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386B1 -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386B1
KR101790386B1 KR1020137027011A KR20137027011A KR101790386B1 KR 101790386 B1 KR101790386 B1 KR 101790386B1 KR 1020137027011 A KR1020137027011 A KR 1020137027011A KR 20137027011 A KR20137027011 A KR 20137027011A KR 101790386 B1 KR101790386 B1 KR 10179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onnecting piece
longitudinal
wiper blad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930A (ko
Inventor
사비에르 볼란드
Original Assignee
페더랄-모굴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랄-모굴 에스.아. filed Critical 페더랄-모굴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4002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89Mounting of end caps cooperating with holes i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93Mounting of end caps cooperating with hol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98Wiper blades method for manufacturing wiper bl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세로 방향의 측면 상에 서로 반대로 마주보는 세로 방향의 홈(3)을 포함하는 가늘고 긴 와이퍼 블레이드(2)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에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세로 방향의 스트립(4)이 배치되고, 상기 세로 방향의 스트립(4)의 인접 선단(5)은 각 연결 피스(6)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요동 와이퍼 아암(8)을 위한 연결 장치(7)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피스(6)는 세로 방향 스트립의 주위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립(4)과 상기 연결 피스는 스냅 연결에 의해서 습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징적인 구성으로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에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18)이 상기 세로 방향의 스트립(4) 중 하나에 있는 홀(16)의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를 체결하고, 상기 핀은 상기 연결 피스와 떨어져서 그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스트립(4)에 대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서 정렬되어 있다.

Description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Windscreen wiper device}
본 발명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식청(拭淸) 대상의 윈드스크린과 연접해서 설치할 수 있는 탄성의 가늘고 긴 캐리어 부재, 신축성 재질의 가늘고 긴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의 세로 방향의 측면 상에 서로 반대로 마주보는 세로 방향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에 상기 캐리어 부재의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세로 방향의 스트립이 배치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의 스트립의 인접 선단은 각 연결 피스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요동 와이퍼 아암을 위한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피스는 세로 방향의 스트립 주위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립은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 홈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과 상기 연결 피스는 스냅 연결에 의해서 습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동일 출원인의 유럽특허공보 제1 491 416호에 잘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본 발명의 윈드쉴드 와이어 장치와 같이 "플랫 블레이드" 또는 "요크레스 블레이드"로 설계되어 있다. 서로 피벗식으로 연결된 여러 가지의 요크를 더 이상 만들어서 사용하지 않지만, 와이퍼 블레이드가 캐리어 부재에 의해서 기울어져 있음으로 인해 특정한 굴곡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종래 기술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세로 방향의 스트립의 인접하는 선단과 연결 피스(실제로 소위 "선단 캡"이라 칭함)는 내구성 있고 단단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선단 캡 사이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는 보다 잘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실제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러버 재질의 내성은 수 밀리미터이고 선단 캡의 설계도 수 밀리미터의 공간을 남겨 놓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세로 방향의 스트립과 연결 피스("선단 캡")가 내구성있고, 단단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는 더욱 좋게 정의하게 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도입부에 언급한 종류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에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이 세로방향의 스트립의 하나에 있는 홀의 위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체결하고 있고, 핀은 연결 피스와 떨어져서 그의 세로 방향으로 스트립에 대해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서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스트립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세로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특히 몰딩 동작 또는 압출 동작은 추가적인 도구 및 장비에 대한 고 비용 없이 와이퍼 블레이드가 신뢰성이 있고 통제 가능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홀은 밀폐된 원주를 갖는다. 변형예로서, 홀은 개방 원주를 갖는다. 후자의 경우에, 홀은 리세스를 형성한다. 특히 스냅 연결은 스트립에서 측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수단은 각 스트립의 내부 에지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돌출부는 각 스트립의 외부 윤곽선 내에 위치하며 연결 피스에 있는 스톱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리세스는 돌출부에 의해서 스트립의 외부 윤곽선과 스트립의 내부 에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현예로서, 홀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핀은 연결 피스 쪽으로 그리고 연결 피스와 떨어져서 그의 세로 방향에서 스트립에 대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서 정렬되어 있다. 그래서 스트립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이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핀은 스트립을 수용하는 홈의 저부 위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에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핀은 별개의 구조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적어도 두 개의 핀이 제공되어 있고, 핀들은 스트립에 대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핀은 하나의 스트립에 대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정렬되어 있다(연결 피스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또는 연결피스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연결 피스 쪽으로). 반면에 제2 핀은 다른 스트립에 대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정렬되어 있다(연결 피스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또는 연결피스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연결 피스 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핀은 별개의 구조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하나의 별개의 구조 부재를 형성하는 핀은 횡 방향 브리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특히 핀과 횡 방향 브리지는 일체로 되어 있다. 더욱 특히 하나의 별개의 구조 부재는 U-자형(예를 들면 스테이플의 형태)이고, U자형의 별개의 구조 부재는 연결 피스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 피스는 제 위치에서 U-자형의 별개의 구조 부재를 유지하고 있고 그것을 확보하고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대로 마주보는 세로 방향의 홈은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과 연접해서 배치될 수 있는 신축성 재질의 가늘고 긴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로 방향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홈에 캐리어 부재의 세로 방향 스트립이 공간을 두고 떨어져서 연속해서 끼워 맞추어져 있고, 세로 방향의 스트립의 인접 선단은 각 연결 피스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장치는 요동 와이퍼 아암을 위해서 제공되어 있고, 스트립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피스는 스냅 연결 수단에 의해서 습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 피스의 체결 수단은 스트립이 체결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 홈에 설치되도록 세로 방향의 스트립 주위에 체결된다. 특징적인 구성으로,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에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되게 적어도 하나의 핀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상기 핀은 형성된 세로 방향의 스트립 중 하나에 있는 홀의 위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체결하며, 상기 핀은 상기 연결 피스로부터 떨어져서 그의 세로 방향에서 스트립에 대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로 방향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여러가지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테이블형 구조부재를 포함하는 도 1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스테이블형 구조부재의 기능을 명료하게 하는 연결 피스를 제거한 도 7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자유 선단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의 바람직한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세로 방향 측면의 서로 반대로 마주보는 세로 방향의 홈(3)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 중합체의 와이퍼 블레이드(2)(도 2)와 상기 세로 방향의 홈(3)에 끼워지는 스프링 밴드 스틸제의 세로 방향의 스트립(4)(도 3)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트립(4)은 러버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신축성이 있는 캐리어 부재를 형성한다. 말하자면, 이 스트립은 굴곡진 위치에서 경사지게 된다(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의 작동 위치에서 굴곡짐). 스트립(4)의 인접하는 선단(5)은 별도의 구조 부재인 플라스틱 연결 피스(6)에 의해서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서로 연결되게 된다.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에는 추가로 요동 아암(8)을 위한 연결 장치(7)와 스포일러(9)가 장착되어 있다.
도 4A는 도 1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의 자유 선단을 나타낸 것인 반면에 도 5A는 현 상태로 와이퍼 블레이드(2)의 자유선단의 저부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4A와 5A는 단지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의 자유 선단을 표시한 것으로, 러버 리텐션이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의 한쪽 선단에만 있으므로 그의 다른 쪽 선단에 있는 러버는 자유롭게 습동할 수 있다. 도 4B와 도 5B는 각각 도 4A와 도 5B에 해당하지만, 바람직한 구현예에 관한 것으로, 와이퍼 블레이드(2)는 연결 피스(6)를 지나서 영구적으로 확장되어 있는데, 일례로 연결 피스(6)와 자동차의 A-필러 간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선단 벽면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서 내밀어져 있다. 여기서 상응하는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하기로 한다.
스트립(4)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 3A와 관련하여, 해당 스트립(4)에는 그의 세로 방향의 내부 에지(11)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돌출부(10)가 제공되어 있다. 연결 피스(6)가 스트립(4)의 인접 선단(5) 위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될 때 스냅 또는 클릭 연결이 실현되게 되며, 이때 돌출부(10)가 연결 피스(6) 안쪽에 있는 스톱 부재(12)("노치(12)") 사이에 스냅 또는 클릭되게 된다. 각각의 돌출부(10)는 이들 반대로 마주하는 스톱 부재(12) 사이에 있는 작은 홈에 안착된다. 따라서, 스트립(4)은 연결 피스(6)와 관련해서 세로 방향으로의 어떤 움직임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각 연결 피스(6)에는 거기에 일체로 2개의 체결 부재(13)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이 체결 부재(13)는 스트립(4)을 습동시키기 위해서 홈(14)을 형성하도록 스트립(4) 주위를 체결하고 있다. 이 체결 부재(13)는 스트립(4)이 연결 피스(6)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의 어떤 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을 확실하게 된다. 각 연결 피스(6)는 스포일러(9)의 자유 선단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를 갖고 있다. 연결 피스(6)의 자유 선단으로부터 멀리서 마주하는 스톱 부재(12)가 경사진 상부 표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스트립(4) 위에서의 연결 피스(6)의 습동에 너무 많은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되는 반면에 돌출부(10)가 홈 안쪽에 아착되면 스트립(4)으로부터 연결 피스(6)의 분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각 스트립(4)의 상부 선단이 스톱 부재(12)와 연결 피스의 (측) 벽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과 같이 스톱 부재(12)는 또한 스트립(4)이 서로 일정한 거리에 있도록 해준다.
도 3A와 관련해서, 각 스트립(4)의 돌출부(10)와 내부 에지(11)는 그의 외부 선단에서 제1 리세스(15), 마찬가지로 제2 리세스(16)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별개의 구조 부재(17)의 경우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U자형의 레그 또는 핀(18)을 가지며, 베이스 또는 횡방향 브릿지(19)가 연결 피스(6)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각각의 핀(18)은 와이퍼 블레이드(2)의 각각의 홈(3)의 바닥 안쪽에 있는 각 스트립(4)의 제1 리세스(15)를 통해서 도달하게 되고, 이때 와이퍼 블레이드(2)는 연결 피스(6)로부터 멀어지는 (연결 피스의 선단 벽면(20)) 스트립(4)에 대해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할 것이다. 스트립(4)에 대해서 선단 벽면 쪽으로 와이퍼 블레이드(2)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은 선단 벽면(20)에 의해서 차단된다. 다시 말해서 와이퍼 블레이드(2)의 맨끝은 연결 피스(6)의 선단 벽면과 접촉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별개의 구조 부재(17)의 경우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U자형의 레그 또는 핀(18)과 베이스 또는 횡 방향 브릿지(19)을 가지며, 연결 피스(6)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각 핀(18)은 각 스트립(4)의 제2 리세스(16)를 통해서 와이퍼 블레이드(2)의 각 홈(3)의 바닥 안쪽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블레이드(2)는 연결 피스(6)의 (선단 벽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그리고 (선단 벽면(20)) 쪽으로 스트립(4)에 대해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게 될 것이다. 리세스(16) 또는 홀(16)의 경우, 도 4A와 도 4B의 두 구현예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해당하지만, 바람직한 구현예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주변과 밀폐된 홀(16)은 둘 모두의 스트립(4)에 존재한다. 이에 해당하는 부품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한다.
도 6a와 6b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스트립(4)의 리세스/홀(16)들은 화살표(21,22)의 방향으로의 스트립(4)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2)의 상대적인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서 U자형의 구조 부재(17)의 핀을 포함하고 있다.
도 7은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의 자유 선단의 확대도로서, 와이퍼 블레이드(2), 세로 방향의 스트립(4), 2개의 핀(18)과 베이스(19)를 모두 일체로 가지는 스테이플형 구조 부재(17), 그리고 연결 피스(6) 또는 "선단 캡"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2가지 타입의 선단 캡을 예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 와이퍼 블레이드(2)가 영구적인든 그렇치 않든 개구부(23)를 통해서 선단 캡(6')이 돌출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이들 2가지 타입의 선단 캡 즉, 참조 번호 6으로 표시한 선단 벽면(20)이 있는 선단 캡(또는 도 4A의 밀폐된 선단 캡라 칭함)과 참조 번호 6'로 표시한 개구부(23)가 있는 선단 캡(또는 도 4B의 오픈형 선단 캡이라 칭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구조 부재(17)가 어떻게 설치되는지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즉, 그의 베이스(19)는 와이퍼 블레이드(2)의 정상부에 위치하는 한편 그의 핀(18)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2)의 신축성의 재질을 통해서 리세스(16)에 스탬프되어 있다. 도 8A와 8B의 두 구현예는 각각 도 4A, 5A 및 4B, 5B에 해당하며, 연결 피스(6,6')는 점선으로 묘사되어 있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서로 상응하는 부품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예시한 구현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첨부하는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구현예까지 확장된다고 할 수 있다.
1: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2: 와이퍼 블레이드, 3: 세로방향의 홈,
4:스트립, 5: 인접선단, 6: 연결 피스, 10: 돌출부, 11: 내부 에지,
12; 스톱 부재, 13: 체결 부재, 14: 홈, 15: 제1리세스, 16: 제2리세스,
17: 구조부재, 18: 레그 또는 핀, 19: 베이스 또는 횡방향 브릿지,
20: 선단 벽면

Claims (13)

  1.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과 연접해서 설치할 수 있는 탄성의 가늘고 긴 캐리어 부재, 신축성 재질의 가늘고 긴 와이퍼 블레이드(2)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는 그의 세로 방향의 측면 상에 서로 반대로 마주보는 세로 방향의 홈(3)을 포함하며, 상기 홈(3)에 상기 캐리어 부재의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세로 방향의 스트립(4)이 배치되며, 상기 세로 방향의 스트립(4)의 인접 선단(5)은 각 연결 피스(6)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에서,
    상기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1)는 요동 와이퍼 아암(8)을 위한 연결 장치(7)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피스(6)는 세로 방향 스트립의 주위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립(4)은 상기 체결 부재(13)에 의해서 형성된 홈(14)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4)과 상기 연결 피스(6)은 스냅 연결에 의해서 습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식청 대상인 윈드스크린에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18)이 상기 세로 방향의 스트립(4) 중 하나에 있는 홀(16)의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를 체결하고 있고, 상기 핀(18)은 상기 연결 피스(6)와 떨어져서 그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스트립(4)에 대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서 정렬되고, 상기 핀(18)은 상기 스트립(4)을 수용하는 상기 홈(3)의 저부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16)은 밀폐 또는 개방된 원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연결은 상기 스트립(4) 상에서 측면 방향으로의 확장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방향으로의 확장 수단은 각 스트립(4)의 내부 에지(11)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확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10)는 각 스트립(4)의 외부 윤곽선 내에 그리고 연결 피스(6) 상의 스톱 부재(1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홀(16)은 상기 돌출부(10)에 의해서 상기 스트립의 외부 윤곽선 내 그리고 상기 스트립(4)의 내부 에지(1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16)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핀(18)은 상기 연결 피스(6) 쪽으로 및 상기 연결 피스(6)와 떨어져서 그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스트립(4)에 대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18)은 별개의 구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핀(18)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핀(18)들은 상기 스트립(4)에 대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18)은 별개의 구조 부재인 것을 특징을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하나의 별개의 구조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핀(18)은 횡 방향 브리지(19)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핀(18)과 상기 횡 방향 브리지(19)는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별개의 구조 부재(17)는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U자형의 상기 별개의 구조 부재(17)는 상기 연결 피스(6)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13.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과 연접해서 배치될 수 있는 신축성 재질의 가늘고 긴 와이퍼 블레이드(2)의 세로 방향의 측면에 반대로 마주보는 세로 방향의 홈(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3)에 캐리어 부재의 세로 방향 스트립(4)이 공간을 두고 떨어져서 연속해서 끼워 맞추어져 있고, 상기 스트립(4)의 인접 선단(5)은 각 연결 피스(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장치(7)는 요동 와이퍼 아암(8)을 위해서 제공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4)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피스(6)는 스냅 연결 수단에 의해서 습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립(4)이 체결 부재(13)에 의해서 형성된 홈(14)에 설치되도록 상기 연결 피스(6)의 체결 부재(13)가 세로 방향의 스트립(4) 주위에 체결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제작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핀(18)을 식청 대상의 윈드스크린에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되게 만들어서 사용하고, 상기 핀(18)은 상기 세로 방향의 스트립(4) 중 하나에 있는 홀(16)의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를 체결하며, 상기 핀(18)은 상기 연결 피스(6)로부터 떨어져서 그의 세로 방향에서 상기 스트립(4)에 대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세로 방향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배열하고, 상기 핀(18)은 상기 스트립(4)을 수용하는 상기 홈(3)의 저부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제작방법.















KR1020137027011A 2011-04-13 2011-04-13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KR101790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1/055841 WO2012139643A1 (en) 2011-04-13 2011-04-13 Windscreen wip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930A KR20140023930A (ko) 2014-02-27
KR101790386B1 true KR101790386B1 (ko) 2017-11-20

Family

ID=4462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011A KR101790386B1 (ko) 2011-04-13 2011-04-13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566949B2 (ko)
EP (1) EP2697101B1 (ko)
JP (1) JP2014514207A (ko)
KR (1) KR101790386B1 (ko)
CN (1) CN103476646B (ko)
BR (1) BR112013026239A2 (ko)
CA (1) CA2832604A1 (ko)
MX (1) MX342738B (ko)
PL (1) PL2697101T3 (ko)
RU (1) RU2565464C2 (ko)
WO (1) WO2012139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283B1 (ko) 2012-10-25 2012-12-13 동양기전 주식회사 엔드 캡 구조가 개선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 장치
JP6046013B2 (ja) * 2013-09-13 2016-12-14 アスモ株式会社 ブレードキャップ
US20190315315A1 (en) * 2018-04-16 2019-10-17 Kbws Corporation End cap for flat wiper blade apparatus and flat wiper blade apparatus thereof
CN111361529B (zh) * 2018-06-20 2021-07-02 泉州市湖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调整的安全性智能雨刷
JP6704435B2 (ja) * 2018-08-09 2020-06-03 株式会社デンソーワイパシステムズ ブレードラバーアッセンブリ
JP7365959B2 (ja) * 2020-04-27 2023-10-20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ブレード
US11801807B1 (en) * 2022-10-18 2023-10-31 Danyang Upc Auto Parts Co., Ltd. End cap assembly structure of windshield wip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9158A1 (de) * 2004-04-21 2005-11-1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1855A1 (de) * 1994-11-24 1996-05-3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eibenwischer mit austauschbarem Wischergummi oder dergleichen
FR2733476B1 (fr) * 1995-04-27 1997-06-06 Valeo Systemes Dessuyage Raclette d'essuyage et balai d'essuie-glace equipe d'une telle raclette
JP2995613B2 (ja) * 1996-07-11 1999-12-27 マルエヌ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を構成するステーのラバーリボン抱え爪に取付けられるリボンホルダーを装着したラバーリボンの両端に配置する固定具
DE19951363A1 (de) 1999-10-26 2001-05-03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058208B4 (de) * 2000-11-23 2009-06-04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Wischvorrichtung
DE20220355U1 (de) * 2002-11-15 2004-04-01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60310053T2 (de) * 2003-06-26 2007-04-19 Federal-Mogul S.A.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333083A1 (de) * 2003-07-21 2005-02-17 Volkswagen Ag Wischblatt für Fahrzeugscheiben
DE102004051467A1 (de) * 2004-05-28 2005-12-1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602005009653D1 (de) * 2005-03-02 2008-10-23 Federal Mogul Sa Scheibenwischervorrichtung
DE602006008281D1 (de) * 2006-05-19 2009-09-17 Federal Mogul Sa Scheibenwischervorrichtung
DE102008000708A1 (de) * 2008-03-17 2009-09-2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EP2371633A1 (en) * 2008-09-25 2011-10-05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9158A1 (de) * 2004-04-21 2005-11-1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26239A2 (pt) 2019-09-24
CN103476646B (zh) 2016-04-06
CN103476646A (zh) 2013-12-25
US9566949B2 (en) 2017-02-14
RU2565464C2 (ru) 2015-10-20
JP2014514207A (ja) 2014-06-19
KR20140023930A (ko) 2014-02-27
EP2697101B1 (en) 2016-10-12
US10328903B2 (en) 2019-06-25
PL2697101T3 (pl) 2017-04-28
MX342738B (es) 2016-10-11
RU2013150506A (ru) 2015-05-20
WO2012139643A1 (en) 2012-10-18
US20140109335A1 (en) 2014-04-24
EP2697101A1 (en) 2014-02-19
US20170096126A1 (en) 2017-04-06
CA2832604A1 (en) 2012-10-18
MX2013011883A (es)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386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KR101276991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8782844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309372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US909619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840259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US9434353B2 (en) Flat wiper blade
US20130145569A1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8307494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00002098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US879383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9758131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50027051A (ko) 차창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