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600B1 -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600B1
KR101792600B1 KR1020170084324A KR20170084324A KR101792600B1 KR 101792600 B1 KR101792600 B1 KR 101792600B1 KR 1020170084324 A KR1020170084324 A KR 1020170084324A KR 20170084324 A KR20170084324 A KR 20170084324A KR 101792600 B1 KR101792600 B1 KR 101792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auxiliary pulley
direction auxiliary
pulle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채규관
Original Assignee
케이디건설산업 주식회사
해룡토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건설산업 주식회사, 해룡토건㈜ filed Critical 케이디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개시되어 있는 구조물 절단장치와 달리 구동부가 절단장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장력을 절단장치 내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상과 수중을 구분하지 않고 구조물의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종래 문제점인, 구조물의 절단 위치에 절단장치를 조립하여 구조물을 절단한 후 절단장치를 해체하고, 다시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절단장치를 재조립하기를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던 것을 개선하여, 초기에 절단장치를 조립한 후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춰 절단장치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AMPHIBIOUS CUTTING DEVICE IMPROVED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CUTTING PROCESS OF STRUCTURE}
본 발명은 종래 개시되어 있는 구조물 절단장치와 달리 구동부가 절단장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장력을 절단장치 내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상과 수중을 구분하지 않고 구조물의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종래 문제점인, 구조물의 절단 위치에 절단장치를 조립하여 구조물을 절단한 후 절단장치를 해체하고, 다시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절단장치를 재조립하기를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던 것을 개선하여, 초기에 절단장치를 조립한 후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춰 절단장치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2840(등록일자 2011.07.25) '구조물 건식 절단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11115(등록일자 2011.01.19)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2840는 육상의 구조물을 절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의 구조물을 절단하기에 장치 구성이 적합하지 않다.
또한 여러 차례에 걸쳐 구조물을 절단함에 있어,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장치의 조립과 해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11115 또한 와이어 쏘 구동기(10), 가이드 부재(20), 와이어 쏘(30), 집진 커버부재(40) 등이 개별적 결합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구동부가 절단장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장력을 절단장치 내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기술 구성과는 상이하여 본 발명의 수륙 양용이면서 상·하 이동방식의 절단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시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2840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11115를 포함하여 종래 구조물 절단장치가 갖고 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발명으로서, 육상 또는 수중 모두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동부와 지그부가 절단장치와 밀폐의 일체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밀폐구조의 절단장치 내부에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구조물 절단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고,
또한 구조물 절단과정에서 발생한 분진을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외부의 집진장치와 정화장치 또는 분진저장소를 통해 원활하게 처리함으로써 깔끔하고 청결한 절단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며,
더욱이 구조물의 절단과정 중에 번거롭게 절단장치를 조립과 해체하기를 반복하지 않더라도, 최초 절단장치를 조립한 후에는 절단장치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춰 절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2840(등록일자 2011.07.2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11115(등록일자 2011.01.19)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상 또는 수중 모두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동부와 지그부가 절단장치와 밀폐의 일체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밀폐구조의 절단장치 내부에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구조물 절단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고,
또한 구조물 절단과정에서 발생한 분진을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외부의 집진장치와 정화장치 또는 분진저장소를 통해 원활하게 처리함으로써 깔끔하고 청결한 절단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며,
더욱이 구조물의 절단과정 중에 번거롭게 절단장치를 조립과 해체하기를 반복하지 않더라도, 최초 절단장치를 조립한 후에는 절단장치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춰 절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외측면을 감아 회전하면서 절단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와,
상기 구조물의 절단부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회전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회전에 의한 구조물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슬러지를 집진하여 외부의 집진장치와 정화장치 또는 분진저장소로 배출하는 외부밀폐커버와,
상기 외부밀폐커버의 일단에 설치되되, 상기 외부밀폐커버와 일체의 밀폐구조를 이루어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전진방향을 제어하는 밀폐형구동부와,
상기 밀폐형구동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되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외부밀폐커버와 일체의 밀폐구조를 이루어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장력을 제어하는 밀폐형지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물 절단부;
상기 구조물 절단부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세워 육면체 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는 상부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여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되, 구조물에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홀을 포함하는 하부 가로프레임과, 상기 상부 가로프레임과 하부 가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세로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직이동부 본체프레임과,
상기 상부 가로프레임의 네변의 각각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 절단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이동고리와 와이어로프로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 절단부를 상·하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는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구조물 절단부 내에 밀폐형 구동부와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밀폐형지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육상과 수중의 구조물 모두의 절단에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크다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 구조물 절단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밀폐형지그부의 작용에 의해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의 제어가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구조물 절단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셋째. 구조물 절단부를 최초로 조립한 후에는 구조물의 절단작업이 마무리될 때까지 해체와 조립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필요 없이, 수직이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조물 절단부를 수직으로 상하이동하면서 구조물 절단작업 수행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넷째. 구조물의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슬러지를 외부밀폐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분진배출구를 통해 외부의 집진장치와 정화장치 또는 분진저장소를 통해 분진 및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환경오염 방지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를 수중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를 육상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A' 영역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를 수중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구조물 절단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를 육상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구조물 절단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도 7 또는 도 8의 구조물 절단부를 구성하는 외부밀폐커버를 도시한 사시도((a) 육상용 외부밀폐커버, (b) 수중용 외부밀폐커버).
도 10은 도 7 또는 도 8의 구조물 절단부를 구성하는 밀폐형구동부를 도시한 평면도((a) 육상용 밀폐형구동부, (b) 수중용 밀폐형구동부).
도 11은 도 7 또는 도 8의 구조물 절단부를 구성하는 밀폐형지그부를 도시한 평면도((a) 육상용 밀폐형지그부, (b) 수중용 밀폐형지그부).
도 12는 도 7 또는 도 8의 구조물 절단부를 구성하는 밀폐형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도 7 또는 도 8의 구조물 절단부를 구성하는 밀폐형지그부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를 수중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를 육상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1)는,
구조물(100)의 외측면을 감아 회전하면서 절단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와,
상기 구조물(100)의 절단부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회전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회전에 의한 구조물(100)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슬러지를 집진하여 외부의 집진장치와 정화장치 또는 분진저장소로 배출하는 외부밀폐커버(12)와,
상기 외부밀폐커버(12)의 일단에 설치되되, 상기 외부밀폐커버(12)와 일체의 밀폐구조를 이루어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전진방향을 제어하는 밀폐형구동부(13)와,
상기 밀폐형구동부(13)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되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외부밀폐커버(12)와 일체의 밀폐구조를 이루어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장력을 제어하는 밀폐형지그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물 절단부(10);
상기 구조물 절단부(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세워 육면체 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세로프레임(211)과, 상기 세로프레임(211)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는 상부 가로프레임(212)과, 상기 세로프레임(211)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여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되, 구조물(100)에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홀(213a)을 포함하는 하부 가로프레임(213)과, 상기 상부 가로프레임(212)과 하부 가로프레임(21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세로프레임(211)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 가로프레임(214)을 포함하는 수직이동부 본체프레임(21)과,
상기 상부 가로프레임(212)의 네변의 각각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 절단부(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이동고리(10a)와 와이어로프(221)로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 절단부(10)를 상·하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장치(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이동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조물 절단부(10)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이용하여 구조물(100)을 절단하는 부재로서, 종래 개시되어 있는 절단장치와 달리 구동부가 구조물 절단부(10) 내부에 설치되어 밀폐구조로 일체를 이루어 밀폐형구동부(13)를 구성하고,
또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의한 구조물(100) 절단과정에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팽팽한 정도인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밀폐형지그부(14)를 포함하여 외부밀폐커버(12)와 함께 밀폐형 일체구조의 구조물 절단부(10)를 구성함으로써 육상의 구조물과 수중의 구조물 절단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절단장치는 구조물의 절단 부위에 맞춰 절단장치를 조립하여 절단한 후 해체한 다음, 다른 절단 부위에 맞춰 다시 절단장치를 조립하여 절단한 후 해체하기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의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이동부(2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직이동부(20)에 의해 상기 구조물 절단부(10)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초기 구조물(100) 절단을 위해 구조물 절단부(10)를 조립한 후 완전히 절단작업이 마무리된 후에 해체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1)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이용하여 구조물(100)을 절단하는 구조물 절단부(10)와,
상기 구조물 절단부(10)의 절단 작업간의 수직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담당하는 수직이동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절단부(10)는 수직이동부 본체프레임(21)의 세로프레임(211)과 소정의 유격폭을 갖는다. 이와 같이 유격폭을 두는 이유는 구조물 절단부(10)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구조물 절단부(10)는 완전한 수평을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미세한 쏠림에 의한 상·하 이동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격폭에 의한 구조물 절단부(10) 상·하 이동시 흔들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물 절단부(10)와 수직 에이치 빔(H-BEAM) 간의 충돌 문제는 구조물 절단부(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바퀴(123)의 완충소재에 의한 충격흡수를 통해 해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조물 절단부(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와, 외부밀폐커버(12)와, 밀폐형구동부(13)와, 밀폐형지그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이동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21)과 수직이동장치(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구조물 절단부(10)를 구성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와, 외부밀폐커버(12)와, 밀폐형구동부(13)와, 밀폐형지그부(14)와,
상기 수직이동부(20)를 구성하는 본체프레임(21)과 수직이동장치(22)에 대한 기술 구성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는 절단하고자 하는 구조물(100)의 둘레를 감아 상기 외부밀폐커버(12)와 밀폐형구동부(13)와, 밀폐형지그부(14)로 이어지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의 닫힌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는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조물(100) 절단 초기에는 구조물(100)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서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는 구조물(100)의 절단위치의 외면에 밀착되어 감싸고 있는 외부밀폐커버(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이동통로로 활용하게 된다.
상기 구조물(100)의 절단은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가 상기 외부밀폐커버(12)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반면, 상기 밀폐형구동부(13)와 밀폐형지그부(14)가 설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점차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밀폐커버(12)는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용(a)과 수중용(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육상용 외부밀폐커버(1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01
' 형상의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의 개방면 양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122)를 포함하여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02
'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다수로 고정설치되는 바퀴(123)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다수로 형성되는 분무형쐐기삽입구(124)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상면(121b)에 다수로 형성되어 내부로 통하는 관통구를 덮는 덮개부(125)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하면(121c)에 설치되는 분진배출구(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육상용 외부밀폐커버(12)의 분무형쐐기삽입구(124)는 분무형쐐기(124a) 내입을 위해 형성된다.
상기 분무형쐐기(124a)는 구조물(100) 절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절단면의 상부 구조물(100)을 지지하는 기능과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과열 방지를 위한 냉각수 분무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상기 분무형쐐기(124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을 통해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무형쐐기(124a) 후단에 연결되는 물공급관(124b)과 상기 물공급관(124b)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히터장착 자동분무기(124c)를 통해 동절기에도 냉각수를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분무하여 절단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중용 외부밀폐커버(1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03
' 형상의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의 개방면 양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122)를 포함하여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04
'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다수로 고정설치되는 바퀴(123)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다수로 형성되는 분무형쐐기삽입구(124)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상면(121b)에 다수로 형성되어 내부로 통하는 관통구를 밀폐시키는 밀봉부재(125')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하면(121c)에 설치되는 분진배출구(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중용 외부밀폐커버(12)의 분무형쐐기삽입구(124)는 분무형쐐기(124a) 내입을 위해 형성된다.
상기 분무형쐐기(124a)는 구조물(100) 절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절단면의 상부 구조물(100)을 지지하는 기능과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과열 방지를 위한 냉각수 분무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상기 분무형쐐기(124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을 통해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무형쐐기(124a) 후단에 연결되는 물공급관(124b)을 통해 냉각수를 주입, 분무하여 절단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육상용(a)과 수중용(b) 외부밀폐커버(12)의 차이는 덮개부(125)와 밀봉부재(125')의 차이에 있다.
상기 덮개부(125)는 육상용(a)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경첩을 이용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봉부재(125')는 고무패킹 등의 밀봉부재를 볼트를 이용하여 밀폐시킨다. 즉 개폐가 용이하지 않은 밀폐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필요시 상기 볼트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수중의 구조물(100)을 절단하는 경우, 상기 외부밀폐커버(12)의 조립과정에서 이미 물이 외부밀폐커버(12) 내부에 채워지기 때문에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의한 구조물(100)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한 물을 별도로 분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밀폐커버(12)에 형성되어 있는 분무형쐐기삽입구(124)를 통해 삽입되는 분무형쐐기(124a)는 절단되는 구조물(100)을 지지하는 쐐기 역할만 수행하면 된다.
육상의 구조물(100)을 절단하는 경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의한 구조물 (100)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한 물을 분무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밀폐커버(12)에 형성되어 있는 분무형쐐기삽입구(124)를 통해 삽입되는 분무형쐐기(124a)는 물을 공급하는 호수와 연결되어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의해 구조물(100)이 절단되는 부위로 물을 분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밀폐커버(12)에 형성되어 있는 분무형쐐기삽입구(124)를 통해 삽입되는 분무형쐐기(124a)는 육상에서의 건식과 수중에서의 습식 모두에 사용되되,
상기 건식 절단과정에서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의한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물을 분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분무형쐐기(124a)의 내부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물을 분무함으로써 절단되는 구조물(100)을 지지하는 쐐기 역할과 함께 물 분무 기능을 복합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습식 절단과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물이 필요없기 때문에 상기 분무형쐐기(124a)는 절단되는 구조물(100)을 지지하는 쐐기 역할만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외부밀폐커버(1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05
' 형상의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의 개방면 양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122)를 포함하여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06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121)는 구조물(100)과 밀착되는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되어 있어, 구조물(100) 절단 초기에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이동통로로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122)는 외부밀폐커버(12)와 구조물(100)이 접촉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완전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122)에는 고무패킹(122a)이 부착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다수의 바퀴(123)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구조물 절단부(10)는 수직이동부 본체프레임(21)의 세로프레임(211)과 소정의 유격폭을 갖고 있어,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미세한 흔들림에 의해 구조물 절단부(10)의 외측면이 세로프레임(211)과 충돌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설치된 다수의 바퀴(123)가 완충 역할을 함으로써 수직이동부(20)에 의한 구조물 절단부(10)가 수직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도 5 및 도 6)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하면(121c)에 설치되는 분진배출구(126)는 구조물(100)의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서, 상기 분진배출구(126)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장치와 정화장치 또는 분진저장소를 이송되어 처리된다.
상기 분진배출구(126)를 통해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슬러지를 지속적으로 처리하여 줌으로써 분진 및 슬러지에 의해 수중 또는 지상의 주변 대기의 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에서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폐형구동부(13)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밀폐형구동부(13)는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용(a)과 수중용(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밀폐형구동부(13)는 유압모터(131a)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하는 구동풀리(131)와,
구조체의 인접부위에 위치하여 구조체 절단에 사용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사선 방향으로 꺾어 제2방향보조풀리로 공급하는 제1방향보조풀리(132)와,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로부터 공급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다시 사선방향으로 꺾어 상기 구동풀리(131)의 회전방향으로 감기도록 공급하는 제2방향보조풀리(133)와,
상기 제2방향보조풀리(133)와 상기 구동풀리(131) 사이에 설치하여 분진 및 슬러지가 묻은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 표면으로 고압공기를 분무하여 분진 및 슬러지를 제거하는 고압공기주입부(134)와,
상기 고압공기에 의해 제거된 분진 및 슬러지를 배출하되, 외부의 집진장치와 정화장치 또는 분진저장소로 배출하는 분진배출구(135)와,
상기 구동풀리(131)를 거쳐 사선방향으로 꺾여 빠져나오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후단의 제4방향보조풀리로 공급하는 제3방향보조풀리(136)와,
상기 제3방향보조풀리(136)로부터 공급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90°방향전환시켜 밀폐형지그부로 공급하는 제4방향보조풀리(137)와,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 제2방향보조풀리(133)와 제3방향보조풀리(136), 제4방향보조풀리(137)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에서 제2방향보조풀리(133)로 이동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에어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에어샤워기(138a)와 상기 에어샤워기(138a)에 의한 냉각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분진배출구(138b)를 포함하는 에어샤워부(138)와,
상기 구동풀리(131), 제1방향보조풀리(132), 제2방향보조풀리(133), 고압공기주입부(134), 분진배출구(135), 제3방향보조풀리(136), 제4방향보조풀리(137), 에어샤워부(138)를 내부에 수용하여 밀폐구조를 이루는 밀폐케이스(1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형구동부(13)의 육상용은 밀폐케이스(139)의 상부를 경첩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폐부(139a, 139b)가 구성되어 있는 반면,
수중용의 경우 고무패킹 등의 밀봉부재를 볼트를 이용하여 밀폐시킨다. 즉 개폐가 용이하지 않은 밀폐구조를 이루는 밀폐부(139a', 139b')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139a', 139b')는 필요시 상기 볼트를 해체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밀폐형구동부(13)에는 고압공기주입부(134)와 에어샤워부(138)가 형성되어 있어,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묻어 있는 분진 및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또한 과열 상태의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냉각시킴으로써 절단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풀리(131)는 유압모터(131a)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함으로써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회전시켜 구조물(100)을 절단한다.
상기 구동풀리(13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00)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어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풀리(131)와 구조물 (100) 사이에는 상기 구동풀리(131)보다 직경이 작은 다수의 보조풀리가 설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는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구조물(100)을 절단하는데 이용된 후 밀폐형 구동부로 인입된다.
상기 밀폐형 구동부로 인입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는 먼저 상기 구조물(100)의 인접부위에 위치한 제1방향보조풀리(132)와,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와 동일 수직선 상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2방향보조풀리(133)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구동풀리(131)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는 구조물(100) 절단에 사용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2방향보조풀리(133)로 대각선 방향으로 꺾어 공급한다.
상기 구동풀리(131)를 감아 돈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는 다시 상기 제2방향보조풀리(133)와 측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3방향보조풀리(136)와, 상기 제3방향보조풀리(136)와 동일 수직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4방향보조풀리(137)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밀폐형 지그부(14)로 인입된다.
상기 밀폐형구동부(13)는 유압모터(131a)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하는 구동풀리(131)에 의해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가 도 7에 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조물(100)을 절단하게 되며, 이때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가 팽팽한 상태의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밀폐형 지그부(14)에서 담당한다.
상기 밀폐형 지그부(14)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밀폐형 지그부(14)는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용과 수중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지그부(14)는 양측에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전후진유압모터(143)와,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44)와,
구조체의 인접부위 동일 선상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7방향보조풀리(145), 제8방향보조풀리(146) 및 제9방향보조풀리(147)와,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 유압실린더(144), 제5~제9방향보조풀리(141, 142, 145~147)를 내측에 수용하여 밀폐구조를 이루는 밀폐케이스(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밀폐형구동부(13)로부터 연결되어 이동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는 상기 제7방향보조풀리(145)에서 제5방향보조풀리(141), 제8방향보조풀리(146), 제6방향보조풀리(142), 제9방향보조풀리(147)를 지그재그 형으로 순차적으로 거쳐 구조체 절단에 투입되며,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의해 구조체가 절단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에 걸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점차 당겨줌으로써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작용하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구조체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와 그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는 유압실린더(14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진유압모터(143)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가 구조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가 함께 전진함으로써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도 함께 구조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구조물(100)을 절단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는 초기에는 구조물(100)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접하여 감싸고 있다가 절단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점차 구조물(100) 내부로 인입되면서 구조물(100)과 접하여 절단에 사용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길이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구조물(100)과 접하고 있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길이가 줄어들수록 구조물(100)과 비접촉상태의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길이는 점차 늘어가게 되어 전체적으로 느슨한 상태가 된다.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가 느슨하게 되면 실질적인 구조물(100) 절단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밀폐형 지그부(14)에 의해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팽팽한 정도인 장력이 구조물(100) 절단에 적합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장력 유지를 위해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가 사용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물(100) 절단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는 구조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전진하여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에 걸려 있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점차 잡아당겨줌으로써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가 느슨해지는 것을 막아준다.
최종적으로 완전히 구조물(100)이 절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는 끝까지 전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구조물(100)을 절단하기 전에는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가 구조물(100)과 근거리의 초기 위치에 있다가 구조물(100)이 완전히 절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는 구조물(100)과 가장 먼 거리의 끝까지 전진된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밀폐형 지그부(14)에는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와 그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의 전·후 이동 중에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밀폐형 구동부(13)로 부터 밀폐형 지그부(14)로 인입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구조물(100) 절단에 이용되도록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보조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보조풀리는 구조물(100)과 인접거리에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예로는
밀폐형 구동부(13)로 부터 밀폐형 지그부(14)로 인입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제7방향보조풀리(145)와,
상기 제7방향보조풀리(145)에서 사선 방향으로 진행되어 제5방향보조풀리(141)를 감아 돌아 나오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상기 제6방향보조풀리(142)로 이동하도록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제8방향보조풀리(146)와,
상기 제8방향보조풀리(146)를 감아 돌아 나오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구조물(100)을 절단에 이용되도록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9방향보조풀리(147)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형 지그부(14)는 육상용 또는 수중용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육상용의 경우 경첩이 달린 개폐장치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수중용의 경우 고무 패킹 등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밀봉하며, 고정은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1)를 통한 구조물(100) 절단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1)는 육상과 수중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육상과 수중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술 구성의 차이는 크지 않다. 다만 외부밀폐커버(12), 밀폐형구동부(13) 및 밀폐형지그부(14) 내부와 통하는 부분을 경첩 등을 사용하여 개폐가능한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는 육상용으로 사용하고, 고무 패킹 등의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밀봉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수중용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수중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그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구조물(100)을 절단하기 위해, 절단 하고자 하는 부분에 구조물 절단부(10)를 조립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물 절단부(10)의 밀폐형구동부(13)와 밀폐형지그부(14)를 유압호스(400a)를 통해 외부의 유압파워팩(400)과 연결한다.
또한 외부밀폐커버(12) 및 밀폐형구동부(13)의 분진배출구가 집진호스를 통해 외부의 집진장치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창치는 다시 정화장치 또는 분진저장소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물 절단부(10) 외부에 수직이동부(2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구조물 절단부(10)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이동고리(10a)와 수직이동부(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이동장치(22)를 와이어로프(221)로 상호 연결한다.
이와 같이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1)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구조물 절단부(10)의 구동풀리(131)와, 밀폐형 지그부(14)의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가 구동하면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조물(100)을 절단하게 된다.
구조물(100) 절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슬러지는 외부밀폐커버(12), 밀폐형구동부(13)에 설치되어 있는 분진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집진장치와 정화장치 또는 분진저장소를 거쳐 최종적으로 처리된다.
구조물(100) 절단이 진행됨에 따라 절단된 틈 사이로 분무형쐐기를 밀어 넣어 구조물(100)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조물(100) 절단이 진행됨에 따라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밀폐형 지그부(14)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진유압모터(143)와 그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가 구조물(1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하여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잡아당겨준다. 이로써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이용한 절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조물(100)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구조물(100) 외면을 감싸도록 늘려준 후 상기 구조물 절단부(10)를 수직이동부(20)를 이용하여 수직 하방 또는 수직 상방으로 새롭게 절단하고자 하는 지점으로 이동하여 위의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구조물(100)을 절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는 육상 또는 수중의 양쪽 모두에서 구조물의 절단 작업이 가능하고, 또한 구조물의 절단 부위에 맞춰 절단장치를 조립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한 후, 절단장치를 해체하여 다시 절단 부위에 맞춰 절단장치를 조립하는 종래의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절단부위에 맞춰 절단장치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치를 구성한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수직이동장치(22)
1: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10: 구조물 절단부 11: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
12: 외부밀폐커버 13: 밀폐형구동부
20: 수직이동부 21: 본체프레임
22: 수직이동장치 100: 구조물
200: 집진장치 211: 세로프레임
212: 상부 가로프레임 213: 하부 가로프레임
214: 보조 가로프레임 221: 와이어로프
300: 정화장치 300': 분진저장소

Claims (9)

  1. 구조물(100)의 외측면을 감아 회전하면서 절단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와,
    상기 구조물(100)의 절단부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회전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회전에 의한 구조물(100)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슬러지를 집진하여 외부의 집진장치(200)와 정화장치(300) 또는 분진저장소(300')로 배출하는 외부밀폐커버(12)와,
    상기 외부밀폐커버(12)의 일단에 설치되되, 상기 외부밀폐커버(12)와 일체의 밀폐구조를 이루어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전진방향을 제어하는 밀폐형구동부(13)와,
    상기 밀폐형구동부(13)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되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외부밀폐커버(12)와 일체의 밀폐구조를 이루어 상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의 장력을 제어하는 밀폐형지그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물 절단부(10);
    상기 구조물 절단부(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세워 육면체 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세로프레임(211)과, 상기 세로프레임(211)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는 상부 가로프레임(212)과, 상기 세로프레임(211)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여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되, 구조물(100)에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홀(213a)을 포함하는 하부 가로프레임(213)과, 상기 상부 가로프레임(212)과 하부 가로프레임(21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세로프레임(211)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 가로프레임(214)을 포함하는 수직이동부 본체프레임(21)과,
    상기 상부 가로프레임(212)의 네변의 각각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 절단부(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이동고리(10a)와 와이어로프(221)로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 절단부(10)를 상·하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장치(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이동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밀폐커버(1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07
    ' 형상의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의 개방면 양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122)를 포함하여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08
    '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다수로 고정설치되는 바퀴(123)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다수로 형성되는 분무형쐐기삽입구(124)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상면(121b)에 다수로 형성되어 내부로 통하는 관통구를 덮는 덮개부(125)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하면(121c)에 설치되는 분진배출구(126)를 포함하여 육상용 외부밀폐커버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밀폐커버(1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09
    ' 형상의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의 개방면 양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122)를 포함하여 '
    Figure 112017063619805-pat00010
    '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다수로 고정설치되는 바퀴(123)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면(121a)에 다수로 형성되는 분무형쐐기삽입구(124)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상면(121b)에 다수로 형성되어 내부로 통하는 관통구를 밀폐시키는 밀봉부재(125')와,
    상기 돌출부(121)의 외측하면(121c)에 설치되는 분진배출구(126)를 포함하여 수중용 외부밀폐커버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형구동부(13)는
    유압모터(131a)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하는 구동풀리(131)와,
    구조체의 인접부위에 위치하여 구조체 절단에 사용된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사선 방향으로 꺾어 제2방향보조풀리로 공급하는 제1방향보조풀리(132)와,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로부터 공급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다시 사선방향으로 꺾어 상기 구동풀리(131)의 회전방향으로 감기도록 공급하는 제2방향보조풀리(133)와,
    상기 제2방향보조풀리(133)와 상기 구동풀리(131) 사이에 설치하여 분진 및 슬러지를 묻은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 표면으로 고압공기를 분무하여 분진 및 슬러지를 제거하는 고압공기주입부(134)와,
    상기 고압공기에 의해 제거된 분진 및 슬러지를 배출하되, 외부의 집진장치(200)와 정화장치(300) 또는 분진저장소(300')로 배출하는 분진배출구(135)와,
    상기 구동풀리(131)를 거쳐 사선방향으로 꺾여 빠져나오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후단의 제4방향보조풀리로 공급하는 제3방향보조풀리(136)와,
    상기 제3방향보조풀리(136)로부터 공급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90°방향전환시켜 밀폐형지그부로 공급하는 제4방향보조풀리(137)와,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 제2방향보조풀리(133)와 제3방향보조풀리(136), 제4방향보조풀리(137)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방향보조풀리(132)에서 제2방향보조풀리(133)로 이동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에어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에어샤워기(138a)와 상기 에어샤워기(138a)에 의한 냉각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분진배출구(138b)를 포함하는 에어샤워부(138)와,
    상기 구동풀리(131), 제1방향보조풀리(132), 제2방향보조풀리(133), 고압공기주입부(134), 분진배출구(135), 제3방향보조풀리(136), 제4방향보조풀리(137), 에어샤워부(138)를 내부에 수용하여 밀폐구조를 이루는 밀폐케이스(1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형 지그부(14)는
    양측에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전후진유압모터(143)와,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44)와,
    구조체의 인접부위 동일 선상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7방향보조풀리(145), 제8방향보조풀리(146) 및 제9방향보조풀리(147)와,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 유압실린더(144), 제5~제9방향보조풀리(141, 142, 145~147)를 내측에 수용하여 밀폐구조를 이루는 밀폐케이스(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밀폐형구동부(13)로부터 연결되어 이동하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는 상기 제7방향보조풀리(145)에서 제5방향보조풀리(141), 제8방향보조풀리(146), 제6방향보조풀리(142), 제9방향보조풀리(147)를 지그재그 형으로 순차적으로 거쳐 구조체 절단에 투입되며,
    상기 전후진유압모터(143)는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의해 구조체가 절단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5방향보조풀리(141)와 제6방향보조풀리(142)에 걸린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를 점차 당겨줌으로써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작용하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구조체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세로프레임(211)은 수직 에이치 빔(H-BEAM)으로서, 구조물 절단부(10)의 외측면과 소정의 유격폭을 두어 구조물 절단부(10)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하도록 하며, 상기 유격폭에 의한 구조물 절단부(10) 상·하 이동시 흔들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물 절단부(10)와 수직 에이치 빔(H-BEAM) 간의 충돌 문제는 구조물 절단부(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바퀴(123)의 완충소재에 의한 충격흡수를 통해 해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분무형쐐기삽입구(124)는 분무형쐐기(124a) 내입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무형쐐기(124a)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을 통해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무형쐐기(124a) 후단에 연결되는 물공급관(124b)과 상기 물공급관(124b)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히터장착 자동분무기(124c)를 통해 냉각수를 구조물 절단용 와이어(11)에 분무하도록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밀폐형구동부(13)의 밀폐케이스(139)는 내부 통하는 관통구를 덮는 개폐식 덮개가 구비되어 육상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관통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되어 수중용으로 사용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밀폐형 지그부(14)의 밀폐케이스(148)는 내부 통하는 관통구를 덮는 개폐식 덮개가 구비되어 육상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관통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되어 수중용으로 사용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KR1020170084324A 2017-07-03 2017-07-03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KR101792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324A KR101792600B1 (ko) 2017-07-03 2017-07-03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324A KR101792600B1 (ko) 2017-07-03 2017-07-03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600B1 true KR101792600B1 (ko) 2017-11-02

Family

ID=6038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324A KR101792600B1 (ko) 2017-07-03 2017-07-03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8674A (zh) * 2023-09-26 2023-11-03 福建省日木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石施工用破损石材拆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8674A (zh) * 2023-09-26 2023-11-03 福建省日木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石施工用破损石材拆取装置
CN116988674B (zh) * 2023-09-26 2023-11-28 福建省日木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石施工用破损石材拆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2584B2 (ja) 環境にやさしいワイヤーソー切断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切断方法
KR101792600B1 (ko) 절단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인 수륙 양용의 구조물 절단장치
KR102496000B1 (ko) 벽체 또는 슬래브 건식 절단장치 및 절단공법
CN112107941A (zh) 一种废气处理装置
CN107873159B (zh) 一种悬挂式施肥机
CN110685717B (zh) 自行式隧道边墙凿毛机及隧道边墙凿毛方法
CN107551427B (zh) 一种自吸水式消防吊桶
CN216586491U (zh) 一种地基注浆设备
CN111226764A (zh) 一种平原农田用的无人灌溉机
CN213573094U (zh) 一种砌墙机器人行走机构
CN210125969U (zh) 一种防护密闭门生产用高效除锈装置
KR20170019918A (ko) 공중 살포 방제기
CN215142821U (zh) 一种汽车配件用零部件清洗设备
CN211510022U (zh) 一种对树木虫洞清除修复装置
CN212345093U (zh) 一种市政绿化用除草装置
CN213140078U (zh) 一种实验室有机废液吸引装置
CN107750498B (zh) 一种自走式施肥机
CN108672127B (zh) 一种灾后防疫液配制喷洒一体设备
CN213174895U (zh) 可移动式混凝土拆除设备
CN217363726U (zh) 喷灌机整体焊接式绞盘转向支撑架
CN113599744B (zh) 一种用于地下综合管廊的线缆灭火装置
CN216208466U (zh) 一种地下水包气带样品淋溶试验装置
CN218873105U (zh) 一种除尘室顶盖开合装置
CN210336480U (zh) 一种环保型绳锯机
CN213114621U (zh) 一种新型植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