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661B1 -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661B1
KR101791661B1 KR1020150143077A KR20150143077A KR101791661B1 KR 101791661 B1 KR101791661 B1 KR 101791661B1 KR 1020150143077 A KR1020150143077 A KR 1020150143077A KR 20150143077 A KR20150143077 A KR 20150143077A KR 101791661 B1 KR101791661 B1 KR 101791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agnostic apparatus
vehicle diagnostic
unique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074A (ko
Inventor
김일명
조형수
지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7000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통신 장치와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를 연결하는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들 중에서,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 않은 경우, 검색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들의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로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진단 장치에 상기 고유정보를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connecting On Board Diagnotics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차량진단 장치와의 접속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통신 장치와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를 연결하는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 배터리, 냉각수 등의 차량 부속품의 안전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차량진단 장치가 개발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상기 차량진단 장치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통신하여, 상기 ECU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차량 부속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부속품의 상태를 출력한다. 아래의 특허 문헌은 차량진단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고장상태를 검증하고, 이 검증된 고장상태에 대한 해결방안을 타인과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차량진단 장치에서 획득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에서 차량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진단 장치에서 획득한 차량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에서 차량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으로 차량진단 장치로 접속한 후에, 차량진단 장치로부터 차량정보를 수신해야 된다.
그런데 동일한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들이 서로 다른 차량에 탑재되고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본인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를 스마트폰을 통해서 파악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주변에서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진단 장치를 검색하면 주변의 타 차량에서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가 검색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동일한 고유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차량진단 장치가 검색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가 어느 것인지 파악하기가 힘들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675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상기 차량진단 장치와 사용자의 통신 장치를 연결시키는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들 중에서,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 않은 경우, 검색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들의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로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진단 장치에 상기 고유정보를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들을 검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 중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미존재하면 검색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의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로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진단 장치에 상기 고유정보를 저장시키는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변에 동일한 고유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차량진단 장치가 검색되더라도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 차량진단 장치로 사용자의 통신 장치를 접속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진단 장치로 제공한 고유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통신 장치와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를 접속시킴으로써, 차량진단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차량진단 장치와 차량의 ECU 간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을 차량진단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차량진단 장치와 ECU 간의 통신을 빠르게 확립시키는 장점도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차량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와 프로토콜 방식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차량진단 장치와 초기에 근거리 무선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차량진단 장치와 초기에 근거리 무선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진단 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진단 장치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차량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110-N)는 차량에 탑재되며, 사용자 단말(12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네트워크(14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130)로 접속하여, 서비스 서버(130)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40)는 이동통신망과 유선 데이터망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지의 관용 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진단 장치(110-N)는 OBD(On Board Diagnostics) 등으로서, 차량에 탑재되고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통신하여 상기 ECU로부터 차량의 엔진 상태, 연료 상태, 냉각수 상태, 엔진 오일 상태, 현재 속도, 연료 잔여량, 배터리 전압, RPM, 퓨얼 컷(fuel cut), 차량 속도 등의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자신과 접속중인 사용자 단말(120)로 상기 차량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차량진단 장치(110-N)가 수집한 차량상태 정보에는 차량 세부 항목을 나타나는 식별정보인 파라미터 ID와 이에 대응하는 상태값이 포함된다. 예컨대, 연료 잔여량, 엑셀 깊이, 엔진오일 상태, 속도, 냉각수 상태, RPM 등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파라미터 ID 및 해당 파라미터 ID와 대응하는 상태값이 상기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차량진단 장치(110-N)는 IOS 14230-4, ISO 09141-2, ISO 15765-4, J1850 VPW, J1850 PWN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토콜 방식을 저장하고, 차량이 시동될 때마다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방식 중에서 순차적으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ECU와 통신을 시도한 후, ECU와 통신이 성공한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하여 ECU로부터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차량진단 장치(110-N)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특정 프로토콜 방식을 수신하면, 사전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방식 중에서 순차적으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ECU와의 통신을 시도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특정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하여 ECU와 바로 통신한다.
상기 차량진단 장치(110-N)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규약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근거리 무선통신하여, 차량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특히, 차량진단 장치(110-N)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이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이후에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0)과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한다. 또한, 차량진단 장치(110-N)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접속 비밀번호를 설정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차량용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차량의 연비, 고장 상태, 고장 이력, 평균 속도, 최대 속도, 에코 드라이빙 정보 등이 포함된 운행 이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서버(130)는 차량 연식, 차량 모델, 로그인 아이디, 사용자 생년월일, 사용자 성별 등이 포함된 회원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130)는 차량 모델과 차량 연식에 따라 ECU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 방식이 기록된 프로토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차량 모델과 차량 연식을 수신하면, 해당 차량의 ECU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통신 장치로서 차량진단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통신하여, 차량진단 장치(110-N)로부터 차량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 차량상태 정보를 토대로 생성한 차량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0-N)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한 후, 운행시간, 운행거리, 연료 소모량, 연료 잔량, 평균 속도, 현재 속도, 연비, 공회전 시간 등의 차량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서비스 서버(130)로 회원 가입하고 나서,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차량진단 장치(110-N)의 고유정보와 사용자 차량의 ECU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 방식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20)은 상기 저장중이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110-N)가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110-N)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 차량진단 장치(110-N)와 접속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110-N)로 초기 접속한 경우,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고유정보를 차량진단 장치(110-N)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진단 장치(110-N)에서 상기 고유정보가 저장되게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0-N)로 ECU의 프로토콜 방식을 전송하여, 이 프로토콜 방식을 통해서 해당 차량진단 장치(110-N)와 ECU 간에 내부 통신되게 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0-N)에 접속하여 접속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20)은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으로서, 차량진단 장치(110-N)와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장치라면 제한되지 않고 채택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가 차량진단 장치1(110-1)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와 프로토콜 방식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네트워크(140)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130)로 회원 가입을 요청한다(S201). 그러면, 서비스 서버(130)는 생년월일, 사용자 성명, 사용자 아이디, 로그인 패스워드, 차량 연식, 차량번호, 차량 모델 등의 회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요청한다(S203).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생년월일, 사용자 성명, 로그인 아이디, 로그인 패스워드, 차량번호, 차량 연식, 차량 모델 등의 회원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받은 회원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S205).
그러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저장하고, 차량진단 장치(110-N)와 사용자 단말(12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에서 이용되는 차량진단 장치(110-N)의 고유정보를 생성한다(S207). 이때, 서비스 서버(130)는 차량번호, 회원 가입날짜, 아이디 등을 조합하여, 차량진단 장치(110-N)의 고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서비스 서버(130)는 회원 정보에 포함된 차량 연식과 차량모델을 토대로, 사용자 차량의 ECU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 방식을 자체 저장중인 프로토콜 데이터에서 추출한다(S209). 즉,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차량 연식과 차량 모델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방식을 프로토콜 데이터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130)는 차량진단 장치(110-N)의 고유정보와 상기 프로토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S211).
그러면, 사용자 단말(120)은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차량진단 장치(110-N)의 고유정보, 프로토콜 정보 및 로그인 정보(예컨대, 사용자 아이디와 차량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회원 가입을 완료한다(S21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차량진단 장치와 초기에 근거리 무선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110-N)를 검색한다(S301).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120) 주변에 차량진단 장치1(110-1)과 차량진단 장치2(110-2)가 검색된 것으로 설명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0-1, 110-2) 중에서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확인 결과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로 초기 접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10-1), 차량진단 장치2(110-2) 각각으로 차량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303, S305).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10-1), 차량진단 장치2(110-2) 각각으로부터 차량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307, S309). 이때, 차량진단 장치1(110-1)은 IOS 14230-4, ISO 09141-2, ISO 15765-4, J1850 VPW, J1850 PWN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토콜 방식들 중에서 순차적으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ECU와 통신을 시도한 후, ECU와 통신이 성공한 프로토콜 방식을 확인하고 이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하여 ECU로부터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차량진단 장치2(110-2)는 복수의 프로토콜 방식 중에서 순차적으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ECU와 통신을 시도한 후, ECU와 통신이 성공한 프로토콜 방식을 확인하고 이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하여 ECU로부터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10-1)과 차량진단 장치2(110-2)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ID를 분석하여,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110-N)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한다(S311). 즉,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10-1)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파라미터 ID를 확인하여 이 복수의 파라미터 ID가 수집되는 차량 모델을 인식하고, 차량진단 장치2(110-2)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파라미터 ID가 수집되는 차량 모델을 인식함으로써, 차량진단 장치1(110-1), 차량진단 장치2(110-2) 각각이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할 수 있다. 부연하면, 차량 모델에 따라 수집되는 파라미터 ID와 파라미터 개수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파라미터 ID를 토대로 해당 차량진단 장치(110-N)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모델별로 수집 가능한 복수의 파라미터 ID가 기록된 차량 모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자체 저장중인 차량 모델 데이터와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ID를 토대로 해당 차량진단 장치(110-N)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서비스 서버(130)가 차량 모델별로 수집 가능한 복수의 파라미터 ID가 저장된 차량 모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파라미터 ID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ID와 대응하는 차량 모델을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해당 차량진단 장치(110-N)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0-N)와 차량 모델이 명시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S313).
도 4는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0-N)와 차량 모델이 함께 명시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검색된 복수의 차량진단 장치(110-N) 중에서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일치하는 차량진단 장치(110-N)를 연결대상 장치로 선택한다(S315). 한편,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차량진단 장치(110-N) 중에서 어느 한 차량진단 장치(110-N)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이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1(110-1)을 선택한 것으로서 설명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1(110-1)과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한다(S317).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로부터 접속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받은 접속 비밀번호가 차량진단 장치1(110-1)에 설정된 접속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진단 장치1(110-1)과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의 회원 가입시에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고유정보를 차량진단 장치1(110-1)로 전송한다(S319).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회원 가입시에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프로토콜 방식을 차량진단 장치(110-N)로 전송한다.
그러면,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고유정보를 저장하고(S321), 이후에 상기 저장된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상기 프로토콜 방식을 기초하여 차량 ECU와 통신을 확립한다. 즉,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추후에 전원 온되거나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차량 ECU와 통신 가능한 프로토콜 방식을 탐색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 방식에 기초하여 차량 ECU와 바로 통신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120) 주변에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동일한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복수의 차량진단 모듈이 검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120)이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차량진단 장치와 초기에 근거리 무선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110-N)를 검색한다(S501). 도 5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120) 주변에 차량진단 장치1(110-1)과 차량진단 장치2(110-2)가 검색되며, 차량진단 장치1(110-1) 차량진단 장치2(110-2) 각각이 동일한 모델의 서로 다른 차량에 각기 탑재된 것으로 설명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0-1, 110-2) 중에서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확인 결과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로 초기 접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10-1), 차량진단 장치2(110-2) 각각으로 차량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503, S505).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10-1), 차량진단 장치2(110-2) 각각으로부터 차량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507, S509).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10-1)과 차량진단 장치2(110-2)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파라미터 ID를 분석하여,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110-1, 110-2)가 탑재된 차량 모두가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동일한 차량 모델임을 인식한다(S511).
상기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모델별로 수집되는 파라미터 ID가 저장된 차량 모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자체 저장중인 차량 모델 데이터와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ID를 토대로 해당 차량진단 장치(110-N)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서비스 서버(130)가 차량 모델별로 수집되는 파라미터 ID가 저장된 차량 모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파라미터 ID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ID와 대응하는 차량 모델을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해당 차량진단 장치(110-N)이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동일한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차량진단 장치(110-N)가 인식됨에 따라, 사용자의 차량을 조작하는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S513). 예컨대, 사용자 단말(120)은 "기어가 중립인 상태에서 가속 페달을 1초간 밟아 주세요"와 같은 차량 조작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을 조작하고, 이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경된 차량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S515).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10-1)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를 토대로, 차량진단 장치1(110-1)의 차량상태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차량진단 장치1(110-1)을 연결대상 장치로서 선택한다(S517). 즉,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조작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차량이 조작되고,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1(110-1)로부터 변경된 차량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차량진단 장치1(110-1)이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것으로 인지하여 차량진단 장치1(110-1)을 연결대상 차량으로 선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1(110-1)과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한다(S519).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로부터 접속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받은 접속 비밀번호가 차량진단 장치1(110-1)에 설정된 접속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진단 장치1(110-1)과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의 회원 가입시에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고유정보를 차량진단 장치1(110-1)로 전송한다(S521).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회원 가입시에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프로토콜 방식을 차량진단 장치(110-N)로 전송한다.
그러면,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고유정보를 저장하고(S523), 상기 프로토콜 방식을 기초하여 차량 ECU와 통신을 확립한다.이후에, 상기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상기 저장된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추후에 전원 온되거나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차량 ECU와 통신 가능한 프로토콜 방식을 탐색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 방식에 기초하여 차량 ECU와 바로 통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진단 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110-N)를 검색한다(S601).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주변에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0-N) 각각으로부터, 차량진단 장치(110-N)의 고유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고유정보를 송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수집한 차량진단 장치(110-N)의 고유정보 중에서, 자체 저장하고 있는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고유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3).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수집한 고유정보 중에서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 고유정보와 매핑되는 로그인 정보(예컨대, 로그인 아이디와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로그인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S605, S607).
그러면,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로그인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사용자 단말(120)로 인증 성공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609).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인증 성공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차량진단 장치(110-N)와 접속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120)은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송출한 차량진단 장치1(110-1)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차량진단 장치1(110-1)과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한다(S611).
이어서,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 방식을 토대로 차량 ECU와 내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차량진단 장치1(110-1)은 상기 수집한 차량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S613).
그러면, 사용자 단말(120)은 상기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가공하여, 현재 속도, 연료 잔여량, 연비 등의 차량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615). 이어서,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진단 장치1(110-1)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고(S617), 서비스 서버(130)는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에, 서비스 서버(130)는 저장한 복수의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차량의 연비, 고장 상태, 고장 이력, 평균 속도, 최대 속도 등이 포함된 운행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진단 장치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 원거리 통신부(220), 저장부(230), 접속 제어부(240), 서비스 서버 연동부(250) 및 데이터 가공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도 7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통해서 통신 장치(200)에 탑재될 수 있으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장치(200)에 설치된 경우에 소프트웨어 형태로 통신 장치(200)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통신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단말(120)과 대응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규약을 통해서, 타 장치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거리 통신부(220)는 인터넷망, 이동통신망과 같은 네트워크(140)를 통하여, 서버 또는 타 장치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30)는 메모리, 디스크 장치와 같은 저장수단으로서,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번호, 사용자 차량의 ECU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 방식 및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차량 모델별로 수집되는 복수의 파라미터 ID가 기록된 차량 모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230)는 각 차량 모델에서 수집되는 복수의 파라미터 ID가 차량 모델별로 구분되는 기록되는 차량 모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 연동부(250)는 서비스 서버(130)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 연동부(250)는 원거리 통신부(22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로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 연동부(250)는 생년월일, 사용자 성명, 사용자 아이디, 로그인 패스워드, 차량 연식, 차량번호, 차량 모델 등이 포함된 회원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 연동부(250)는 회원 가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원거리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차량진단 장치(110-N)의 고유정보와 사용자 차량의 ECU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 방식을 수신하고, 상기 고유정보와 프로토콜 방식 및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게다가, 서비스 서버 연동부(250)는 접속 제어부(240)가 저장부(230)의 저장된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를 검색한 경우,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된 로그인 정보를 저장부(230)에서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130)으로 전송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 연동부(25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서 차량진단 장치(110-N)로부터 차량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원거리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
접속 제어부(240)는 통신 장치(200)와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110-N)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차량진단 장치(110-N)의 검색을 요청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110-N)를 검색하고, 이 중에서 사용자의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한 후 이 차량진단 장치(110-N)와 통신 장치(20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세션을 형성한다.
상기 접속 제어부(240)는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0-N) 중에서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110-N)가 존재하는 경우, 이 차량진단 장치(110-N)와 근거리 무선통신 세션을 형성한다.
반면에, 상기 접속 제어부(240)는 주변에서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0-N) 중에서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110-N)가 검색되지 않으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110-N)로 차량상태 정보를 요청한 후 차량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아울러, 접속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한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프로토콜 ID를 분석하여,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110-N)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한 후,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0-N)와 차량 모델이 명시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접속 제어부(240)는 검색된 복수의 차량진단 장치(110-N) 중에서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일치하는 차량진단 장치(110-N)를 선택하여, 이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110-N)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프로토콜 방식을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110-N)로 전송하여, 이 차량진단 장치(110-N)에 고유정보를 저장시키고, 더불어 차량진단 장치(110-N)와 차량 ECU 간의 프로토콜 방식을 지정한다.
상기 접속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차량 모델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저장부(230)의 차량 모델 데이터와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ID를 토대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110-N)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서비스 서버(130)가 차량 모델별로 수집 가능한 복수의 파라미터 ID가 저장된 차량 모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속 제어부(240)는 원거리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파라미터 ID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 ID와 대응하는 차량 모델을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해당 차량진단 장치(110-N)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접속 제어부(240)는 주변에서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110-N) 중에서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110-N)가 검색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동일한 모델의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차량진단 모듈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차량을 조작하는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 차량의 조작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변경된 차량상태 정보를 전송한 차량진단 장치(110-N)를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110-N)인 것으로 선택하여, 이 차량진단 장치(110-N)와 근거리 무선통신 세션을 형성하고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프로토콜 방식을 상기 차량진단 장치(110-N)로 전송한다.
데이터 가공부(260)는 근거리 무선 세션이 형성된 차량진단 장치(110-N)로부터 차량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가공하여, 현재 속도, 연료 잔여량, 연비 등의 차량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에 동일한 고유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차량진단 장치가 검색되더라도 사용자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 차량진단 장치로 사용자의 통신 장치를 접속시킨다. 게다가, 본 발명은 차량진단 장치와 차량의 ECU 간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을 차량진단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차량진단 장치와 ECU 간의 통신을 빠르게 확립시킨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차량진단 장치 120 : 사용자 단말
130 : 서비스 서버 140 : 네트워크
200 : 통신 장치 21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220 : 원거리 통신부 230 : 저장부
240 : 접속 제어부 250 : 서비스 서버 연동부
260 : 데이터 가공부

Claims (12)

  1. 삭제
  2. 통신 장치에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들 중에서,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 않은 경우, 검색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들의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로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진단 장치에 상기 고유정보를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파라미터 ID를 토대로, 검색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차량 모델 중에서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동일한 차량 모델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한 차량 모델 중에서,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동일한 차량 모델이 복수 개로 인식되면, 차량 조작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 중에서, 변경된 차량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4. 통신 장치에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들 중에서,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 않는 경우, 검색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들의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로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진단 장치에 상기 고유정보를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차량 연식에 대응하는 ECU 프로토콜 방식을 상기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한 차량진단 장치로 전송하여, 이 차량진단 장치와 ECU 간의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한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자체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7. 삭제
  8.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 장치로서,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들을 검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 중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미존재하면 검색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의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로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진단 장치에 상기 고유정보를 저장시키는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차량상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파라미터 ID를 토대로, 검색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가 탑재된 차량 모델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차량 모델 중에서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동일한 차량 모델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차량 모델 중에서,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동일한 차량 모델이 복수 개로 인식되면, 차량 조작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 중에서 변경된 차량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 장치로서,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의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주변의 차량진단 장치들을 검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 중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미존재하면 검색된 각각의 차량진단 장치의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차량에 장착된 차량진단 장치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한 차량진단 장치로 상기 자체 저장중인 고유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진단 장치에 상기 고유정보를 저장시키는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 모델과 차량 연식에 대응하는 ECU 프로토콜 방식을 상기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한 차량진단 장치로 전송하여, 이 차량진단 장치와 ECU 간의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고유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차량진단 장치 중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가 존재하면, 상기 고유정보를 가지는 차량진단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150143077A 2015-07-08 2015-10-13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91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342 2015-07-08
KR20150097342 2015-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74A KR20170007074A (ko) 2017-01-18
KR101791661B1 true KR101791661B1 (ko) 2017-10-30

Family

ID=5799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077A KR101791661B1 (ko) 2015-07-08 2015-10-13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9816B2 (en) * 2017-03-07 2019-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 on-vehicle controller
KR102595075B1 (ko) * 2023-04-25 2023-10-27 주식회사 인벤션랩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50B1 (ko) * 2006-02-15 2012-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75B1 (ko) 2007-09-17 2009-09-22 (주) 비앤디 차량의 관리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50B1 (ko) * 2006-02-15 2012-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74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66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human machine interface
AU2013313755B2 (en)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10286917B2 (en) Vehicle user identification using user pattern data
US10077989B2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874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driving experience including dynamic POI identification
KR101551037B1 (ko) 차량에서의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US201202085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proximate devices based on time and heading information
KR20130112512A (ko) 차량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9508321A5 (ko)
US10928213B2 (en) In-vehic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in-vehic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7182035A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US20150140974A1 (en) Supporting the provision of services
JP2021010150A (ja) アクセスポイント接続システム
CN105100189A (zh) 用于车辆计算系统与社交媒体网站进行通信的方法和系统
WO2012160627A1 (ja) 車両情報提供装置
US201101242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by selecting object from screen
CN104580138B (zh) 用于进行远程访问验证的系统和方法
JP2002312145A5 (ko)
JP2020067341A (ja) 充電ステーションの位置の情報を提供する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車両、車両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791661B1 (ko)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485011B (zh) 一种实现车联网接人功能的云服务器、系统及方法
SE536816C2 (sv) Kommunikationssystem och metod i samband med fordon
CN109152088B (zh) 无线装置连接管理方法
CN104875695B (zh) 用于自用户标识的移动装置和系统
CN109690645B (zh) 用于感测机动车的周围环境的方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