (ko) 자동 본딩 장치
KR20130092308A (ko)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접합 장치 및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
KR20190109862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 접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