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951B1 -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951B1
KR101787951B1 KR1020170095339A KR20170095339A KR101787951B1 KR 101787951 B1 KR101787951 B1 KR 101787951B1 KR 1020170095339 A KR1020170095339 A KR 1020170095339A KR 20170095339 A KR20170095339 A KR 20170095339A KR 101787951 B1 KR101787951 B1 KR 10178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material
perforated
hol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이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호 filed Critical 이현호
Priority to KR102017009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발명은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판재에 천공되는 구멍을 시간차를 두어 형성하고, 요구되는 제품의 사양에 맞추어 앵글형 판재에 형성되는 구멍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다이와, 피성형품인 판재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판재에 구멍이 천공될 때 발생하는 스크랩이 낙하하도록 스크랩구멍이 형성된 판재거치부, 상기 판재가 상기 판재거치부에 거치되었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판재를 천공하도록 마련된 상부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다이는, 프레스본체부; 상기 프레스본체부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천공베이스; 상기 천공베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천공블럭; 상기 복수 개의 천공블럭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천공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 중 서로 인접한 천공핀은 높이방향으로 상호 간에 단차를 가진 상태로 프레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프레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Pressing Machine for Plate}
발명은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판재에 천공되는 구멍을 시간차를 두어 형성하고, 요구되는 제품의 사양에 맞추어 앵글형 판재에 형성되는 구멍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위 "ㄱ"자 앵글이라 불리는 판재는 편평한 면에 삽입홈(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앵글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열한 후 볼트/너트 도는 리벳을 삽입홈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앵글형 판재는 주로 수직, 수평하중을 견뎌야 하는 곳, 건축현장에서 중요한 자재(ex, 건축용 아웃코너)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11658호에 개시되는 팔레트 등, 자동차, 건설기계를 취급하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판재는 주로 경도가 높은 금속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앵글 펀칭'이라는 프레스 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앵글형 판재는 다른 앵글형 판재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프레스 장치는 앵글의 가공에 있어서 그 정밀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앵글형 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통상 "ㄱ"자 앵글의 꺾임부를 기준으로 양쪽 면에 모두 구멍을 천공해야 하는데, 이때 천공되는 구멍은 통상 꺾임부를 기준으로 양쪽 면에서 모두 대칭을 이루도록 가공하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는 작업자가 일반적으로 앵글형 판재의 일면이 프레싱된 이후, 타면을 프레싱하는 과정에서, 판재를 뒤집어 거치다이에 밀착하는 등 인위적인 행위가 가미될 수 밖에 없어 그 정밀성이 문제가 된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1519호에서는 "ㄱ"자 앵글을 양쪽에서 동시에 펀칭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레스 장치가 개시되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설비를 구축 및 운용함에 있어 그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프레스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천공핀을 통해 일거에 복수 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판재 가공법이 주로 이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성형된 판재의 경우 인접한 구멍 간 응력 간섭현상으로 인해, 성형이 완료된 판재의 구멍의 치수가 구멍마다 다소 어긋나게 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종래의 판재 프레싱 가공 장치 및 그 가공법은 신속한 가공으로 인한 높은 생산수율을 맞추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에, 위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서는 대응책이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2410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248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127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42946호 등록특허공보 제10-054151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앵글형 판재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앵글형 판재의 천공 작업에 있어서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한 프레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다이와, 피성형품인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ㄱ'자 앵글형 판재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판재에 구멍이 천공될 때 발생하는 스크랩이 낙하하도록 스크랩구멍이 형성된 판재거치부, 상기 판재가 상기 판재거치부에 거치될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판재를 천공하도록 마련된 상부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다이는, 프레스본체부; 상기 프레스본체부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천공베이스; 상기 천공베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천공블럭; 상기 복수 개의 천공블럭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천공핀을 포함하되, 상기 판재거치부는 상기 판재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 중 서로 인접한 천공핀은 높이방향으로 상호 간에 단차를 가진 상태로 프레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프레스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은 상기 판재 프레스 장치를 측단면에서 볼 때, 높이방향 단차로 인하여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이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은 상기 판재 프레스 장치를 측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 중 가운데에 위치한 천공핀을 기준으로, 가운데에 위치한 천공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천공블럭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천공핀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천공블럭은 포지션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판재거치부는 상부에 포지션이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스크랩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재거치부의 폭은 상기 판재의 제1면과 제2면의 폭을 더한 것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프레스 장치는 상기 판재거치부에 상기 피성형품인 판재가 거치될 때, 판재의 내측면과 맞닿아 판재를 지지하면서 판재의 폭방향으로 구멍이 천공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보조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재거치부에 상기 피성형품인 판재가 거치될 때, 판재의 내측면과 맞닿아 판재를 지지하면서 판재의 폭방향으로 구멍이 천공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측면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측면위치조절부에 대비하여 판재거치부로부터 보다 먼 위치에 설치되고, 판재의 외측면과 맞닿아 판재를 지지하는 판재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판재거치부의 폭은 천공되는 구멍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스 장치는 판재에 천공되는 구멍을 시간차를 두어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확보되고, 앵글형 판재에 형성되는 구멍을 꺾임부로부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데 있어 요구되는 제품의 사양에 맞추어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거치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에 구멍이 천공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가 판재거치부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판재가 판재거치부에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거치부의 폭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한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길이방향"이라고 함은 도 1에 도시된 좌표축에서 y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폭방향"이라고 함은 도 1에 도시된 좌표축에서 x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판재 프레스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거치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에 구멍이 천공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레스장치(100)는 하부다이(110)와, 피성형품인 판재(10)를 거치시키는 판재거치부(120), 상기 판재(10)가 상기 판재거치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판재거치부(120)를 향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판재(10)를 천공하도록 마련된 상부다이(130)를 포함한다. 상부다이(130) 하부에 부착된 구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부다이(130)의 일부를 점선으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의 피성형품인 판재(10)는 통상 "ㄱ"형상으로 이루어진 앵글형 판재일 수 있다. 여기서 “ㄱ”자 형상의 앵글형 판재의 경우 꺾임부를 중심으로 대칭인 제1면(10a)과 제2면(10b)을 가진다.
한편, 피성형 결과, 판재(10)에 형성되는 구멍은 장방형, 원형 등 판재(10)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재(10)에 형성되는 구멍은 후술하는 천공핀(136)의 모양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판재(10)는 주로 수평하중 또는 수직하중이 작용하는 건축물에서 외력을 견딜 수 있도록 사용되는 부재를 의미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판재(10)는 자동차, 건설기계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는 산업용 판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재거치부(120)는 상기 하부다이(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판재거치부(120)는 하부다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하부다이(110)와 별개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프레싱 작업시 하부다이(110)에 장착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상부다이(130)는 상기 판재거치부(120)에 올려져 있는 판재(10)에 복수 개의 구멍을 뚫는 프레싱 유닛으로서,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미도시)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강 이동하는 프레스본체부(131)와, 상기 프레스본체부(131)의 하면에 복수 개의 천공핀(136)이 구비된 격벽(132)가 구비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상부다이(130)가 하부다이(120)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기둥(137)이 상부다이(130)에 고정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프레스기둥(137)이 상기 상부다이(130)가 아닌 하부다이(120)에 고정연결될 수도 있다.
상부다이(130)의 구성 중, 천공핀(136)은 상부다이(130)가 하강 시 판재(10)와 접촉한 뒤 판재(10)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판재(10)에 구멍을 뚫는 구성으로서 그 형상 및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32)에는 복수 개의 천공핀(136)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예컨대 판재(10)에 지그재그로 배열된 구멍을 천공할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격벽(132) 상의 천공핀(136)의 배열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판재에 천공되는 구멍은 제품의 주문된 사양에 따라 더욱 다양한 형태의 배열로도 형성 가능하다.
판재거치부(120)에는 판재(10)가 가공된 이후에 판재(10)로부터 분리된 스크랩이 낙하할 수 있도록 스크랩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스크랩구멍(126)이 형성된 위치는 천공핀(136)이 장착된 위치와 대응되어야 하며, 스크랩구멍(126)은 적어도 천공핀(136)의 갯수보다 많아야 한다. 스크랩구멍(126)을 통해 판재(10)에서 분리된 스크랩이 판재거치부(120) 내부에 마련된 공간으로 낙하한다. 스크랩구멍(126)의 치수는 천공핀(136)이 프레싱 과정에서 스크랩구멍(126)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면 족하나, 천공과정에서 쉬어드룹(shear droop)을 줄이고, 깨끗한 전단면을 얻기 위해서는 천공핀(136)과 스크랩구멍(126)의 치수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한편, 배경기술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프레스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주로 문제되는 것은, 첫째, 촘촘한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인접한 구멍 간 응력 간섭현상이 발생하여 미소결함의 발생확률이 커지고, 그로 인해 성형이 완료된 판재의 내구성 및 사용연한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는 점과, 둘째, "ㄱ"자 형태 판재에 대하여 꺾임부위를 기준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서로 대칭인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구멍을 천공하는 경우 통상 프레싱 직전 판재를 판재거치부 상에 올려놓는 과정에서 인적요소(ex, 수작업)의 결합으로 인해, 천공작업의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첫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프레스 장치(100)는 복수 개의 천공핀(136) 중 서로 인접한 천공핀(136)은 프레스 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상호 간에 단차를 가지도록 하여 판재에 천공되는 구멍이 시간차를 가지고 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재(10)의 제1면(10a) 또는 제2면(10b)이 판재거치부(120)의 상면(120b)에 올려진 상태에서 복수 개의 천공핀(136)이 동시에 판재(10)를 가압하게 되면, 판재(10)에 맞닿는 천공핀(136)의 갯수만큼 판재(10) 상에 구멍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와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다이(130)는 프레스본체부(131)에 천공부가 형성된다. 천공부는 프레스본체부(131)의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는 격벽(132) 사이의 영역을 의미하고, 이 영역안에 다수의 천공핀(136)이 부착된다. 프레스본체부(131)의 하면에는 천공핀(136)은 천공베이스(133)가 형성되고, 천공베이스(133) 하부에는 고정블록(134)이 다수개 형성된다. 고정블록(134) 사이에 천공핀(136)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천공핀(136)은, 상기 판재 프레스 장치를 측면에서 볼때, 인접한 천공핀(136)끼리는 지그재그 형태로서, 서로 높이방향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공핀(136)의 구성을 이용하면, 판재(10)에 구멍이 형성되는 찰나의 시간 동안 복수 개의 구멍 중 서로 인접한 구멍은 시간 차를 두고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a)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본체부(131)의 하강과 함께 P2, P4, P6, P8의 천공핀이 먼저 구멍을 형성하면, 프레스본체부(131)가 더욱 하강하면서, P1, P3, P5, P7의 천공핀 또한 판재(10)를 가압하게 되고, P2, P4, P6, P8의 천공핀에 의해 새로운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판재(10)를 가압하여 발생하는 응력은, 복수 개의 구멍을 일거에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비해 시간적으로 분산되어 작용하므로 결과적으로 판재(10)의 내구성 및 수명연한이 향상된다.
또는, 위와 다른 실시예로서 도 2(b)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136)은 상기 판재 프레스 장치를 측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136) 중 가운데에 위치한 천공핀(136)을 기준으로, 가운데에 위치한 천공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천공블럭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천공핀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가운데에 있는 천공핀(136)은 고정블럭(134)의 하면으로부터 가장 길게 돌출될 수 있고, 가운데 천공핀(136)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고정블럭(134)의 하면으로부터 짧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위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격벽(132)의 구성은 도면상에 도시된 것처럼 천공베이스(133), 복수 개의 고정블럭(134) 및 복수 개의 천공핀(13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천공베이스(133)는 프레스본체부(131)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다. 천공베이스(133)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블럭(13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 복수 개의 고정블럭(134)은 모두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복수 개의 고정블럭(134)은 그 포지션이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고정블럭(134)을 프레스장치(100)의 폭방향(x방향과 평행한 방향), 길이방향(y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포지션을 조정하여, 프레스 가공에 있어 판재(10)에 천공되는 구멍의 간격과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천공핀(136)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럭(134) 중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고정블럭(134) 사이의 공간에 끼워맞춰져 천공베이스(133) 내부 방향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복수 개의 천공핀(136) 모두 동일한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서로 다른 치수(ex,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천공베이스(133)에는 단차형성부(135)가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단차형성부(135)는 도 3에 도시된다.
단차형성부(135)는 천공핀(136)이 천공베이스(133)를 향하여 삽입되는 방향에 마련된다. 단차형성부(135)는 고정블럭(134)처럼 특정한 형상을 갖는 구성요소의 개념일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형성블럭이 삽입되는 형태로 운영되는 공간일 수 있다. 단차형성블럭의 크기에 따라 단차형성부(135)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단차형성블럭이 작아 빈 공간이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천공되는 시간이 그 만큼 늦어지게 되어 천공시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성부(135) 또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는데 이곳에 서로 다른 크기의 단차형성블럭이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천공핀(1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천공핀(136)에 대하여, 인접한 천공핀과 높이방향(z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단형성부(135)가 형성되는 경우 천공핀(136)의 길이는 동일하다. 즉,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천공핀의 길이 조절로 천공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천공핀의 길이가 동일하지만 단차형성부(135)에 의해 천공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a),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높이가 다른 두 종류의 단차형성블럭을 마련하고, 홀수번째의 단차형성부(135)에는 높이가 작은 단차형성블럭(B1, B3, B5, B7)을 삽입하고 짝수번째의 단차형성부(135)에는 높이가 큰 단차형성블럭(B2, B4, B6, B8)을 삽입한 다음, 천공핀(136)이 고정블럭(134)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다이(110)가 하강하면 홀수번째의 천공핀 짝수번째의 천공핀에 비해 다소 늦은 시점에 판재(10)에 구멍을 뚫게 되는 시간차 프레싱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3(c)는 중앙 영역의 천공핀(P4)이 위치하는 천공형성블럭(B4)이 가장 크고 중앙을 중심으로 멀어질수록 천공형성블럭의 높이가 작아지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판재(10)의 중앙 부분이 가장 먼저 천공된 후 시간차를 두고 가장자리 영역들이 천공된다.
배경기술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프레스 장치들에서도 프레싱 작업시 대체로 천공핀의 높이를 제한하는 장치를 구비하고는 있으나, 구멍의 간격을 조절함에 있어서도 블럭의 위치의 변화가 불가능한 천공부의 구성을 가지고 있어 간격의 미세한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프레스 장치(100)는 고정블럭(134)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134)은 그 위치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것과 달리 격벽(132) 하부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복수 개의 천공블럭 사이에는 천공핀(136)이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블럭 위치고정용부목(D1, D2)를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당연히 천공블럭 위치고정용부목(D1, D2)은 천공블럭의 위치만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 구멍을 천공하는 데에는 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종래의 프레스 장치들에서는 본원 발명과 달리 시간차를 이용하여 천공하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프레스 장치와 본원발명의 프레스 장치 간에는 프레싱 작업에 의해 만들어진 판재(10)의 내구성 및 수명연한의 차이가 발생하며, 본원 발명의 프레스 장치에 의해 성형된 판재(10)는 보다 우수한 품질을 갖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판재거치부(120)의 상면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거치부(120)의 상면(120b)도 복수 개의 스크랩블럭(127)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크랩블럭(예컨대 h1, h2, h3, h4, h5, h6, h7, h8)들은 가이드(122)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상부다이(110)의 천공핀(110)에 대응하는 포지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만약,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천공되는 구멍이 판재(10) 상에서 일직선으로 형성되면 상기 고정블럭(134)과 스크랩블럭(127)들의 위치를 가변시킬 필요는 없겠으나, 도 5(b)와 같이 천공되는 구멍이 일직선으로 판재(10) 상에서 형성되지 않는다면 상기 고정블럭(134)과 스크랩블럭(127)의 위치를 가변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프레스 장치(100)에 의하면 인접한 구멍 간 응력 간섭현상을 저감하여 성형된 판재의 내구성 및 사용연한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판재(10)에 형성되는 천공 부위의 위치와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그에 쉽고, 능동적으로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두번째 문제에 대한 본원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가 판재거치부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판재가 판재거치부에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는 판재(10)의 꺾임부를 기준으로 제1면(10a)과 제2면(10b)에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단 도면상의 치수는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판재의 프레싱 가공에 있어서, 판재(10)의 형상 및 치수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계 설계되는데, 판재가 거치되는 판재거치부(120)의 형상 및 치수 또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싱 작업에 있어서, 판재(10)의 형상 및 치수가 변경되는 경우 항상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란 용이하지 않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0)에 형성되는 구멍의 위치가 판재(10)의 꺾임부를 기준으로 구멍이 중심부로부터 편심되어 위치하게 되는 경우는 각 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고 크기가 동일한 구멍을 천공하기가 매우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판재(10)의 꺾임부를 기준으로 구멍을 중심부로부터 편심되어 위치하게 해달라는 수요자의 요구가 종종 발생하는데, 판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인적요소(ex, 수작업)가 가미되므로 구멍이 형성되는 위치가 설계사항과 벗어날 위험이 높다.
일반적으로 판재(10)가 "ㄱ"자 앵글형 판재인 경우에는, 판재(10)는 제2면(10b)과 상기 제2면(10b)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연장된 제1면(10a)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통상의 프레스 장치에는 판재가 판재거치부에 안착되는 경우 제2면(10b)은 판재거치부의 상면과 맞닿게 되며, 제1면(10b)은 판재거치부의 측면과 맞닿게 된다. 제2면(10b)의 판재 프레싱 작업을 하고 나면, 작업자는 "ㄱ"자 판재를 뒤집어, 프레싱 가공되지 않은 제1면(10a)을 판재거치부에 거치하고, 제1면(10a)에 대한 프레싱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높은 생산수율을 유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프레싱 작업도중에는 판재 또는 판재에 천공되는 구멍의 치수가 변경된다는 특단의 사정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프레스 장치의 상부 다이의 위치나, 하부다이의 위치, 프레싱 가압력이나, 천공핀의 위치 등을 비롯한 각종 초기설정값들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만약, 판재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구멍에 대하여 간격이나 위치를 일정하게만 유지한다면, 작업자는 판재의 치수에 맞는 판재거치부를 설치하고, 판재를 판재거치부에 밀착시킨 후 프레싱하는 단순한 동작만을 반복하면 족하다.
그러나, 주문된 판재 제품의 사양이 달라지는 경우, 예컨대 천공되는 구멍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초기설정값들을 변화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초기설정값들의 변화란 상기 프레스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재배치(또는 재설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프레스 장치를 재배치하는 것이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임은 자명하다. 만약, 프레스 장치를 재배치하지 않고 구멍 판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작업을 계속한다면, 이와 같은 프레싱 작업에는 작업자의 직관에 의한 작업(ex, 판재의 거치과정 등)이 수반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주문된 판재 제품의 사양이 달라지더라도(ex, 천공되는 구멍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프레스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재배치 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작업자의 직관에 의한 작업을 수반하지 않는다면, 시간적, 비용적 효율을 도모하면서 구멍이 천공된 판재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문제 해결을 위해 본원 발명의 프레스 장치(100)는 하부다이와, 피성형품인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ㄱ'자 앵글형 판재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판재에 구멍이 천공될 때 발생하는 스크랩이 낙하하도록 스크랩구멍이 형성된 판재거치부, 상기 판재가 상기 판재거치부에 거치되었을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판재를 천공하도록 마련된 상부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다이는, 프레스본체부; 상기 프레스본체부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천공베이스; 상기 천공베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천공블럭; 상기 복수 개의 천공블럭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천공핀을 포함하되, 상기 판재거치부(120)는 상기 판재(1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판재거치부(120)의 폭을 판재(10)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면(10b)에 구멍을 천공한 이후, 이어서 제1면(10a)에 구멍을 천공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판재를 간단히 뒤집기만 하면 되므로 판재의 천공 작업이 용이해진다.
다만, 여기서의 상기 판재거치부(120)의 폭은 상기 판재의 제1면과 제2면의 폭을 더한 것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프레스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위치변화 없이 판재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함이다. 만약, 판재거치부(120)의 폭이 상기 판재의 제1면과 제2면의 폭을 더한 것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적어도 상부다이 또는 하부다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를 수반하여야 하는 바, 작업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재(10)에서 천공되는 위치가 판재의 중심부로부터 벗어나 편향되어 천공될 수 있도록 판재거치부(1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판재거치부(120)의 폭이 판재의 폭보다 넓으면 판재에서 천공되는 위치는 판재거치부의 확장된 폭만큼 중심부에서 벗어나 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판재(10)는 3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판재(10)의 꺽임부에서 천공되어 형성된 구멍의 시작점까지의 거리(a), 천공되어 형성된 구멍의 길이(b), 상기 구멍의 끝에서 판재(10)의 끝단까지의 거리(c)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판재거치부(120)의 길이가 판재의 전체 폭(a+b+c)보다 긴 경우, 판재(10)의 위치를 옮겨 판재의 제2 면(10b)에 천공하는 경우, 도 6의 (b)와 같이 판재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없이 판재의 꺽임부와 판재거치부(120)의 모서리를 맞추는 것만으로 제1 면(10a)과 동일한 위치에 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판재거치부(120)의 확장되는 부분(d)은 구멍의 길이(b)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10a)에 길이가 65mm이고, 꺽임부에서 천공되어 형성된 구멍의 시작점까지의 거리(a)가 33mm이고, 천공되어 형성된 구멍의 길이(b)가 19mm이고, 상기 구멍의 끝에서 판재(10)의 끝단까지의 거리(c)가 13mm 인 경우, 판재거치부(120)의 확장부의 길이(d)는 19mm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는 판재(10)의 내측면과 맞닿아 판재(10)를 안쪽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판재(10)의 폭 방향으로 구멍이 천공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측면위치조절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조정이 필요한 경우 판재(10)의 제1면(10b)이 판재거치부(120)가 아닌 측면위치조절부(124)에 맞닿도록 한다. 여기서 측면위치조절부(124)가 적용되는 거리 조정이 필요한 경우라고 함은, 구멍이 천공되는 위치가 기존에 설정된 위치에 대하여 변경된 경우 또는, 구멍이 천공되는 위치가 판재(10)의 중앙이 아닌 편심된 위치에 있는 경우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위치조절부(124)가 설치되는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거치부(120)에 마련된 리세스부(123) 또는 하부다이(110)에 마련된 리세스부(미도시)이며, 이처럼 측면위치조절부(124)는 하부다이(110) 또는 판재거치부(120) 내부에 설치되어 실시예에 따라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측면위치조절부(124)가 상향 돌출되면 판재거치부(120)의 측면과 평행한 위치에 자리잡는다. 또한, 측면위치조절부(124)는 상기 판재거치부(120)에 마련된 리스세부(123) 또는 하부다이(110)에 마련된 리세스부(미도시)의 폭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판재거치부(120)의 폭방향으로 구멍이 천공되는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면위치조절부(124)를 이용하면, 판재(10)의 제2면(10b)에 프레싱 작업을 수행한 이후, 프레싱되지 않은 제1면(10a)에 프레싱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직관에 의존하지 않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측면위치조절부(124) 및 리세스부(123)는 상기 판재거치부(1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프레스 장치는 측면위치조절부(124)에 대비하여 판재거치부(110)로부터 보다 먼 위치에 설치되고, 판재(10)의 외측면과 맞닿아 판재(10)를 바깥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판재고정부(125)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판재(10)의 제2면(10b)이 판재거치부(120)에 거치된 상태에서 측면위치조절부(124)와 판재고정부(125) 사이에 판재(10)의 제1면(10a)이 게재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프레싱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판재고정부(125)는 상기 판재(10)를 양 방향에서 고정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한 바,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이 좋다.
실시예에 따라 판재고정부(125)는 판재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판과, 가압판을 지지하는 아암 및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가압판 내부에 엑추에이터가 구비되어 실시예에 따라 판재의 폭방향으로 아암의 길이방향이 조절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위치조절부(124)의 위치와 상기 판재고정부(125)의 아암의 길이를 유기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판재를 내, 외측에서 견고히 잡아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는 판재거치부(120) 상면에 판재(10)가 거치되었을 때, 폭방향으로 판재(10)가 거치된 길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자(121a)가 형성된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스 장치(100)는 판재거치부(120) 상면에 판재(10)가 거치되었을 때, 판재(10)가 거치된 길이를 포함하여, 판재(10)에 천공되는 홀의 포지션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21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구멍이 천공되는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작업자가 천공위치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 8과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판재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는 판재 프레싱 방법과 판재거치부의 폭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거치부의 폭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판재 프레싱 방법은, 판재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구멍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 또는 폭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810); 판재를 천공하는 복수 개의 천공핀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 또는 폭방향 위치와, 상기 천공핀이 삽입 고정되는 복수 개의 천공블럭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 또는 폭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820); 상기 천공핀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 또는 폭방향 위치에 대응하여, 판재거치부의 스크랩블럭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 또는 폭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830); 및 상기 복수 개의 구멍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 및 폭방향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판재를 천공하는 천공핀의 단차를 설정하는 단계(S8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천공핀의 단차는 구멍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 및 폭방향의 위치 정보가 함께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 구멍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이 넓거나 폭방향의 위치가 인접하는 구멍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도 5(b) 참조)는 응력간섭이 적으므로 천공핀의 단차를 크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구멍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이 좁거나 폭방향의 위치가 인접하는 구멍과 대략 직선상 배열되는 경우(도 5(a) 참조)는 응력간섭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인접한 천공핀 간의 단차를 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에 대한 폭방향 위치에 대응하여 측면위치조절부(124)의 가동여부와, 가동 시 측면위치조절부(124)의 폭방향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단계(S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판재거치부의 폭을 결정하는 방법은, (a)판재의 폭을 결정하는 단계; (b)상기 판재에 천공되는 구멍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c)상기 판재에 천공되는 구멍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상기 (a)단계에서 결정된 판재의 폭으로부터, 상기 (b)단계에서 결정된 구멍의 크기를 감산하고,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구멍의 위치를 고려하여, 판재거치부(120)의 기 설정된 최초의 폭으로부터 부가되는 폭'a'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판재의 폭을 결정한다. 여기서, 판재는 'ㄱ'자 앵글형 판재이며, 꺾임부를 중심으로 제1면(10a)과 제2면(10b)이 상호 대칭형상이므로 폭은 양 쪽이 서로 동일하다. 예컨대, 판재의 폭을 65T로 결정하면, 그 다음 천공되는 구멍의 크기를 결정한다. 예컨대, 구멍의 가로변 길이를 19T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천공되는 구멍의 위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구멍의 천공되는 위치가 꺾임부로부터 33T 떨어진 곳에 형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은 판재거치부(120)의 기 설정된 최초의 폭으로부터 부가되는 폭 'd'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프레스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위치 변화 없이 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a) 단계에서 결정된 판재의 폭(65T)으로부터, 상기 (b)단계에서 결정된 구멍의 크기를 감산(65T-19T=46T)하고,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구멍의 위치를 고려(46T-33T=13T)하여, 판재거치부의 기 설정된 최초의 폭으로부터 부가되는 폭'a'를 결정(13T)하여야 한다. 여기서 결정되는 폭 'a'는 도 6에 도시된 참조부호 a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정된 폭 'd'만큼 판재거치부의 폭을 부가하는 방법으로는 최초 판재거치부의 설계사항에서 반영할 수도 있으나, 설계 후 부가 방법으로서 전술한 판재거치부의 확장 또는 측면위치조절부의 구성요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판재 프레싱 방법 및 판재거치부의 폭을 결정하는 방법의 각 단계 중 적어도 일부는 프레싱 작업자의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판재 프레싱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상기 천공핀과 천공블럭, 그리고 스크랩블럭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각종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는 각종 프로그램 언어, 코드, 스크립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구멍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과 폭방향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 개의 천공핀 간의 단차를 연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싱 방법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작업자가 요구하는 복수 개의 구멍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 및 폭방향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컴퓨팅 장치에 입력되면, 컴퓨팅 장치 내 연산 프로그램에 의해 복수 개의 구멍에 대한 길이방향 간격 및 폭방향 위치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인접한 천공핀의 천공과정에서 필요한 시간차 및, 상기 시간차를 형성하기 위한 천공핀의 단차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선 천공핀의 갯수, 복수 개의 천공핀이 구비되는 경우, 그 길이방향 간격 및 폭방향 위치에 따라, 천공과정에서 필요한 시간차 또는 인접한 천공핀의 단차는 테이블(table) 형식으로 프레스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레스 장치 110 : 하부다이
120 : 판재거치부 120a, 120b : 판재거치부 측면, 상면
121a, 121b : 폭방향 위치 식별자, 표시장치
123 : 리세스부 124 : 측면위치조절부
125 : 판재고정부 126 : 스크랩구멍
130 : 상부다이 131 : 프레스본체부
132 : 천공부 133 : 천공베이스
134 : 고정블럭 135 : 단차형성부
136 : 천공핀 137 : 프레스 기둥

Claims (7)

  1. 하부다이와, 피성형품인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ㄱ'자 앵글형 판재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판재에 구멍이 천공될 때 발생하는 스크랩이 낙하하도록 스크랩구멍이 형성된 판재거치부, 상기 판재가 상기 판재거치부에 거치될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판재를 천공하도록 마련된 상부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다이는, 프레스본체부; 상기 프레스본체부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천공베이스; 상기 천공베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천공블럭; 상기 복수 개의 천공블럭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천공핀을 포함하되,
    상기 판재거치부는 상기 판재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 중 서로 인접한 천공핀은 높이방향으로 상호 간에 단차를 가진 상태로 프레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프레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은 상기 판재 프레스 장치를 측단면에서 볼 때, 높이방향 단차로 인하여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이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프레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은 상기 판재 프레스 장치를 측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복수 개의 천공핀 중 가운데에 위치한 천공핀을 기준으로, 가운데에 위치한 천공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천공블럭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천공핀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프레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블럭은 포지션이 가변되고,
    상기 판재거치부는 상부에 포지션이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스크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프레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거치부의 폭은 상기 판재의 제1면과 제2면의 폭을 더한 것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프레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거치부의 폭은 천공되는 구멍의 길이와 동일한 판재 프레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거치부에 상기 피성형품인 판재가 거치될 때, 판재의 내측면과 맞닿아 판재를 지지하면서 판재의 폭방향으로 구멍이 천공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측면위치조절부; 및
    상기 측면위치조절부에 대비하여 판재거치부로부터 보다 먼 위치에 설치되고, 판재의 외측면과 맞닿아 판재를 지지하는 판재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프레스 장치.

KR1020170095339A 2017-07-27 2017-07-27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 KR10178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39A KR101787951B1 (ko) 2017-07-27 2017-07-27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39A KR101787951B1 (ko) 2017-07-27 2017-07-27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951B1 true KR101787951B1 (ko) 2017-10-18

Family

ID=6029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339A KR101787951B1 (ko) 2017-07-27 2017-07-27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9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079B1 (ko) 2006-10-31 2007-09-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곡면 프레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079B1 (ko) 2006-10-31 2007-09-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곡면 프레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456B2 (en) Draw di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0094398A (ja) 打抜き加工用パン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46769B1 (ko) 프레스 펀칭장치
US20060027626A1 (en) Method of processing formed product, and metal cope and metal drag used for the method
US2019009175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pressed product
WO2012042326A1 (en) An improved mechanism for upward lancing in a progressive die assembly
JP2006320941A (ja) プレス方法およびプレス型
KR101787951B1 (ko) 판재의 프레싱 가공장치
JP2006187780A (ja) プレス加工機
KR10075602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스트리퍼 및 그 가공방법
JP2009214146A (ja) プレス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19517A (ja) 金型支持装置
JP5942976B2 (ja) 加工装置及び曲げ加工方法
JP2011041967A (ja) プレス加工用金型
CN102248063B (zh) 一种冲孔模具的冲孔机构
JP2001286950A (ja) プレス加工用カムユニット
JP2005144493A (ja) 複動カム型
JP2731519B2 (ja) 導電性脚部の湾曲装置
EP3181255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ss-formed article and press forming apparatus
KR20210019724A (ko)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5881522B2 (ja) ヒール・ガイド
JP6354569B2 (ja) 被加工部材の曲げ加工装置
CN210850564U (zh) 一种散热器冲孔装置
JP3564471B1 (ja) プレス用金型及びパンチプレス機用ダイ金型
JPH10128465A (ja) プレス型のカ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