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075B1 -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075B1
KR102595075B1 KR1020230053663A KR20230053663A KR102595075B1 KR 102595075 B1 KR102595075 B1 KR 102595075B1 KR 1020230053663 A KR1020230053663 A KR 1020230053663A KR 20230053663 A KR20230053663 A KR 20230053663A KR 102595075 B1 KR102595075 B1 KR 102595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information
user terminal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신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벤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벤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벤션랩
Priority to KR1020230053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lgebr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설비의 고장을 발견하여 이에 대한 고장신고를 하고자 할 때,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고장설비와 진단단말 간의 무선통신으로 생성된 진단정보를 통해 고장신고를 하고, 서비스서버는 고장신고를 접수하여 기초정보 및 진단정보에 기반하여 조치를 취하고, 진단정보를 관리하며 통계기능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The Method and System that Manage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Facility}
본 발명은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설비의 고장을 발견하여 이에 대한 고장신고를 하고자 할 때,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고장설비와 진단단말 간의 무선통신으로 생성된 진단정보를 통해 고장신고를 하고, 서비스서버는 고장신고를 접수하여 기초정보 및 진단정보에 기반하여 조치를 취하고, 진단정보를 관리하며 통계기능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는 블루투스에서 확장된 개념으로서, 종래의 블루투스 기술인 '블루투스 클래식(Bluetooth Classic)'과 구분되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BLE는 '블루투스 클래식'과 비교하여 대폭적으로 소비전력을 낮춘 기술로서, 버튼형 전지 1개만으로도 수년간 작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므로 전력 공급이 제한되는 분야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BLE는 별도의 복잡한 장치 없이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여 다른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는 수많은 설비들이 곳곳에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설비가 고장나는 경우에 대한 조치절차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관리부서는 먼 거리에 설치된 수십개에서 수백개에 이르는 설비를 통괄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설비의 고장을 즉각적으로 인지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특히, 설비를 주로 이용하는 일반인들이 해당 설비의 고장을 인지하더라도, 종래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고장신고절차에 의하여, 대다수 일반인들은 고장신고를 안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설비관리부서가 해당 설비의 고장을 신속하게 인지하지 못함으로써, 고장설비는 추가 장애를 일으키고 경제적으로 더 큰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인명피해까지 야기할 수 있는 상황이다.
또한, 고장신고가 접수되어 조치를 받은 고장설비에 대하여, 사설AS회사가 해당 설비의 기술적 결함을 완벽하게 파악하지 못한 채 조치를 취하는 경우나, 제조사의 부적절한 설계 혹은 관리기관의 부적절한 유지보수 등으로 인해 재고장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설비에 대한 불필요한 예산 혹은 인력이 요구되곤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사설AS회사, 제조사 혹은 관리기관의 신뢰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저비용으로 일반인들도 편리하게 고장신고를 접수할 수 있으며, 설비에 관련된 대상들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설비의 고장을 발견하여 이에 대한 고장신고를 하고자 할 때,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고장설비와 진단단말 간의 무선통신으로 생성된 진단정보를 통해 고장신고를 하고, 서비스서버는 고장신고를 접수하여 기초정보 및 진단정보에 기반하여 조치를 취하고, 진단정보를 관리하며 통계기능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진단단말, 사용자단말 및 서비스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에 의해, 주변 설비에 대해 고장신고를 할 수 있는 고장신고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시켜, 주변 진단단말을 무선통신 방법으로 스캔할 수 있는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진단단말스캔출력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상기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 선택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의 인근에 위치하는 진단단말로부터 해당 진단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각각의 진단단말의 식별정보가 기재된 식별정보엘리먼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식별정보출력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식별정보엘리먼트에 해당하는 진단단말로, 해당 진단단말에 할당된 설비의 진단정보를 요청하는 진단요청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상기 진단단말로부터 해당 진단단말의 맥어드레스정보 및 해당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진단정보수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상기 맥어드레스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하는 맥어드레스송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해당 맥어드레스정보에 대한 기초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기초정보수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상기 기초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설비정보출력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진단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하는 진단정보송신단계; 및 서비스서버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진단정보에 기반하여 도출한 통계기능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통계기능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단말은, 진단모듈 및 송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모듈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설비를 무선으로 진단하여, 진단결과로서 상기 진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신호 및 정보를 주고받는,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복수의 맥어드레스정보 각각에 대하여, 기초정보 및 복수의 진단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기초정보는 해당 설비에 대한 모델명, 최초설치일자, 설치위치, 소비전력, 전압, 전류, 역률, 온도, 해당 설비를 제조한 제조사의 명칭, 및 해당 설비를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명칭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정보는 상기 서비스서버에 의해 기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규칙은, 상기 서비스서버가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동일한 진단정보를 기설정된 제1기간 내에 수신한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최초로 수신한 진단정보만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진단정보를 최초로 수신한 이후 기설정된 제2기간 내에 다른 사용자단말로부터 동일한 진단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최초로 수신한 진단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비정보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기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정보엘리먼트 및 상기 진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정보엘리먼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초정보엘리먼트가 선택입력되는 경우, 해당 설비에 대한 기초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 화면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진단정보엘리먼트가 선택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화면 상에 해당 설비의 진단정보, 및 이력동기화엘리먼트를 상기 사용자단말 화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력동기화엘리먼트가 선택입력되는 경우, 상기 진단정보송신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계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동안 제조사별로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1신고건수레이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마다 제조사별로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2신고건수레이어; 제조사별로 고장신고 접수 이후 조치완료까지 평균적으로 소요된 일자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1조치소요일레이어; 및 설정된 기간마다 제조사별로 고장신고 접수 이후 조치완료까지 소요된 일자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2조치소요일레이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에는 각각의 설비별로 고장으로 판단되는 고장판단기준,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이에 대한 수리 혹은 조치를 수행하여야 하는 조치기관의 연락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자동수리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수리관리단계는, 상기 진단정보수신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설비의 진단정보에 대하여, 상기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고장판단기준을 적용하여, 고장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는 고장판단단계; 상기 고장판단단계에서 해당 설비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치기관의 연락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메시지를 발송시키는 메시지수신단계; 및 해당 설비의 조치 이후, 상기 진단정보수신단계가 수행되어, 해당 설비의 진단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고장판단기준를 적용시켜 고장이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치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비의 근처를 지나가거나 해당 설비를 이용하는 일반인들이 설비에 대한 고장을 인지하고 사용자단말을 통해 간편하게 고장신고를 함으로써, 해당 설비의 고장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짐에 따라 설비 고장으로 인해 더 큰 피해로 확산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비 및 진단단말 간의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를 통해 진단단말이 설비를 진단하고, 진단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데이터 통신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무선LoRa통신에 비해 전력소모, 및 망 사용료를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진단정보를 관리하고, 고장신고 건수 및 고장설비에 대한 조치소요일 등을 포함하는 통계기능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조치기관의 신뢰도를 도출할 수 있고, 차후에 설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보수할 때 해당 작업을 수행해줄 조치기관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진단정보를 관리하고, 설비별 고장신고 건수를 포함하는 통계기능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설비의 유지보수 수준을 책정하거나, 해당 설비에 대비한 예산 및 인력투입계획을 용이하게 수립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서버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 동일한 진단정보를 여러 번 수신하는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반복하여 저장하지 않고, 한 번만 저장함으로써 컴퓨팅 리소스의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통신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 상에 출력되는 화면을 통해 설비에 대한 고장신고를 하는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에서 저장되는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설정된 규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통계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신고에 대한 조치소요일을 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기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수리관리단계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단말(10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스마트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통신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단말(2000), 사용자단말(1000) 및 서비스서버(4000)에 의해 수행되는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진단단말(2000)은, 진단모듈(2100) 및 송수신모듈(2200)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모듈(2100)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설비(3000)를 무선으로 진단하여, 진단결과로서 상기 진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모듈(220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00)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신호 및 정보를 주고받는다.
구체적으로, 진단단말(2000)은 진단모듈(2100) 및 송수신모듈(2200)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단말(2000)은 설비(3000)마다 설치되어 상기 설비(3000)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상기 진단모듈(2100)은 설비(3000)의 전류, 전압 등을 진단하고, 진단결과로서 진단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진단단말(2000)은 송수신모듈(2200)을 통해 무선으로 사용자단말(1000)과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1000) 또한 무선으로 서비스서버(4000)와 통신한다.
특히, 상기 진단단말(2000)은 진단모듈(2100)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설비(3000)와 BLE(Bluetooth Low Energy) 무선통신기술로 네트워크 연결을 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설비(3000)와 상기 진단모듈(2100) 간에 BLE 무선통신기술로 통신함으로써, 설비(3000)와 진단단말(2000) 간의 데이터 통신으로 요구될 수 있는 통신선 가설로 인한 공사비용; 혹은 무선LoRa(Long Range)통신에 의한 망 사용료; 등의 비용을 절감하며 저비용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BLE 이외에 저비용으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른 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설비(3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가로등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비(3000)의 종류는 가로등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자판기, 엘리베이터 혹은 자동문과 같은 다른 종류의 설비(300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3000)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단말(2000), 사용자단말(1000) 및 서비스서버(4000)에 의해 수행되는 설비(3000)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주변 설비(3000)에 대해 고장신고를 할 수 있는 고장신고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시켜, 주변 진단단말(2000)을 무선통신 방법으로 스캔할 수 있는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E1, 도3의 (a) 참고)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진단단말스캔출력단계(S10);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사용자의 상기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E1) 선택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1000)의 인근에 위치하는 진단단말(2000)로부터 해당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S20);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각각의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가 기재된 식별정보엘리먼트(E2)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식별정보출력단계(S30);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식별정보엘리먼트(E2)에 해당하는 진단단말(2000)로, 해당 진단단말(2000)에 할당된 설비(3000)의 진단정보를 요청하는 진단요청단계(S40);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상기 진단단말(2000)로부터 해당 진단단말(2000)의 맥어드레스정보 및 해당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진단정보수신단계(S50);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상기 맥어드레스정보를 서비스서버(4000)로 송신하는 맥어드레스송신단계(S60);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해당 맥어드레스정보에 대한 기초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0)로부터 수신하는 기초정보수신단계(S70);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상기 기초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설비정보출력단계(S80);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진단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1000)의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4000)로 송신하는 진단정보송신단계(S90); 및 서비스서버(4000)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단말(100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진단정보에 기반하여 도출한 통계기능을 상기 사용자단말(1000)에 제공하는 통계기능제공단계(S1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근처에 고장이 발생한 설비(3000) 혹은 고장이 의심되는 설비(3000)에 대해서 고장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단말스캔출력단계(S10)는,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수행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후 사용자단말(1000)의 첫 화면 상에, 사용자단말(1000) 인근에 있는 진단단말(2000)을 무선통신 방법으로 스캔할 수 있는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E1)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수신단계(S20)는, 사용자가 고장신고를 접수하려는 설비(3000)를 찾기 위해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E1)를 선택입력 한 경우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수행되고, 사용자단말(1000) 인근에 위치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한 진단단말(2000) 각각으로부터 해당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해당 식별정보는 복수의 진단단말(2000) 각각마다 다른 고유의 식별정보로서, 하나의 진단단말(2000) 당 하나의 식별정보를 가진다. 또한, 도 1에서 전술하였듯이, 하나의 설비(3000)마다 하나의 진단단말(2000)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당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는 해당 설비(3000)의 식별정보와 동일하게 취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정보출력단계(S30)는,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신호수신단계(S20)를 통해 진단단말(2000)로부터 수신한 해당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를 사용자단말(1000) 화면 상에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단말(1000)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진단단말(2000)이 상기 사용자단말(1000) 인근에 있는 경우, 복수의 식별정보가 사용자단말(1000) 화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식별정보는 사용자가 고장신고를 접수하고자 하는 진단단말(2000)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식별정보엘리먼트(E2, 도 3의 (a) 참고)로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단요청단계(S40)는,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수행되고, 사용자의 식별정보엘리먼트(E2) 선택입력에 따라 수행되고, 선택된 식별정보엘리먼트(E2)에 해당하는 진단단말(2000)로, 해당 진단단말(2000)에 할당된 설비(3000)의 진단결과로서의 진단정보를 요청한다. 해당 진단단말(2000)은 진단정보 요청을 받고, BLE 무선통신을 통해 할당된 설비(3000)를 진단하고, 진단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진단정보수신단계(S50)는,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수행되고, 진단정보를 요청한 진단단말(2000)로부터 맥어드레스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맥어드레스정보는 각각의 진단단말(2000)마다 해당되는 고유한 주소를 포함하며, 복수의 진단단말(2000) 각각에 대한 진단정보가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맥어드레스송신단계(S60)는,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진단정보수신단계(S50)를 통해 수신한 맥어드레스정보를 서비스서버(4000)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서버(4000)에는 복수의 맥어드레스정보가 기저장되어있고, 맥어드레스정보 각각에 대하여 해당 설비(3000)의 기초정보가 기저장되어있다. 바람직하게는, 진단단말(2000)에 할당된 설비(3000)의 기초정보가 상기 서비스서버(4000)에 최초로 저장될 때,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해당 설비(3000)의 기초정보에 대하여 해당되는 맥어드레스정보를 같이 저장한다.
상기 기초정보수신단계(S70)는,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서비스서버(4000)로부터 상기 맥어드레스정보에 해당하는 기초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기초정보는 해당 설비(3000)를 제조한 제조사의 명칭, 해당 설비(3000)를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명칭, 해당 설비(3000)의 설치위치 등 해당 설비(3000)의 스펙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초정보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설비정보출력단계(S80)는,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수행되고, 사용자단말(1000) 화면 상에 상기 기초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단말(1000) 화면 상에 기초정보를 출력하는 기초정보엘리먼트(E3, 도 3의 (b) 참고) 및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진단정보엘리먼트(E4, 도 3의 (b) 참고)를 화면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1000) 화면 상에 기초정보 혹은 진단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진단정보가 출력되는 사용자단말(1000) 화면 상에는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고장신고 접수를 할 수 있는 이력동기화엘리먼트(E5, 도 3의 (c) 참고)를 상기 진단정보와 함께 출력된다.
상기 진단정보송신단계(S90)는, 사용자의 이력동기화엘리먼트의 선택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100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진단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1000)의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4000)로 송신함으로써 고장신고를 접수한다. 상기 사용자단말(1000)의 위치정보는 해당 사용자단말(1000)의 GPS기능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4000)는 해당 설비(3000)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조치기관(5000)에게 해당 설비(3000)의 위치를 제공해야 하는데, 만약 기저장된 기초정보에 해당 설비(3000)의 설치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사용자단말(1000)의 위치정보를 통해 설비(3000)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여 조치기관(5000)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00)의 위치가 중요설비(3000)에 인접하는 경우, 다른 설비(3000)보다 해당 중요설비(3000)를 우선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계기능제공단계(S100)는, 상기 서비스서버(4000)에 의해 수행되고, 진단정보 혹은 기초정보에 기반하여 도출한 통계기능을 상기 사용자단말(1000)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계기능은 제조사별 혹은 설비(3000)별로 고장신고 이후 조치가 취해지는 일자를 산출하고, 또한 제조사별 혹은 설비(3000)별로 고장신고가 접수된 건수를 도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에 기반하여, 복수의 제조사 혹은 복수의 설비(3000)를 각각 비교하고, 우수한 제조사 혹은 우수한 품질의 설비(3000)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한편, 서비스서버(4000)로부터 통계기능을 제공받는 사용자단말(1000)은, 고장신고를 접수한 일반인이 사용하는 단말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관리기관; 혹은 제조사 및 사설AS회사를 포함하는 조치기관(5000);에서 사용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00) 상에 출력되는 화면을 통해 설비(3000)에 대한 고장신고를 하는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비정보출력단계(S80)는, 상기 사용자단말(1000)의 화면 상에 상기 기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정보엘리먼트(E3) 및 상기 진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정보엘리먼트(E4)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초정보엘리먼트(E3)가 선택입력되는 경우, 해당 설비(3000)에 대한 기초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1000) 화면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진단정보엘리먼트(E4)가 선택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1000)의 화면 상에 해당 설비(3000)의 진단정보, 및 이력동기화엘리먼트(E5)를 상기 사용자단말(1000) 화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1000)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력동기화엘리먼트(E5)가 선택입력되는 경우, 상기 진단정보송신단계(S90)를 수행한다.
개략적으로 도 3의 (a)는 식별정보출력단계(S30)가 수행된 사용자단말(1000) 상의 화면을 도시하고, 도 3의 (b)는 사용자단말(1000)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기초정보를 도시하고, 도 3의 (c)는 사용자단말(1000)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진단정보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사용자단말(1000)의 처음 화면에는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가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E1)가 선택입력되면 사용자단말(1000)의 화면 상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가 출력된다. 상기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는 진단단말(2000) 고유의 식별정보로서, 해당 사용자단말(1000)과 BLE 신호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단말(1000)의 화면 상에 복수의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가 출력될 때는,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 앞부분 글자(예를 들어, 모델명 혹은 제조사명)를 기반으로 소팅(Sorting)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는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될 수 있는 식별정보엘리먼트(E2)로서 출력되고, 사용자는 고장신고를 접수하기 위해 식별정보엘리먼트(E2) 선택입력 시 해당 진단단말(2000)의 식별정보에 대한 기초정보 및 진단정보를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단말(1000) 화면 상에 출력되는 상기 식별정보는 고장설비(3000)에 대한 신고를 접수하려는 일반인이 설비(3000)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편집되어 기재될 수 있다.
도 3의 (b)는 사용자가 선택한 진단단말(2000)에 할당된 설비(3000)에 대한 기초정보를 도시한다. 상기 기초정보는 해당 설비(3000)의 최초설치일자, 위치정보, 해당 설비(3000)를 제조한 제조사의 명칭, 해당 설비(3000)의 소비전력 및 역률 등의 설비(3000)의 스펙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사용자가 선택한 진단단말(2000)에 할당된 설비(3000)에 대한 진단정보를 도시한다. 상기 진단정보는 해당 설비(3000)에 대한 진단이 수행된 결과로서, 예를 들어, 해당 설비(3000)가 가로등일 경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가로등이 깜빡임, 전류, 전압 및 역률에 대한 진단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진단이력을 확인하고, 진단이력 하단에 위치한 이력동기화엘리먼트(E5)를 선택입력함으로써, 해당 진단정보를 서비스서버(4000)로 송신하여 해당 설비(3000)에 대해 고장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진단정보는, 전류, 전압 및 역률 측정과 같은 측정결과만을 포함하며, 진단단말(2000)이 고장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서비스서버(4000)가 상기 진단정보 및 고장판단기준에 기반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진단정보는, 고장판단기준에 기반하여 진단단말(2000)에서 자체적으로 판단된 설비(3000)의 고장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서버(4000)는 해당 진단정보에 기반하여 조치기관(5000)에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고장판단기준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도 9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4000)에서 저장되는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복수의 맥어드레스정보 각각에 대하여, 기초정보 및 복수의 진단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기초정보는 해당 설비(3000)에 대한 모델명, 최초설치일자, 설치위치, 소비전력, 전압, 전류, 역률, 온도, 해당 설비(3000)를 제조한 제조사의 명칭, 및 해당 설비(3000)를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명칭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정보는 상기 서비스서버(4000)에 의해 기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4000)에는 설비(3000)에 대한 맥어드레스정보 및 해당 설비(3000)의 기초정보가 기저장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복수의 설비(3000)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관리하는 설비(3000)의 수와 동일한 수의 맥어드레스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하나의 맥어드레스정보 당 하나의 기초정보 및 복수의 진단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기초정보는 해당 설비(3000)의 스펙으로서, 해당 설비(3000)에 대한 최초설치일자, 설치위치, 모델명, 해당 설비(3000)를 제조한 제조사의 명칭, 및 해당 설비(3000)를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명칭과 같은 설비(3000)의 설치정보뿐 아니라, 소비전력, 전압, 전류, 역률, 온도 같은 설비(3000)의 동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정보에 포함된 동작정보는 해당 설비(3000)가 정상적으로 작동 중일 때 진단단말(2000)로부터 측정되어야 하는 수치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기초정보는 클러스터링(Clustering) 기법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성요소로 분류되고, 분류된 복수의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요소는 통계기능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는 사용자단말(1000)의 요청에 의하여 설비(3000)에 대해 진단을 수행한 진단결과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설비(3000)에 대해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단말(1000)로부터 고장신고가 접수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복수의 고장신고가 접수되며 복수의 사용자단말(10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진단정보를 차례대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저장된 진단정보의 수에 기반하여 고장신고 접수 후 조치기관(5000)에 해당 설비(3000)에 대한 조치를 요청할 때, 조치 순서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4000)는 장기간동안 한 두건의 고장신고가 접수된 설비(3000)보다 단기간동안 복수의 사용자단말(1000)로부터 여러 건의 고장신고가 접수된 설비(3000)에 대해서 먼저 조치기관(5000)에 조치를 요청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짧은 시간동안 수많은 고장신고가 접수되는 경우, 고장신고 각각에 해당되는 진단정보가 모두 저장되기에는 데이터 리소스가 불필요하게 낭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기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진단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설정된 규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설정된 규칙은, 상기 서비스서버(4000)가 복수의 사용자단말(1000)로부터 동일한 진단정보를 기설정된 제1기간 내에 수신한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최초로 수신한 진단정보만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4000)가 사용자단말(1000)로부터 진단정보를 최초로 수신한 이후 기설정된 제2기간 내에 다른 사용자단말(1000)로부터 동일한 진단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최초로 수신한 진단정보만을 저장한다.
개략적으로, 도 5의 (a)는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동일한 진단정보를 수신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 5의 (b)는 기설정된 제2기간 동안 동일한 진단정보를 수신한 경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제1기간은 서비스서버(4000)에서 기설정된 간격에 기반하여 나뉘어진 기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오전 9시부터 오전10시까지, 오전 10시부터 오전11시까지 같이 정각마다 한 시간 단위가 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4000)가 복수의 사용자단말(1000)로부터 제1진단정보를 기설정된 제1기간 내에 3번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제1진단정보를 3번 저장하지 않고, 최초로 수신한 제1진단정보만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2기간은 진단정보를 최초로 수신한 시각 이후 기설정된 시간동안의 기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한 시간일 경우, 서비스서버(4000)가 진단정보를 최초로 오전 10시20분에 수신하였다면, 오전 10시20분부터 오전 11시20분까지가 해당 진단정보에 대한 기설정된 제2기간이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4000)가 최초로 제1진단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기설정된 제2기간동안 제1진단정보를 2번 더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제1진단정보를 3번 저장하지 않고, 최초로 수신한 제1진단정보만을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제1기간 혹은 기설정된 제2기간 동안, 상기 서비스서버(4000)가 저장하는 진단정보는 최초로 수신한 진단정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기간 혹은 기설정된 제2기간이 끝나고 난 뒤, 상기 기설정된 제1기간 혹은 기설정된 제2기간 동안, 수신한 순서와 관계없이 한 번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서버(4000)가 일정 기간 내에 동일한 진단정보를 여러 번 수신한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한 번만 저장함으로써, 컴퓨팅 리소스의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4000)에서 제공하는 통계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계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동안 제조사별로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1신고건수레이어(L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마다 제조사별로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2신고건수레이어(L2); 제조사별로 고장신고 접수 이후 조치완료까지 평균적으로 소요된 일자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1조치소요일레이어(L3); 및 설정된 기간마다 제조사별로 고장신고 접수 이후 조치완료까지 소요된 일자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2조치소요일레이어(L4);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는 기초정보 중 설비(3000)를 제조한 제조사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지만, 대상변경엘리먼트(E6)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관리기관별 혹은 설비(3000)별로 고장신고가 접수된 건수 혹은 관리기관별 혹은 설비(3000)별로 고장신고 접수 이후 조치완료까지 소요된 일자를 다룰 수 있다. 또한, 기간변경엘리먼트(E7)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최근 한달간 혹은 일별, 월별, 연도별로 고장신고가 접수된 건수 혹은 평균 조치소요일을 다룰 수 있다.
사용자는 설비(3000)에 대해 고장신고를 접수하고, 사용자단말(1000)을 통해 서비스서버(4000)로부터 제공되는 통계기능을 보고, 해당 설비(3000)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일자를 예측함으로써, 설비(3000) 이용에 대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신고에 대한 조치소요일을 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진단단말(2000)이 진단정보를 사용자단말(1000)에 송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000)을 통해 진단정보를 서비스서버(4000)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설비(3000)에 대한 고장신고가 접수된다. 해당 설비(3000)의 고장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조치기관(5000)은 상기 서비스서버(4000)로부터 조치 요청을 받고, 해당 설비(3000)를 수리하는 등 조치를 취한다. 상기 조치기관(5000)은 설비(3000)를 제조한 제조사, 혹은 설비(3000)를 수리할 수 있는 사설AS회사를 포함할 수 있고, 간단한 유지보수 작업만 필요할 경우 관리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치기관(5000)은 조치완료 후 조치완료내역을 포함한 조치정보를 서비스서버(4000)로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상기 진단정보 및 상기 조치정보에 기반하여 조치소요일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장신고가 접수된 날짜 및 조치완료된 날짜의 차이로 산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기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개략적으로 도 8의 (a)는 1월부터 4월까지 A제조사 및 B제조사로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8의 (b)는 1월부터 4월까지 A제조사 및 B제조사로 접수된 고장발생률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8의 (c)는 1월부터 4월까지 A제조사 및 B제조사의 평균 조치소요일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통계기능을 제공받는 사용자단말(1000)은 고장신고를 접수하는 사용자의 단말뿐 아니라 관리기관 및 조치기관(5000)이 사용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기관은 도 8의 (a)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월 단위로 제조사별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를 알 수 있다. 1월 내지 4월까지 A제조사에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가 B제조사에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보다 적다. 이를 통해 A제조사에서 생산하는 설비(3000)의 품질이 B제조사에서 생산하는 설비(3000)의 품질보다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서비스서버(4000)에서 제공하는 통계기능을 통해, 관리기관은 제조사가 생산하는 설비(3000)에 대한 신뢰도를 도출함으로써, 이후에 설비(3000)의 추가 설치가 요구될 때, 상기 관리기관은 해당 설비(3000)의 추가설치를 맡을 제조사를 용이하게 선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그래프만을 통해 도출되는 신뢰도에는 맹점이 있다.
상기 관리기관은 도 8의 (b)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서는 월 단위로 제조사별 고장발생률을 알 수 있다. 상기 그래프에는 1월 내지 4월까지 A제조사가 B제조사보다 고장발생률이 모두 높다고 출력된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는 A제조사가 B제조사보다 적지만, 도 8의 (a)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도출된 결과와는 달리, 실제로는 B제조사에서 생산한 설비(3000)의 품질이 A제조사에서 생산한 설비(3000)의 품질보다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맹점을 보안하기 위해 상기 통계기능이 출력하는 그래프는 도 6에서 전술한 그래프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서비스서버(4000)는 다양한 요소들을 추가한 복수의 그래프를 출력함으로써, 통계기능의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서는 월 단위로 제조사별 설비(3000)를 조치할 때 소요되는 일 수를 알 수 있다. 1월에는 A제조사가 B제조사보다 평균 조치소요일이 짧았지만 2월 이후로는 B제조사의 평균 조치소요일이 A제조사의 평균 조치소요일보다 짧다. 특히, A제조사의 평균 조치소요일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설비(3000)에 대하여 A제조사 또는 B제조사가 모두 조치가 가능할 때, 관리기관은 통계기능에 기반하여 평균 조치소요일이 더 짧은 B제조사에 의뢰를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서비스서버(4000)는 다양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통계기능을 사용자단말(1000)로 제공함으로써, 관리기관은 다양한 요소들을 기반으로 제조사 혹은 설비(3000) 등의 신뢰도를 용이하게 판단하고, 설비(3000) 조치에 대한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자동수리관리단계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4000)에는 각각의 설비(3000)별로 고장으로 판단되는 고장판단기준,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이에 대한 수리 혹은 조치를 수행하여야 하는 조치기관(5000)의 연락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자동수리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수리관리단계는, 상기 진단정보수신단계(S50)에 의하여 수신한 설비(3000)의 진단정보에 대하여, 상기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고장판단기준을 적용하여, 고장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는 고장판단단계(S110); 상기 고장판단단계(S110)에서 해당 설비(3000)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치기관(5000)의 연락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메시지를 발송시키는 메시지수신단계(S120); 및 해당 설비(3000)의 조치 이후, 상기 진단정보수신단계(S50)가 수행되어, 해당 설비(3000)의 진단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고장판단기준를 적용시켜 고장이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치판단단계(S130);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도 9의 (a)는 자동수리관리단계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9의 (b)는 고장판단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4000)는 사용자단말(1000)로부터 진단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진단정보에 대한 설비(3000)를 조치하기 위해, 조치기관(5000)으로 연락을 하여 해당 설비(3000)에 대한 조치를 취해주기를 요청한다. 서비스서버(4000)는 자동수리관리단계를 통해 자동적으로 설비(3000)의 고장여부 및 설비(3000)의 조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수리관리단계는, 고장판단단계(S110), 메시지수신단계(S120), 및 조치판단단계(S130)를 포함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진단정보송신단계(S90)가 수행된 이후에 수행된다.
상기 고장판단단계(S110)는, 서비스서버(4000)에 의해 수행되고, 고장판단기준 및 진단정보수신단계(S90)를 통해 수신한 진단정보에 기반하여 고장신고가 접수된 설비(3000)의 고장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b)에 도시된 고장판단기준에 의해, 설비(3000)의 역률이 85% 미만인 경우 해당 설비(3000)에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단될 때, 진단정보로서, 해당 설비(3000)가 역률이 60%인 상태로 작동 중이라면, 해당 설비(3000)는 역률에 문제점이 생긴 채 작동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고장판단기준은 설비(3000)를 관리하는 관리기관에서 기초정보에 기반하여 생성하고, 서비스서버(4000)에 기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시지수신단계(S120)는, 서비스서버(400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고장판단단계(S110)의 수행결과로서, 해당 설비(3000)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서버(4000)에 기저장된 상기 조치기관(5000)의 연락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메시지를 발송한다. 해당 메시지는 이메일 혹은 문자를 포함하며, 상기 조치기관(5000)이 신속하게 해당 설비(3000)에 대한 사고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조치기관(5000)이 해당 설비(3000)에 대해 조치를 완료한 이후, 조치기관(5000)의 단말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설비(3000)의 진단정보를 서비스서버(4000)로 송신한다.
상기 조치판단단계(S130)는, 서비스서버(4000)에 의해 수행되고, 조치기관(5000)으로부터 진단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단정보 및 상기 고장판단기준에 기반하여 해당 설비(3000)에 대해 조치가 잘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0)는 상기 조치판단단계(S130)를 통해 해당 설비(3000)의 조치가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하면, 조치완료내역을 포함하는 조치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기반하여 평균 조치소요일을 산출하고 통계기능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고장신고가 접수된 설비에 대한 고장여부 판단 및 조치여부 판단이 자동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설비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비의 근처를 지나가거나 해당 설비를 이용하는 일반인들이 설비에 대한 고장을 인지하고 사용자단말을 통해 간편하게 고장신고를 함으로써, 해당 설비의 고장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짐에 따라 설비 고장으로 인해 더 큰 피해로 확산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비 및 진단단말 간의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를 통해 진단단말이 설비를 진단하고, 진단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데이터 통신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무선LoRa통신에 비해 전력소모, 및 망 사용료를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진단정보를 관리하고, 고장신고 건수 및 고장설비에 대한 조치소요일 등을 포함하는 통계기능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조치기관의 신뢰도를 도출할 수 있고, 차후에 설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보수할 때 해당 작업을 수행해줄 조치기관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진단정보를 관리하고, 설비별 고장신고 건수를 포함하는 통계기능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설비의 유지보수 수준을 책정하거나, 해당 설비에 대비한 예산 및 인력투입계획을 용이하게 수립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서버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 동일한 진단정보를 여러 번 수신하는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반복하여 저장하지 않고, 한 번만 저장함으로써 컴퓨팅 리소스의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진단단말, 사용자단말 및 서비스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에 의해, 주변 설비에 대해 고장신고를 할 수 있는 고장신고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시켜, 주변 진단단말을 무선통신 방법으로 스캔할 수 있는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진단단말스캔출력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상기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 선택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의 인근에 위치하는 진단단말로부터 해당 진단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각각의 진단단말의 식별정보가 기재된 식별정보엘리먼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식별정보출력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식별정보엘리먼트에 해당하는 진단단말로, 해당 진단단말에 할당된 설비의 진단정보를 요청하는 진단요청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상기 진단단말로부터 해당 진단단말의 맥어드레스정보 및 해당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진단정보수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상기 맥어드레스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하는 맥어드레스송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해당 맥어드레스정보에 대한 기초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기초정보수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상기 기초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설비정보출력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진단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하는 진단정보송신단계; 및
    서비스서버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진단정보에 기반하여 도출한 통계기능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통계기능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단말은,
    진단모듈 및 송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모듈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설비를 무선으로 진단하여, 진단결과로서 상기 진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신호 및 정보를 주고받고,
    상기 서비스서버는 복수의 맥어드레스정보 각각에 대하여, 기초정보 및 복수의 진단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기초정보는 해당 설비에 대한 모델명, 최초설치일자, 설치위치, 소비전력, 전압, 전류, 역률, 온도, 해당 설비를 제조한 제조사의 명칭, 및 해당 설비를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명칭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정보는 상기 서비스서버에 의해 기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저장되고,
    상기 기설정된 규칙은,
    상기 서비스서버가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동일한 진단정보를 기설정된 제1기간 내에 수신한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최초로 수신한 진단정보만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진단정보를 최초로 수신한 이후 기설정된 제2기간 내에 다른 사용자단말로부터 동일한 진단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최초로 수신한 진단정보만을 저장하는,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진단단말, 사용자단말 및 서비스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에 의해, 주변 설비에 대해 고장신고를 할 수 있는 고장신고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시켜, 주변 진단단말을 무선통신 방법으로 스캔할 수 있는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진단단말스캔출력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상기 진단단말스캔엘리먼트 선택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의 인근에 위치하는 진단단말로부터 해당 진단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각각의 진단단말의 식별정보가 기재된 식별정보엘리먼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식별정보출력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식별정보엘리먼트에 해당하는 진단단말로, 해당 진단단말에 할당된 설비의 진단정보를 요청하는 진단요청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상기 진단단말로부터 해당 진단단말의 맥어드레스정보 및 해당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진단정보수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상기 맥어드레스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하는 맥어드레스송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해당 맥어드레스정보에 대한 기초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기초정보수신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상기 기초정보 및 상기 진단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설비정보출력단계;
    사용자단말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진단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하는 진단정보송신단계; 및
    서비스서버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진단정보에 기반하여 도출한 통계기능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통계기능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단말은,
    진단모듈 및 송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모듈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설비를 무선으로 진단하여, 진단결과로서 상기 진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신호 및 정보를 주고받고,
    상기 설비정보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기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정보엘리먼트 및 상기 진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정보엘리먼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초정보엘리먼트가 선택입력되는 경우, 해당 설비에 대한 기초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 화면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진단정보엘리먼트가 선택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화면 상에 해당 설비의 진단정보 및 이력동기화엘리먼트를 상기 사용자단말 화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력동기화엘리먼트가 선택입력되는 경우, 상기 진단정보송신단계를 수행하는,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동안 제조사별로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1신고건수레이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마다 제조사별로 접수된 고장신고 건수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2신고건수레이어;
    제조사별로 고장신고 접수 이후 조치완료까지 평균적으로 소요된 일자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1조치소요일레이어; 및
    설정된 기간마다 제조사별로 고장신고 접수 이후 조치완료까지 소요된 일자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는 제2조치소요일레이어;를 출력하는,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에는 각각의 설비별로 고장으로 판단되는 고장판단기준,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이에 대한 수리 혹은 조치를 수행하여야 하는 조치기관의 연락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자동수리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수리관리단계는,
    상기 진단정보수신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설비의 진단정보에 대하여, 상기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고장판단기준을 적용하여, 고장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는 고장판단단계;
    상기 고장판단단계에서 해당 설비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치기관의 연락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메시지를 발송시키는 메시지수신단계; 및
    해당 설비의 조치 이후, 상기 진단정보수신단계가 수행되어, 해당 설비의 진단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고장판단기준를 적용시켜 고장이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치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KR1020230053663A 2023-04-25 2023-04-25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9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663A KR102595075B1 (ko) 2023-04-25 2023-04-25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663A KR102595075B1 (ko) 2023-04-25 2023-04-25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075B1 true KR102595075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663A KR102595075B1 (ko) 2023-04-25 2023-04-25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07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549A (ko) * 2011-07-25 2013-03-14 주식회사 두산 장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9716B1 (ko) * 2015-03-13 2016-08-19 한국기계연구원 고장 및 정비 데이터 기반 플랜트 정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7074A (ko) *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62255A (ko) * 2015-11-27 2017-06-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전력설비 순시 검침 시스템
KR20170142290A (ko) * 2016-06-17 2017-12-28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시설물관리 시스템
KR20180112657A (ko) * 2017-04-04 2018-10-12 브이피코리아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0064515A (ja) * 2018-10-18 2020-04-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器故障診断支援システムおよび機器故障診断支援方法
KR20210115440A (ko) * 2020-03-13 2021-09-27 우리정보 (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지능형 설비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549A (ko) * 2011-07-25 2013-03-14 주식회사 두산 장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9716B1 (ko) * 2015-03-13 2016-08-19 한국기계연구원 고장 및 정비 데이터 기반 플랜트 정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7074A (ko) *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진단 장치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62255A (ko) * 2015-11-27 2017-06-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전력설비 순시 검침 시스템
KR20170142290A (ko) * 2016-06-17 2017-12-28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시설물관리 시스템
KR20180112657A (ko) * 2017-04-04 2018-10-12 브이피코리아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0064515A (ja) * 2018-10-18 2020-04-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器故障診断支援システムおよび機器故障診断支援方法
KR20210115440A (ko) * 2020-03-13 2021-09-27 우리정보 (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지능형 설비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45500B (zh) 用于维持或优化移动电话网络的方法和系统
US7171218B2 (en) Mobile unit,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7568126B2 (en) Controlled display mode diagnostic tool for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results of real tests and/or validation tests
US11683703B2 (en) Network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7681791B1 (en) Efficient invento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CN101621816B (zh) 一种监控移动终端后台服务器的系统和方法
US20160036718A1 (en) Network service analytics
CN106533762A (zh) 一种设备切换的方法以及设备切换装置
US11651641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quipment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CN104182819A (zh) 智能报修方法及系统
BR112013007832A2 (pt) painel de controle automatizado da impressora
US11509518B2 (en) Network fault diagnosis
JP5511954B2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節電機構
US200702198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ork flows used to resolve alarm conditions detected in a system
CN111741427A (zh) 业务投诉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04968008A (zh) 一种接入调度方法、装置和系统
KR102595075B1 (ko) 설비에 대한 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10174975A1 (en) Car to home service system and method
CN104253715A (zh) 多层级联业务监控系统及方法
JP2006277685A (ja) 障害発生通知プログラム、および通知装置。
Bristow et al. Recovery planning for resilience in integrated disaster risk management
CN104753721A (zh) 一种通用可配置的表格数据的自动核查的方法
Perino et al. Experience: advanced network operations in (Un)-connected remote communities
Sims et al. Assure charge: a data driven approach to servicing and maintaining EV charge points
KR102364178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