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178B1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178B1
KR102364178B1 KR1020180052948A KR20180052948A KR102364178B1 KR 102364178 B1 KR102364178 B1 KR 102364178B1 KR 1020180052948 A KR1020180052948 A KR 1020180052948A KR 20180052948 A KR20180052948 A KR 20180052948A KR 102364178 B1 KR102364178 B1 KR 10236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information
solar cell
cell module
inform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805A (ko
Inventor
박노창
오원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17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전지모듈의 정확한 상태 파악이 가능하고, 이력정보의 조작이나 변경이 불가능하여 이력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은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이력정보를 복수의 이력정보 사용자가 함께 관리하는 관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history information of solar cell module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모듈의 정확한 상태 파악이 가능하고, 이력정보의 조작이나 변경이 불가능하여 이력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학에너지의 고갈 및 화학에너지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근자에 들어서는 대체에너지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Photovoltaic system)이다.
태양광 발전이라 함은 태양에너지(태양열 또는 태양광)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련의 기술이다. 기본 원리는 p-n 접합 반도체로 구성된 태양 전지(solar battery)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 에너지에 의한 전자, 정공 쌍이 생겨나고, 전자가 이동하여 n층과 p층을 가로질러 전류가 흐르게 되는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함으로써 외부에 접속된 부하에 전류가 흐르는 결과를 이용한다. 이처럼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태양광 모듈(solar module)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설치 후 전기안전공사로부터 사용전 검사(또는 점검)을 받게 되어 있다. 그러나 모듈특성기본정보와 함께 사용전검사정보 등 태양전지모듈에 관련된 모든 정보는 에너지 공단, 모듈 및 시스템 제조사, AS업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공유하길 원하는 정보이나 현재 시스템상 이해관계자들에 공유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후 유지관리 및 사후수리 등을 수행할 때 태양전지모듈의 정확한 현재 상태를 파악하거나, 관리정보 등이 업데이트 되지 않아 관리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모듈의 정확한 상태 파악이 가능하고, 이력정보의 조작이나 변경이 불가능하여 이력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은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이력정보를 복수의 이력정보 사용자가 함께 관리하는 관리단계;를 포함한다.
이력정보는 모듈특성기본정보, 사용전검사정보, 안전관리정보, 사후수리정보, 폐기정보 및 재활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력정보 사용자는 태양전지모듈 제조자, 사용전검사자, 안전관리자, 사후수리자, 폐기물처리자 및 재활용처리자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생성단계는, 이력정보 사용자 중 어느 한 이력정보 사용자가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관리단계는, 생성된 이력정보를 복수의 이력정보 사용자가 각각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관리단계는 이력정보를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검증단계는, 이력정보 사용자로부터 저장된 이력정보를 수집하여 동일여부를 검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력정보는 블록체인코드로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은 이력정보를 코드형태인 이력정보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력정보코드는 태양전지모듈의 인버터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생성된 이력정보를 다른 이력정보 사용자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가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이력정보를 제2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2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가 전송받은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제1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 및 전송받은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제2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에 의하면, 태양전지모듈의 사용단계에 따른 이력정보를 2이상의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어서, 태양전지모듈의 정확한 상태 파악이 가능하고, 이력정보의 조작이나 변경이 불가능하여 이력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이해관계자의 정보공유요청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전지모듈 제조사나 태양전지모듈 시스템 제조사는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의 보급현황 확인 및 사후수리예정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2이상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정확한 발전시스템의 보급 및 관리정보 등의 통계확인이 가능하므로 태양전지모듈 사업시 정확한 수요 및 공급을 예측하여 사업최적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재활용센터에서 태양전지모듈의 폐기시점을 예측할 수 있어서, 재활용대상인 태양전지모듈의 갯수 및 상태를 수치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향후 재활용된 태양전지모듈의 공급가능성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태양전지모듈의 주기별 사용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모듈특성기본정보를 입력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코드로 저장된 이력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듈특성기본정보 및 사용전검사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코드를 QR코드 형태로 형성하여 태양전지모듈의 인버터에 부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의 기능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태양전지모듈의 주기별 사용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모듈특성기본정보를 입력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은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110); 및 이력정보를 복수의 이력정보 사용자가 함께 관리하는 관리단계(S120);를 포함한다(도 1).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이력정보 사용자에 의해 이력정보가 생성되고, 이러한 이력정보는 복수의 이력정보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어 태양전지모듈의 사용 전주기에 따른 정보가 전체 이력정보 사용자에 공유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전지모듈의 사용주기별 사용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태양전지모듈은 설치시공되는 단계, 사용전검사단계, 안전관리/사후관리단계, 폐기단계 및 폐기 후 재활용 단계까지 이르러 사용되는 전체 주기가 소요된다. 재활용단계 이후에는 다시 설치/시공단계로 돌아간다.
이러한 태양전지모듈의 사용전주기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정보가 생성된다. 이해관계자들, 즉 이력정보 사용자들은 태양전지모듈에 대한 이벤트가 있을 때 이력정보를 생성한다.
태양전지모듈과 관련된 정보로는 먼저, 태양전지모듈 자체에 관한 정보인 모듈특성기본정보가 있다. 모듈특성기본정보는 태양전지모듈의 용량이나 태양전지 셀의 구성정보 등이 있다. 아울러, 모듈특성기본정보는 태양전지모듈의 제조사정보, 태양전지모듈 설치일 및 설치업체, 설치장소 및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생하는 전력사용자에 관한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모듈특성기본정보를 입력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이력정보에는 사용전검사에 관련된 정보인 사용전검사정보, 정기적으로 진단받아야 하는 안전관리에 관한 안전관리정보, 비정기적으로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 받아야 하는 사후수리(AS)에 관한 사후수리정보가 포함된다. 아울러, 이력정보에는 태양전지모듈의 수명이 완료되어 폐기시점이 되면 생성되는 폐기정보 및 폐기 후 재활용센터에서 생성되는 재활용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이력정보 사용자로는 태양전지모듈 제조자, 사용전검사자, 안전관리자, 사후수리자, 폐기물처리자 및 재활용처리자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자는 태양전지모듈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이력정보 사용자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모듈관련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와 같이 이력정보의 생성없이 이력정보의 공유가 필요한 사용자도 포함된다.
이력정보 생성단계는, 이력정보 사용자 중 어느 한 이력정보 사용자가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관리단계는, 생성된 이력정보를 복수의 이력정보 사용자가 각각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사용자에 분산저장함으로써 이력정보를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다.
기존 태양전지모듈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시공업체가 설치 후 전기안전공사 등 사용전검사기관에서 사용전 검사(점검)를 받아 통과한 후 사용전검사정보가 생성되는데 그 결과는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에서는 사용전검사 시에, 모듈특성기본정보와 사용전검사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해관계자들에 전송하여 공유하게 된다.
이후, 안전관리 시에는 안전관리현황이 추가저장되고, 사후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저장된 이력정보내용을 확인하여 사후수리 후 사후수리정보가 추가로 이력정보로 저장된다. 이후, 폐기정보 및 재활용정보 등이 생성되어 추가적인 이력정보로 저장되므로 하나의 태양전지모듈에 대하여 사용전주기에 걸친 이력정보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추가되고, 갱신되어 보다 정확한 이력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은 이력정보를 생성하고(S210), 생성된 이력정보가 이력정보 사용자들에 전송되면(S220), 이력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S230). 검증단계는 이력정보 사용자로부터 저장된 이력정보를 수집하여 각 이력정보 사용자에 저장된 이력정보가 동일한 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력정보가 정확한지 검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력정보가 정확하다고 검증되면 이력정보는 각 이력정보 사용자에게 저장된다(S240). 만약, 이력정보가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새로 생성된 이력정보는 검증되지 않은 이력정보에 추가저장되지 않고, 각 이력정보 사용자에 저장된 이력정보는 다시 검증단계가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코드로 저장된 이력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에서는 이력정보가 블록체인코드로 저장될 수 있다. 블록체인코드는 도 5에서와 같이 추가되는 정보가 블록으로 저장된다.
예를 들면, 1번블록(BLOCK#1)에 모듈특성기본정보가 저장되고, 사용전 검사가 수행되어 사용전검사정보가 생성되면, 모듈특성기본정보가 저장된 1번블록(BLOCK#1)에 사용전검사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되어 2번블록(BLOCK#2)로 저장된다.
이후, 안전관리가 수행되면 안전관리정보가 생성되고, 안전관리정보는 2번블록(BLOCK#2)에 추가저장되어 3번블록(BLOCK#3)이 생성된다. 이후, 사후수리가 수행되면 사후수리정보가 추가저장되어 4번블록(BLOCK#4)에 저장되고, 폐기 시의 폐기정보는 5번블록(BLOCK#5)에, 재활용정보는 6번블록(BLOCK#6)으로 저장되어 이력정보는 블록체인코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블록체인코드로 저장되는 것은 새로운 이벤트에 따라 생성된 정보일 수도 있고, 이력정보가 갱신된 갱신이력정보일 수 있다 .
예를 들어, 1차 사후수리 후 2차 사후수리가 수행되면, 2차 사후수리시의 이력정보는 갱신이력정보일 수 있다.
도 6은 모듈특성기본정보 및 사용전검사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코드를 QR코드 형태로 형성하여 태양전지모듈의 인버터에 부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은 이력정보를 코드형태인 이력정보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력정보코드는 태양전지모듈의 인버터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력정보가 사용전검사정보인 경우, 모듈특성기본정보 및 사용전검사정보를 코드 형태인 이력정보코드로 형성하여 태양전지모듈에 부착할 수 있다. 코드 형태로는 바코드, QR 코드 또는 다른 형태의 코드형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력정보코드는 태양전지모듈이나 인버터 등에 부착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에 기본 정보와 사용전 검사 통과 정보가 저장된 코드가 부착되면, 이후 이해관계자(에너지공단, 전기안전공사, 지자체, 사용자, 모듈 및 시스템 제조사, 안전관리자, 재활용 센터 등)에 분산 저장된다. 정기적인 안전관리 또는 비정기적인 AS 발생시 기존 정보를 불러와 확인 후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다시 코드형태로 발급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폐기 시점의 재활용 센터에까지 활용되어 전주기 이력관리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의 기능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10); 및 생성된 이력정보를 다른 사용자에 전송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100)가 제공된다. 또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100)는 생성된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100)에서 생성된 이력정보를 통신부(120)는 외부로 전송할 수 있고, 생성된 이력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는 생성된 이력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가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이력정보를 제2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2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가 전송받은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제1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에서 이력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이력정보는 제1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제2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제2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는 전송받은 이력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제1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 및 전송받은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제2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기 설명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장치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저장부

Claims (12)

  1. 태양전지모듈의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이력정보를 복수의 이력정보 사용자가 함께 관리하는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으로서,
    생성단계는, 이력정보 사용자 중 어느 한 이력정보 사용자가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관리단계는, 복수의 이력정보 사용자가 생성된 이력정보 전체를 각각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으로서,
    이력정보는 모듈특성기본정보, 사용전검사정보, 안전관리정보, 사후수리정보, 폐기정보 및 재활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력정보 사용자는 태양전지모듈 제조자, 사용전검사자, 안전관리자, 사후수리자, 폐기물처리자 및 재활용처리자 중 어느 하나이고,
    관리단계는 이력정보를 검증하는 검증단계를 포함하며,
    검증단계는, 이력정보 사용자로부터 저장된 이력정보를 수집하여 동일여부를 검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정보의 조작이나 변경이 불가능하여 이력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력정보는 블록체인코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력정보를 코드형태인 이력정보코드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이력정보코드는 태양전지모듈의 인버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52948A 2018-05-09 2018-05-09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KR10236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48A KR102364178B1 (ko) 2018-05-09 2018-05-09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48A KR102364178B1 (ko) 2018-05-09 2018-05-09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05A KR20190128805A (ko) 2019-11-19
KR102364178B1 true KR102364178B1 (ko) 2022-02-17

Family

ID=6877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948A KR102364178B1 (ko) 2018-05-09 2018-05-09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1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004A (ko) * 2010-08-03 2012-02-14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1976B1 (ko) * 2016-01-14 2020-07-09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개인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22507A (ko) * 2016-08-24 2018-03-06 김보석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문서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05A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daperumal et al. Resilience of the electric distribution systems: concepts, classification, assessment, challenges, and research needs
Golnas PV system reliability: An operator's perspective
Wang et al. Impacts of operators’ behavior on reliability of power grids during cascading failures
WO2022110913A1 (zh) 突发事件推演图结构的构建及突发事件推演的方法和装置
CN110134053B (zh) 一种配变故障停电快速响应的监控配置方法、装置及设备
CN113992153B (zh) 一种光伏电站可视化实时监测分布式管理系统
US20200117151A1 (en) Outage and switch management for a power grid system
CN110430081A (zh) 基于指令自动编排的智能化巡检方法以及装置
Wang et al. Smart grid information security-a research on standards
CN110647567A (zh) 基于末端数据融合的停电计划辅助决策系统
CN114202304A (zh) 一种电网故障智能监控处理方法及系统
CN113312200A (zh) 一种事件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Ying et al. Research on state evaluation and risk assessment for relay protection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
KR102364178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모듈 이력정보관리방법
KR20200142896A (ko) 디지털 설비의 고장 유형 분석 시스템 및 방법
Huang et al. Resilience assessment of active distribution systems considering microgrid formation based on grid‐edge DERs
Omogoye et al. A review of power system predictive failure model for resilience enhancement against hurricane events
CN112446619B (zh) 配电网抢修处理方法和装置
CN113438248B (zh) 一种便于主站网络ip地址自查管理系统
CN115941441A (zh) 系统链路自动化监控运维方法、系统、设备以及介质
CN113537519B (zh) 一种识别异常设备的方法和装置
Dai et al. Smart Electricity Meter Reliability Analysis Based on In-service Data
Khalyasmaa et al. The methodology of risk evaluation for power equipment technical state assessment
CN113472068A (zh) 一种海岛微电网远程运维方法、系统及存储介质
Belmont et al. Digital Asset Performance Management—Taking Utility Asset Management to the Next Le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