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025B1 - Continuous bridge for rebuilding sound proofing wall next to exis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Continuous bridge for rebuilding sound proofing wall next to exis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025B1
KR101788025B1 KR1020170028904A KR20170028904A KR101788025B1 KR 101788025 B1 KR101788025 B1 KR 101788025B1 KR 1020170028904 A KR1020170028904 A KR 1020170028904A KR 20170028904 A KR20170028904 A KR 20170028904A KR 101788025 B1 KR101788025 B1 KR 101788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alternating
girder
bloc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근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이엔이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엔이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엔이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0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기존 교량 양 측방으로 방음벽을 추가시공하기 위하여 다경간으로 시공(연속교량)되는 방음벽용 교량에 있어 풍하중에 의한 부반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되 교축방향으로의 온도 등에 의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시공되는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은 기존교량 측방에 종방향으로 교각부에서 강결된 교량용거더의 단부가 종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면에 부반력제어장치이 고정 설치된 교대부; 기존교량 측방에 양 교대부 사이에 이격되어 시공되며 상면에 거치된 교량용거더가 강결되어 거치된 교각부; 및 교각부 사이에서는 양 단부가 교각부에 강결되고, 교대부에서는 교대부 상면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부반력제어장치와 일체화되어 함께 종방향 슬라이딩되도록 거치된 교량용거더;를 포함한다.In order to construct additional soundproof walls on both sides of existing bridges,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negative reaction force by the wind load in the bridges for the sound barrier walls which are constructed by continuous construction (continuous bridges), so as to absorb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he temperature in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The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An alternating portion in which the device is fixedly installed; A bridging section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alternating sections on the side of the existing bridge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ridge girder is rigid; And a bridging girder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ordinate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gether with both ends of the bridging portion between the bridging portion and the bridging portion.

Description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및 그 시공방법{CONTINUOUS BRIDGE FOR REBUILDING SOUND PROOFING WALL NEXT TO EXIS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bridging structure for a sound barrier wall,

본 발명은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존 교량 양 측방으로 방음벽을 추가시공하기 위하여 다경간으로 시공(연속교량)되는 방음벽용 교량에 있어 풍하중에 의한 부반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되 교축방향으로의 온도 등에 의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시공되는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pan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construct additional soundproof walls on both sides of existing bridges,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buoyant force by the wind load in the bridges for the soundproof walls which are constructed by multiple spans (continuous bridges), and to absorb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he temperature in the throttle direction Span continuous bridges for soundproof wall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a는 종래 기설 교량에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교량 하부구조의 시공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A show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bridge substructure for installing a sound barrier on a conventional bridge.

기존 교량에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교량 하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교량(B)의 교대(10), 교각(12)의 상부에는 U형 오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U형 오목부(14) 상부에 교좌장치(16)가 설치되고, 상기 교좌장치(16) 상에 거더(18)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U형 오목부(14) 상부 양측면에 탄성고무패드(20)가 설치되며, 상기 거더(18) 상면에 슬래브(24)를 포함한 방음벽기초(22)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 U-shaped concave portion (14)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bridge (10) and a bridge pier (12) of the bridge (B) And a rubber pad 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shaped concave portion 14. The rubber pad 2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 , And a soundproof wall foundation 22 including a slab 24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8.

이에 상기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교량 하부구조는 기설 교량(10)에 강결접합부(32)를 형성시켜 방음벽기초(22) 상면에 설치되는 방음벽(28,26)에 작용하는 풍압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반력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The bridge substructure for installing the soundproof wall is formed by forming a steel joint portion 32 on the existing bridge 10 so that a portion of the bridging portion 32 generated by the wind pressure acting on the soundproof walls 28, It can be said that the reaction force can be controlled.

하지만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다경간 연속교량의 경우 양 교대 사이의 교각부(연속지점부)에서 교량연속화에 의한 휨 부모멘트가 추가로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단순 강결접합부(32)만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 for installing the soundproof wall, a bending moment due to the bridge sequencing is additionally generated at the bridge portion (consecutive focal point portion) between the two alternating portions.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only one.

또한,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다경간 연속교량의 경우 온도등에 의한 교축방향의 신축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데 방음벽은 거더상에 바로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 신축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어렵게 된다.In the case of a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 for installing soundproof wal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the throttle direction due to temperature or the like. Since the soundproof wall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girder,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to install the conventional expansion device.

도 1b는 종래 일방향 가동단 방식의 교량받침의 예시도이다.FIG. 1B is an illustration of a bridge support of the conventional unidirectional movable end type.

이에 이러한 일방향 가동단 방식의 종래 교량받침을 신축장치 대신 일방향 가동단 방식의 교량받침을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다경간 연속교량에 이용할 수는 있지만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bridge support of the one-way movable end type instead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for the one-way movable end type bridge for the multi-span continuous bridge for installing the soundproofing wall

이러한 교량받침은 도 1b와 같이 가이드프레임(60)을 이용하고 있어 교량받침의 일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크기 및 용량이 제한적이고 고가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종래 교량받침을 그대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에 이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게 된다.As shown in FIG. 1B, the bridge support is used as the guide frame 60 to allow one-way sliding of the bridge support. However, most of the bridge supports are limited in size and capacity and expensive. It becomes practically very difficult to use it.

도 1c는 종래 사장교에 있어 부반력방지 장치가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1C shows a state in which a negative reaction force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cable-stayed bridge.

이러한 교량에 있어 교량하부구조물의 부반력은 주로 사장교의 경간 비대칭으로 인한 케이블에 도입하는 장력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해 도 1c에서는 카운트웨이트(70)를 설치하고, 부반력제어케이블(80)로 카운트웨이트(70)를 고정구조물(교각등)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is bridge, the negative reaction force of the bridge substructure is mainly caused by the tension introduced into the cable due to the spindle asymmetry of the cable-stayed bridge. In order to control this, the count weight 70 is provided in FIG. 1C, ) Is used to fix the count weight 70 to a fixed structure (pier or the like).

하지만 이와 같이 부반력제어케이블(80), 카운트웨이트(70)는 현장여건에 따라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다경간 연속교량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게 된다.However, since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cable 80 and the count weight 70 may be difficult to apply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there is a limit to apply to the continuous span bridge for installing the sound barrier wall.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6-0033561호(발명의 명칭: 기설 교량에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교량 하부구조, 공개일자: 2016년03월28일)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033561 (title of the invention: bridge infrastructure for installing a sound barrier on an existing bridge, publication date: March 28, 20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108474호(발명의 명칭: 교량의 부반력 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교량의 구조, 공개일자: 2010년10월07일)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08474 (Title of the Invention: Structure of Bridge Reaction Control Device and Structure of Bridge Using It, Published on October 07,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70158호(발명의 명칭: 슬라이딩 방식 교체형 교량받침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교체방법, 공고일자: 2015년11월20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70158, entitled Sliding Type Interchangeable Bridge Bearing and Method for Replacing Bridge Bearing Using the same, Date of Announcement: November 20, 2015)

이에 본 발명은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 교량받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라멘교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되, 방음벽용 교량의 특성상 발생하는 풍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반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교축방향으로의 신축도 상쇄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시공이 가능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in the construction of a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ridge by using a brassiam brick which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not using the bridge bra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 capable of effectively constructing a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및 그 시공방법은 기존교량 측방에 종방향으로 교각부에서 강결된 교량용거더의 단부가 종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면에 부반력제어장치의 하부블록이 고정 설치된 교대부; 기존교량 측방에 양 교대부 사이에 이격되어 시공되며 상면에 거치된 교량용거더가 강결되어 거치된 교각부; 및 교각부 사이에서는 양 단부가 교각부에 강결되고, 교대부에서는 단부가 교대부 상면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부반력제어장치의 상부블록과 일체화되어 인발되지 않으면서 종방향 슬라이딩되도록 거치된 교량용거더;를 포함하며, 상기 부반력제어장치의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은 서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상기 양 교대부에 설치된 부반력제어장치는 교대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블록; 상기 하부블록 상부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상부블록; 및 상기 상부블록 상면으로부터 거치된 교량용거더의 단부를 관통하여 교량용거더의 단부 상면에 긴장 후 정착되는 교대부강봉;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블록은 저판 상면에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판은 교대부 상면에 미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블록은 레일과 맞물려지도록 하면서 종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내측레일홈부가 형성된 블록형태로서 종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교량용거더와 일체로 종방향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부블록 상면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어 교량용거더의 단부에 형성된 수직관통홀에 삽입된 교대부강봉의 하단부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체결홀에 하단부가 체결 고정된 교대부강봉을 상방 긴장 후, 교량용거더 상면에 고정 정착되도록 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span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herein the bridg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isting bridge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An alternating portion fixedly connected to the lower block; A bridging section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alternating sections on the side of the existing bridge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ridge girder is rigid; And the bridges a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without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Wherein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of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ar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installed at both of the shift portions includes a lower block fixed to the shift portion; An upper block slid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lock; And an alternating steel bar which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bridge girder fix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and is fixed after the ten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of the bridge girder, wherein the lower block has a rail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upper block is formed in a block shape having an inner rail groove portion so as to be longitudinally slidabl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ail and extended in the same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end of the alternating section steel bar inserted into the vertical through hole formed at the end of the bridge girder is fastened and fixed so that it can be longitudinally slid integrally with the bridge girder, And the upper end of the alternating-section steel bar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after the upward tension.

본 발명에 의한 인발방지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은 기존교량 총 연장이 길고 별도로 방음벽을 교량을 이용하여 시공해야 함에 있어서, 교축방향으로의 신축을 흡수하면서, 풍하중에 의한 부반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다수 교량받침 및 신축장치를 설치하지 않아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인발방지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The continuous bridges for a sound insulation wall constructed to prevent draw-out and extend and re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long overall length of existing bridges and must be separately constructed using bridges. Therefore, while absorb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the throttl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span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are designed to prevent draw-out and extend and retract for economical construction without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bridge supports and expansion / contraction devices.

도 1a는 종래 기설 교량에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교량 하부구조의 시공도,
도 1b는 종래 일방향 가동단 방식의 교량받침의 예시도,
도 1c는 종래 사장교에 있어 부반력방지 장치가 설치상태도,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의 양 교대부, 연속지점부 및 부반력제어장치의 구성사시도,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FIG. 1A is a construction view of a bridge substructure for installing a noise barrier on a conventional bridge,
Fig. 1B is an illustration of a conventional one-way movable end type bridge support,
FIG. 1C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uxiliary reaction force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FIGS. 2A, 2B, 2C, 2D, and 2E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alternating portions, the continuous point portions, and the negative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of the multihollow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3B, 3C and 3D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tinuous bridged multi-span bridge for soundproof 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인발방지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Multi-span continuous bridges for soundproof walls designed to prevent breakage and extend and retract]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인발방지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100, 이하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이라 한다.)의 양 교대부, 연속지점부 및 부반력제어장치의 구성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2A, 2B, 2C, 2D, and 2E illustrate a double-span continuous bridg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inuous multi-span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s) A continuous-point portion, and a negative-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100)은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이 아닌 방음벽(300)이 거더 상면에 시공되는 교량으로서 양 교대 사이에 교각이 설치되는 다경간 연속교량이다.The continuous bridges 100 for the soundproof walls are continuous bridges that are not bridges to which vehicles pass, but bridges 30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s.

이에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전 경간을 라멘형식으로 적용하는 경우 강결조건 때문에 특히 온도,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로 인해 양 교각(교대)은 큰 변위로 인해 매우 큰 휨 모멘트가 발생되어 단면이 과다하게 커지거나 필요이상의 많은 철근을 적용해야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교량하부구조의 크기가 매우 크게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ntire span of multi-span continuous bridges for soundproof walls is applied in the form of a ramen, due to the strong condition, especially due to the temperature, shrinkage and creep displacement, a large bending moment There is a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becomes excessively large or a large number of reinforcing bars need to be applied more than necessary, which leads to a very larg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bridge substructure.

이에 본 발명은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에 있어 양 교대에 있어서는 거치되는 거더의 양 단부가 교축방향(종방향)으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신축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s for soundproof walls, in both alternations, both ends of the girder to be accommodated can be stretched or shrunk so as to absorb the displacement in the throttling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의 특성으로 인해 교축직각 방향의 하중에 의해 구조물의 거동이 지배되는데 그 이유는 교축직각방향(횡방향)의 풍하중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거더에 부반력이 발생하게 되며 거더는 어떤식으로든 교량하부구조물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Als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bridges for multi - span sound - proof walls, the behavior of the structure is governed by the loa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at, because the wind loa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at (lateral direction) occurs. As a result, buckling occurs in the girder and the girder needs to be fixed to the bridge substructure in any way.

이에 본 발명에서는 부반력에 저항할 수 있으면서도 교축방향의 이동을 위해서는 부반력 제어 및 교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negative reaction force and moving in the throttling direction for movement in the throttling direction while being able to withstand the negative reaction force.

이러한 부반력 제어와 교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장치로서 사용되는 장치가 부반력제어장치(400)이다.The device used as a device capable of such sub-reaction force control and throttling movement is a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

이에 본 발명에 의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100)은 교각부(110) 및 양 교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하부구조와 교량용거더(200)와 방음벽(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예컨대, 상기 교대부(120)에 부반력제어장치(400)가 설치된다.The continuous bridges 100 for a sound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substructure including a bridge portion 110 and two alternating portions 120 and a bridge girder 200 and a sound barrier 300 For example, a negative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is installed in the alternating portion 120. [

먼저 상기 교량하부구조의 교각부(11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파일이 시공되는 기초부 상면에 기둥부 및 기둥부 상면에 형성된 코핑부(111)를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2A and 2B, the bridge portion 110 of the bridge substructure is formed to include a column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where the pile is installed, and a coping portion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umn portion,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인접한 교량용거더(200)의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한 후, 강결되는 부위로서 이에 본 발명에 의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은 라멘화 방식으로 시공됨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bridging continuous bridges for soundproof 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ructed by the ramen method after both end portions of the adjacent bridge girder 200 installed in the throttling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are supported, .

이에 상기 코핑부(111)에는 내부로부터 상면을 거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매립 시공된 교각부강결봉(112)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교각부강결봉(112)이 거치되는 교량용거더(200) 단부를 관통하여 교각부강결봉(112) 상단은 교량용거더(200)의 상면에서 지압판을 이용하여 체결구로 정착되도록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ridge portion 111 is formed with a bridge piercing rod 112 buried and form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inside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200 where the bridge piercing rod 112 is mount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ridge piercing rod 11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200 by using a support plate.

이에 교각부(110)에 양 교량용거더(200)는 교각부강결봉(112)에 의하여 강결되어 라멘화 됨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girders 200 for both bridges are reinforced by the bridge piercing rods 112 to be bridged to the bridges 110.

이에 교각부(110)에서 강결된 교량용거더(200)는 종방향으로 온도 등에 의하여 신축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축에 의한 종방형 변위는 양 교대부(120)에서 구속되지 않도록 하여 흡수되도록 하게 된다.The bridge girder (200) which is tightened at the bridge part (110) is expanded or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emperature or the like. The vertical displacement du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absorbed by the two shift parts (120) so as not to be constrained.

이에 상기 교량하부구조의 교대부(120)는 도 2c 및 도 2d와 같이 파일이 시공되는 기초부 상면에 기둥부 및 기둥부 상면에 형성된 코핑부(121)를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함은 교각부(110)와 동일하며, 2C and 2D, the alternating portion 120 of the bridge substructure is formed to include a column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where the pile is installed and a coping portion 1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umn portion, 110,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량용거더(200)의 단부는 교축방향으로의 변위를 구속하지 않도록 하면서 인발이 방지될 수 있도록 부반력제어장치(400)를 교대부(120)의 코핑부(121) 상면에 설치하게 된다.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200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throttling axis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while restraining displacement in the throttl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코핑부(121) 상면 중앙부에 설치된 탄성패드(122)를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elastic pad 122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121 is formed.

즉, 교각부(110)에서 서로 강결된 교량용거더(200)는 양 교대부(120)에서 종방향 변위가 최종 발생되도록 하기 때문에,That is, since the bridge girder (200) which is tightened at the bridge portion (110) causes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to be finally generated at both of the shift portions (120)

상기 교량용거더(200)가 양 교대부(120)에서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면서 종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구속되지 않도록 탄성패드(122)를 설치하게 된다.The elastic pad 122 is installed so that the bridge girder 200 is stably mounted at both the shift portions 120 and is not constrained even if the displacement occu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탄성패드(122)는 상면 미끄럼이 가능하게 되므로 교량용거더(200)의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여도 이를 구속하지 않게 된다.Since the elastic pad 122 is slidable on the upper surface, even if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bridge girder 200 occurs, it is not constrained.

이때 상기 탄성패드(122)의 높이 조정을 위하여 코핑부(121) 상면에 무수축모르타르를 일정두께로 형성시키고 무수축모르타르 상면에 탄성패드(122)를 고정시켜 평탄성을 확보하면서 적절한 높이 세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lastic pad 122, a non-shrinkable morta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121 and the elastic pad 122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rink-proof mortar, .

이때 상기 교량용거더(200) 상면에는 지주와 방음판으로 구성된 방음벽(300)이 수직벽체 형태로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200 is provided with a sound insulation wall 300 composed of a support and a sound insulation plate in the form of a vertical wall.

이에 방음벽(300)에는 풍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교량용거더(200)는 교각부와 양 교대부에서 분력의 형태로 상방으로 작용하는 인발력이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a wind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ound barrier 300, and the bridge girder 200 generates a pulling force acting upward in the form of a component force at the pier portion and both alternating portions.

이때 교각부(110)에서는 교량용거더(200)가 코핑부(111)에 강결되므로 달리 문제가 없으나, At this time, there is no problem in the bridging part 110 because the bridging girder 200 is strong against the coping part 111,

교대부(120)에서는 교량용거더(200)를 코핑부(121)와 강결시키게 되면 종방향 변위를 구속하게 되므로 별도로 부반력제어장치(400)를 설치하여 인발력에 저항하도록 하게 된다.In the alternating section 120, when the bridge girder 200 is tightened with the coping portion 121,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is restrained. Therefore,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is installed to resist the pulling force.

이에 상기 부반력제어장치(400)는 교량용거더(200)의 교대부에 있어 종방향 변위를 구속하지 않으면서도 교량용거더(200)가 인발되지 않도록 교대부의 코핑부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It is important that the auxiliary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of the alternating portion so that the bridge girder 200 is not pulled out while restricting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in the alternate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200 .

도 2e는 상기 부반력제어장치(400)의 설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부블록(410)과 상부블록(420)으로 상,하 결합되도록 하되, 교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면서 종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2E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includes a lower block 410 and an upper block 420 so as to be upwardly and downwardly engaged with each other,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e와 같이,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E,

상기 하부블록(410)은 저판(411) 상면에 T형 레일(4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lower block 410 is formed such that a T-shaped rail 41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1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기 저판(411)은 코핑부(121) 상면에 미리 설치한 앵커볼트등으로 고정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bottom plate 41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121 with an anchor bolt or the like.

상기 T형 레일(412)은 상부블록(420)이 감싸도록 하여 상부블록(420)이 종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일종의 가이드부재이다.The T-shaped rail 412 is a kind of guide member that allows the upper block 420 to be longitudinally slidable so as to enclose the upper block 420.

이에 상기 T형 레일(412)의 상면에는 상부블록(420)의 마찰감소를 위하여 PETE 판이 상면에 노출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PETE 판과 접하는 상부블록에는 스테인레스판이 노출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of the upper block 420, a PETE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shaped rail 412, and a stainless steel plate is exposed on the upper block in contact with the PETE plate.

상기 상부블록(420)은 하부블록(410)에 맞물려 교량용거더(200)와 함께 종방향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종방향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다.The upper block 420 is adapted to engage the lower block 410 to be longitudinally slidable to absorb longitudinal displacement together with the bridge girder 200.

이에 상부블록(420)은 T형 레일(412)과 맞물려지도록 하면서 종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T형 레일(412) 형상에 대응하는 내측레일홈부(421)가 형성된 블록형태로서 종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upper block 420 is formed in a block shape having an inner rail groove portion 42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shaped rail 41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T-shaped rail 412 and longitudinally slidable, Respectively.

이에 상기 내측레일홈부(421)와 T형 레일(412)의 상면에 형성된 PETE 판과 접하는 부위에는 스테인레스판이 일체로 형성된다.A stainless steel plate is integrally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ETE plat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ail groove portion 421 and the T-shaped rail 412.

또한 교량용거더(200)와 일체로 종방향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부블록(420) 상면에는 체결홀(422)이 형성되어 있어 교량용거더(200)의 단부에 형성된 수직관통홀(210)에 삽입된 교대부강봉(430)의 하단부가 체결 고정되도록 하고, 교대부강봉(430)의 상단은 지압판에 의하여 교량용 거더 단부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A fastening hole 4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420 so as to be longitudinally slidable in unison with the bridge girder 200. The fastening hole 422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through hole 210 formed at the end of the bridge girder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alternating-portion rigid bar 43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end portion by a supporting plate.

이때, 상부블록(42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수직판 형태의 마감판(440)을 일체로 형성시켜 과도한 종방향 변위는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시키게 된다.At this time, a finishing plate 440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block 420 so that excessive longitudinal displacement is not generated.

즉, 마감판(440)에 T형 레일(412) 전면 및 배면이 접하면서 한정적인 종방향 변위에 의한 종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In other words, longitudinal sliding due to limited longitudinal displacement is possible while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T-shaped rail 412 abut on the finishing plate 440.

이러한 마감판(440)은 상부블록(42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볼트홀을 통해 볼트로 조립시켜 설치하면 된다.The finishing plate 440 may be assembled with bolts through bolt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block 420.

결국 본 발명의 부반력제어장치(400)는 교대부(120)의 코핑부(121)에 고정된 상부블록(420)에 하부블록(410)에 맞물려 있어 인반력에 저항하도록 하고, 상부블록(420)은 교량용거더(200)와 함께 교대부의 코핑부에 고정된 하부블록상에서 종방향 슬라이딩되면서 종방향 변위를 흡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The auxiliary reaction forc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the lower block 410 in the upper block 420 fixed to the coping portion 121 of the shift portion 120 so as to resist the reaction force of the lower block 410, 420 are longitudinally slid on the lower block fixed to the coping portion of the alternat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bridge girder 200 to absorb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이에 하부블록(410)의 종방향 연장길이는 상부블록(420)의 연장길이 보다 짧게 형성시켜 제한적인 종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The longitudinal extension length of the lower block 410 is shorter tha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upper block 420 so that limited longitudinal sliding is possible.

이로서 교각부(110)의 교각부강결봉(112)은 교대부의 코핑부(121)에 교량용거더(200) 단부가 강결되도록 설치되는 반면,The bridge piercing rod 112 of the pier portion 110 is installed such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200 is strong in the coping portion 121 of the alternating portion,

교대부(120)의 교대부강봉(430)은 교량용거더(200)와 부반력제어장치(400)의 상부블록(420)이 서로 일체화되어 함께 종방향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있음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The alternating section rigid bar 430 of the alternation section 120 functions to integrate the bridge girder 200 and the upper block 420 of the negative reaction force control apparatus 400 so as to be longitudinally slidable together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거더(200)는 교각부(110)에서 기초부와 일체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양 교대부에서 이러한 종방향 변위를 제한적으로 흡수하도록 하는 구조로 거치됨을 알 수 있으며, 종래와 달리 별도로 교량받침을 설치하거나 신축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gird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when a longitudinal displacement occurs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in the bridge portion 110, And it is unnecessary to install a bridge support or a stretching device separately from a conventional one.

본 발명의 예시는 편의상 교각부(110)와 교대부(120)로 구분하여 기술하지만, 다경간 연속교(통상 4경간이상)의 적용에 있어서 교대부는 종방향 변위를 흡수하기 위하여 부반력제어장치(400)가 설치되는 부위, 교각부는 교량용 거더가 강결되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erms of a piercing portion 110 and an alternating portion 120. However, in the application of a continuous multi-span bridge (usually four or more spans) (400) is installed, and the bridge portion is a portion where the bridge girder is strong.

[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of multi span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S. 3A, 3B, 3C, and 3D illustrate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tinuous bridged multi-span bridge for soundproof 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은 기존 교량에 추가 설치하지 못하는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기존 교량 측방에 설치되는 교량이다.The multispaced continuous bridges for soundproof walls are bridges installed on the sides of existing bridges to install soundproof walls that can not be installed in existing bridges.

이에 먼저 도 3a와 같이, 기존교량 측방에 교량하부구조를 시공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3A, the bridge substructure is constructed on the side of the existing bridge.

이러한 교량하부구조는 현장여건 및 방음벽 높이에 의한 하중, 풍압력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일을 시공하여 기초판을 시공하고, 기초판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부와 기둥부 상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코핑부(111,121)를 포함하도록 하되 양 교대부와 교각부 모두에 공통적으로 시공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ridge substructure has a minimum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and the wind pressure due to the site condition and the height of the soundproof wall.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the foundation by installing the pile, And coaxial portions 111 and 121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umn portion, but are commonly applied to both the alternating portion and the bridge portion.

도 3a에서는 3경간의 다경간 연속교량으로 시공되는 예로 도시되어 있어 2개의 교각부(110)와 양 교대부(120)가 각각 형성되어 코핑부(111)가 상부에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In FIG. 3A, three bridging bridges are shown, and two bridging portions 110 and two alternating portions 120 are formed so that the coping portion 11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

이때 상기 2개의 교각부(110)에 있어 코핑부(111)에는 교각부강결봉(112)이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two bridge portions 110, the bridge bridge 111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또한 양 교대부(120)의 중앙 상면에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코핑부(121) 상면에 무수축모르타르를 형성시키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탄성패드(122)를 고정시켜 평탄성을 확보하면서 높이 세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both shift portions 120, a non-shrinkable morta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121, and the elastic pad 12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

또한 양 교대부(120)의 코핑부 상면에 탄성패드(122) 양 측방으로 앞서 살펴본 하부블록(410)을 미리 고정 설치하고, 상기 하부블록(410)에 상부블록(420)이 맞물려지도록 하여 부반력제어장치(400)를 세팅시켜 놓고, 교대부강봉(430)도 상부블록에 세팅하여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며,The upper block 420 may be engaged with the lower block 410 by previously fixing the lower block 410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ad 1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of both the shift portions 120, The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is set, and the alternating-portion rigid bar 430 is also set on the upper block so as to extend upward,

교각부(110)에서는 교각부강결봉(112)이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In the pier portion 110, the bridge piercing rods 112 are extended from the upper surface.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교량용거더(200)를 양 교대부(120)와 교각부(110) 사이사이에 거치시키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B, the girder 200 for a bridge is placed between the alternate portion 120 and the bridge portion 110.

이러한 교량용거더(200)는 예컨대 PSC 거더로서 다양한 단면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강재거더, 강합성거더도 사용가능하다.Such a bridge girder 200 is, for example, a PSC girder which is manufactured in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and a steel girder or a steel composite girder can also be used.

이러한 교량용 거더의 양 단부에는 교대부(120)와 교각부(110)에서 각각 교각부강결봉(112)과 교대부강봉(430)이 관통 되어 상면에서 정착되도록 수직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At both ends of the bridge girder, vertical piercing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bridge piercing rods 112 and the alternating steel rods 430 penetrate through the alternating portion 120 and the piercing portion 110 and are fix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

이에 교대부와 교각부 사이에 거치되는 교량용 거더는 교각부에서는 교각부강결봉(112)이 단부에 관통되고, 교대부에서는 부반력제어장치(400)를 구성하는 상부블록(420)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교량용 거더 상면에 체결되는 교대부강봉(430)이 관통되도록 하고,The bridge girder installed between the alternating portion and the bridge portion penetrates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piercing rod 112 at the pier portion and the upper bridge block 420 is connected to the upper block 420 constituting the negative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at the alternate portion The lower end is fixed, and the alternating-portion rigid bar 430, which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교각부와 교각부 사이에 거치되는 교량용 거더는 양 교각부에서 교각부강결봉(112)이 단부에 관통되도록 하게 된다.The bridge girder which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portion and the bridge portion is made to allow the bridge bridge bundle rod 112 to pass through the end portions at both bridge portions.

이로서 교량용 거더들을 모두 거치시키게 되면 양 교대부, 교각부 상면과 교량용 거더의 상면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방음벽(300)을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girders for bridge are all mounted,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이에 도 3c와 같이 양 교대부(120)에서는 부반력제어장치(400)로부터 교대부강봉(430)을 상방 긴장 후, 교량용거더(200) 상면에 고정 정착하고, 교각부(110)에서도 함께 코핑부(111)로부터 교각부강결봉(112)상방 긴장 후, 교량용거더(200) 상면에 고정 정착하게 된다.3c, the alternating-strength steel bar 43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200 after the upward tension is applied thereto from the auxiliary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And is fixedly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200 after the bridge bridge rods 112 are tilted upwards from the coping portion 111.

이때, 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기 교각부(110)의 코핑부(111)는 상면이 H형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교량용거더(200)의 단부가 삽입 거치되도록 하고, In this case,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200 is inserted and fix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apping portion 111 of the bridge portion 110 is formed into an H-shaped cross-section,

양 교대부(120)의 코핑부(121)는 양 측벽마감부를 추가 형성시켜 U형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coping portion 121 of both alternating portions 120 is formed to have a U-shaped cross-section by additionally forming both side wall finish portions.

이로서 외부에서는 교량용 거더는 노출되지 않도록 하게 되어 미관상 효과가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bridges for bridges are not exposed from the outside, so that a cosmetic effect is obtained.

다음으로는 도 3d와 같이, 방음벽용 지주를 교량용 거더 상면에 종방향으로 다수 이격 설치하고,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방음판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방음벽(300)을 본 발명의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상면에 설치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D, a plurality of struts for soundproof walls are vert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and a soundproof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strut and the stru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110: 교각부 111: 코핑부
112: 교각부강결봉 120: 교대부
121: 코핑부 122: 탄성패드
200: 교량용거더 210: 수직관통홀
300: 방음벽 400:부반력제어장치
410: 하부블록 411: 저판
412: 레일 420: 상부블록
421: 내측레일홈부 422: 체결홀
430: 교대부강봉 440: 마감판
100: Multi span continuous bridge for soundproof wall
110: bridge portion 111:
112: bridge piercing rods 120:
121: Coping portion 122: Elastic pad
200: girder for bridge 210: vertical through hole
300: sound barrier 400: negative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10: lower block 411: bottom plate
412: rail 420: upper block
421: inner rail groove portion 422: fastening hole
430: Alternating steel bar 440: Finishing plate

Claims (10)

기존교량 측방에 종방향으로 교각부에서 강결된 교량용거더의 단부가 종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면에 부반력제어장치(400)의 하부블록(410)이 고정 설치된 교대부(120);
기존교량 측방에 양 교대부 사이에 이격되어 시공되며 상면에 거치된 교량용거더가 강결되어 거치된 교각부(110); 및
교각부(110) 사이에서는 양 단부가 교각부에 강결되고, 교대부(120)에서는 단부가 교대부 상면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부반력제어장치(400)의 상부블록(420)과 일체화되어 인발되지 않으면서 종방향 슬라이딩되도록 거치된 교량용거더(200);를 포함하며, 상기 부반력제어장치(400)의 상부블록(420)과 하부블록(410)은 서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상기 양 교대부에 설치된 부반력제어장치(400)는 교대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블록(410); 상기 하부블록(410) 상부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상부블록(420); 및 상기 상부블록 상면으로부터 거치된 교량용거더의 단부를 관통하여 교량용거더의 단부 상면에 긴장 후 정착되는 교대부강봉(43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블록(410)은 저판(411) 상면에 레일(4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판(411)은 교대부 상면에 미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블록(420)은 레일(412)과 맞물려지도록 하면서 종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내측레일홈부(421)가 형성된 블록형태로서 종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교량용거더(200)와 일체로 종방향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부블록(420) 상면에는 체결홀(422)이 형성되어 있어 교량용거더(200)의 단부에 형성된 수직관통홀(210)에 삽입된 교대부강봉(430)의 하단부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체결홀(422)에 하단부가 체결 고정된 교대부강봉(430)을 상방 긴장 후, 교량용거더(200) 상면에 고정 정착되도록 하는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An alternating portion 120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a lower block 410 of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is fixed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that is rigidly connected at the bri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isting bridge can be longitudinally slidable;
A bridging part 11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xisting bridge and spaced apart between the two alternating parts, the bridging girder being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bridge portion 110 are tightly coupled to the bridge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120 is integrated with the upper block 420 of the sub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without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lternation portion The upper block 420 and the lower block 410 of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ar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installed at both of the shift portions includes a lower block (410) fixed to the shift portion; An upper block 420 slidably mounted on the lower block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lternating steel bar 430 which passes through an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that is moun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and is fixed after the ten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The lower block 410 is formed integrally with a rail 4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1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ttom plate 41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lternating portion in advance,
The upper block 420 is formed in a block shape having an inner rail groove portion 421 so as to be longitudinally slidabl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ail 412, The upper block 4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422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alternating section steel bar 430 inserted into the vertical through hole 210 formed at the end of the bridge girder 200 Respectively,
Wherein the alternating section steel bar 430 having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fastened and fixed to the fastening hole 422 is fastened and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200 after upward ten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거더(200)는
교각부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교각부강결봉(112)이 교량용거더(200)의 단부를 관통하여 교량용거더의 단부 상면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여 교각부(120)에 강결되어 거치되도록 하는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idge girder (200)
The bridge piercing rods 112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portion are passed through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200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after being strained, Multi span continuous bridg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거더(200)는 양 단부에 교각부강결봉(112) 또는 교대부강봉(43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수직관통홀(210)이 형성된 PSC 거더를 포함하며 상면에 방음벽용 지주와 지주 사이의 방음판이 설치되는 방음벽이 설치되도록 하는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idge girder 200 includes a PSC girder formed with vertical through holes 210 through which bridge piercing rods 112 or alternating steel rods 430 can penetrate at both ends, A continuous bridge for multi-span soundproof walls to be installed with a soundproofing panel to be install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록(42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수직판 형태의 마감판(440)을 일체로 형성시켜 상부블록(420)이 하부블록(410)을 따라 마감판(440)에 막혀 제한적인 종방향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마감판(440)은 상부블록(420)의 양 측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nish plate 440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upper block 420 so that the upper block 420 is clogged along the lower block 410 to the finish plate 440, , And the finishing plate (4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block (420).
삭제delete 삭제delete (a) 기존교량 측방에 종방향으로 교각부에서 강결된 교량용거더의 단부가 종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면에 부반력제어장치(400)가 고정 설치된 교대부(120)를 시공하는 단계;
(b) 기존교량 측방에 양 교대부 사이에 이격되어 시공되며 상면에 거치된 교량용거더가 강결되어 거치된 교각부(110)를 시공하는 단계; 및
(c) 교각부(110) 사이에서는 양 단부가 교각부에 강결되고, 교대부(120)에서는 교대부 상면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부반력제어장치(400)와 일체화되어 인발되지 않으면서 종방향 슬라이딩되도록 교량용거더(200);를 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양 교대부에 설치된 부반력제어장치(400)는 교대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블록(410); 상기 하부블록(410) 상부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상부블록(420); 및 상기 상부블록 상면으로부터 거치된 교량용거더의 단부를 관통하여 교량용거더의 단부 상면에 긴장 후 정착되는 교대부강봉(43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블록(410)은 저판(411) 상면에 레일(4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판(411)은 교대부 상면에 미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블록(420)은 레일(412)과 맞물려지도록 하면서 종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내측레일홈부(421)가 형성된 블록형태로서 종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교량용거더(200)와 일체로 종방향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부블록(420) 상면에는 체결홀(422)이 형성되어 있어 교량용거더(200)의 단부에 형성된 수직관통홀(210)에 삽입된 교대부강봉(430)의 하단부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c) 단계의 교량용거더(200)를 거치후, 상기 체결홀(422)에 하단부가 체결 고정된 교대부강봉(430)을 상방 긴장 후, 교량용거더(200) 상면에 고정 정착되도록 하는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시공방법.
(a) installing an alternating portion (120) having a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fix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xisting bridge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which is rigid in the bri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lidable longitudinally;
(b) constructing a bridge portion 110 which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xisting bridge and spaced apart between the two alternating portions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And
(c) Both ends of the bridge portion 110 are tightly coupled to the bridge portion. In the alternation portion 120, the bridge portion 120 is not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lternating portion, but is integrated with the sub- (200) for slidably moving the bridge girder (200)
The sub-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installed at both of the shift portions of the step (a) includes a lower block 410 fixed to the shift portion; An upper block 420 slidably mounted on the lower block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lternating steel bar 430 which passes through an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that is moun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and is fixed after the ten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bridge girder,
The lower block 410 is formed integrally with a rail 4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1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ttom plate 41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lternating portion in advance,
The upper block 420 is formed in a block shape having an inner rail groove portion 421 so as to be longitudinally slidabl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ail 412, The upper block 4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422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alternating section steel bar 430 inserted into the vertical through hole 210 formed at the end of the bridge girder 200 Respectively,
After the bridge steel girder 200 of the step (c) is mounted, the alternating steel bar 430 having the lower end portion fastened and fixed to the fastening hole 422 is tensed upward and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200 A method of constructing continuous bridge for multi - span sound - proofing wall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교량용거더 상면에 방음벽(30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c)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n acoustic barrier (3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gird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교량용거더(200)가 양 교대부(120)에서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면서 종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구속되지 않도록 탄성패드(122)를 교대부 상면 중앙부에 더 설치하며, 상기 탄성패드(122) 양 측방으로 부반력제어장치(400)가 설치되도록 하는 방음벽용 다경간 연속교량 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a)
The elastic pad 122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lternating portion so that the bridge girder 200 is stably mounted at both the shift portions 120 and is not restrained even if the displacement occu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auxiliary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4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tinuous bridge.
KR1020170028904A 2017-03-07 2017-03-07 Continuous bridge for rebuilding sound proofing wall next to exis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788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04A KR101788025B1 (en) 2017-03-07 2017-03-07 Continuous bridge for rebuilding sound proofing wall next to exis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04A KR101788025B1 (en) 2017-03-07 2017-03-07 Continuous bridge for rebuilding sound proofing wall next to exis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025B1 true KR101788025B1 (en) 2017-10-20

Family

ID=6029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904A KR101788025B1 (en) 2017-03-07 2017-03-07 Continuous bridge for rebuilding sound proofing wall next to exis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0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34B1 (en) 2011-05-09 2012-04-17 김윤환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hinge joint in support parts and rigid joint in rahmen conner parts
KR101469150B1 (en) * 2014-07-14 2014-12-04 브릿지테크놀러지(주)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34B1 (en) 2011-05-09 2012-04-17 김윤환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hinge joint in support parts and rigid joint in rahmen conner parts
KR101469150B1 (en) * 2014-07-14 2014-12-04 브릿지테크놀러지(주)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700B1 (en) Reinforcement apparatus for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and temporary structure having the same
JP2007077630A (en) Continuous girder using precast main-girder segment, and its erection method
JP5539554B1 (en) Girder bridge connection structure and girder bridge structure
US7478450B2 (en)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KR102322249B1 (en) Expandable module type footbridge
KR20070080253A (en) Bracket and support for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JP6543084B2 (en) Structure
KR102216347B1 (en) Expandable double web cantilever with deflection reinforcing means
KR101135634B1 (en)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hinge joint in support parts and rigid joint in rahmen conner parts
JP6126932B2 (en) Function-separate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for bridges
KR101788025B1 (en) Continuous bridge for rebuilding sound proofing wall next to exis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JP2008214973A (en) Seismic-control bridge pier structure
KR20110093140A (en)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KR101161644B1 (en) Partially earth-anchored cable-stayed bridge using hinge connection part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163560B1 (en) Girdir and bridge hav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KR20190113718A (en) Negative reaction control and displacement absorb device for noise barrier of bridges, girder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6706071B2 (en) Function-separated damping structure for bridges
KR100648046B1 (en) Beam and Girder Reinforcing Apparatus using External Post-Tension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5652B1 (en)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KR101272119B1 (en) PSC box girder of Propiled steel web for constructing bridge
KR101688517B1 (en)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KR101556310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end-vertival tendon
JP5059687B2 (en) Building seismic control structure
KR102115518B1 (en) Long span frame structure
KR10225888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i type steel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