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767B1 -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 - Google Patents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767B1
KR101789767B1 KR1020170074052A KR20170074052A KR101789767B1 KR 101789767 B1 KR101789767 B1 KR 101789767B1 KR 1020170074052 A KR1020170074052 A KR 1020170074052A KR 20170074052 A KR20170074052 A KR 20170074052A KR 101789767 B1 KR101789767 B1 KR 101789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front plate
lock gate
loc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빈
박희정
김진호
김상열
안창우
곽기범
최규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해양수산부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
주식회사 한국선급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해양수산부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 주식회사 한국선급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대한민국(해양수산부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
Priority to KR102017007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1/00Locks or dry-docks; Shaft locks, i.e. locks of which one front side is formed by a solid wall with an opening in the lower part through which the ships p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천항 갑문시설 및 경인아라뱃길 갑문시설에 특화되도록; 인양선에 의해 갑문의 수로상에서 이동하도록 된 수상부유몸체와; 상기 수상부유몸체에 고정되며 중량물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인양하여 위치이동시키도록 된 크레인수단과; 상기 크레인수단에 의해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되며 갑실의 록게이트에 탈부착되어 개폐하도록 된 수문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항만 갑문시설을 구성하는 상기 록게이트을 개폐하도록 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에 있어서; 상기 수문본체는,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된 후면돌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면돌출부재는, 상기 전면판이 상기 록게이트에 밀착되어 폐쇄될 때, 상기 록게이트의 내측에 수용되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도록 되어 상기 수문본체의 무게중심이 상기 전면판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되고; 상기 전면판에서, 상단에는, 상기 크레인수단의 인양와이어가 고정되는 리프팅러그가 구비되며, 하단전면에는, 상기 록게이트의 전면 바닥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면서 끼움결합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A stop log of flip type}
본 발명은, 대형 갑문에서 수로에 대한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수문 항만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중과 편중된 무게 중심 및 제수문에 작용하는 수압만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되어 특히, 인천항 갑문시설 및 경인아라뱃길 갑문시설에 특화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에는, 평상시에는 상류측 내수를 하류측 외수로 자연배수시키다가,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상승할 경우에는, 수로를 폐쇄시켜 외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문을 구비하게 된다.
즉, 만조시(滿潮時)에 홍수나 집중호우 등으로 갑자기 불어나는 본천(本川)의 수위를 상류에서 조절하지 못할 경우 배수를 최우선적으로 실시하여 침수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배수문과 인접한 안전지대에 배수펌프장을 함께 구성하여 배수문을 폐쇄시키고 배수펌프를 가동하여 내수를 강제배수시킨다
이러한 배수문의 개폐를 위한 구조는 비교적 개폐시 동기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반면에 문비가 끼워져 이동하게 되는 문틀홈에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써, 편부하가 걸려서 잘 닫히지 않는 문제와, 문비 조작대와 교각이 홍수위 이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토목 공사를 해야 하는 문제로 인하여 방류에 장애가 있다.
물론 기계식이기 때문에 유지관리 요소가 많고, 문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기 때문에 교각이 많아지므로, 문비와 권양기의 시설이 많아지는 등의 단점으로 인하여 근자에는, 유압식인양수문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유압식 인양수문은, 문틀홈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걸리는 문제는 해결할 수 없고, 문틀홈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문비의 양단을 인양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압실린더의 마찰계수와 문틀홈에서 문비의 지수마찰 저항 및 유압배관의 길이에 대한 관로손실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작동이 서로 다를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문비가 비틀어지고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여 문비가 닫히지 않음으로써 홍수위시 역류를 방지하지 못하여 큰 수해를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항만 갑문시설은 외항과 내항의 조수간만의 차를 항상 일정 수위로 유지하기 위한 설비로서, 외항과 내항을 이어주는 관문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항만의 갑문시설에는, 선박이 입항 및 출항하는 갑거와, 선박의 입출항시 해수를 유입하거나 차단하는 수문이 구성된 갑실, 해수의 유입 및 배출을 하는 취수문 및 배수문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갑실에는, 수문의 유지 보수를 위해 제수문(Stop Log)이 설치되며, 상기 제수문은, 갑실에 구성된 록게이트부에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작업자가 이 록게이트부에서 수문의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거나, 수문을 들어 내야할 경우, 해수의 흐름을 막기 위해 내외 수위차가 동일한 수위에서 해수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수문은, 록게이트부에 설치된 후, 이 록게이트부 내의 해수를 완전히 배수하면 해수측의 수압 작용에 의해 수문 방향으로 압착된다.
그러면, 제수문의 측면 수밀고무는 수압 작용으로 인해 가이드 프레임에 압착되어 차수하고, 하단부 수밀고무는 제수문의 중량에 의해 바닥에 밀착되어 차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수문은, 별도의 인양선으로 록게이트부의 설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갑실의 록게이트에 단순 주입식으로 설치가 진행된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13753호(명칭: 항만용 스톱로그의 설치 및 제거장치/2010.02.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며,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서로 연통되도록 제1 내지 제4좌현탱크로 형성된 좌현탱크와 제1 내지 제4우현탱크로 형성된 우현탱크가 구성되고, 각 모서리부에 고정부재가 형성된 항만용 스톱로그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로그의 상부에 구성되며, 좌현탱크와 우현탱크들에 각각 연결 구성되어 갑실의 해수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키는 해수밸브와, 이 좌현탱크와 우현탱크에 에어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에어밸브와, 에어밸브와 에어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장치 및 스톱로그의 내부 수위와 갑실의 해수면 수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밸런스 조절수단; 상기 스톱로그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이 스톱로그의 상하부의 위치 및 밸런스를 조절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조절수단을 선택적으로 권취하여 스톱로그의 위치 이동, 밸런스 조정 등을 수행하는 권취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항만용 스톱로그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48633호(명칭: 대형 갑문의 분해 보수 방법/2015.10.2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작업전 각종 기기 조작 및 태그를 발행하는 단계와, 보수 대상 갑문을 풀 오픈하여 갑문실로 이송하는 단계와, 갑문실의 수중 매설물을 철거 및 정비하는 단계와, 보관소의 스탑로그를 진수하고 갑문실로 운반하는 단계와, 스탑로그를 갑문실의 갑문실출입구에 설치하는 단계와, 갑문실을 배수하는 단계와, 갑문의 투스렉을 분리하고 점검하는 단계와, 갑문실의 내부 청소 및 보수작업을 준비하는 단계와, 갑문 본체를 인상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을 분리 인양하는 단계와, 갑문 본체를 인상하는 단계와, 갑문 본체의 하부 대차를 철거하여 인양하고 보수하는 단계와, 하부 대차의 바스크 롤러를 교체하고 검사 및 보수하는 단계와, 하부 대차의 하부 레일을 점검하는 단계와, 하부 대차를 갑문에 재 설치하는 단계와, 갑문 본체를 하강하는 단계와, 갑문 본체 하부의 프론트 끝단(Front End) 가이드 프레임을 설치하는단계와, 갑문 본체를 정비하는 단계와, 갑문의 상부 웨건과 체결된 카 웨이를 철거하는 단계와, 상부 웨건을 점검 보수하는 단계와, 갑문의 프론트, 리어 가이드 롤러를 분해하고 보수하는 단계와, 카 웨이를 재 설치하는 단계와, 커넥팅 로드를 연결하는 것과 같은 투스렉을 재연결하는 단계와, 갑문실을 충수하는 단계와, 갑문실의 갑문 진출입구에 설치된 스탑로그를 분리하고 보관소로 이송하는 단계와, 갑문실의 수중 매설물을 설치하는 단계와, 대상 갑문을 크로스하는 단계 및 대형 갑문 오픈 크로스를 시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형 갑문의 분해 보수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37702호(명칭: 스톱로그/2005.05.0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수평빔과 수직빔으로 몸체를 이루고 상기 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이 스킨 플레이트로 덮여지며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롤러가 마련되어 구성되는 스톱로그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스킨 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하여 상기 스톱로그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할체로 구성하고, 상기 분할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평빔과, 상기 수평빔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평빔들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수직빔과, 상기 수평빔들 중 최상단의 수평빔 상부에 결합되는 리브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최상단 수평빔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리프팅 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빔의 상부와 하부의 소정 위치에는 이격부재 수용홀이 형성되는 스톱로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9029호(명칭: 라디얼 핀랙 수문/2015.05.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관로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문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문비 프레임에 결합되어 하측 선단이 회동하며 관로를 개폐시키는 문비를 구비하며, 상기 문비의 전방 상측으로 문비 프레임보다 높은 길이를 갖는 구동 암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암에는 문비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지는 한편 체인기어가 고정된 동기 구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문비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기 구동축을 당기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기어가 치합된 채로 동기 구동축이 자전과 공전되게 하는 라디얼 핀랙을 구비하고, 상기 문비가 경사지게 닫힐 때 문비의 배면 하측에서 관로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받쳐져 세워지는 세로보를 구비하는 라디얼 핀랙 수문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13753호(2010.02.16.)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48633호(2015.10.26.)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37702호(2005.05.04.)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9029호(2015.05.18.)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수문들은, 설치 및 구동작업이 어려워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천항 갑문시설 및 경인아라뱃길 갑문시설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중과 편중된 무게 중심 및 제수문에 작용하는 수압만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되어 특히, 인천항 갑문시설 및 경인아라뱃길 갑문시설에 특화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은, 인양선에 의해 갑문의 수로상에서 이동하도록 된 수상부유몸체와; 상기 수상부유몸체에 고정되며 중량물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인양하여 위치이동시키도록 된 크레인수단과; 상기 크레인수단에 의해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되며 갑실의 록게이트에 탈부착되어 개폐하도록 된 수문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항만 갑문시설을 구성하는 상기 록게이트을 개폐하도록 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에 있어서; 상기 수문본체는,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된 후면돌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면돌출부재는, 상기 전면판이 상기 록게이트에 밀착되어 폐쇄될 때, 상기 록게이트의 내측에 수용되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도록 되어 상기 수문본체의 무게중심이 상기 전면판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되고; 상기 전면판에서, 상단에는, 상기 크레인수단의 인양와이어가 고정되는 리프팅러그가 구비되며, 하단전면에는, 상기 록게이트의 전면 바닥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면서 끼움결합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는, 록게이트에 탈부착되어 개폐하도록 된 수문본체의 무게중심이 후면돌출부재에 의해 록게이트의 외부에서 내부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문본체의 자중과 편중된 무게 중심 및 갑문에서 수문본체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안정되게 부착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설비를 시설하지 않고도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인천항 갑문시설 및 경인아라뱃길 갑문시설에 적합하게 적용되어 사용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에 적용되는 수분본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에 적용되는 보조고정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에 적용되는 수분본체를 구성하는 지지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1)는, 자가동력에 의해 갑문(10)의 수로상에서 주행하도록 된 인양선(2)에 인양되어 갑문(10)의 수로상에서 이동하도록 되며 부력을 가지어 부유하도록 된 수상부유몸체(3)와; 상기 수상부유몸체(3)에 고정되며 중량물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인양하여 위치이동시키도록 된 크레인수단(4)을 가진다.
즉, 상기 크레인수단(4)이 상기 수상부유몸체(3)에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양선(2)을 통해 갑문(10)의 수로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상부유몸체(3)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지선'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크레인수단(4)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크레인'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1)는, 상기 크레인수단(4)에 의해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되며 항만 갑문시설을 구성하는 갑실(100)의 록게이트(110)에 탈부착되어 개폐하도록 된 수문본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필요시 상기 수문본체(5)를 상기 크레인수단(4)을 통해 인양하여 상기 록게이트(110)에 부착하여 상기 록게이트(110)를 폐쇄함으로써, 해수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문본체(5)는,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전면판(51)과; 상기 전면판(51)의 후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된 후면돌출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면판(51)을 통해 상기 록게이트(110)의 전면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51)은, 상기 록게이트(110)의 전면에 근접되면서 밀착되어 상기 록게이트(110)를 폐쇄하도록 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면돌출부재(52)는, 상기 전면판(51)이 상기 록게이트(110)에 밀착되어 폐쇄될 때, 상기 록게이트(110)의 내측에 수용되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면돌출부재(52)에 의해 상기 수문본체(5)의 무게하중에 상기 전면판(51)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편중되도록 되어, 상기 수문본체(5)가 상기 후면돌출부재(52)에 의해 편중된 중심에 따라 상기 록게이트(110)의 외부에서 내부측 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수문본체(5)의 자중과 편중된 무게 중심 및 갑문(10)에서 상기 수문본체(5)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안정되게 부착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별도의 고정설비를 시설하지 않고도 상기 록게이트(110)에 상기 수문본체(5)의 고정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수문본체(5)는, 철골콘크리트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1)에서, 상기 전면판(51)의 상단에는, 상기 크레인수단(4)의 인양와이어(41)가 고정되는 리프팅러그(6)가 구비된다.
즉, 상기 크레인수단(4)을 구성하는 인양와이어(41)가 상시 리프팅러그(6)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수문본체(5)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록게이트(110)에 상기 수문본체(5)의 탈부착작업을 안정되게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51)의 하단전면에는, 상기 록게이트(110)의 전면 바닥면에 형성된 요홈(120)에 삽입되면서 끼움결합되는 지지부재(7)가 전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부재(7)가 상기 요홈(120)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수문본체(5)의 하부를 지지하게 됨에 따라, 수압 및 너울에 의해 상기 전면판(51)의 상측이 가압되더라도, 무단으로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게 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7)는, 상기 전면판(51)의 하단 양측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51)의 양측하단에서 지면에 시설된 상기 요홈(120)들에 각각 지지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120)은 상부에 개구가 위치하되 바닥면에서 상기 개구로 갈수록 그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부재(7)는, 상기 요홈(120)에 맞춤되게 수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7)가 상기 요홈(120)에 더욱 안정적으로 진입하여 수용됨은 물론, 상기 요홈(120)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7)의 지지면적이 경사각을 형성하게 되어, 지지력이 경사면에 고루게 분포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10을 통해 인천항 갑문시설 및 경인아라뱃길 갑문시설 등에서 록게이트(110)를 폐쇄하고자 할경우에는, 먼저,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수단(4)의 인양와이어(41)에 상기 리프팅러그(6)가 체결되어, 상기 크레인수단(4)에 의해 상기 수문본체(5)가 직립되게 인양된 상태에서, 상기 인양선(2)에 의해 작업하고자 하는 갑실(100)의 록게이트(110) 전면으로 운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양선(2)에 의해 상기 수문본체(5)가 상기 록게이트(110)의 전면에 운반된 후, 상기 크레인수단(4)을 통해 상기 수문본체(5)를 상기 록게이트(11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안양하면 상기 록게이트(110)의 폐쇄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수문본체(5)의 지지부재(7)가 상기 요홈(120)에 삽입되어 끼움결합하게 되며; 상기 후면돌출부재(52)가 상기 록게이트(1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수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문본체(5)의 자체하중과 상기 후면돌출부재(52)에 의한 편중된 무게 중심 및 갑문(10)에서 상기 수문본체(5)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별도의 고정설비를 시설하지 않고도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록게이트(11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크레인수단(4)을 통해 상기 수문본체(5)를 상기 록게이트(110)에서 인양하여 분리하는 간편한 작업을 통해 수행하면 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1)에 적용되는 보조고정수단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1)에서, 상기 수상부유몸체(3)에는, 갑문(10)에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배치고정된 고정고리(11)에 걸림고정되는 보조연결와이어(81)가 권치된 권취드럼(82)을 가지는 보조고정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인양선(2)에 의해 상기 수상부유몸체(3)가 작업하고자하는 상기 록게이트(110)의 전면에 운반 된 후, 상기 보조고정수단(8)의 보조연결와이어(81)를 상기 고정고리(11)에 체결하여, 상기 수상부유몸체(3)를 확고히 고정하여, 상기 수상부유몸체(3)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크레인수단(4)에 의한 상기 수문본체(5)의 인양작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상부유몸체(3)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권취드럼(82)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보조연결와이어(81)의 권취 및 풀림을 조절하여 장력을 유지하도록 된 권취모터(83)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고정수단(8)은, 상기 수상부유몸체(3)의 네 모서리부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항만장비 10 : 갑문
11 : 고정고리 100 : 갑실
110 : 록게이트 120 : 요홈
2 : 인양선 3 : 수상부유몸체
4 : 크레인수단 41 : 인양와이어
5 : 수문본체 51 : 전면판
52 : 후면돌출부재 53 : 탄성부재
6 : 리프팅러그 7 : 지지부재
8 : 보조고정수단
81 : 보조연결와이어 82 ; 권취드럼
83 : 권취모터

Claims (1)

  1. 인양선(2)에 의해 갑문(10)의 수로상에서 이동하도록 된 수상부유몸체(3)와; 상기 수상부유몸체(3)에 고정되며 중량물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인양하여 위치이동시키도록 된 크레인수단(4)과; 상기 크레인수단(4)에 의해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되며 갑실(100)의 록게이트(110)에 탈부착되어 개폐하도록,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전면판(51)과, 상기 전면판(51)의 후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되며 상기 전면판(51)이 상기 록게이트(110)에 밀착되어 폐쇄될 때, 상기 록게이트(110)의 내측에 수용되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도록 되어 무게중심이 상기 전면판(51)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된 후면돌출부재(52)와, 상기 전면판(51)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크레인수단(4)의 인양와이어(41)가 고정되는 리프팅러그(6)와, 상기 전면판(51)의 하단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록게이트(110)의 전면 바닥면에 형성된 요홈(120)에 삽입되면서 끼움결합되는 지지부재(7)를 가지는 수문본체(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항만 갑문시설을 구성하는 상기 록게이트(110)을 개폐하도록 된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1)에 있어서;
    상기 요홈(120)은,
    상부에 개구가 위치하되 바닥면에서 상기 개구로 갈수록 그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7)는,
    상기 요홈(120)에 맞춤되게 수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상부유몸체(3)에 구비되며 상기 갑문(10)에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배치고정된 고정고리(11)에 걸림고정되는 보조연결와이어(81)가 권치된 권취드럼(82)과, 상기 수상부유몸체(3)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연결와이어(81)의 권취 및 풀림을 조절하여 장력을 유지하도록 된 권취모터(83)을 가지는 보조고정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고정수단(8)은,
    상기 수상부유몸체(3)의 네 모서리부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
KR1020170074052A 2017-06-13 2017-06-13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 KR101789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052A KR101789767B1 (ko) 2017-06-13 2017-06-13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052A KR101789767B1 (ko) 2017-06-13 2017-06-13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767B1 true KR101789767B1 (ko) 2017-10-26

Family

ID=6030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052A KR101789767B1 (ko) 2017-06-13 2017-06-13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599B1 (ko) * 2022-05-31 2022-09-13 (주)덕성산업기계 오목형 블록식 스톱로그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12B1 (ko) * 2007-11-22 2009-12-2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력발전 방조제용 조합형 통선문 시공방법
KR100958346B1 (ko) * 2010-02-16 2010-05-17 김진득 항만용 스톱로그의 설치 및 제거장치
JP5876428B2 (ja) * 2013-03-01 2016-03-02 中国電力株式会社 ローラゲ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12B1 (ko) * 2007-11-22 2009-12-2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력발전 방조제용 조합형 통선문 시공방법
KR100958346B1 (ko) * 2010-02-16 2010-05-17 김진득 항만용 스톱로그의 설치 및 제거장치
JP5876428B2 (ja) * 2013-03-01 2016-03-02 中国電力株式会社 ローラゲ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599B1 (ko) * 2022-05-31 2022-09-13 (주)덕성산업기계 오목형 블록식 스톱로그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092B1 (ko) 진공 유동방지 장치를 구비한 부유체
KR101351061B1 (ko) 상하 분리가 가능한 이중 구조의 레이디얼 게이트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권양기
CN106677258A (zh) 一种电厂海上取水头沉箱的安装工艺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JP6775268B1 (ja) フラップゲート用水密構造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フラップゲート
KR101789767B1 (ko)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
KR101261776B1 (ko) 유압식 매립형 인양 수문기
KR1010514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 쓰레기 수거 장치
KR20090022587A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101068012B1 (ko) 요트 인양 크레인
US20090067961A1 (en) Raised marina
JP2006233745A (ja) 水害浮上建築物の浮体施工方法
KR100820136B1 (ko) 수문구조물의 수문 탈거장치
KR100638485B1 (ko) 무동력 자동수문을 이용한 어도장치
CN206052843U (zh) 一种浮筏取水装置
KR101215474B1 (ko) 선박용 에어벤트라인의 드레인배출장치 설치구조
KR100958346B1 (ko) 항만용 스톱로그의 설치 및 제거장치
JP2004501658A (ja) 外海用養魚装置
KR20080037749A (ko) 후랩밸브가 부착된 배수문
JP4550233B2 (ja) 可動防水装置
JP2003201710A (ja) フローティングフラップゲート
KR200479435Y1 (ko) 잠수함의 상부 케이싱 내부의 충/배수 조절장치
KR101792481B1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CN107642066B (zh) 地效翼船基地
JP5699888B2 (ja) 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