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405B1 - 안정화 히알루론산 및 주사기를 이용한 물광주사 방법 - Google Patents

안정화 히알루론산 및 주사기를 이용한 물광주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405B1
KR101790405B1 KR1020150090707A KR20150090707A KR101790405B1 KR 101790405 B1 KR101790405 B1 KR 101790405B1 KR 1020150090707 A KR1020150090707 A KR 1020150090707A KR 20150090707 A KR20150090707 A KR 20150090707A KR 101790405 B1 KR101790405 B1 KR 101790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njection
hyaluronic acid
stabilized hyaluronic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141A (ko
Inventor
김종서
Original Assignee
김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서 filed Critical 김종서
Priority to KR102015009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4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안정화 히알루론산(S-HA)는 연조직 확장에 사용되는데 피부수화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전의 보고에 따르면, 피부 수화를 위한 각 주사의 주사량은 0.02cc 이상이다. 임상적으로 이것은 이 목적을 위해서는 과도한 양이므로, 본 발명자는 피부 수화를 위해서 입자형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주사를 사용하여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였다.
1cc의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을 1,000회 주사를 맞은 1,500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환자들은 1, 2, 6, 12, 24 개월 후에 검사되었다. 피부 질감(skin texture)의 변화를 피부의 거친 정도와 형태, 전기 저항에 의한 피부 수화, 초음파 영상에 의한 피부 두께 및 생검을 고려하여 밝혔다. 진피주사(dermal injection)와 피하주사(subdermal injection) 사이의 피부 질감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개체 내 연구(intra-individual study)를 수행하였다.
피부의 거친 정도는 이 과정을 거친 후 상당히 개선되었다. 전기저항 또한 감소하였다. 안면과 손의 피부는 진피주사 후 약 4% 두꺼워졌다. 주사 깊이는 생검으로 확인하였다. 단지 액량을 대체한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의 피하주사 후에는 피부 두께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진피주사는 피부 질감과 두께 모두에 변화를 야기했다.
피부 질감은 1000번의 입자형식의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진피주사(각 주사는 0.001cc) 후에 개선되었다. 더 깊게 찌른 주사는 오직 액량만 바뀌었을 뿐 피부 질감을 개선시키지 못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주사기나 메조건의 사용이 추천된다.

Description

안정화 히알루론산 및 주사기를 이용한 물광주사 방법{Stabilized hyaluronic acid and methods of soft tissue augmentation using injector}
본 발명은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의료소모품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전신을 덮고 있다. 피부 질감은 보호와 미용, 노화방지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피부 노화를 예방하고 처치하기 위해, 피부는 눈에 보이는 유일한 기관이므로 피하 부위에서 볼륨을 주는 효과보다 피부 질감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안면 주름 제거술(face lift) 후 환자의 피부 질감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피부 질감이나 피부 건조증이 이러한 유형의 수술로는 개선되지 않기 때문이다. 피하층(subdermal layer)을 대체하는 것은 기구현상 (ballooning)에 의해 주름과 피부 접힘 증상(skin folds)을 개선시킬 수는 있으나, 피부 질감이나 건조증을 개선시킬 수는 없다.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필러 겔(filler gel)은 안면 노화와 관련한 피부 접힘 증상과 주름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왔다.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은 다른 필러들보다 더 나은 효과를 내고 장시간 유지되는 필러로 사용되어 왔다. 제제(製劑) 안정화 히알루론산(formulation S-HA)인 레스틸랜 바이탈(Restylane Vital)은 작은 입자로 구성되는데, 피부에 응어리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진피층에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을 전달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본 방법을 개발한 주요한 원인이었다.
이전의 연구와 제조사의 메뉴얼은 진피층에 대한 최적의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주사방법의 용량을 0.02cc나 0.025cc로 사용했다. 더욱이 이전 발명들은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을 진피층에 전달해야 한다고 언급했지만 실제는 피하층에 전달되었다.
일본 특허 제 8-104642호는 히알루론산 수용액에 붕산, 글리세린, 만니톨 등을 첨가하여 장기 보관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특허는 히알루론산의 장기 보관에 관련된 특허이다. 상기 특허에서는 60℃에서 보관한지 2주후에 함량 변화를 지켜본 결과, 히알루론산외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수용액의 함량이 75%정도로 떨어진데 비해, 붕산, 글리세린, 만니톨 등을 첨가한 것은 함량이 85%-90%정도로 많이 떨어지지 않았다. 또한, 일본 특허 제 9-176020호는 히알루론산 수용액에 글리세린,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등을 첨가시키자 40℃에서 보관한 지 4주 후, 함량이 84-95%로 초기와 유사하게 보존되는 결과를 보여 보관성을 높이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히알루론산을 피부에 전달하는 메조건 역시 하나의 바늘을 사용하거나 많은 경우 5개까지의 바늘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약 1,000회의 주사를 해야 하는 경우 많은 수작업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히알루론산의 효과적인 전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구의 개발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 의 목적은 안정화 히알루론산을 적정한 피부층에 전달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를 이용하여 피부개선을 위한 히알루론산의 적정량을 적정한 피부층에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의 형태로 일측면에서 0.8 내지 1.2 mm 길이가 돌출된 적어도 여섯개 이상의 바늘을 포함한 몸체부, 바늘과 연결되고 몸체부 내부에 공간으로 형성되어 주사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저장부에 저장된 주사액을 바늘을 통해 배출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바늘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부는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버튼과 몸체부의 내부에 포함되며 돌출된 버튼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어 버튼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버튼은 바늘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는 주사액의 계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급부와 연결되고, 저장부와 공급부를 연결하는 관의 내부에는 차단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단판은 작동부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의 부피는 주사액을 0.0008 cc 내지 0.0012 cc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저장부의 부피는 주사액을 0.001cc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늘은 일측면에서 1 mm 길이가 돌출된다. 1mm 길이는 정확하게 피부의 진피층에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깊이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와 결합하여 몸체부에서 돌출된 바늘을 보호하도록 하는 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의 형태로 본 발명의 제 1의 형태에 따른 주사기를 이용하여 안정화 히알루론산(Stabilized Hyaluronic Acid)을 피부의 진피층에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은 안정화 히알루론산 1 cc를 0.0008 cc 내지 0.0012 cc로 나누어 1000회 진피층에 주사하는 방법이며, 바람직하게는 안정화 히알루론산 1 cc를 0.001 cc로 나누어 1000회 진피층에 전달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주사기를 통하여 안정화 히알루론산을 적정 피부층인 진피층에 적정용량을 주사할 수 있다. 안정화 히알루론산 1회 주사의 전달용량은 0.0008cc 내지 0.0012cc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cc로, 미용에 효과적인 양을 전달될 수 있다.
진피층에 0.0008cc 내지 0.0012cc씩의 안정화 히알루론산을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피부의 질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공급부와 연결되었으며 저장부에 주사액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의 주사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는 공급부와 연결되었으며 작동부의 버튼이 눌려져서 피부에 안정화 히알루론산이 전달되기 시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3은 작동부가 주사기 몸체부의 하단과 접한한 경우의 주사기의 바늘과 몸체부의 모습 및 몸체부와 연결된 작동부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 4는 캡부를 장착했을 때의 몸체부와 바늘을 보여준다.
도5A는 레스틸랜 바이탈(Restylane Vital)의 피내주사 후 피부 건조와 피부의 거친 정도가 개선된 것에 대한 손등의 현미경 관찰 결과를 보여준다. 주사 지점으로부터의 수화의 확산을 확인할 수 있다.
BA와 동일한 환자가 1년 후 내원하여 카눌라(cannula)를 이용하여 레스틸랜 바이탈(Restylane Vital)을 피하주사 맞은 후의 모습을 보여준다. 레스틸랜 바이탈의 피하주사 후에 피부 건조나 피부 거친 정도에 대하여 현미경 상의 변화가 없었다.
C는 피하주사를 맞은 후의 오른손(도면의 왼쪽)과 대조군인 왼손(도면 오른쪽)을 보여준다. 피부 질감의 현미경적 변화는 거의 없었지만 볼륨 효과(숨겨진 정맥과 힘줄)는 나쁘지 않았다.
도6A는 레스틸랜 바이탈(Restylane Vital)을 진피에 사용하기 전과 13일 후의 모습을 보여준다. 각 주사의 용량은 0.001cc씩, 총 1cc였다. 본 발명자는 레스틸랜 바이탈 1cc를 얼굴에 오직 1회의 세션(session)동안 1,000번의 주사를 하였다.
B는 메조건으로 진피주사 후 환자의 눈바깥쪽 주름(crow feet)과 눈물 고랑이 개선된 것을 보여준다.
C는 메조건을 이용한 오직 1회 세션의 간략한 진피 주사에 의해 팔자주름 (nasolabial fold)이 개선된 것을 보여준다.
도7A의 왼쪽 도면은 다리의 피부 건조증 처치를 받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며, 오른쪽 도면은 받은 후의 모습을 보여준다.
B는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같은 구역인지 확인하기 위해 랜드마크 (landmark)를 사진을 찍을 필요가 있는데, 랜드마크(스크래치 표시)가 있는 고해상도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도면들은 정확하게 같은 구역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8A는 처치전의 모습을 보여준다. 환자의 피부가 건조해 보이며 많은 주름들, 특히 눈바깥쪽 주름(crow feet), 팔자주름과 윗입술의 세로방향의 주름들이 보인다. B는 피부 재활에 의한 미백효과와 함께 피부가 더 건강해지고 탄력이 생긴 것을 보여준다. 윗입술의 세로방향의 주름과 눈바깥쪽 주름들은 한 세션동안의 1cc의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주사로 매우 개선되었다. 메조건을 사용한 진피주사는 얇고 건조한 피부를 가진 환자들의 잔주름 치료에 효과가 좋았다.
도 9 여드름 상처와 큰 모공이 있는 경우를 보여준다.
A는 지성의 두꺼운 피부에서 큰 모공과 여드름 흉터를 보여준다.
B는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진피주사 후, 큰 모공과 여드름 흉터가 개선된 것을 보여준다. 진피주사 후 피부 확장이나 피부 수화에 의한 결과이다. 피부 질감의 이러한 개선은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의 피하주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도 10은 두꺼운 피부의 잔주름의 경우를 보여준다.
A는 두꺼운 피부에서의 잔주름을 보여준다.
B는 주름에 직접 주사한 것이 아니라 고르게 간략한 주사를 한 후에, 두꺼운 피부의 잔주름들이 개선된 것을 보여준다. 가끔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의 피하주사는 이런 피부 유형 같은 두꺼운 피부의 잔주름을 악화시킬 수 있다.
도11은 의료용 연고를 처치하지 않은 다리의 만성 피부 건조증의 경우를 보여준다.
A의 환자는 가려움을 동반한 다리의 피부건조증을 겪고 있었다. 피부건조증은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이나 다른 스테로이드 크림으로 처치되지 않았다.
B는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의 진피주사 후 6개월 후의 모습을 보여준다.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의 피하주사 후, 피부건조증을 치료하였고 이 상태로 1년 이상 지속되었다.
도12는 얼굴의 진피층에 입자형 안정화 히알루론산(S-HA)를 0.001cc씩의 1,000번, 1cc를 주사하고 2주후의 조직학적 모습을 보여준다.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의 미세방울과 그 안의 입자를 볼 수 있다.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주위에는 염증세포가 없다.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입자는 상대적으로 콜라겐섬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보인다. 그러므로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입자는 콜라겐 섬유 사이에 잘 퍼지지 않았으며 콜라겐 섬유를 대체하지도 않았다.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0.001cc는 주사기로 정확하게 진피층에 주사되었고 안면에 응어리를 형성하지 않았으며 생검에서 1년 이상 지속되었다. 응어리를 방지하기 위해 안면 진피층에 입자형의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을 사용한 진피주사를 할 때 0.0008cc 내지 0.0012cc,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cc가 추천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의 형태는 일측면에서 0.8 내지 1.2 mm 길이가 돌출된 적어도 다섯개 이상의 바늘(11)을 포함한 몸체부(10), 바늘(11)과 연결되고 몸체부(10) 내부에 공간으로 형성되어 주사액(50)을 저장하는 저장부(20), 몸체부(1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피부(S)와의 접촉에 의해 저장부(20)에 저장된 주사액(50)을 바늘(11)을 통해 배출시키는 작동부(30)를 포함하고, 바늘(11)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몸체부(10)는 일측면에서 0.8 내지 1.2 mm 길이가 돌출된 적어도 여섯개 이상의 바늘(1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바람직한 바늘(11)의 길이는1 mm 돌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작동부(30)는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버튼(31)과, 몸체부(10)의 내부에 포함되며 돌출된 버튼(31)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어 버튼(31)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체(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31)은 주사기의 사용을 위해 외력에 의해 압축된 후 외력의 제거시 탄성체(32)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위치한다. 탄성체(32)는 몸체부(10) 내부에 설치되며, 버튼(31)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체(32)는 인장스프링(extension spring)일 수 있으며, 탄성체(32)는 버튼(31)이 몸체부(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버튼(3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버튼(31)은 바늘(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저장부(20)는 주사액(50)의 계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급부(40)와 연결되고, 저장부(20)와 공급부(40)를 연결하는 관(41)의 내부에는 차단판(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단판(21)은 작동부(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0)의 부피는 주사액(50)을 0.0008 cc 내지 0.0012 cc 포함할 수 있는데, 저장부(20)의 부피가 주사액(50)을 0.001 cc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는 몸체부(10)와 결합하여 몸체부(10)에서 돌출된 바늘(11)을 보호하도록 하는 캡부(6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사용 전, 후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바늘(11)에 찔리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2 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 1의 형태에 따른 주사기를 이용하여 안정화 히알루론산(Stabilized Hyaluronic Acid)을 피부의 진피층에 전달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안정화 히알루론산 1 cc를 0.0008 cc 내지 0.0012 cc로 나누어 1000회 진피층에 전달하는 방법이며, 바람직하게는 안정화 히알루론산 1 cc를 0.001 cc로 나누어 1000회 진피층에 전달하는 방법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정화 히알루론산이란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D-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반복 단위가 선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체 고분자 물질로서, 물, 식염수에 대한 흡수성과 점탄성(viscoelasticity)이 우수한 물질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피부의 거친 정도와 형태
본 발명은 입자형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겔(Restylane Vital; Galderma, Uppsala, Sweden)의 진피주사와 피하주사와 관련한 독보적이고 유망한 생체내 연구이다. 각 환자로부터 공식적인 인가를 얻었고, 연구는 헬싱키 선언의 원칙을 준수하였다. 진피층은 주사기(DermaQueen; 우리 메디칼, 서울, 한국 또는 Vital Injector; 은성 메디칼, 서울, 한국)를 사용하여 주사되었다. 일부 환자들은 개체내 비교에서 다른 주사 깊이에 따른 다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1년 후에 피하주사를 맞았다.
환자
평균 연령 51.2세의 총 150명(여성 135명, 남성 15명)의 환자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주사 부위는 다음을 포함한다. : 건성 안면 피부(100명의 환자), 건성 손등 피부(30명의 환자), 건성 팔꿈치 피부(5명의 환자), 건성 다리 피부(5명의 환자), 건성 엉덩이 피부(5명의 환자) 및 큰 모공과 여드름 흉터가 있는 지성 피부 (5명의 환자).
2009년 12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안면, 손등, 팔꿈치, 다리, 엉덩이의 건조증 증상을 갖고 있는 환자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그들은 또한 큰 모공과 여드름 피부의 시각적인 표시를 염려하였다. 부가적으로 개체내 연구에서 안면과 손에서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같은 환자에게 1년 후 피하주사를 다시 시행하였다(도 5).
주사 방법
처치 전, 9% 리도케인의 국부마취 크림을 주사부위에 처치하여 40분간 플라스틱 랩으로 덮었다.
환자들은 주사기(DermaQueen 또는 Vital Injector)를 사용하여 1,000회의 주사로 나눈 1cc의 레스틸랜 바이탈(Restylane Vital) 주사를 맞았다. 이 장치는 일반적인 주사보다 더 규칙적인 간격을 제공하는 미세방울 주사 분포와 다섯 개의 바늘을 갖고 있다. 입자형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Restylane Vital)를 오래 지속시키기 위해 진피에 주사했다. 주사 깊이는 주사기의 터치패널로 조절되었다 (0~2mm). 이 연구에서 주사 깊이는 주사 모니터상 약 1mm였다. 하지만 바늘 끝에 사면이 있어서 실제 주사 깊이는 1mm이하였다. 이 과정동안, 상당한 출혈이 감지되면 이는 주사가 피하망을 관통한 것을 나타내므로 주사 깊이를 감소시켰다. 주사 후에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을 퍼뜨리고 통증과 반상출혈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각 압축을 수행하였다. 눈꺼풀 아래 같은 얇은 피부에서 응어리는 쉽게 만들어질 수 있는데, 주사 후 몇주 동안 응어리를 퍼뜨리는 것은 어려웠다.
생물리적인 한도 측정
생물리적인 측정은 로션이나 다른 피부제품 없이 수행되었다. 교락 결과(confounding result)를 피하기 위해 환자들은 측정을 시행하기 전 30분동안 안정한 정서 상태를 유지하였다.
피부의 거친 정도와 형태
피부의 거친 정도와 형태는 피부관찰기(dermatoscope)(x50, x100, 및 x200 배율, Coscam, Sometech, 한국)로 표준, 비접촉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도 6). 피부의 거친 정도에 대한 현미경적 관찰은 주관적으로 5개의 등급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1: 매우 거침. 2: 거침. 3: 중간. 4: 부드러움. 및 5: 매우 부드러움. 피부의 거친 정도의 측정을 첫 처치(기준치, 0주) 전에 수행하였고, 처치(2년 동안 오직 몇 명의 환자들만이 지속 관찰되었다.) 후 1, 2, 6, 12 및 24개월 후에 수행하였다. 측정이 정확한 부위에서 수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점, 입술 가장자리, 혈관 및 긁힘 흉터같은 랜드마크가 이미지에 포함되었다.
피부 수화
진피층의 수화는 표피를 관통할 두 개의 31G 바늘이 있는 디지털 멀티미터(디지털 멀티미터 모델 1009; Kyoritsu 전기 산업, 도교,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2개의 30G 바늘은 접착되어서 간단한 측정 도구로 접착되었고, 바늘 끝 사이의 간격은 2mm였다. 개개의 단순한 바늘을 사용하여, 피부의 전기 저항성은 처치 전에 0.4mA의 전류에 의해 측정되었고, 이 과정의 4주 후에 측정되었다. 부가적으로 피부 건조증은 5개의 다른 등급을 활용하여 환자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되었다: 1: 매우 건조. 2: 건조. 3: 중간. 4: 수화된. 5: 매우 수화된.
피부 두께
손과 얼굴의 피부 두께는 처치 전과 처치 4주 후에 초음파 영상을 통해 검사했다. 손의 피부 두께는 두 번째 손바닥뼈(metacarpal bone)의 가운데 부위에서 측정하였고, 안면의 피부 두께는 에피칸투스(epicantus)에서 입 가장자리쪽으로의 라인의 중앙부에서 검사하였다. 압축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초음파 프로브는 가능한 가볍게 적용하였다.
생검
생검은 주사 깊이를 확인하고 2주와 12주 후 진피층에서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입자를 관찰하기 위해 자원자에게서 수행되었다.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의 주사 깊이와 이물질 반응, 섬유아세포, 신생 콜라겐 합성 같은 조직 반응을 생검으로 검사하였다.
피부의 거친 정도는 4주 후 50배 현미경 관찰 하에서 1.83포인트(1.34에서 3.17) 개선되었다(도 6, 도 7, 표 1). 주관적인 피부의 거친 정도는 4주 후 1.27포인트(1.45에서 2.72) 개선되었다(도 8). 큰 모공들은 입자형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의 피내 주사 후 감소하였다(도 9). 두꺼운 피부에서의 팔자주름과 잔주름도 개선되었다(도 6, 도 8, 도 10).
현미경적 개선은 육안적 개선보다 더 자주 관찰되었다. 현미경적 수준에서 상당한 변화가 있었던 몇몇 환자들은 초기에는 눈에 띄는 개선이 없었었다. 안면과 손에 안정화 히알루론산(S-HA)를 피하주사한 경우는, 현미경적으로 피부 질감의 변화가 더 없었다(도 5).
[ 실시예 2]
피부 수화
주관적으로, 거친 정도는 1.28에서 3.82로 2.54포인트 개선되었다. 진피의 수화는 4주 후 변화가 있었다. 주관적으로 거친 피부는 안정화 히알루론산(S-HA)로 만족스럽게 처치되었다(도 11). 진피의 전기 저항성은 통계적인 의의 없이 4주 후 감소하였다 (23.07MΩ에서 12.24MΩ).
처치 전 처치 1월 후
현미경상의 거친 정도(등급) 1.34 3.17
주관적인 거친 정도(등급) 1.45 2.72
주관적인 건조 정도(등급) 1.28 3.82
진피의 전기 저항성(MΩ) 23.07 12.24
손의 피부 두께(mm) 1.19 1.24
안면의 피부 두께(mm) 1.03 1.08
사람 피부에 1cc의 입자형 안정화 히알루론산(S-HA)를 0.001cc의 1,000회 주사한 후의 변화
[ 실시예 3]
피부 두께
손의 피부 두께는 주사 4주 후 4.2%(1.19mm에서 1.24mm) 증가하였다. 손등 피하주사의 경우 피부 두께에 중요한 변화는 없었다. 피하 주사의 경우 현미경적으로 피부 질감에도 변화 또한 더욱 없었다 (도 5).
뺨 부위를 포함하여 안면의 피부 두께는 3.6%(1.03mm에서 1.08mm) 증가하였다. 피부 두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자 잔주름들도 개선되었다 (도 8, 도 10).
[ 실시예 4]
생검
생검 연구에서, 진피층의 레스틸랜 바이탈(Restylane Vital)의 입자 사이즈는 100내지 150마이크론(microns)이었다. 필러 겔은 피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진피층에서 발견되었다(도 8).
안정화 히알루론산(S-HA)의 입자가 콜라겐 섬유를 대체하였고 안정화 히알루론산(S-HA) 미세방울 주위에는 고농도의 콜라겐이 있었다. 콜라겐 묶음은 Masson’s trichrome 염색에 의해 푸른색으로 염색되었다. 약간의 새로운 콜라겐 섬유만이 2주 후 미세방울 주위에서 발견된 반면, 12주 후에는 더 많은 새로운 콜라겐들이 발견되었다. Wang et al[10]과 Tran et al[4]의 보고에 따라 새로운 콜라겐은 섬유아세포의 신장에 의해 합성되었다. 이물질이나 조직반응은 없었다 (도 12).
10 : 몸체부 11 : 바늘 12 : 구멍
20 : 저장부 21 : 차단판
30 : 작동부 31 : 버튼 32 : 탄성체
40 : 공급부 41 : 관
50 : 주사액
60 : 캡부
S : 피부

Claims (11)

  1. 일측면에서 0.8 내지 1.2 mm 길이가 돌출된 적어도 여섯개 이상 20개 이하의 바늘을 포함한 몸체부;
    상기 바늘과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 공간으로 형성되어 0.0008cc 내지 0.0012cc의 부피를 갖고 각 바늘마다 대응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개별적인 주사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주사액을 상기 바늘을 통해 배출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버튼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포함되며 돌출된 상기 버튼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바늘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주사액의 계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공급부를 연결하는 관의 내부에는 차단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작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부피는 주사액을 0.001c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일측면에서 1mm 길이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된 상기 바늘을 보호하도록 하는 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사기를 이용하여 안정화 히알루론산(Stabilized Hyaluronic Acid)를 0.0008cc 내지 0.0012cc로 나누어 6 내지 20개의 구멍을 통해 동시에 배출하는 방법(인체의 치료 방법은 제외 한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방법은 상기 안정화 히알루론산를 0.0008cc 내지 0.0012cc를 10 내지 20개의 구멍을 통해 동시에 배출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방법은 상기 안정화 히알루론산을 0.001cc로 나누어 배출하는 방법.
KR1020150090707A 2015-06-25 2015-06-25 안정화 히알루론산 및 주사기를 이용한 물광주사 방법 KR101790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07A KR101790405B1 (ko) 2015-06-25 2015-06-25 안정화 히알루론산 및 주사기를 이용한 물광주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07A KR101790405B1 (ko) 2015-06-25 2015-06-25 안정화 히알루론산 및 주사기를 이용한 물광주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41A KR20170001141A (ko) 2017-01-04
KR101790405B1 true KR101790405B1 (ko) 2017-10-26

Family

ID=5783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707A KR101790405B1 (ko) 2015-06-25 2015-06-25 안정화 히알루론산 및 주사기를 이용한 물광주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4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5033A1 (en) * 2010-12-21 2012-06-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Front end for an auto-injector
KR101575039B1 (ko) * 2012-07-19 2015-12-07 (주)아모레퍼시픽 노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형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5033A1 (en) * 2010-12-21 2012-06-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Front end for an auto-injector
KR101575039B1 (ko) * 2012-07-19 2015-12-07 (주)아모레퍼시픽 노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형 주입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동영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41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2317A1 (en) Devices for injection and dosing
Seok et al. Investigating skin penetration depth and shape following needle‐free injection at different pressures: A cadaveric study
Langevin et al. Evidence of connective tissue involvement in acupuncture
Brorson et al. Adipose tissue dominates chronic arm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an analysis using volume rendered CT images
Kim Effects of injection depth and volume of stabilized hyaluronic acid in human dermis on skin texture, hydration, and thickness.
JP2018138549A (ja) 皮膚の保護に使用するための化合物
Kim Changes in dermal thickness in biopsy study of histologic findings after a single injection of polycaprolactone-based filler into the dermis
WO2008072229A2 (en) Methods for dermal filling using microneedles
Vergilio et al. Characterization of skin aging through high‐frequency ultrasound imaging as a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nti‐aging products and procedures: a review
KR102048119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키트 및 피부미용 시스템
RU2718873C2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улучшения внешнего вида кожи
CN107252478A (zh) 弹性纤维的体内合成
KR101790405B1 (ko) 안정화 히알루론산 및 주사기를 이용한 물광주사 방법
Moy et al. Association of electrochemical therapy with optical, mechanical, and acoustic impedance properties of porcine skin
RU2491022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дегидрированной инволюционно измененной кожи лица у женщин
De Decker et al. Dissolving microneedles for effective and painless intradermal drug delivery in various skin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Li et al. Early intervention by Z-plasty combined with fractional CO2 laser therapy as a potential treatment for hypertrophic burn scars
KR101917026B1 (ko)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3096A (ko) 결합 조직 복원 방법
Baumann et al. FXCO2 laser therapy of existing burn scars does not significantly improve outcomes in a porcine model
Majewska Synergy of stabilized and nonstabilized hyaluronic acid soft tissue fillers in skin density and skin thickness enhancement
CN113784642A (zh) 用于皮肤抗老化的方法以及装置
CN114366700B (zh) 一种祛眼袋的梅片龙脑香可溶性微针眼贴及其制备方法
de Cerqueira Leite et al. Hyaluronic Acid for Dermic Hydration
Özkan Multiple eccrine hidrocystomas of the vul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