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652B1 -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 Google Patents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652B1
KR101585652B1 KR1020140141606A KR20140141606A KR101585652B1 KR 101585652 B1 KR101585652 B1 KR 101585652B1 KR 1020140141606 A KR1020140141606 A KR 1020140141606A KR 20140141606 A KR20140141606 A KR 20140141606A KR 101585652 B1 KR101585652 B1 KR 101585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eel column
upper structure
present
outer wal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형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헌산업
(주)한맥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헌산업, (주)한맥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헌산업
Priority to KR102014014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6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5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가 배면토압 지지를 위한 외측벽체와 내측벽체의 2중 벽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외측벽체 사이의 간격에는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강재기둥이 연직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부구조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으로 인한 변위를 강재기둥이 수용하고 외측벽체에는 전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외측벽체 후방의 배면토사에 이완이 발생하는 방지하여 접속슬래브의 파손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벽체와 강재기둥을 이용하여 지반과 구조물간의 상호작용 및 온도신축변위를 차단하는 구조의 교대를 가지는 교대일체식 교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대일체식 교량에 있어서, 교대(1)는,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배면토사(200)와 밀착하여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외측벽체(11), 상기 외측벽체(11)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 상태로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직하게 설치되는 내측벽체(12); 및 상기 외측벽체(11)와 상기 내측벽체(12) 사이의 간격에서 연직하게 설치되고 상단은 상부구조물(2)과 결합되어 상부구조물(2)로부터의 상재하중을 지지하는 강재기둥(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eel column supporting vertically the upper structure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gap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so that the alternation is made of the double wall structure of the outside wall and the inside wall for supporting the rear earth pressure, By preventing the steel column from receiving the displacement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tructure and preventing the back slope behind the outer wall supporting the back earth pressure from loosen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breakage of the connecting sla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ternate integral bridge having an alternation of structure that interrup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structure and the temperature extension and contraction displacement using a hollow wall and a steel column.
In the alternate integral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ternation (1) comprises a base portion (10), a vertically integrally installed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An inner wall 12 vertically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eel column 13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and whose upper end is coupled with the upper structure 2 to support the upper load from the upper structure 2 .

Description

중공벽체와 강재기둥을 이용하여 지반과 구조물간의 상호작용 및 온도신축변위를 차단하는 구조의 교대를 가지는 교대일체식 교량{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which has an alternating structure that intercep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structure and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splacement using a hollow wall and a steel column,

본 발명은 교대와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일체화된 라멘구조 형식의 교대일체식(橋臺一體式)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판으로부터의 하중은 상부구조물과 일체화된 강재기둥에 의해 지반으로 전달하되, 배면토사가 직접 강재기둥에 닿지 않도록 하여 배면토사로부터의 토압("배면토압")이 직접적으로 강재기둥에 가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바닥판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으로 인한 종방향(교축방향)으로의 변위("온도신축 변위")는 강재기둥이 수용하여 배면토사에는 전달하지 않게 함으로써, 배면토사에 이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의 파손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벽체와 강재기둥을 이용하여 지반과 구조물간의 상호작용 및 온도신축변위를 차단하는 구조의 교대를 가지는 교대일체식 교량"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integrated type bridge of a ramen structure type in which an upper structure of an alternation and a bridge are integrated. Specifically, the load from the bottom plate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by a steel column integrated with the upper structure ("Backside earth pressure") from the backside soil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steel column so that the backside soil does not directly touch the steel column and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splacement") of the steel slab is accommodated in the steel column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back slab, thereby preventing the slab from loosening and effectively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slab. A bridge with integral alternation of structure that interrupts the interaction between ground and structure an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using hollow wall and steel column " .

"라멘교량" 또는 "교대일체식 교량"이라고 불리는 종래의 교량에서 교대는 말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8911호에는 말뚝을 교대로서 이용한 교대일체식 교량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In conventional bridges referred to as "ramen bridges" or "alternating bridges ", alternations may be formed using pil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8911 discloses an example of a shift integral bridge using piles as an alternate.

이러한 말뚝으로 이루어진 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경우, 교대를 이루는 말뚝과 상부구조물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바닥판에 온도변화로 인한 신축 변위가 발생할 경우, 이러한 온도신축 변위는 교축방향(종방향)으로 교대를 이루는 말뚝에 직접 전달된다. 그런데 말뚝에는 배면토사가 직접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부구조물의 종방향 길이가 늘어나는 형태로 온도신축 변위가 발생할 경우, 교대를 이루는 말뚝은 배면토사 방향으로 변위되어 배면토사를 압축시키게 되고, 반대로 온도가 하강하여 상부구조물이 종방향으로 수축하게 되면 교대를 이루는 말뚝은 배면토사로부터 당겨지는 형태로 움직이게 된다. 즉, 상부구조물의 종방향 길이가 늘어나는 형태로 온도신축 변위가 발생할 경우, 교대를 이루고 있는 말뚝은 밀착하고 있던 배면토사 방향으로 변위되면서 배면토사를 압축시키게 된다. 그런데 온도가 하강하여 바닥판이 종방향으로 수축하게 되면 교대를 이루는 말뚝은 배면토사로부터 당겨지는 형태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배면토사와 말뚝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는 "교대 후방에서의 배면토사 이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배면토사의 상면에는 교대에 연속하여 접속슬래브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교대의 후방에서 배면토사의 이완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접속슬래브 하부에서의 지지력이 약화되어, 접속슬래브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bridges using alternating piles, the alternating pile and upper structure are integrated, so that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occurs on the bottom plate, thes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shifts in the throttling direction It is delivered directly to the stakes that form.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splacement occurs in the form of increasi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upper structure, the pile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soil slope so as to compress the soil slurry. 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structure contr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lternating pile moves in a form pulled from the back soil. That is, when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in the form of an increase i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upper structure, the alternating pile is com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closely adhered backlash, compressing the backlit gypsum.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bottom plate contr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lternating pile moves in the form of being pulled from the back soil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back soil and the pile, . When the loosening phenomenon of the back soil gypsum occurs at the rear of the alternate backing, the supporting forc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slab is weakened, and the connecting slab is damaged. hav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2037호에는 라멘교량에서 배면토압으로 인한 교대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교대 하단의 기초부 사이에 지지빔을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제안하는 교대 하단의 기초부 사이에 지지빔을 설치하는 방안은, 상부구조물의 온도신축 변위로 인한 교대 벽체 후방에서의 배면토사 이완현상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지빔의 설치로 인하여 교량하부의 통수단면 감소 등의 또다른 문제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2037 discloses a technique of installing a support beam between the base portions of the alternating lower ends to block alternating flows due to the back earth pressure in the ramen bridges. However,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support beams between the base portions of alternately lower ends proposed in the related art can not sufficiently prevent the rear surface soil relaxation phenomenon behind the alternate walls due to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upper structure, Which causes another problem such as redu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8911호(2006. 02. 02.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8911 (2006. 02. 02.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2037호(2008. 02. 12.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2037 (2008. 02. 12. Announcement).

본 발명은 라멘교와 같이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교대가 일체화되어 있는 교대일체식 교량에서 발생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강재기둥을 교대의 일부로 사용하여 강재기둥을 바닥판에 일체화시키고 강재기둥에 의해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형태의 교대일체식 교량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의 온도신축 변위가 말뚝을 통해서 배면토사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면토사 이완현상과 그에 따른 접속슬래브 하부의 지반 지지력 약화 및 접속슬래브 파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used by alternating integral bridges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integrated with the bridge as in the case of the ramen bridge. In particular, the steel column is used as a part of the alternation, In the case of a bridge with integral structure in which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is supported by a steel column, the temperature contraction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back soil through the pi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 ground supporting force lower part of a slab and a connection slab from being broke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구조물의 온도신축 변위가 교대를 이루는 강재기둥 후방의 배면토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교대 후방에서의 배면토사 이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접속슬래브 하부의 지반 지지력이 약화되는 것을 막아서 접속슬래브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교대일체형 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upper structure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ear soil gravel behind the alternate steel columns, thereby preventing the rear soil gravel relaxation from occurring in the rear of the altern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ternating-integral-type bridg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connection slab from being broken by preventing the ground supporting force from being weakened.

또한 본 발명은, 배면토사로부터의 배면토압이 직접적으로 강재기둥에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배면토압으로 인한 횡력으로부터 강재기둥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교대일체형 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ternate integral bridg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protecting a steel column from a lateral force due to a back earth pressure by minimizing the back earth pressure from rear soil gravel directly acting on the steel column .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구조물과, 상기 상부구조물의 종방향 양단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교대를 포함하며; 상기 교대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배면토사와 밀착하여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외측벽체, 상기 외측벽체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 상태로 상기 기초부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직하게 설치되는 내측벽체; 및 상기 외측벽체와 상기 내측벽체 사이의 간격에서 연직하게 설치되고 상단은 상부구조물과 결합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의 상재하중을 지지하는 강재기둥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부구조물에 발생한 온도신축 변위가 외측벽체와 배면토사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일체식 교량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including an upper structur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lternatingly provided integrally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pper structure; The alternation includes a base portion, an outer wall integrally and vertically provided integr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supporting the back soil press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gravel, An inner wall which is integrally and vertically installed; And a steel column vertically installed at a distance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nd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with the upper structure to support the upper load from the uppe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ring in the upper structur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er wall and the backing gypsum is provided.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교대일체형 교량에 있어서, 외측벽체와 내측벽체 사이의 간격에는, 강재기둥의 종방향 변위를 신축에 의해 수용할 수 있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채움재가 채워질 수 있으며, 외측벽체와 내측벽체)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연결체가 배치되어 내,외측벽체가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In the alternate integral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steel column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can be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outer side wall and the inner side wall, The inner and outer walls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교대일체식 교량에서는, 상부구조물에 온도신축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강재기둥만이 종방향으로 변위될 뿐이며 외측벽체로는 이러한 상부구조물의 온도신축 변위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외측벽체와 배면토사에는 바닥판의 온도신축 변위가 가해지지 않으며, 따라서 배면토사에 이완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In the alternate integral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in the upper structure, only the steel column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is dis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er wall,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ttom plate is not applied to the backing gravel and the backing gravel, so that the occurrence of the loosening of the backing gravel is also blocked.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배면토사의 이완으로 인한 접속슬래브 하부의 지지력 감소와 접속슬래브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ing of the supporting for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slab and the breakage of the connecting slab due to the relaxation of the rear soil gravel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대일체식 교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교대일체식 교량에 대한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대일체식 교량의 교대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2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교대일체형 교량에서 교대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C-C에 따른 교대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교대용 조립블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교대가 제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교대를 형성하기 위한 교대용 조립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선 E-E에 따른 횡방향으로의 개략적인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선 F-F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진 교대용 조립유닛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교대를 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횡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 후속하여 조립이 완료되어 본 발명의 교대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ing integral brid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along line AA of FIG. 1 for the alternate integral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B portion of FIG. 2 showing the alternating portion of the alternating integral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4 is an alternat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alternate integral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plan view, in sec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4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lter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using an alternate building block made of precast concre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ive building block for forming an alternat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line EE of Fig.
10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lternate assembly unit made of a precast concrete member is used to manufacture an alternat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of FIG. 11 is completed and the alter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FIG.
13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교대를 이루는 강재기둥과 일체화되는 상부구조물은, 단순히 판형태의 슬래브로 구성된 바닥판뿐만 아니라, 슬래브와 거더의 합성 구조를 가지는 것, 그리고 그 외에 교축방향(종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있는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후술하는 도면에서는 상부구조물로서 단순한 슬래브 형태의 바닥판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부구조물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외측"은 교대를 기준으로 배면토사 방향을 의미하며, "내측"은 이와 반대 방향 즉, 상부구조물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eel columns alternating with each other has not only a bottom plate composed of slabs of a plate type but also a structure having a composite of a slab and a girder, And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ing. That is, although a simple slab-type bottom plate is illustrated as an upper structure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shape of the upper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In the meantim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outer side " refers to the direction of backlash gravel on the basis of alternation, and "inner side " means the direction opposite thereto,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extend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대일체식 교량(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본 발명의 교대일체식 교량(100)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원 B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접속슬래브(3)와 상부구조물(2)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의 교대(1)만을 도시하되, H 빔으로 이루어진 강재기둥(13)의 웨브 위치에서 연직하게 절단한 형태로 보이도록 도시한 본 발명의 교대(1)에 대한 개략적인 횡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선 C-C에 따른 교대(1)의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alternating integral bridge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lternate integral brid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line AA of Figure 1 And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B portion of Fig. 2 is shown in Fig. 4 shows only the alterna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onnection slab 3 and the upper structure 2 not shown, but in the form of a vertical cut at the web position of the steel column 13 made of H beams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5 show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of an alternation (1) according to line C-C of Fig.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교대일체식 교량(100)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구조물(2)과, 상기 상부구조물(2)의 종방향 양단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교대(1)를 포함하는데, 상기한 본 발명의 교대(1)는, 기초부(10)와, 연직하게 설치되고 상단은 상부구조물(2)과 결합되어 있어 상부구조물(2)로부터의 상재하중을 지지하는 강재기둥(13)과, 상기 강재기둥(13)의 외측에서 강재기둥(13)과 간격을 두고 기초부(10)와 일체로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배면토사(200)와 밀착하여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외측벽체(11)와, 상기 강재기둥(13)의 내측에서 강재기둥(13)과 간격을 두고 외측벽체(11)와 마주한 상태로 기초부(10)와 일체로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내측벽체(1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강재기둥(13)과 외측벽체(11) 사이, 그리고 강재기둥(13)과 내측벽체(12) 사이에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재로 이루어진 채움재(14)가 채워져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연결체(17)가 구비되어 연결체(17)에 의해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가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체(17)는 단순한 봉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교대(1)의 높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 판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연결체(17)는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 사이에서, 외측벽체(11) 및 내측벽체(12)와 직교하는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alternating integral brid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ly extending upper structure 2 and a plurality of alternat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ortion 10 and the upper portion are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2 so as to support the upper load from the upper structure 2 A steel column 13 which is vertically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10 at an interval from the steel column 13 at the outside of the steel column 13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side gravel 200, And an inner wall 11 which is vertically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10 in a state of facing the outer wall 11 with an interval from the steel column 13 at the inner side of the steel column 13, And a wall (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ling material 14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elongation and contraction is filled between the steel column 13 and the outer wall 11 and between the steel column 13 and the inner wall 12 It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body 1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so that the outer wall 11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body 17, And the inner side wall 12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body 17 may be formed of a simple rod member, but may be formed of a plate member formed on the whole height or a part of the height of the alternation. That is, the connecting body 17 may be made of a concrete wall orthogonal to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

본 발명에 따른 교대일체식 교량(100)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구조물(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구조물(2)의 종방향 양단에는 교대(1)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구조물(2)의 종방향 양단에서 종방향으로는 접속슬래브(3)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구조물(2)과 접속슬래브(3) 사이에는 교량 신축이음(21)이 설치된다. The alternating integral brid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upper structure 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lternation 1 is provid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pper structure 2. [ A connecting slab 3 is arranged longitudinally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pper structure 2 and a bridge expansion joint 21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connecting slab 3. [

종래의 라멘교량 또는 교대일체식 교량과 달리, 본 발명의 교대일체식 교량(100)에서 교대(1)는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의 2중 벽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 사이의 공간에는 강재기둥(13)이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교대(1)에는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부(10)가 구비되고,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가 각각 기초부(10)와 일체를 이룬 상태로 연직하게 설치되는데,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있다. 외측벽체(11)는 배면토사(200)와 밀착하게 되어 배면토사(200)로부터 작용하게 되는 배면토압을 외측벽체(11)가 지지하게 된다.   Unlike a conventional ramen bridge or alternating integral bridge, in alternate integral brid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on 1 comprises a double wall of outer side wall 11 and inner side wall 12, And the steel column 13 is vertically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wall 11 and the inner side wall 12.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lterna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10 provided on the ground, and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portion 10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face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outer wall 1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oil gypsum 200 to support the rear soil pressure acting on the rear soil gypsum 200 by the outer wall 11. [

상부구조물(2)의 종방향 단부와 내,외측벽체(12, 11)의 상단 사이에는, 고무판, 탄성패드 등으로 이루어진 변위허용연결부재(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구조물(2)과 내,외측벽체(12, 11)의 상단 사이에 이와 같은 변위허용연결부재(22)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부구조물(2)과 내,외측벽체(12, 11)가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대변위를 허용할 수 있는 상태로 서로 연결된다. 변위허용연결부재(22)가 횡방향으로 내,외측벽체(12, 11)의 폭 전체에 해당하도록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상부구조물(2)과 내,외측벽체(12, 11)의 상단 사이의 간격이 변위허용연결부재(22)로 막혀 있으므로 이물질이 내,외측벽체(12, 1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변위허용연결부재(22)는 생략될 수 있는 것으로서, 내,외측벽체(12, 11)의 상단과 상부구조물(2)의 종방향 단부 하면 사이는 간격이 존재하여 서로 접합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A displacement permitting connecting member 22 composed of a rubber plate, an elastic pad or the lik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are provided with the displaceable connecting member 22 between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uppe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permit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are made of a member which is elonga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tire width of the outer side walls 12 and 11,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s is blocked by the displacement permitting connecting member 22,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11. However, the displacement permitting connecting member 22 may be omitted, and there is a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and the longitudinal end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2, It is also acceptable.

본 발명에서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 사이의 간격에는 강재기둥(13)이 연직하게 설치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강재기둥(13)이 H형 강재 빔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강재기둥(13)은 이러한 강재 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타 강관 파일이나 콘크리트 파일 등과 같이 강성을 가지는 빔 부재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강재기둥(13)의 하단은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기초부(10)에 일체로 결합되는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강재기둥(13)의 하단을 기초부(10)에 고정하기 위해서 강재기둥(13)의 하단에 결합판(130)을 구비하여,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고정부재(131)를 결합판(130)에 관통시켜 기초부(10)에 관입 고정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강재기둥(13)의 하단을 기초부(10)에 고정하는 방법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특히, 내,외측벽체(12, 11) 사이에 강재기둥(13)이 배치될 때,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강재기둥(13)의 하단에서 내,외측벽체(12, 11) 사이의 공간에 소정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재기둥(13)의 하단이 매립되도록 하는 묻힘 콘크리트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묻힘 콘크리트부(132)를 형성하게 되면 강재기둥(13)이 더욱 견고하게 연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column 13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 In the embodiment of the drawings, the steel column 13 is made of an H-shaped steel beam,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column 13 is not limited to such a steel beam, and other rigid beam members such as a steel pipe file, Is sufficient.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10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n order to fix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to the base 10 And a coupling plate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so that a fastening and fixing member 131 such as an anchor bolt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plate 130 and penetrates and fixes the base plate 10. However, the method of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to the base portion 10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Particularly, when the steel column 13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as shown in FIG. 4,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A concrete concrete part 132 may be formed by placing the concrete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is embedded. If the buried concrete portion 13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teel column 13 can be maintained in a more solid vertical state.

강재기둥(13)의 상단은 상부구조물(2)과 일체로 결합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강재기둥(13)의 상단이 상부구조물(2)의 콘크리트 내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어 상부구조물(2)과 일체화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강재기둥(13)은, 그 하단이 기초부(10)에 결합 고정되어 있고 그 상단이 상부구조물(2)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구조물(2)을 통해서 작용하는 상재하중은 강재기둥(13)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지반으로 전달된다. 즉, 강재기둥(13)은 상재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부재인 것이다. 그런데 강재기둥(13)은 상재하중을 지지하는 기능 이외에 상부구조물(2)의 온도신축 변위를 수용하는 구조부재이기도 하다. 강재기둥(13)은 상부구조물(2)과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상부구조물(2)에 종방향의 온도신축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그에 따라 강재기둥(13)도 종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효과는 후술한다. The upp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is integrally joined to the upper structure (2).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upp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i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upper structure 2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integrated with the upper structure 2. [ Since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is fixedly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structure 2, the upper load acting through the upper structure 2, And finally transmit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column (13). That is, the steel column 13 is a structural member that supports the overhead load. However, the steel column 13 is a structural member that accommodates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2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upper load. Since the steel column 13 is integrated with the upper structure 2, when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ccurs in the upper structure 2, the steel column 13 is also dis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ffect of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강재기둥(13)이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므로, 외측벽체(11)는 강재기둥(13)의 외측에서 강재기둥(13)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고, 내측벽체(12)는 강재기둥(13)의 내측에서 강재기둥(13)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강재기둥(13)과 내,외측벽체(12, 11)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강재기둥(13)과 내,외측벽체(12, 11) 사이의 공간은 비어 있는 상태로 두어도 무방하지만, 우수나 기타 이물질이 간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EPS 등과 같이 강재기둥(13)의 종방향 변위를 신축에 의해 수용할 수 있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채움재(14)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앞서 설명한 묻힘 콘크리트부(132)는 생략이 가능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내,외측벽체(12, 11) 사이의 공간 전부를 채움재(14)로 채울 수도 있다. Since the steel column 13 is provided at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the outer wall 11 i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steel column 13 from the outside of the steel column 13 The inner side wall 12 is located at an interval from the steel column 13 inside the steel column 13 so that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steel column 13 and the inside and outside walls 12 and 11 do. The space between the steel columns 13 and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may be left empty.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or other foreign matter into the spaces, the steel columns 13, It is preferable to fill the filling material 14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elastic member 14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4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viously described buried concrete portion 132 is omissible, and as shown in FIG. 6, The entire space between the walls 12 and 11 may be filled with the filling material 14. [

이와 같이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로 이루어진 2중 벽체를 가지고 있고 하중지지 기능의 강재기둥(13)이 내,외측벽체(12, 11) 사이에 연직하게 설치된 구성을 가지는 교대(1)를 구비한 본 발명의 교대일체식 교량(100)에서는 상부구조물(2)에 발생하는 온도신축 변위가 외측벽체(11)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교대일체식 교량(100)에서, 외측벽체(11)와 강재기둥(13) 사이, 그리고 내측벽체(12)와 강재기둥(13) 사이에는 각각 종방향으로 간격이 존재하므로, 상부구조물(2)에 종방향의 온도신축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단지 상부구조물(2)과 일체화되어 있는 강재기둥(13)만이 종방향으로 변위될 뿐이며, 이러한 강재기둥(13)의 종방향 변위는, 빈 공간 또는 채움재(14)에 의해 강재기둥(13)과 분리되어 있는 외측벽체(11) 및 내측벽체(12)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즉, 채움재(14)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강재기둥(13)에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강재기둥(13)의 종방향 변위는 외측벽체(11) 및 내측벽체(12) 어느 것으로도 전달되지 않게 되며, 채움재(14)가 존재하더라도 강재기둥(13)의 종방향 변위는 채움재(14)의 변형에 의해 흡수되므로, 강재기둥(13)의 종방향 변위는 외측벽체(11) 또는 내측벽체(12)로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극히 미미한 크기로만 전달된다. In this way, the steel columns 13 having a load supporting function and having a double wall made up of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are arranged alternately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1, the temperature stretching displacement generated in the upper structure 2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er wall 11 in the alternate integral brid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n the alternate integral brid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g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steel column 13, and between the inner wall 12 and the steel column 13, Even if longitudinal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in the upper structure 2, only the steel column 13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structure 2 is dis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steel column 13,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side wall 11 and the inside wall 12 separated from the steel column 13 by the empty space or the filling material 14. [ That is, even if longitudinal displacement occurs in the steel column 13 in the absence of the filler 14,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steel column 13 can be achieved by any of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steel column 13 is absorb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iller 14 so that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steel column 13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er wall 11 or the inner side It is not delivered to the wall 12 or is delivered only to a very small size.

종래 기술의 경우, 교대가 상부구조물과 완전히 일체화되어 상부구조물과 교대가 함께 종방향으로 변위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부구조물에 온도신축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가 발생할 경우, 이러한 종방향 변위는 직접적으로 교대로 전달되고, 결국 교대의 배면에 직접 밀착되어 있는 배면토사에 변위가 가해지게 되어 배면토사의 이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ince the alternation is completely integrated with the superstructure and the superstructure and the alternation are dis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gether, when such longitudinal displacement occurs due to temperature expansion in the superstructure, such longitudinal displacement is directly So that the displacement is applied to the rear soil gypsum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alternation, resulting in the relaxation of the rear soil gypsum.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의 교대일체식 교량(100)의 경우, 상부구조물(2)에 온도신축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단지 강재기둥(13)만이 종방향으로 변위될 뿐이며, 외측벽체(11)로는 이러한 상부구조물(2)의 온도신축 변위가 실질적으로는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외측벽체(11)와 배면토사(200)에는 상부구조물(2)의 온도신축 변위가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배면토사(200)에 이완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그에 따라 배면토사(200)의 이완에 따른 지지력 악화 및 이로 인한 접속슬래브(3) 하부의 지지력 감소와 접속슬래브(3)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lternate integral brid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teel column 13 is dis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ven if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in the upper structure 2,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upper structure 2 is substantially not transmitted. That is,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2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outer wall 11 and the backsheet gravel 20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osening phenomenon of the backsided gravel 200 from being originally cut off, thereby deteriorating the supporting force due to the loosening of the back gypsum 200 and thereby redu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slab 3, The effect that the breakag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면토사(200)에는 외측벽체(11)만이 직접 접촉하고 있고, 강재기둥(13)은 배면토사(200)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외측벽체(11)가 배면토사(200)와 밀착하고 있어서 배면토압을 지지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강재기둥(13)에는 배면토압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배면토압이 강재기둥(13)에 직접 가해지지 않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배면토압으로 인한 횡력으로부터 강재기둥(13)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 사이에는 연결체(17)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연결체(17)가 구비되는 경우, 외측벽체(11)에 가해지는 배면토압이 연결체(17)를 통해서 내측벽체(12)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외측벽체(11) 뿐만 아니라 내측벽체(12)도 함께 배면토압을 지지하게 되므로, 배면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outer wall member 11 directly contacts the backsided gravels 200, and the steel columns 13 do not contact the backside gravels 200. That is, the outer wall 11 closely contacts the rear soil gypsum 200 to support the rear soil pressure, and the back soil pressure does not directly act on the steel column 13.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ck soil pressure is not applied directly to the steel columns 13, the steel columns 13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from the lateral forces due to the back earth pressure. Particularly, 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 connecting body 17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When the connecting body 17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earth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inner side wall 12 via the connecting body 17 so that the inner side wall 12 as well as the outer side wall 11 support the back earth pressure so that the resistance against the back earth pressure is further increased Effect is exerted.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강재기둥(13)의 내외측에 각각 내측벽체(12)와 외측벽체(11)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재기둥(13)의 좌굴변형 범위가 제한되어 강재기둥(13)에 과도한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강재기둥(13)의 급격한 좌굴파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가 상부구조물(2)의 하부에 존재하므로, 극한 상황에서 강재기둥(13)이 파괴되는 등의 현상으로 인하여 강재기둥(13)이 상부구조물(2)을 지지하는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내,외측벽체(12, 11)에 의해 상부구조물(2)이 지지되므로 교량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wall 12 and the outer wall 11 exist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eel column 13, the buckling deformation range of the steel column 13 is limi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occurrence of buckling and thereby to prevent sudden buckling failure of the steel column 13. [ Particularly, since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made of concrete exist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tructure 2, the steel column 13 is damaged due to the phenomenon that the steel column 13 is broken in an extreme situation, Even if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2 is lost, the upper structure 2 is supported by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so that the collapse of the bridg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교대(1)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내,외측벽체(12, 11)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즉, 내,외측벽체(12, 11)와 사이를 두고 강재기둥(13)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튜브형태의 거푸집부재(16)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기초부(10)를 시공하고 기초부(10)의 상면에 강재기둥(13)의 하단을 고정하여 강재기둥(13)을 연직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튜브형태의 거푸집부재(16)를 그 내부에 강재기둥(13)이 위치한 상태로 기초부(10) 상면에 연직하게 배치하고, 기타 내,외측벽체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외측벽체(11)와 상기 내측벽체(12)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고 이러한 공간 내에 강재기둥(13)이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교대(1)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can be easily secured, that is,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A tubular formwork 16 can be us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teel columns 13 can be installed. That is, the base member 10 is installed, and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0 so that the steel column 13 is vertically installed. The steel column 13 is placed inside the steel column 13 so as to be vertical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10 and the concrete is installed after the mold for forming the inside and outside walls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the alterna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walls 12 and the steel column 13 is vertically installed in such a space.

위의 실시예에서는, 내,외측벽체(12, 11)와 기초부(10)가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교대(1)를 제작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and the foundation 10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cast concre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recast concrete member Alternativ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produced.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교대(1)가 제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교대(1)를 형성하기 위한 교대용 조립블록(12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7의 선 E-E에 따른 횡방향으로의 개략적인 횡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7의 선 F-F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lterna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using a precast concrete memb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There is show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ive building block 120 for forming an altern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line EE of Figure 7 , And Fig. 10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line FF of Fig.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기초부(10)와 내,외측벽체(12, 11)가 서로 분리되어 있고, 내,외측벽체(12, 11)는 교대용 조립블록(120)의 연직방향 및 횡방향의 적층 조립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7 to 10, the base 10 and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1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Direction and in the lateral direction.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교대용 조립블록(120)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한 내측벽체판(122)과 외측벽체판(121), 그리고 상기 내측벽체판(122)과 상기 내측벽체판(121) 사이의 연결체(17)를 포함하고 있어서, 평단면의 형상이 영문자 H자 형상을 이루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다. 이 때, 교대용 조립블록(120)의 조립을 위하여, 내측벽체판(122)과 외측벽체판(121)에는 각각 연직방향으로의 긴장재 관통공(1160)이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도 긴장재 관통공(1150)이 형성되어 있다. 9, the alternating building block 120 includes an inner wall plate 122 and an outer wall plate 121 parallel to each other at longitudinally spaced intervals, and an inner wall plate 122, And a connecting body 17 between the wall plates 121. The pre-cast concrete block is pre-manufactured in the factory as a flat section having an alphabet letter H shape. At this time, in order to assemble the replacement building block 120, the inner wall plate 122 and the outer wall plate 121 are each provided with a tensile material through hole 116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through hole 1150 is formed.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은 연직방향으로 적층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도 서로 이웃하게 연속 배치된다. 기초부(10)에 강재기둥(13)을 연직하게 고정 설치하면서, 교대용 조립블록(120)의 영문자 H자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강재기둥(13)을 감싸도록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을 배치하고, 연직방향으로도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을 적층한다. As shown in Figs. 7, 9 and 10, the plurality of alternate building blocks 12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teel column 13 is vertically fixed to the base portion 10 so that the portions of the alternate assembly block 120 forming an English letter H shape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plurality of alternate assembly blocks 120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alternate assembly blocks 120 are also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이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이 연직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층되면, 횡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되는 내측벽체판(122)은 교대(1)의 내측벽체(12)를 형성하게 되고, 횡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되는 외측벽체판(121)은 교대(1)의 외측벽체(11)를 형성하게 되며, 그에 따라 외측벽체(11)와 상기 내측벽체(12) 사이의 공간에 강재기둥(13)이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교대(1)가 만들어진다.  When the plurality of alternate building blocks 12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wall plate 12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forms the inner wall 12 of the alternation 1 And the outer wall plate 12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forms the outer wall 11 of the alternation 1 so that the gap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columns 13 ar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steel plate 1 is made.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이 연직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층하고 이웃하게 배치할 때, 동일한 연직 높이에 있는 교대용 조립블록(120)들의 횡방향 긴장재 관통공(1150)에는 횡방향 긴장재(115)를 관통시킨다. 이렇게 교대(1)의 폭에 걸쳐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에 횡방향으로 횡방향 긴장재(115)를 관통 배치한 후에는, 횡방향 긴장재(115)를 긴장하여 정착함으로써,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을 횡방향으로 견고하게 일체화시켜 조립한다. 또한 연직방향으로도 연직 긴장재(116)의 하단을 기초부(10)에 매립해두고,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을 연직방향으로 적층할 때 연직 긴장재(116)를 교대용 조립블록(120)에 형성된 연직방향 긴장재 관통공(1160)에 관통 삽입하여, 연직방향으로 수직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들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연직 긴장재(116)를 관통 배치한다. 후속하여 연직 긴장재(116)를 긴장 정착함으로써, 연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을 견고하게 일체화시켜 조립한다. 즉, 횡방향 긴장재(115) 및 연직 긴장재(116)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을 횡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조립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교대(1)를 형성하는 것이다. 기초부(10)의 상면에 최하단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을 배치함에 있어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기초부(10)의 상면을 오목하게 형성한 후, 기초부(10)의 오목한 부분에 최하단의 교대용 조립블록(120)을 배치할 수도 있다. When the plurality of alternate building blocks 12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the transverse tensile material through holes 1150 of the alternate building blocks 120 at the same vertical height are provided with transverse tensions 115). After the transverse torsion members 115 are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alternate assembly blocks 120 over the width of the alternation 1, the transverse torsion members 115 are tightened and fixed, The assembly block 120 is firmly integr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vertical torsion members 116 are embedded in the base 10 and the vertical torsion members 116 are mounted on the alternate assembly blocks 120 when the plurality of alternate assembly blocks 12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tensile material through holes 116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ensile member 120 to vertically arrange the vertical tensile members 116 in a plurality of alternate assembly blocks 120 stack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Subsequently, the vertical torsion members 116 are tightly fixed, thereby assembling the plurality of alternating assembly blocks 120 firmly integ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 plurality of alternate building blocks 120 are assemb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by using the lateral tensions 115 and the vertical tensions 116 to form the alternation 1. In the arrangement of the lowermost alternating building block 1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is recessed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concav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The lowermost alternating assembly block 120 may be disposed.

한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교대(1)를 형성할 때, 횡방향으로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횡방향으로만 조립하여 본 발명의 교대(1)를 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횡단면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도 11의 상태에 후속하여 조립이 완료되어 본 발명의 교대(1)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lterna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using the precast concrete member, the assembly may be made only in the lateral direction.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cast concrete member is assembled on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manufacture the alterna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2. FIG.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lterna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교대용 조립유닛(110)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사전 제작하여 이를 횡방향으로 조립 연결하여 본 발명의 교대(1)를 형성하게 되는데, 교대용 조립유닛(100)은 기초부(10)와 내,외측벽체(12, 11)가 일체화되어 있되 내,외측벽체(12, 11) 사이에 연결체(17)가 존재하여 내,외측벽체(12, 11)와 연결체(17)에 의한 평단면의 형상이 영문자 H자 형상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부재이다. 이와 같이 교대용 조립유닛(110)을 이용한 구성에서,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교대용 조립유닛(110) 사이에 강재기둥(13)을 배치하여 고정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교대용 조립유닛(110)을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유닛(110)을 연속하여 배치하여 일체화시킨다. 이 때 교대용 조립유닛(110)에서 영문자 H자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강재기둥(13)을 감싸게 되고, 그에 따라 외측벽체(11)와 상기 내측벽체(12)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함과 동시에 이러한 공간 내에 강재기둥(13)이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교대(1)가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각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교대용 조립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조립하여 본 발명의 교대(1)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교대용 조립유닛(110) 간의 더욱 견고한 일체화를 위하여, 교대용 조립유닛(110)의 내,외측벽체 각각에 횡방향으로 횡방향 긴장재(115)를 관통 배치하고 긴장 정착함으로써 횡방향으로 교대용 조립유닛(110) 간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일체화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서도 강재기둥(13)과 내,외측벽체(12, 11) 사이의 공간에 채움재(14)를 채울 수 있으며, 기타 배면토사와의 관계 등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앞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11 to 13, the alternating assembly unit 110 is prefabricated with precast concrete members and assembl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form the alterna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have a base portion 10 and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ng body 17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to form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 And the connecting member 17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shape of the flat cross section becomes an alphabet letter H charact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using the alternate assembling unit 110, the steel columns 13 are disposed and fixed between the two alternate assembling units 11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alternate assembling units 110 are successively arranged and integrated. At this time, the portions of the alternate assembling unit 110, which are in the form of letter H, face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wrap the steel column 13, thereby forming a gap between the outer side wall 11 and the inner side wall 12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columns 13 are vertically installed in such a space is made. In order to manufacture the alternat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alternate assembly units 110 made of precast concrete members in the later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irmly integrate the alternate assembly units 110, The transverse torsion members 115 are horizontally disposed through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alternate assembling unit 110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re tightly fixed to each other, thereby introducing tension forces between the alternate assembly units 1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7 to 13, the filler 14 can be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teel column 13 and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a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effects such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back- 1 to 6, and a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1: 교대
2: 바닥판
3: 접속슬래브
10: 기초부
11: 외측벽체
12: 내측벽체
13: 말뚝
14: 채움재
15: 교량 신축이음
100: 교대일체식 교량
200: 배면토사
1: shift
2: bottom plate
3: Connection slab
10: Foundation
11: outer wall
12: Inner wall
13: Stake
14: Filler
15: Bridge expansion joint
100: Alternating integral bridge
200: Bottom soil

Claims (3)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구조물(2)과, 상기 상부구조물(2)의 종방향 양단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교대(1)를 포함하며;
교대(1)는,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배면토사(200)와 밀착하여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외측벽체(11), 상기 외측벽체(11)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 상태로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직하게 설치되는 내측벽체(12); 및 상기 외측벽체(11)와 상기 내측벽체(12) 사이의 간격에서 연직하게 설치되고 상단은 상부구조물(2)과 결합되어 상부구조물(2)로부터의 상재하중을 지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부구조물(2)에 종방향의 온도신축 변위가 발생하였을 때 상부구조물(2)의 온도신축 변위에 따라 상부구조물(2)과 함께 종방향으로 변위되는 강재기둥(13)을 포함하며;
강재기둥(13)의 하단에는 결합판(130)이 구비되고, 결합판(130)이 기초부(10) 위에 놓인 상태에서 체결고정부재(131)가 결합판(130)을 관통하여 기초부(10)에 관입 고정되어 강재기둥(13)의 하단이 기초부(10)에 고정되는데, 강재기둥(13)의 하단에서 내,외측벽체(12, 11)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재기둥(13)의 하단이 매립되도록 하는 묻힘 콘크리트부(132)가 형성된 후에, 묻힘 콘크리트부(132) 위로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 사이의 간격에는, 강재기둥(13)의 종방향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신축되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채움재(14)가 채워져 있고;
외측벽체(11)와 내측벽체(12)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연결체(17)가 배치되어 내,외측벽체(12, 11)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구조물(2)의 종방향 단부와 내,외측벽체(12, 11)의 상단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내,외측벽체(12, 11)의 폭 전체에 해당하도록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진 변위허용연결부재(22)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부구조물(2)과 내,외측벽체(12, 11)의 상단 사이의 간격이 변위허용연결부재(22)에 의해 막히게 되어 이물질이 내,외측벽체(12, 1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부구조물(2)과 내,외측벽체(12, 11)가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대변위를 허용할 수 있는 상태로 서로 연결되며;
외측벽체(11)와 강재기둥(13) 사이, 그리고 내측벽체(12)와 강재기둥(13) 사이에 각각 종방향으로 간격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상부구조물(2)에 발생한 온도신축 변위가 외측벽체(11)와 배면토사(2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일체식 교량.
An upper structure (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lternation (1) integrally provid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upper structure (2);
The alternation 1 includes a base 10, an outer wall 11 vertically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supporting the back soil press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oil 200, (12) integrally and vertically installed integral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11)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tructure 2 to support the upper load from the upper structure 2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structure 2 And a steel column (13) displaced longitudinally together with the upper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2) when a longitudinal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tructure (2).
A coupling plate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and the coupling and fixing member 131 passes through the coupling plate 130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late 130 is placed on the base portion 10, 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is fixed to the foundation 10. The concrete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11 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The gap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on the buried concrete portion 13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column 13 after the embedment concrete portion 132 for embedding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13 is formed A filler material 14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tretchable to accommodate the displacement is filled;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inner wall 12, a connecting body 17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11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displacement permitt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so as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o extend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outer walls 12,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uppe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and 11 is clogged by the displacement permitting connecting member 22 so that foreign matter is trapped in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11 and the upper structure 2 and the inner and outer walls 12,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allow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longitudi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upper structure 2 due to the longitudinally spaced distances between the outer wall 11 and the steel column 13 and between the inner wall 12 and the steel column 13, (120) and the rear soil gypsum (20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41606A 2014-10-20 2014-10-20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Active KR1015856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606A KR101585652B1 (en) 2014-10-20 2014-10-20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606A KR101585652B1 (en) 2014-10-20 2014-10-20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652B1 true KR101585652B1 (en) 2016-01-14

Family

ID=5517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606A Active KR101585652B1 (en) 2014-10-20 2014-10-20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65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459B1 (en) * 2017-08-11 2019-12-26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for coal shed using foundation member
KR20220070793A (en) * 2020-11-23 2022-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EP4039884A1 (en) * 2021-02-04 2022-08-10 Echterhoff Expressbrücken GmbH Bridge abutment with prefabricated concrete part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58B1 (en) * 2010-03-11 2010-10-01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with parapet
KR101216511B1 (en) * 2011-01-06 2012-12-31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Method for constructing a abutment of integral abutment b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58B1 (en) * 2010-03-11 2010-10-01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with parapet
KR101216511B1 (en) * 2011-01-06 2012-12-31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Method for constructing a abutment of integral abutment brid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459B1 (en) * 2017-08-11 2019-12-26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for coal shed using foundation member
KR20220070793A (en) * 2020-11-23 2022-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427300B1 (en) 2020-11-23 2022-08-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EP4039884A1 (en) * 2021-02-04 2022-08-10 Echterhoff Expressbrücken GmbH Bridge abutment with prefabricated concrete part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4397809A3 (en) * 2021-02-04 2024-09-18 Echterhoff Expressbrücken GmbH Bridge abutment with prefabricated concrete part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83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sing preflex girder and integral shift
KR100889273B1 (en) R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100983861B1 (en) Integral composite slab bridge without abutments, supports, and expansion join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64805B1 (e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EP1845199B1 (en) Floor slab bridge structure
KR101216511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abutment of integral abutment bridge
KR101762148B1 (en) Bridge using precast psc deck typ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585652B1 (en)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KR101127923B1 (en) Pylon of cable-stayed bridge having composite combin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00296B1 (en) Rapid cnstruction method of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end diaphragm
JP2007077630A (en) Continuous girder using precast main-girder segment, and its erection method
KR100548911B1 (en) Integrated composite shift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9209591A (en) Subsidence prevention measures for floor system
KR101567421B1 (en) Precast rahmen bridge without abut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163560B1 (en) Girdir and bridge hav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KR10104136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the long span ramen structure
KR10155755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jointless bridge using wide PSC beam
KR101314791B1 (en)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variable section
KR102512912B1 (en) PSC Block-type Arch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69003B1 (en) PS Girder Ra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555433B1 (en) Joint-free integral structure using concrete-filled fiber-reinforced composite piles
JP6536895B2 (en)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ed embankment integrated bridge
KR100622008B1 (en) Composite structure of integral shift bridge
JP7310406B2 (en) Support structure for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supporting earth retaining wall
JP5860723B2 (en) Floor slab bridge using square steel pi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