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528B1 -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528B1
KR101789528B1 KR1020170008964A KR20170008964A KR101789528B1 KR 101789528 B1 KR101789528 B1 KR 101789528B1 KR 1020170008964 A KR1020170008964 A KR 1020170008964A KR 20170008964 A KR20170008964 A KR 20170008964A KR 101789528 B1 KR101789528 B1 KR 101789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ozone gas
storage tank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원엔바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원엔바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원엔바이로
Priority to KR102017000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저장조, 상기 원수저장조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며 pH에 조정되는 pH 조정조; 상기 pH 조정조로부터 pH 조정된 폐수가 유입되는 순환저류조; 상기 순환저류조로부터 유입되는 폐수에 광산화 반응을 일으키는 광산화 반응조; 상기 광산화 반응조에서 광산화 반응 후 상기 순환저류조로 재유입되는 폐수 중에서 질소를 흡착하는 질소흡착조; 및 각 구성요소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WASTE WATER TREATING SYSTEM}
본 발명은,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난분해성 유기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수 처리시스템은 폐수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거나 회수하고, 소정의 허용 한계 수질(수질 오염 방지법)로 처리하는 것을 일컫는다.
처리 방법으로서, 침전, 응집 침전, 부상 분리, 여과 등의 물리적 방법, 산화, 환원, 중화, 이온 교환법 등의 화학적 방법, 그리고 활성 오니법, 살수 여상법, 소화 등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한편, 원전 2차계통의 pH제어제로 사용되는 ETA는 원전 복수탈염설비의 양이온교환수지에 의해 제거된 후 수지재생 공정을 통해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데,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된 ETA는 난분해성 유기물로 현재 원전 폐수처리설비로는 처리가 어려워 원전 폐수의 COD 및 N(T-N)을 유발하는 주된 화학종이다.
따라서 이러한 난분해성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폐수 처리시설이 요청되고 있으나, 기존의 방식에서는 난분해성 유기 폐수의 효과적인 처리가 난해한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0-00058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난분해성 유기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수저장조, 상기 원수저장조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며 pH에 조정되는 pH 조정조; 상기 pH 조정조로부터 pH 조정된 폐수가 유입되는 순환저류조; 상기 순환저류조로부터 유입되는 폐수에 광산화 반응을 일으키는 광산화 반응조; 상기 광산화 반응조에서 광산화 반응 후 상기 순환저류조로 재유입되는 폐수 중에서 질소를 흡착하는 질소흡착조; 및 각 구성요소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pH 조정조의 하부에는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가 결합되며, 제1 냉각코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산화 반응조 내부에는 다파장 자외선 램프, 상기 다파장 자외선 램프의 주변에 설치되며, 상부를 향해 폭이 좁아지게 설치되는 메쉬망; 상기 메쉬망 주변으로 설치되는 제2 냉각코일; 상기 메쉬망 주변으로 상기 광산화 반응조 내부에 투입되는 흡착여재; 및 상기 광산화 반응조 하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상기 광산화 반응조 내부로 주입시키는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는, 버블 확산노즐; 상기 버블 확산노즐의 하부에 결합되는 오존가스 용해조; 및 상기 오존가스 용해조 하부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오존가스와 폐수가 주입되는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블 확산노즐에는 경사형 분사홀이 형성되어 마이크로 버블의 확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산화공정 및 기타 공정에서 발생하는 잉여 오존 가스를 제거하는 배오존 처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오존 처리기는 상기 pH 조정조, 상기 광산화 반응조 및 상기 순환저류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오존 처리기의 전단에는 기액분리기가 구비되어 폐수와 오존가스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질소흡착조 내부에는 세라믹 여재가 삽입되며 폐수가 유입되면 하부에 결합된 폭기장치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세라믹 여재와 원활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난분해성 유기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의 시스템도,
도 2는 다수개의 모듈화된 광산화 반응조 각각의 내부 구성을 조립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다파장 자외선 램프를 구비한 광산화 반응조의 COD 제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마이크로 버블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마이크로 버블이 마이크로 버블장치의 버블 확산노즐 상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분사되는지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마이크로 버블장치가 채용된 경우의 효율을 종래 기술과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마이크로 버블장치가 채용된 경우의 효율을 종래 기술과 비교한 실험사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의 시스템도, 도 2는 다수개의 모듈화된 광산화 반응조(300) 각각의 내부 구성을 조립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다파장 자외선 램프(301)를 구비한 광산화 반응조(300)의 COD 제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마이크로 버블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마이크로 버블이 마이크로 버블장치(520)의 버블 확산노즐(521) 상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분사되는지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마이크로 버블장치가 채용된 경우의 효율을 종래 기술과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마이크로 버블장치가 채용된 경우의 효율을 종래 기술과 비교한 실험사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은 유기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난분해성 유기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원수저장조(100), pH 조정조(200), 광산화 반응조(300), 순환저류조(400), 질소흡착조(600), 그리고 이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8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원수저장조(100)에는 난분해성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는 원수가 유입되어 저장된다. 원수는 ETA 등의 난분해성 유기물을 포함한 폐수이다.
pH 조정조(200)는 밀폐형 구조로 원수저장조(100)로부터 원수를 펌핑하는 원수펌프(110)와 Naoh가 주입되는 제1 약품펌프(210)가 연결된다. 수위센서에 의하여 수위레벨이 측정되도록 하여 일정한 수준이 되면 컨트롤러(800)에 의하여 원수펌프(110)의 가동이 정지된다. 수위레벨을 오버플로우하는 폐수는 후단의 순환저류조(400)로 이동된다.
폐수는 특성에 따라 적정 pH가 있으므로 제1 약품펌프(210)를 이용하여 Naoh 용액을 펌핑하여 pH 조정조(200)내의 pH를 조정한다. pH 조정조(200)내에는 제1 pH 센서(201)가 설치되어 pH 조정조(200) 내의 pH 농도를 실시간 센싱하게 된다. pH농도가 특정 pH 농도값에 도달하면, 컨트롤러(800)에 의하여 제1 약품펌프(210)의 가동이 정지된다. 제1 pH센서(201)는 폐수 방류없이 분리하여 정도 보정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pH조정시 화학반응에 의하여 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pH 조정조(200) 내부에 제1 냉각코일(202)이 설치되어 다음 공정으로 넘어갈 때 열로 인한 공정지체가 없도록 한다. 제1 냉각코일(202)은 컨트롤러(800)에 의해 제어되는 냉각기(230)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 가스가 내부를 유동하도록 설계되며, 내부식성과 열전도율이 좋은 스텐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코일형상으로 구성된다.
적정 pH가 되면 pH 조정조 하부에 설치된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510)를 이용하여 오존을 폭기시킨다. 이때 제1 가압펌프(P1)가 pH 조정조(200)로부터 폐수를 인발하여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510)를 통해 pH 조정조(200)로 재유입시키며, 이때 폐수는 오존발생기(220)에서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510)로 유입되는 오존과 함께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510)를 통해 pH 조정조(200)로 향하면서, 폐수 속의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이 탈기된다. 이때, 마이크로 버블의 폭기 시간은 폐수특성에 따라 컨트롤러(800)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pH 조정조(200)에서 1차 처리가 완료된 폐수는 순환저류조(400)로 이동된 뒤 제2 가압펌프(P2)에 의하여 광산화 반응조(300)로 유입된다. pH 조정조(200)에 잔류되는 오존 가스와 같은 기체는 후술되는 기액분리기(720)를 거쳐 배오존 처리기(710)로 유입된다. 폐수의 이송이 완료되면, pH 조정조(200)는 다시 원수를 주입하여 pH조정 및 마이크로 버블 폭기 작업에 들어간다.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광산화 반응조(300)는 밀폐 구조로서, 일정 용량을 모듈화하여 제작하며, 처리용량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광산화 반응조(300)가 구비되고 있다. 각 광산화 반응조(300) 내부에는 다파장 자외선 램프(301), 메쉬망(303), 제2 냉각코일(302)이 구비되며, 각 광산화 반응조(300)의 하부에는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520)가 설치된다.
폐수는 광산화 반응조(300)를 거치면서 COD, t-n 및 기타 유기물 항목이 감소되며, 각 광산화 반응조(300)에서 처리된 폐수는 광산화 반응조(300) 내부에 잔류되는 오존 가스와 같은 기체와 함께 후단의 순환저류조(400)로 배출된다. 각 광산화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은 오존 용해도를 고려하여 2kg/cm2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다수개의 모듈화된 광산화 반응조(300) 각각의 내부 구성을 조립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산화 반응조(300) 내부에 위치하는 다파장 자외선 램프(301)는 COD 제거가 주 기능으로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800)에 의하여 제어되는 자외선발생기(310)에 연결되어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3은 다파장 자외선 램프(301)를 구비한 광산화 반응조(300)의 COD 제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다파장 자외선 램프(301)를 적용한 경우, 종래의 단일 파장의 일반 자외선(UV) 램프를 적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수치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파장 자외선 램프(301) 주변에는 흡착여재(304)와 다파장 자외선 램프(301)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주는 메쉬망(303)이 존재한다.
메쉬망(303)은 다파장 자외선 램프(301)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아래 부분이 넓고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는 하부에서 발생되어 상승하는 마이크로 버블과 폐수가 상부 쪽으로 점점 넓게 분포되는 흡착여재(304)에 의하여 상부에서도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메쉬망(303)과 광산화 반응조(300) 사이에는 제2 냉각코일(302)이 위치하며, 이는 pH 조정조(200)에 설치되는 제1 냉각코일(202)과 마찬가지로 냉각기(230)와 연결되며, 내부식성과 열전도율이 좋은 스텐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코일형상으로 구성된다.
흡착여재(304)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등 유기화합물 흡착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며 다공성 구슬 형태로 제조하여 접촉 면적을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광산화 반응조(300) 내부에 충전하였을 때 폐수와 오존 마이크로 버블이 원활히 확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흡착여재(304)는 광산화 반응조(300)의 상부에 위치되는 흡착여재 투입구(305)를 통하여 투입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흡착여재 반출구(306)를 통해 반출되도록 하여 흡착여재(304)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설계된다.
폐수는 제2 가압펌프(P2)를 이용하여 광산화 반응조(300) 하부에서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520)를 통해 주입되며,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520)에는 폐수가 주입됨과 함께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510)와 마찬가지로 오존 발생기(220)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투입된다.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520)는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510)와 동일한 내부 구조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도 4에 그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520)는 버블 확산노즐(521)과 버블 확산노즐(521) 하부에 결합되는 오존가스 용해조(522), 및 오존가스 용해조(522) 하부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오존가스와 폐수가 주입되는 이젝터(5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젝터(523)에 주입된 오존가스와 폐수는 이젝터(523)를 통해 급속히 오존가스 용해조(522)로 이동되어 버블 확산노즐(521)을 통해 광산화 반응조(300) 내부로 폐수와 오존이 용해된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된다. 이때 버블 확산노즐(521)은 저면부에 오존가스 용해조(522)로부터 폐수와 함께 용해된 오존가스가 경사지게 분사될 수 있는 경사형 분사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렇게 용해 오존가스가 경사형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면, 버블 확산노즐(521)의 기능을 극대화시켜,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면서, 확산효과가 크게 증대되어 산기될 수 있다. 광산화 반응조(300)에서 반응이 완료된 폐수는 광산화 반응조(300) 상부에서 잉여가스와 함께 순환저류조(400)로 배출된다.
마이크로 버블장치(520)의 버블 확산노즐(521)의 채용으로 확산성이 좋으며 일정압력(토출압력 2kg/cm2) 정도에서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므로 종래의 이젝터를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 구조보다 안정적으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면서, 흡착여재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도 5는 마이크로 버블이 마이크로 버블장치(520)의 버블 확산노즐(521) 상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분사되는지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마이크로 버블이 버블 확산노즐(521)의 구조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사됨으로써 버블 확산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도 6은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장치(520)가 적용된 경우와 종래의 이젝터를 이용한 일반산기형 구조를 비교실험 후 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 버블장치(520)가 채용되는 경우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7은 종래의 이젝터를 채용한 버블장치(a)와 본 발명의 버블 확산노즐이 채용된 버블장치(b)를 비교실험하여 마이크로 버블의 확산성을 확인한 실험사진으로서, 본 발명의 버블장치(b)는 종래의 이젝터 채용형에 비하여 마이크로 버블의 확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순환저류조(400)는 밀폐구조이며, 제2 가압펌프(P2), 제2 pH센서(401), 제2 약품펌프(410)가 구성 되어진다. 광산화 반응조(300)에서 일정시간 처리된 폐수가 순환저류조(400)로 다시 들어오면 실시간으로 제2 pH센서(401)를 이용하여 pH 변화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산화 반응조(300)에서 처리된 폐수가 광산화 반응조(300)에 잔류되는 오존 가스와 같은 기체와 함께 순환저류조(400)로 이동된 뒤 이후의 과정에서 기액분리가 되도록 하여 광산화 반응조(300) 후단에서 바로 기액분리되는 경우보다 기액분리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산화반응이 완료되면 pH가 일정한 비율로 감소가 되며, 원활한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제2 약품펌프(410)로부터 약품을 공급하여 pH를 조정하여 준다. 제2 가압펌프(P2)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순환저류조(400)의 폐수를 광산화 반응조(300)로 전달한다. 제2 pH센서(401)는 순환저류조(400)의 폐수 방류없이 분리하여 정도보정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정시간 경과 후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마지막 공정으로 넘어가기 전 pH는 질산성 질소 흡착이 용이한 pH로 조정하여 방류펌프(420)에 의하여 질소흡착조(600)로 이송된다.
질소흡착조(600)는 순환저류조(400)에서 넘어온 폐수 중에 오존과 산화반응 후 잔류되는 수중의 질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질소흡착조(600) 내부에는 질소흡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3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세라믹 여재가 들어 있으며 폐수가 들어오면 폭기장치(610)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기포를 발생시켜 세라믹 여재와 원활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소흡착을 수행한다.
배오존 처리기(710)는 산화공정 및 기타 공정에서 발생하는 잉여 오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pH 조정조(200), 광산화 반응조(300) 및 순환저류조(400)에 연결되는데, 전단에 기액분리기(720)를 개재하여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배오존 처리기(710) 전단에 설치되는 기액분리기(720)는 기포 및 다른 형태로 올라오는 폐수를 오존 가스와 분리하여 순환저류조(400)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일 기액분리기(720)가 없으면 배오존 처리기(710)에 산화물이 침적되어 자주 세정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기액분리기(720)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배오존 처리기(710)는 그 외부에 감길 열선에 의하여 가열되며, 가열된 열로 오존가스를 분해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배오존 처리기(7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열선은 열손실 및 안전성을 위하여 외부 케이스를 덮고 석고로 충진하여 열손 및 내부 단열이 잘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겠다.
각 공정은 개별 설정시간이 다르게 작동하며 다른 공정으로 넘어갈 때는 다음 공정의 처리시간이 길 경우, 전단계 공정이 정지하여 있다 처리가 완료되면 다시 작동한다. 모든 설정은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난분해성 유기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원수저장조 110 : 원수펌프
200 : pH 조정조 201 : pH 센서
202 : 제1 냉각코일 210 : 제1 약품펌프
220 : 오존발생기 230 : 냉각기
300 : 광산화 반응조 301 : 다파장 자외선 램프
302 : 제2 냉각코일 303 : 메쉬망
304 : 흡착여재 310 : 자외선 발생기
400 : 순환저류조 P1, P2 : 제1, 제2 가압펌프
401 : 제2 pH센서 410 : 제2 약품펌프
510 :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 520 :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
710 : 배오존 처리기 720 : 기액분리기
800 : 컨트롤러

Claims (8)

  1. 원수저장조,
    상기 원수저장조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며 pH에 조정되는 pH 조정조;
    상기 pH 조정조로부터 pH 조정된 폐수가 유입되는 순환저류조;
    상기 순환저류조로부터 유입되는 폐수에 광산화 반응을 일으키는 광산화 반응조;
    상기 광산화 반응조에서 광산화 반응 후 상기 순환저류조로 재유입되는 폐수 중에서 질소를 흡착하는 질소흡착조;
    각 구성요소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및
    산화공정 및 기타 공정에서 발생하는 잉여 오존 가스를 제거하는 배오존 처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오존 처리기는 상기 pH 조정조, 상기 광산화 반응조 및 상기 순환저류조에 연결되며, 상기 배오존 처리기의 전단에는 기액분리기가 구비되어 폐수와 오존가스를 분리하며, 상기 pH 조정조의 하부에는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가 결합되며, 제1 냉각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광산화 반응조는,
    내부에 설치되는 다파장 자외선 램프,
    상기 다파장 자외선 램프의 주변에 설치되며, 상부를 향해 폭이 좁아지게 설치되는 메쉬망;
    상기 메쉬망 주변으로 설치되는 제2 냉각코일;
    상기 메쉬망 주변으로 상기 광산화 반응조 내부에 투입되는 흡착여재; 및
    상기 광산화 반응조 하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상기 광산화 반응조 내부로 주입시키는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는,
    버블 확산노즐;
    상기 버블 확산노즐의 하부에 결합되는 오존가스 용해조; 및
    상기 오존가스 용해조 하부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오존가스와 폐수가 주입되는 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이크로 버블장치에는 오존가스와 상기 pH 조정조에서 pH 조정된 폐수가 함께 주입되며, 상기 제2 마이크로 버블장치에는 오존가스와 상기 순환저류조에 저류되는 폐수가 함께 주입되어 폐수로부터 질소 성분의 탈기 효율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확산노즐에는 경사형 분사홀이 형성되어 마이크로 버블의 확산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흡착조 내부에는 세라믹 여재가 삽입되며 폐수가 유입되면 하부에 결합된 폭기장치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세라믹 여재와 원활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KR1020170008964A 2017-01-19 2017-01-19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KR101789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64A KR101789528B1 (ko) 2017-01-19 2017-01-19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64A KR101789528B1 (ko) 2017-01-19 2017-01-19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528B1 true KR101789528B1 (ko) 2017-10-26

Family

ID=6030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964A KR101789528B1 (ko) 2017-01-19 2017-01-19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5281A (zh) * 2020-08-31 2022-03-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臭氧多级催化氧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971A (ja) * 1999-10-07 2001-04-17 Nec Corp 廃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8126125A (ja) * 2006-11-20 2008-06-05 Zen Corporation:Kk 汚染水の処理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971A (ja) * 1999-10-07 2001-04-17 Nec Corp 廃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8126125A (ja) * 2006-11-20 2008-06-05 Zen Corporation:Kk 汚染水の処理装置及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5281A (zh) * 2020-08-31 2022-03-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臭氧多级催化氧化装置
CN114105281B (zh) * 2020-08-31 2023-04-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臭氧多级催化氧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890B1 (ko) 혐기 및 호기성소화에 의한 고농도 오폐수 처리장치 및방법
US11339068B2 (en) Eductor-based membrane bioreactor
US7279093B2 (en) Module for removing organic compounds from foaming wastewater by oxidation
KR101697526B1 (ko) 고효율 마이크로오존버블반응기를 포함하는 오존수처리 시스템
RU2004126092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ифитонной фильтрации до и после обработки вод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зона
US200801792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emical-free metal particle removal from a liquid media
JP4916828B2 (ja) 放射性物質含有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11114596A (ja) 超純水製造方法および超純水製造装置
KR101789528B1 (ko) 난분해성 유기 폐수 처리시스템
KR101636300B1 (ko) 고농도 폐수 처리시스템
CN207512026U (zh) 用于对生化处理尾水作进一步处理的深度处理装置
JP4528828B2 (ja) 流体流動による水処理工程及び装置
JP2006255596A (ja) 水質浄化装置及び水質浄化方法
DE102007030850A1 (de) Behälterentkeimung mit UVC-Strahlung
KR101951691B1 (ko)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JP2022510098A (ja) 反応器内の選択された化合物濃度を制御することができる電気化学的廃水処理システム
KR101896830B1 (ko) 난분해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유동상 펜톤 처리장치
JP2006502845A (ja) 脱灰と有毒物質の除去を同時に行う方法、および反応器
KR101163097B1 (ko) 상수 및 하폐수 처리용 틈새구조형 가스용해장치
WO20192433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water
KR20140130956A (ko) 수처리 시스템
JPH11221584A (ja) 加圧オゾン処理システム及び装置
JP2002126480A (ja) オゾン水処理装置
JP2005270885A (ja) 排水処理装置
KR101436032B1 (ko) 액상폐기물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