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936B1 - 텐셔너 - Google Patents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936B1
KR101787936B1 KR1020167024304A KR20167024304A KR101787936B1 KR 101787936 B1 KR101787936 B1 KR 101787936B1 KR 1020167024304 A KR1020167024304 A KR 1020167024304A KR 20167024304 A KR20167024304 A KR 20167024304A KR 101787936 B1 KR101787936 B1 KR 10178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tensioner
arm
assembl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578A (ko
Inventor
알렉산더 서크
딘 슈나이더
Original Assignee
게이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이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게이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1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1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ry fri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4Two or more finally actuated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텐셔너가, 베이스,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 선회 아암, 제1 선회 아암에 축고정되는 제1 풀리,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선회 아암, 제2 선회 아암에 축고정되는 제2 풀리, 제1 선회 아암과의 톱니형 맞물림부 및 제2 선회 아암과의 톱니형 맞물림부를 구비하여, 그로 인해 제1 선회 아암 및 제2 선회 아암이 조화된 방식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가요성 인장 부재, 및,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맞물리며 그리고 가요성 인장 부재와 맞물리는 텐셔너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텐셔너{TENSIONER}
본 발명은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 선회 아암 및 제2 선회 아암, 이 선회 아암들이 조화된 방식으로 운동하도록 제1 선회 아암 및 제2 선회 아암 사이에서 조정되는 가요성 부재, 및 가요성 부재와 맞물리도록 베이스에 장착되는 텐셔너 조립체를 구비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벨트 구동 적용들에서, 적절한 벨트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능력이, 벨트의 미끄러짐 없는 동력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하다. 벨트 구동기에서의 가장 낮은 장력 구간은 통상적으로 이완측 구간(slack side span)으로서 지칭된다. 텐셔너들은 전통적으로 벨트 구동기의 이완측 구간 상에 위치하게 되며 그리고 이러한 구간에서 적절한 최소 벨트 장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이드로서 벨트 회전 방향을 사용하면, 이러한 구간은, 이러한 경우에 동력이 풀리 또는 크랭크 샤프트에 제공된 직후에 위치하게 되는 구간이다. 예를 들어,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이완측 구간은, 벨트가 크랭크 샤프트 풀리를 막 지나간 구간일 것이며, 그리고 긴장측 구간은, 크랭크 샤프트 풀리에 접근하는 구간일 것이다.
벨트 교류발전기 시동기(Belt alternator starter: BAS) 시스템들은, 모터로서도 또한 기능하는 교류발전기를 활용한다. 이는 때때로 모터-발전기로서 지칭된다. BAS 시스템의 작동은, 엔진이 작동 중일 때, 교류발전기가 주로 전통적인 방식으로 거동하도록 그리고 벨트가 일반적으로 엔진 크랭크 샤프트 풀리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부하를 받게 되고 교류발전기에 의해 부하를 받게 되도록 한다. BAS 시스템들에서, 구동기는 전형적으로, 벨트가 크랭크 샤프트 위를 통과한 이후의 다음 부속품으로서 교류발전기를 배치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벨트 텐셔너는, 크랭크 샤프트 풀리와 교류발전기 사이에 위치해야만 한다. 텐셔너는, 가이드로서 벨트 회전 방향을 사용하여 교류발전기 바로 이전에 위치하게 된다.
BAS 시스템은, 벨트 구동기에 독특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교류발전기는, 벨트 구동기 상의 부하 및 벨트 구동기를 위한 동력 제공자 모두로서 작용한다. BAS 시스템 교류발전기는,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교류발전기는 엔진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동의 경우, 교류발전기 풀리는 구동기를 위한 동력 제공자가 된다. 이는 전형적으로, 구동기 내에서의 이완측 구간의 위치를 교류발전기 풀리를 뒤따르는 구간으로 변환한다. 부가적으로, 긴장측 구간은 이때, 교류발전기와 크랭크 샤프트 사이의 구간이다. 전통적인 텐셔너가 이완측 장력의 최소 레벨을 단순히 유지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이때 텐셔너 위치에서의 벨트 내의 높은 장력은 텐셔너의 극심한 운동을 야기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상황은, 새로운 이완측 구간 상의 위치에서의 제2 텐셔너에 대한 필요를 생성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전통적인 접근법은, 2개의 텐셔너를 갖는 벨트 구동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텐셔너는 전형적으로, 벨트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 텐셔너이다. 제2 텐셔너는 흔히, 고가의 유압 텐셔너이다. 이러한 2 텐셔너 배열은 또한, 구동기 내에 복수의 텐셔너를 수용하기 위한 과도하게 긴 벨트를 요구한다. 이는 흔히, 고가의 해결책을 초래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대표적인 예가, 엔진을 구동하기 위해 그리고 엔진에 의해 구동되도록 맞춰지는 벨트 구동 시동기 발전기(belt driven starter generator)를 갖는 엔진을 위한 부속 구동기(accessory drive)를 개시하는, 미국 특허 제7,494,434호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기는, 제1 엔진 구동 풀리 및 제2 시동기 구동 풀리를 포함한다. 구동 벨트가, 어느 하나의 풀리를 다른 풀리에 의해 구동하기 위해 구동 풀리들과 맞물린다. 사전 조립된 유닛으로서 제작되는 이중 벨트 텐셔너가, 엔진에 장착되는 중앙 선회부를 갖는 캐리어(carrier) 및 중앙 선회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캐리어 아암과 제2 캐리어 아암을 구비한다. 제1 아암 상에 장착되는 제1 텐셔너가, 엔진 시동 도중에 이완되는 제2 구동 풀리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1 벨트에 대항하여 편향되는, 제1 텐셔너 풀리를 보유한다. 제2 아암 상에 보유되는 제2 텐셔너 풀리가, 엔진 시동 도중에 팽팽한 제2 구동 풀리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2 벨트에 대항하여 편향된다. 제2 아암에 연결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사전 조립된 유닛 내에 포함되는 유압 지주(hydraulic strut)가, 정상적인 엔진 작동 도중에 제2 텐셔너 풀리에 대한 온화한 편향 그리고, 엔진 시동 및 과도기적 엔진 작동 도중에 제2 텐셔너 풀리의 반작용성 운동을 제한하는, 증가된 벨트 힘에 대한, 속도 민감형 저항을 제공한다.
필요한 것은,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 선회 아암 및 제2 선회 아암, 이 선회 아암들이 조화된 방식으로 운동하도록 제1 선회 아암 및 제2 선회 아암 사이에서 조정되는 가요성 부재, 및 가요성 부재와 맞물리도록 베이스에 장착되는 텐셔너 조립체를 구비하는 텐셔너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 선회 아암 및 제2 선회 아암, 이 선회 아암들이 조화된 방식으로 운동하도록 제1 선회 아암 및 제2 선회 아암 사이에서 조정되는 가요성 부재, 및 가요성 부재와 맞물리도록 베이스에 장착되는 텐셔너 조립체를 구비하는 텐셔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본 발명의 뒤따르는 설명 및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부각되거나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 선회 아암, 제1 선회 아암에 축고정되는 제1 풀리,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선회 아암, 제2 선회 아암에 축고정되는 제2 풀리, 제1 선회 아암과의 톱니형 맞물림부 및 제2 선회 아암과의 톱니형 맞물림부를 구비하여, 그로 인해 제1 선회 아암 및 제2 선회 아암이 조화된 방식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가요성 인장 부재, 및 베이스와 선회가능하게 맞물리며 그리고 가요성 인장 부재와 맞물리게 되는 텐셔너 조립체를 포함하는, 텐셔너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그리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디바이스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4는 감쇠 조립체의 세부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감쇠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6은 감쇠 조립체의 세부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감쇠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동기식 텐셔너 조립체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동기식 텐셔너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아이들러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아이들러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12a는 선회 아암의 세부도이다.
도 12b는 선회 아암의 세부도이다.
도 13a는 선회 아암의 세부도이다.
도 13b는 선회 아암의 세부도이다.
도 14는 디바이스의 내부에 대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엔진 상의 작동 위치에서의 디바이스의 세부도이다.
도 16은 정지 위치에서의 선회 아암(5)과 선회 아암(55) 그리고 허브 부하의 방향을 도시한다.
도 17a는 선회 아암 부하 상태의 세부도이다.
도 17b는 선회 아암 부하 상태의 세부도이다.
도 18은 교류발전기 시동 모드 위치에서의 선회 아암(5)과 선회 아암(55) 그리고 허브 부하의 방향을 도시한다.
도 19는 클러치 스프링의 세부도이다.
도 20은 클러치 스프링의 세부도이다.
도 21은 베이스의 세부도이다.
도 22a는 작동 상태 도중의 선회 아암 위치를 예시한다.
도 22b는 작동 상태 도중의 선회 아암 위치를 예시한다.
도 22c는 작동 상태 도중의 선회 아암 위치를 예시한다.
도 22d는 작동 상태 도중의 선회 아암 위치를 예시한다.
도 23은 도 8의 텐셔너 조립체의 하측 도면이다.
도 24는 텐셔너 스프링의 세부도이다.
도 25는 베이스의 세부도이다.
도 26은 교류발전기에 장착되는 텐셔너의 배면측 세부도이다.
도 27은 교류발전기에 장착되는 텐셔너의 배면 상측 세부도이다.
도 28은 텐셔너 아암의 저면도이다.
도 29는 도 2의 29-29선 단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디바이스의 상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텐셔너(1000)는, 각각 베이스(1)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텐셔너 조립체(501) 및 제2 텐셔너 조립체(502)를 포함한다.
도 2는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샤프트(2)와 샤프트(22)가 베이스(1)로부터 연장된다. 선회 아암(5)이 부싱(6)을 통해 샤프트(2)에 선회가능하게 축고정된다. 선회 아암(5)의 선회축은 샤프트(2)와 동축 상에 놓인다. 선회 아암(55)이 부싱(66)을 통해 샤프트(22)에 선회가능하게 축고정된다. 선회 아암(55)의 선회축은 샤프트(22)와 동축 상에 놓인다. 샤프트(2)와 샤프트(22)는 동축 상에 놓이지 않는다. 아암(5)의 선회축은 아암(55)의 선회축과 동축 상에 놓이지 않는다.
클러치 스프링(3)이 감쇠 조립체(damping assembly: 4)와 베이스(1) 사이에 맞물리게 된다. 클러치 스프링(33)이 감쇠 조립체(44)와 베이스(1) 사이에 맞물리게 된다. 풀리(101)가 베어링(102)을 통해 선회 아암(55)에 축고정된다. 풀리(10)가 베어링(12)을 통해 선회 아암(5)에 축고정된다. 클러치 스프링(3) 및 클러치 스프링(33)이 감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체결 부재(14) 및 체결 부재(144)가 베이스(1) 상에 커버(9)를 구속한다. 아암(5)은 구속 링(7)에 의해 베이스(1) 상에 구속된다. 텐셔너 조립체(15)가 커버(9)에 의해 베이스(1) 상에 구속된다. 커버(9)는 파편들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도 3은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와셔(120)가 구속 링(7)과 부싱(6) 사이에 배치된다. 와셔(122)가 구속 링(77)과 부싱(66) 사이에 배치된다. 아암(5)은 부싱(6) 및 부싱(661) 둘레에서 선회한다. 아암(55)은 부싱(660) 및 부싱(66) 둘레에서 선회한다. 체결 부재(13)가 아암(5)과 맞물린다. 체결 부재(133)가 아암(55)과 맞물린다.
도 4는 감쇠 조립체의 세부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감쇠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감쇠 조립체(4)가 감쇠 슈(damping shoe: 41) 및 감쇠 링(42)을 포함한다. 감쇠 링(42)은 감쇠 슈(41)와 동축 상에 놓인다. 감쇠 링(42)은 축 방향의 틈새(421)를 갖는 원통형 형상이다. 감쇠 링(42)은, 감쇠 슈(41)를 수용하기 위해 내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탭(420, 430)을 갖는다. 감쇠 슈(41)는 축 방향의 틈새(410)를 갖는 원통형 형상이다. 감쇠 링(42)의 외표면(422)은, 선회 아암(5)의 내표면(51)과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도 6은 감쇠 조립체의 세부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감쇠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감쇠 조립체(44)가 감쇠 슈(441) 및 감쇠 링(442)을 포함한다. 감쇠 링(442)은 감쇠 슈(441)와 동축 상에 놓인다. 감쇠 링(442)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새(4440)를 갖는 원통형 형상이다. 감쇠 링(442)은, 감쇠 슈(441)를 수용하기 위해 내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탭(4420, 4430)을 갖는다. 감쇠 슈(441)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새(4410)를 갖는 원통형 형상이다. 감쇠 링(442)의 외표면(4421)은, 선회 아암(55)의 내표면(551)과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도 8은 텐셔너 조립체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텐셔너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동기식 텐셔너 조립체(15)는, 회전가능 벨트 가이드(151), 체결 부재(152), 아암(153) 및 스프링(154)을 포함한다. 벨트 가이드(151)는 샤프트(155)에 의해 아암(153)에 축고정된다. 샤프트(155)는 아암(153) 내의 구멍(1532)과 맞물린다. 아암(153)은, 체결 부재(152)에 의해 베이스(1)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프링(154)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1530) 및 탭(1531)에 의해 아암(153)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스프링(154)은, 아암(153)에 토크를 작용시키기 위한 편향 부재로서 역할을 하며, 아암은 이때 벨트(8)에 부하를 작용시킨다. 도 23은 도 8의 텐셔너 조립체의 하측 도면이다. 도 24는 텐셔너 스프링의 세부도이다. 도 25는 베이스의 세부도이다. 스프링 단부(1540)가 베이스(1) 내의 탭(912) 및 탭(913) 사이에 맞물리게 되며, 이는, 도 21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를 받을 때 스프링(154)의 회전을 방지한다.
샤프트(2)는 베이스(1)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클러치 스프링(3)은,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의 슬롯(911)과 맞물리는 탱(tang: 31)을 통해 베이스(1)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선회 아암(5) 그리고 부싱(6) 및 부싱(661)은, 내공(54)을 통해 샤프트(2)에 축고정된다. 와셔(120)는 샤프트(2)와 동축 상에 놓인다. 구속 링(7)은 샤프트(2) 상의 홈(21) 내에 확고하게 위치하게 된다. 감쇠 조립체(4)는 선회 아암(5)과 동축 상에 놓인다.
샤프트(22)는 베이스(1)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클러치 스프링(33)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910)과 맞물리는 탱(331)을 통해 베이스(1)에 부착된다. 선회 아암(5) 그리고 부싱(66) 및 부싱(660)은, 내공(554)을 통해 샤프트(22)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와셔(122)는 샤프트(22)와 동축 상에 놓인다. 구속 링(77)은 샤프트(22) 상의 홈(221) 내에 확고하게 위치하게 된다. 구속 링(7)은 아암(5)을 샤프트(2) 상에 구속한다. 구속 링(7)은 샤프트(2) 상의 홈(21) 내에 확고하게 위치하게 된다. 구속 링(77)은 아암(55)을 샤프트(22) 상에 구속한다. 감쇠 조립체(44)는 선회 아암(55)과 동축 상에 놓인다. 감쇠 조립체(44)는, 선회 아암 감쇠 표면(551)과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도 10은 아이들러 조립체의 세부도이다. 도 11은 아이들러 조립체의 세부도이다. 풀리(10)는 베어링(12)에 축고정된다. 베어링(12)은 선회 아암(5)의 표면(53) 상에 축고정된다. 풀리(101)는 베어링(102)에 축고정된다. 베어링(102)은 선회 아암(55)의 표면(553) 상에 축고정된다.
도 12a는 선회 아암의 세부도이다. 도 12b는 선회 아암의 세부도이다. 도 13a는 선회 아암의 세부도이다. 도 13b는 선회 아암의 세부도이다. 선회 아암 베어링 장착 표면(53)은 베어링(12)을 수용하며 그리고, 베어링 축(B) 및 선회축(A)을 개별적으로 참조하면, 선회 아암 내공(54)과 동축 상에 놓이지 않는다. 선회 아암 베어링 장착 표면(553)은 베어링(102)을 수용하며 그리고 선회 아암 내공(554)과 동축 상에 놓이지 않는다. 내공(54)은, 체결 부재(13)를 수용하는 샤프트(2)와 맞물린다. 내공(554)은, 체결 부재(133)를 수용하는 샤프트(22)와 맞물린다.
선회 아암(5)은 선회축(A) 둘레에서 선회한다. 베어링(12)은 베어링 축(B) 둘레에서 회전한다. 베어링 축(B) 및 선회축(A)은 동축 상에 놓이지 않으며, 그리고 대신에 거리(X)만큼 서로로부터 치우치게 된다.
선회 아암(55)은 선회축(A2) 둘레에서 선회한다. 베어링(102)은 베어링 축(B2) 둘레에서 회전한다. 베어링 축(B2) 및 선회축(A2)은 동축 상에 놓이지 않으며, 그리고 대신에 거리(Y)만큼 서로로부터 치우치게 된다.
벨트(8)는 개별적으로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 상의 스프로킷(52) 및 스프로킷(552)과 맞물린다. 벨트(8)는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인장 하중을 지탱하기에 적당한 임의의 가요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스프로킷(52) 및 스프로킷(552)은 벨트(8)와 형상적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도 14는 디바이스의 내부에 대한 상측 사시도이다. 벨트(8)는 텐셔너 조립체(15)와 맞물린다. 벨트(8) 및 벨트(200) 내의 모든 인장 하중이 텐셔너 조립체(15)에 의해 부과된다. 선회 아암(5)의 회전은 벨트(8)의 운동을 야기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선회 아암(5)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의 선회 아암(55)의 동기화된 또는 조화된 방식의 운동을 야기한다. 선회 아암(55)의 회전은 벨트(8)의 운동을 야기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또한 선회 아암(55)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의 선회 아암(5)의 동기화된 또는 조화된 방식의 운동을 야기한다. 따라서, 작동시,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은, 벨트(8)의 작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운동한다.
"동기화된" 운동은, 각각의 선회 아암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하는,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의 운동으로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조화된" 운동은, 각각의 선회 아암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그러나 양 선회 아암에 대해 동일한 각도만큼은 아니게 회전하는,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의 운동으로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하지 않은 각도만큼의 선회 아암들의 회전은, 예를 들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벨트(8)의 신장(stretch)을 야기한다.
도 15는 엔진 상의 작동 위치에서의 디바이스의 세부도이다. 전형적인 비동기식 부속적 벨트 구동 시스템 (asynchronous accessory belt drive system: ABDS)에서, 본 발명의 디바이스(10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다. 텐셔너(1000)는 체결 부재(13, 133)를 사용하여 교류발전기(203)에 장착된다. 벨트(200)는 크랭크 샤프트 풀리(201), 교류발전기 풀리(202) 및 텐셔너 풀리(10)와 텐셔너 풀리(101) 둘레로 경로 설정된다. 이러한 배열은 교류발전기 풀리(202)의 양 측부에 벨트 구간들을 배치한다. 벨트(200) 내의 장력은, 텐셔너(1000) 작동 및 풀리(10)와 풀리(101)의 위치에 의해 유지된다. 벨트(200)는 전형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복수 리브형 벨트(multi-ribbed belt)이며, 즉 벨트는 길이 방향 또는 끝없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선회 아암(5) 및 그에 따른 풀리(10)의 위치는 벨트(8)에 의해 제어된다. 선회 아암(55) 및 그에 따른 풀리(101)의 위치 또한 벨트(8)에 의해 제어된다. 벨트(8) 내의 장력은 풀리(10) 및 풀리(101)의 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벨트(8) 내의 장력은 텐셔너 조립체(15)에 의해 유지된다. 텐셔너 조립체(15)와 맞물리는 벨트(8)의 구간은, 벨트(8)의 긴장측 구간이다. 벨트(8)의 나머지 구간(81)은 어떠한 장력도 요구하지 않는다. 벨트(8) 내의 장력은,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 상에, 개별적으로 스프로킷(52) 및 스프로킷(552)과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의 맞물림을 통해, 토크를 생성한다.
도 16은 정지 위치에서의 선회 아암(5)과 선회 아암(55) 그리고 허브 부하의 방향을 도시한다. 엔진 부속 구동기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벨트(200)의 장력은 벨트 전체에 걸쳐 동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벨트(200)의 장력은 초기 벨트 장력이며 그리고 초기 벨트 장력은 본 발명의 텐셔너에 의해 설정된다.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은 각각, 벨트(8) 상에 지탱하는 텐셔너 조립체(15)에 의해 야기되는 벨트(8) 내의 장력에 의해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에 유도되는 토크로 인해, 벨트(200) 내로 회전하도록 강요된다. 벨트(8) 내의 장력은, 토크가 벨트(200)로부터의 허브 부하에 의해 생성되는 토크와 동등하게 대항하게 될 때까지,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을 회전하도록 야기한다. 벨트(200) 허브 하중은, 개별적으로 베어링(12) 및 베어링(102)의 중심축을 통해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에 대해 작용한다. 이는, 토크가 개별적인 아암 상에서의 부하의 방향 및 유효 아암 길이에 기초하여 각각의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 상에 유도되도록 야기한다. 각각의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은, 허브 부하 토크가 개별적인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 상의 벨트(8) 토크와 동등해지고 대항하게 될 때까지, 회전할 것이다.
선회 아암(5) 상에 작용하는 벨트(8)로부터의 모멘트 팔(moment arm)의 길이는, 스프로킷(52)의 피치 직경(예를 들어, 26.3mm)의 1/2과 동등하다. 벨트(200) 허브 부하로부터 선회 아암(5) 상에 작용하는 모멘트 팔의 길이는, 유효 아암 길이로서 지칭되는, 아암 길이에 선회 아암(5)에 대한 힘의 각도의 사인값을 곱한 값과 동등하다. 도 17a는 선회 아암 부하 상태의 세부도이다. 도 17b는 선회 아암 부하 상태의 세부도이다.
선회 아암(55) 상에 작용하는 벨트(8)의 모멘트 팔의 길이는, 스프로킷(552)의 피치 직경(예를 들어, 26.3mm)의 1/2과 동등하다. 벨트(200) 허브 부하로부터 선회 아암(55) 상에 작용하는 모멘트 팔의 길이는, 또한 유효 아암 길이로서 지칭되는, 아암 길이에 선회 아암(55)에 대한 힘의 각도의 사인값을 곱한 값과 동등하다.
벨트 구동기에서, 풀리 둘레의 벨트의 비틀림각이 60도일 때, 벨트 내의 장력에 의해 생성되는 허브 부하는 대략 벨트 내의 장력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벨트의 각 구간에서의 장력이 100N 이라면, 이때 선회 아암(5) 상의 허브 부하는, 비틀림각이 60도일 때, 100N 과 동일하다.
선회 아암(5)에 생성되는 토크는 이때, 허브 부하 100N 에 유효 아암 길이를 곱한 값이다. 유효 아암 길이가 7mm인 경우, 이때 허브 부하에 의한 선회 아암(5) 상의 토크는, 100N x 0.007m = 0.70 Nm 이다.
벨트(8) 내의 장력은 이때,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 상에 동일한 그리고 반대 방향의 토크를 생성하기 위해, 0.7 Nm/ 0.0263m = 26.6N 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앞선 예시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8) 내의 장력은, 단지 벨트(200) 이완측 장력의 대략 1/4 일 필요가 있다. 이는, 스프로킷(52) 및 스프로킷(552) 반경에 대한 유효 아암 길이의 비율이다.
도 18은 교류발전기 시동 모드 위치에서의 선회 아암(5)과 선회 아암(55) 그리고 허브 부하의 방향을 도시한다. 교류발전기가 크랭크 샤프트 대신에 시스템 내의 구동 풀리가 되는 시동 상황 도중에, 도 18의 상측 구간(C)은 이완측 구간이 되며 그리고 하측 벨트 구간(D)은 긴장측 구간이 된다. 교류발전기가 시동 상황을 위해 60Nm 의 토크를 공급하면, 긴장측 장력은, 이러한 레벨의 동력 전달을 지지할 수 있는 레벨까지 상승해야만 한다. 시동 상황 도중에, 하부 선회 아암(55)은, 벨트(200) 내의 증가된 장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힘을 받는다. 벨트(200) 내의 장력은, 엔진 회전을 시작하기에, 즉 크랭크 샤프트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레벨까지 상승한다.
벨트 구동기들에서, 풀리 둘레에서의 이완측 장력에 대한 긴장측 장력의 비율은, 장력비로서 공지된다. ABDS 구동에서 적합한 벨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장력비는 대략 5일 필요가 있다.
교류발전기에 의해 공급되는 60Nm 토크를 요구하는 시동 상황을 위해, 60Nm 의 토크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교류발전기 풀리 둘레에서의 장력의 차이는 아래 식과 같다.
토크 = r * ΔΤ = r(T2-Tl) (수학식 1)
여기서 T2 = 긴장측 장력
Tl = 이완측 장력
R = 풀리 반경 = 0.030m
ΔΤ 에 대해 풀면:
ΔΤ = 토크/r = 60/0.030 = 2000N
이완측 장력이, 장력비 5가 적합한 ABDS 시스템 기능을 위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어야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T2/T1 = 5 (수학식 2)
다음과 같은 수학식이 알려져 있다.
ΔΤ = T2-T1 (수학식 3)
수학식 3에서 T2 에 대해 풀면:
T2 = ΔΤ+Τ1
수학식 2에 대입하고 Tl 에 대해 풀면:
(ΔΤ+Tl) /Tl = 5
ΔΤ+Τ1 = 5T1
ΔΤ = 4T1
ΔΤ/4 = Tl
2000/4 = Tl
Tl = 500N
다시 수학식 2에 대입하면:
T2/T1 = 5
T2/500 = 5
T2 = 2500N
시동 상황 도중에 긴장측 구간(도 18의 (D) 참조)에서의 높은 장력(T2)은, 아암 방향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부하의 방향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는 위치로 아암이 회전하도록 야기하는, 토크를 생성하기 위해 선회 아암(55) 상에 작용하는 허브 부하를 야기한다. 이는, 텐셔너 조립체(502)를 고정된 아이들러로 일시적으로 변환하는 효과를 갖는다. 텐셔너 조립체(502)의 선회 아암(55)의 회전량은, 대략 65도이다.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의 배열은, 각각 벨트(200)를 향해 회전할 때, 회전 각도 당 벨트(200)를 향한 개별적으로 풀리(10) 및 풀리(101)의 운동이, 각 선회 아암이 벨트(200)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할 때보다 더 크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이완측 텐셔너 조립체(501)의 회전 각도가, 동일한 벨트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 긴장측 텐셔너 조립체(502)에 의해 이동되는 것보다 작을 것을 요구한다. 표 1은, 벨트 신장 없는 시동 상황 도중의 각각의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의 회전량을 보여준다.
위치 벨트 길이 Δ각도 상측 아암(5) Δ각도 하측 아암(55)
정상(무부하) 884.2mm - -
교류발전기 시동 884.2mm 25° 65°
벨트(200)가 부하로 인해 신장되기 때문에, 이완측 선회 아암(5)이 이러한 신장에 대해 보상해야만 한다. 부하로 인한 벨트 신장량이 3mm 인 것으로 가정하면, 이완측 텐셔너는, 이러한 부가적인 벨트 길이를 취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30도 회전해야만 한다. 표 2는 시동 상황 도중의 각각의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의 회전량을 보여주며 그리고 벨트 신장을 고려한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 벨트 길이 Δ각도 상측 아암(5) Δ각도 하측 아암(55)
정상(무부하) 884.2mm - -
교류발전기 시동(신장 없음) 884.2mm 25° 65°
교류발전기 시동(신장 동반) 877.2mm 55° 65°
표 2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완측 텐셔너 선회 아암(5)은, 벨트(200)의 신장을 고려하기 위해 부가적인 30도를 회전해야만 한다. 도 22a는 작동 상태 도중의 선회 아암 위치를 예시한다. 도 22b는 작동 상태 도중의 선회 아암 위치를 예시한다. 도 22c는 작동 상태 도중의 선회 아암 위치를 예시한다. 도 22d는 작동 상태 도중의 선회 아암 위치를 예시한다.
부가적으로, 배열은, 이완측 선회 아암(5)의 유효 아암 길이가, 선회 아암이 벨트(200)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감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효 아암 길이의 감소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가, 교류발전기 시동과 같은 상황 도중에, 이완측 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그리고 그에 따라 전체 벨트(200) 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벨트(8)의 장력이 텐셔너 조립체(15)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달성된다. 텐셔너 조립체(15)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벨트(200)의 허브 부하에 대항하게 되어야만 될, 선회 아암(5) 상의 토크를 유도한다. 이완측 선회 아암(5)의 55도의 회전은, 선회 아암의 유효 아암 길이를 7mm 로부터 4.2mm 로 감소시킨다.
텐셔너 조립체(15)가 벨트(8) 내의 장력을 그리고 그로 인해 벨트(200)를 제어하기 때문에, 텐셔너 조립체(15)가 선회 아암(5) 내의 토크를 제어한다. 선회 아암(5)의 회전 각도는, 선회 아암(55)의 회전 각도보다 10도 만큼 작다. 이는, 텐셔너 조립체(15) 상에 작용하는 벨트(8)의 구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며, 그로 인해 텐셔너 조립체(15)의 회전을 야기한다. 텐셔너 조립체(15)의 회전은, 벨트(8) 내의 장력이 증가하는 것을 야기한다. 벨트(8) 내의 장력의 증가는,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 상의 토크를 증가시킨다.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 상에 대항하는 토크를 생성하는 허브 부하 힘은, 평형상태에 도달하도록 증가해야만 한다.
앞서 도시된 바와 같은 허브 부하와 대략 동일한 벨트(200) 상의 장력을 계산하기 위해, 벨트(8)로부터의 선회 아암(5) 상의 토크를 새로운 유효 아암 길이로 간단히 나눈다. 벨트(8) 내의 새로운 장력은 81N 이다. 벨트(8)로부터의 선회 아암(5) 상의 토크는, 2.13Nm 이다. 벨트(200) 내의 장력은 2.13Nm/0.0042m = 507N 이다. 이러한 장력은 앞서 계산된 최소 이완측 장력(Tl)을 상회하며 그리고 적합한 전체 벨트 장력을 생성한다. 이완측 장력을 증가시키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능력은, 벨트 수명 및 부속품 수명에 대해 유익하도록 전체 초기 장력들이 감소하게 되도록 허용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60Nm 의 시동 상황을 위해,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최소 500N 의 이완측 장력을 제공한다. 60Nm 의 재생성 제동 상황을 위해,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최소 500N 의 이완측 장력을 제공한다. 무부하 상태에 대해,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100N 의 감소된 이완측 장력을 제공한다. 20Nm 교류발전기 부하와 같은 중간 부하 상태에 대해,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167N 의 필요한 이완측 장력을 제공한다.
본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수치 값들은, 예시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단지 예들이며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감쇠 벨트 진동이 또한, 텐셔너들의 중요한 기능이다. 감쇠는 가장 흔히, 텐셔너 선회 아암 내에 운동에 대한 저항성을 생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ABDS 텐셔너들 내에 비대칭적 감쇠를 갖도록 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비대칭적 감쇠는, 텐셔너 아암 운동에 대한 저항이 텐셔너 선회 아암 운동의 방향에 의존하여 상이한 상태이다.
도 19는 클러치 스프링의 세부도이다. 도 20은 클러치 스프링의 세부도이다. 본 발명의 텐셔너에서의 감쇠는, 감쇠 조립체(4)의 클러치 스프링(3) 및 선회 아암(5)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리고 감쇠 조립체(44)의 클러치 스프링(33) 및 선회 아암(55)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클러치 스프링(3)은 오른손 감김이며 그리고 클러치 스프링(33)은 왼손 감김이다. 클러치 스프링(3)은, 슬롯(911) 내로의 탱(31)의 맞물림을 통해 베이스(1)에 부착된다. 클러치 스프링(33)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910) 내로의 탱(331)의 맞물림을 통해 베이스(1)에 부착된다. 도 21은 베이스의 세부도이다.
클러치 스프링(3)은, 감쇠 조립체(4)에 대한 일방향 클러치로서 작용한다. 클러치 스프링(3)은, 단지 선회 아암(5)이 벨트(200)를 향해 회전하는 방향으로만 감쇠 조립체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감쇠 조립체(4)를 제한한다. 감쇠 조립체(4)는, 감쇠 슈(41)가 감쇠 링(42) 상에 외향의 압력을 생성하여, 감쇠 링이 결국 선회 아암(5)의 감쇠 표면(51)과의 접촉 상태로 외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외향의 압력에 의해 생성되는 수직 항력은, 감쇠 조립체(4)와 선회 아암(5) 사이의 운동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생성하기 위해, 선회 아암(5) 상에서의 감쇠 링(42)의 마찰계수와 조합된다. 마찰력은, 감쇠 조립체(4)가 회전할 때마다, 감쇠 조립체(4)가 선회 아암(5)이 회전하는 것을 강요하도록 야기한다.
클러치 스프링(33)은, 감쇠 조립체(44)에 대한 일방향 클러치로서 작용한다. 클러치 스프링(33)은, 단지 선회 아암(55)이 벨트(200)를 향해 회전하는 방향으로만 감쇠 조립체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감쇠 조립체(44)를 제한한다. 감쇠 조립체(44)는, 감쇠 슈(441)가 감쇠 링(442) 상에 외향의 압력을 생성하여, 감쇠 링이 결국 선회 아암(55)의 감쇠 표면(551)과의 접촉 상태로 외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외향의 압력에 의해 생성되는 수직 항력은, 감쇠 조립체(44)와 선회 아암(55) 사이의 운동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생성하기 위해, 선회 아암(55) 상에서의 감쇠 링(442)의 마찰계수와 조합된다. 마찰력은, 감쇠 조립체(44)가 회전할 때마다, 감쇠 조립체(44)가 선회 아암(55)이 회전하는 것을 초래하도록 야기한다.
벨트(200)의 긴장측 구간이 텐셔너 조립체(501)와 맞물리는 차량 작동 도중에, 벨트(200)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선회 아암(5) 상의 허브 부하에 의해 가해지게 되는 토크는, 선회 아암(5)이 벨트(200)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증가한다. 벨트(200)로부터 멀어지는 이러한 운동 도중에, 클러치 스프링(3)은 감쇠 조립체(4)에 대항하여 록킹되어, 선회 아암(5)과 함께 회전하는 감쇠 조립체(4)의 능력을 제거하며, 이는 선회 아암(5)이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선회 아암(5)은 이때 단지, 증가하는 허브 부하에 의해 야기되는 토크가 감쇠 조립체(4)로부터의 저항을 초과한 이후에, 회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벨트(200)의 이완측 구간 내의 장력은 떨어지며 그리고 개별적인 선회 아암(55)은 벨트(200) 내로 이동한다. 클러치 스프링(33)의 이러한 회전 방향으로 클러치가 해제되기 때문에, 선회 아암(55)은 자유롭게 회전하며 그리고 그로 인해 적합한 이완측 구간 벨트 장력을 유지한다.
긴장측 구간이 텐셔너 조립체(502)에 대항하는 차량 작동 도중에, 벨트(200)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선회 아암(55) 상의 허브 부하에 의해 가해지게 되는 토크는, 아암이 벨트(200)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증가한다. 벨트(200)로부터 멀어지는 이러한 운동 도중에, 클러치 스프링(33)은 감쇠 조립체(44)에 대항하여 록킹되어, 선회 아암(55)과 함께 회전하는 감쇠 조립체(44)의 능력을 제거하며, 그로 인해 선회 아암(55)을 정지시킨다. 선회 아암(55)은 단지, 증가하는 허브 부하에 의해 야기되는 토크가 감쇠 조립체(44)로부터의 저항을 초과한 이후에, 회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벨트(200)의 이완측 구간 내의 장력은 떨어지며 그리고 개별적인 선회 아암(5)은 벨트(200) 내로 이동한다. 클러치 스프링(3)의 이러한 회전 방향으로 클러치가 선회 아암(5)을 해제시키기 때문에, 선회 아암(5)은 자유롭게 회전하며 그리고 그로 인해 벨트(200) 내에서 적합한 이완측 구간 벨트 장력을 유지한다.
클러치 스프링(3)과 함께 작용하는 감쇠 조립체(4)에 의해 야기되는 선회 아암(5)의 회전 저항은, 다른 방향보다 일방향 이동에 대해 더 큰 저항을 생성한다. 회전에 대한 동등하지 않은 저항은, 텐셔너 조립체(501) 내에 비대칭적 감쇠를 생성한다.
클러치 스프링(33)과 함께 작용하는 감쇠 조립체(44)에 의해 야기되는 선회 아암(55)의 회전 저항은, 다른 방향보다 일방향 이동에 대해 더 큰 저항을 생성한다. 회전에 대한 이러한 동등하지 않은 저항은, 텐셔너 조립체(502) 내에 비대칭적 감쇠를 생성한다.
BAS 시스템들은 또한, 예를 들어 교류발전기가 전력을 생성할 때, 교류발전기가 벨트(200)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 풀리에 부하를 가하는, 정상적인 모드에서 작동한다.
BAS 시스템들은 또한, 교류발전기가 크랭크 샤프트 풀리에 크게 부하를 가하도록 사용되며 그리고 결과적으로, 또한 재생 제동으로도 지칭되는, 차량 제동을 지원하도록 사용되는, 모드들에서 작동한다. 재생 제동 상황에서, 벨트의 부하는, 교류발전기 시동 상황에 관해 이상에 설명된 것과 반대이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텐셔너의 기능은 단지, 벨트(200)의 긴장측 구간을 텐셔너 조립체(501) 상에 지탱시키며 그리고 벨트(200)의 이완측 구간을 텐셔너 조립체(502) 상에 지탱시키도록, 전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프로킷(52) 및 스프로킷(552)은,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비-원형 형상이다. 스프로킷(52) 및 스프로킷(552)은 각각,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의 선회축과 개별적으로 동축 상에 놓이지 않을 수 있다. 스프로킷(52) 및 스프로킷(552)은,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에 대해 편심 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 개별적으로 상이한 치우침을 가질 수 있다. 선회 아암(5)은, 선회 아암(55)과 상이한 편심 치우침을 가질 수 있다. 스프로킷(52) 및 스프로킷(552)은 상이한 직경일 수 있다. 벨트(8)는, 무단의 복수의 균등하게 이격된 톱니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즉 벨트(8)는 구간(81)이 존재하지 않는 단부들을 가질 수 있다. 벨트(8)는, 무단의 복수의 균등하게 이격된 톱니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대신에 단지 스프로킷(52) 및 스프로킷(552)과의 인터페이스에만 톱니를 구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벨트(8)는, 인장 부하를 운반할 수 있는, 평면형 벨트, 스트랩, 로프 또는 케이블과 같은, 가요성 무단 부재(flexible endless member)일 수 있다. 벨트(8)는, 텐셔너 조립체(15) 근처에 힌지 고정되는 강성 막대일 수 있다. 벨트(8)는, 벨트(8)의 구간을 나타내는 압축성 부재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도 26은 교류발전기에 장착되는 텐셔너의 배면측 세부도이다. 체결 부재(13) 및 체결 부재(133)가, 교류발전기(203)에 텐셔너(1000)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7은 교류발전기에 장착되는 텐셔너의 배면 상측 세부도이다.
도 28은 텐셔너 아암의 저면도이다. 스프링(154)의 단부(1541)가, 선회 아암(153) 상의 탭(1530)과 탭(1531) 사이에 맞물린다.
도 29는 도 2의 29-29선 단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감쇠 조립체(4)는 선회 아암(5)의 표면(51)과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감쇠 조립체(44)는 선회 아암(55)의 표면(551)과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클러치 스프링(3)은 감쇠 슈(41)와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클러치 스프링(33)은 감쇠 슈(441)와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클러치 스프링(3) 및 클러치 스프링(33)은 각각, 감김 해제 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되며, 이는 부과되는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직경이 확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러치 스프링(3)의 확대는 감쇠 슈(41)를 감쇠 링(42)에 대해 가압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표면(51)에 대해 가압하고, 이는 선회 아암(5)의 회전을 늦추거나 정지시킨다. 클러치 스프링(33)의 확대는 감쇠 슈(441)를 감쇠 링(442)에 대해 가압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표면(551)에 대해 가압하고, 이는 선회 아암(55)의 회전을 늦추거나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벨트(8)가 방향(M1)으로 운동하면, 클러치 스프링(3)은, 감김 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선회 아암(5)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클러치 스프링(33)은 감김 해제 방향으로 부하를 받을 것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감쇠 조립체(44)는 선회 아암(55)의 회전을 저지할 것이다.
벨트(8)가 방향(M2)으로 운동하면, 클러치 스프링(3)은, 감김 해제 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선회 아암(5)의 회전을 저지할 것이다. 그러나, 클러치 스프링(33)은 감김 방향으로 부하를 받을 것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감쇠 조립체(44)는 선회 아암(55)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을 것이다.
텐셔너 조립체(15)는, 벨트(8)의 운동 방향에 무관하게, 벨트(8) 내의 부하를 유지할 것이다. 텐셔너 조립체(15)는, 벨트(200)의 운동 방향에 무관하게, 각각의 선회 아암(5) 및 선회 아암(55)을 통해, 벨트(200) 내의 부하를 유지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의 형태가 여기에 설명되었지만, 변형들이,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부품들의 구성 및 관계 그리고 방법에 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2)

  1. 텐셔너로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 선회 아암, 상기 제1 선회 아암에 축고정되는 제1 풀리;
    상기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선회 아암, 상기 제2 선회 아암에 축고정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선회 아암과의 톱니형 맞물림부 및 상기 제2 선회 아암과의 톱니형 맞물림부를 구비하여, 그로 인해 상기 제1 선회 아암 및 상기 제2 선회 아암이 조화된 방식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가요성 인장 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맞물리며 그리고 상기 가요성 인장 부재와 맞물리는 텐셔너 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아암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는 제1 감쇠 조립체로서, 제2 방향보다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선회 아암 상에 더 큰 감쇠력을 가하는 것인, 제1 감쇠 조립체; 및
    상기 제2 선회 아암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는 제2 감쇠 조립체로서, 제2 방향보다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선회 아암 상에 더 큰 감쇠력을 가하는 것인, 제2 감쇠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쇠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와 맞물리는 제1 클러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러치 스프링은 감김 해제 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감쇠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와 맞물리는 제2 클러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러치 스프링은 감김 해제 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되는 것인, 텐셔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 스프링은 상기 제2 클러치 스프링과 반대의 방향으로 감기는 것인, 텐셔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 조립체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아암은 체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내공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선회 아암은 체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내공을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장 부재는 톱니형 벨트를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쇠 조립체는 제1 감쇠 링의 반경 방향 내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감쇠 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쇠 슈는 상기 제1 클러치 스프링과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제1 감쇠 링은 상기 제1 선회 아암과 맞물리는 것인, 텐셔너.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쇠 조립체는 제2 감쇠 링의 반경 방향 내향으로 배치되는 제2 감쇠 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쇠 슈는 상기 제2 클러치 스프링과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제2 감쇠 링은 상기 제2 선회 아암과 맞물리는 것인, 텐셔너.
  10. 제 1항에 있어서,
    교류발전기에 장착되는 것인, 텐셔너.
  11. 텐셔너로서,
    베이스;
    각각 상기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텐셔너 조립체 및 제2 텐셔너 조립체;
    상기 제1 텐셔너 조립체와 상기 제2 텐셔너 조립체 사이에서 조정되는 가요성 인장 부재로서, 상기 제1 텐셔너 조립체 및 상기 제2 텐셔너 조립체의 조화된 운동을 야기하는 것인, 가요성 인장 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가요성 인장 부재와 맞물리는, 제3 텐셔너
    를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12. 텐셔너로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 텐셔너 조립체로서, 제1 선회 아암, 제1 사전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제1 선회 아암의 운동을 마찰식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감쇠 조립체, 상기 제1 선회 아암에 축고정되는 제1 풀리를 포함하는 것인, 제1 텐셔너 조립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2 텐셔너 조립체로서, 제2 선회 아암, 제2 사전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제2 선회 아암의 운동을 마찰식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감쇠 조립체, 상기 제2 선회 아암에 축고정되는 제2 풀리를 포함하는 것인, 제2 텐셔너 조립체;
    상기 제1 텐셔너 조립체와 상기 제2 텐셔너 조립체 사이에 맞물리는 가요성 부재로서, 상기 제1 텐셔너 조립체 및 상기 제2 텐셔너 조립체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가요성 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그리고 상기 가요성 부재와 맞물리는, 제3 텐셔너
    를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쇠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와 맞물리는 제1 클러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러치 스프링은 감김 해제 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감쇠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와 맞물리는 제2 클러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러치 스프링은 감김 해제 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되는 것인, 텐셔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 스프링은 상기 제2 클러치 스프링과 반대의 방향으로 감기는 것인, 텐셔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텐셔너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아암은 체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내공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선회 아암은 체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내공을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는 톱니형 벨트를 포함하는 것인, 텐셔너.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쇠 조립체는 제1 감쇠 링의 반경 방향 내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감쇠 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쇠 슈는 상기 제1 클러치 스프링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인, 텐셔너.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쇠 조립체는 제2 감쇠 링의 반경 방향 내향으로 배치되는 제2 감쇠 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쇠 슈는 상기 제2 클러치 스프링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인, 텐셔너.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방향은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아닌 것인, 텐셔너.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아암은 제1 선회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선회 아암은 제2 선회축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선회축 및 상기 제2 선회축은 동일 축 상에 놓이지 않는 것인, 텐셔너.
  22. 제 12항에 있어서,
    교류발전기에 장착되며; 그리고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는 벨트와 맞물리며, 상기 벨트는 상기 교류발전기와 맞물리는 것인, 텐셔너.
KR1020167024304A 2014-02-06 2015-01-19 텐셔너 KR101787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73,978 US9140338B2 (en) 2014-02-06 2014-02-06 Tensioner
US14/173,978 2014-02-06
PCT/US2015/011927 WO2015119765A1 (en) 2014-02-06 2015-01-19 Tens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578A KR20160117578A (ko) 2016-10-10
KR101787936B1 true KR101787936B1 (ko) 2017-10-18

Family

ID=5247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304A KR101787936B1 (ko) 2014-02-06 2015-01-19 텐셔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140338B2 (ko)
EP (1) EP3102850B1 (ko)
JP (1) JP6201060B2 (ko)
KR (1) KR101787936B1 (ko)
CN (1) CN106062422B (ko)
AU (1) AU2015214604B2 (ko)
BR (1) BR112016018278B1 (ko)
CA (2) CA3010156C (ko)
ES (1) ES2656113T3 (ko)
MX (1) MX2016010098A (ko)
RU (1) RU2016135769A (ko)
WO (1) WO2015119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8905B1 (en) 2012-12-26 2018-10-17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rbital tensioner assembly
JP6067379B2 (ja) * 2013-01-09 2017-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JP6278673B2 (ja) * 2013-11-28 2018-02-14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ガイドおよびチェーン伝動装置
US9920819B2 (en) * 2014-02-06 2018-03-20 Gates Corporation Tensioner
JP6265810B2 (ja) * 2014-03-27 2018-01-24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ガイドおよびチェーン伝動装置
KR102137279B1 (ko) * 2014-05-22 2020-07-23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벨트 전동 시스템
JP6503385B2 (ja) * 2014-06-26 2019-04-17 リテンズ オートモーティヴ パートナーシップ 軌道テンショナアセンブリ
HUE056864T2 (hu) * 2015-04-02 2022-03-28 Litens Automotive Inc Segéd hajtásfeszítõ továbbfejlesztett feszítõkar és feszítõelem elrendezéssel
DE112016002094T5 (de) * 2015-05-08 2018-02-15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Riementransmissionssystem
DE102016205019B4 (de) * 2016-03-24 2022-12-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chsparalleler Hybridantrieb mit montageoptimierter Lagerung und Montageverfahren
CN109891127A (zh) * 2016-10-25 2019-06-14 盖茨公司 张紧器
KR20180109532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만도 액추에이터
IT201700053588A1 (it) * 2017-05-17 2018-11-17 Dayco Europe Srl Tenditore per una trasmissione accessori di un autoveicolo
US10989280B2 (en) * 2017-06-16 2021-04-27 Gates Corporation Tensioner
US10968988B2 (en) * 2017-06-16 2021-04-06 Gates Corporation Tensioner
US10995829B2 (en) 2017-06-16 2021-05-04 Gates Corporation Tensioner
DE102017124783B3 (de) * 2017-10-24 2019-03-21 Muhr Und Bender Kg Spannvorrichtung
US10774906B2 (en) * 2018-03-27 2020-09-15 Gates Corporation Tensioner
JP6737907B2 (ja) * 2018-12-03 2020-08-12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テンショナ
CN115087819A (zh) * 2020-01-08 2022-09-20 盖茨公司 预加载的张紧器装置和带组件
IT202000006433A1 (it) * 2020-03-26 2021-09-26 Dayco Europe Srl Tenditore per una trasmissione accessori di un autoveicolo e trasmissione accessori provvista di tale tenditore
DE102020004335A1 (de) 2020-07-20 2022-01-20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und Riementrieb mit einer solchen Riemenspannvorrichtung
WO2022057085A1 (zh) * 2020-09-15 2022-03-24 苏州雷泰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床公转结构及加速器治疗床
CN114483896A (zh) * 2022-02-25 2022-05-13 北京半导体专用设备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五研究所) 一种链轮张紧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7439A (ja) 2001-12-12 2005-12-08 デイコ プロダクツ,エルエルシー 可逆トルク負荷式滑車を制御するための補助ベルトテンションシステム
US8327972B1 (en) 2011-11-10 2012-12-11 The Gates Corporation Vehicle steering system transmission
US20120318589A1 (en) 2011-06-20 2012-12-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elt tensioning assembly for an engine system having a motor-generator unit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8293A (en) * 1918-03-23 1920-04-27 Renault Louis Driving-chain
US1579245A (en) * 1919-11-13 1926-04-06 Gordon R Pennington Spring suspension for track-laying tractors
US2352797A (en) * 1941-06-12 1944-07-04 Lily Tulip Cup Corp Variable intermittent motion device
US2726364A (en) * 1952-04-12 1955-12-06 Nolan Company Overload-controlling mechanism for electric motor-driven apparatus
USRE27861E (en) * 1972-02-16 1974-01-01 Motion transmission devi cp
US4416647A (en) * 1981-05-26 1983-11-22 Dayco Corporation Belt tensioner
US4758208A (en) * 1987-07-13 1988-07-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belt tensioner for vehicle combined starter-generator
FR2640714B1 (fr) * 1988-12-16 1991-02-08 Caoutchouc Manuf Plastique Dispositif de tension par transmission par lien souple a double galet sur bague elastique de torsion
US5000724A (en) * 1990-05-01 1991-03-19 Reid Rod B Roller chain tensioning device
DE19926615A1 (de) * 1999-06-11 2000-12-14 Schaeffler Waelzlager Ohg Spanneinrichtung für Zugmittel wie Riemen oder Ketten
DE19926612A1 (de) * 1999-06-11 2000-12-14 Schaeffler Waelzlager Ohg Riemen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04505224A (ja) * 2000-07-27 2004-02-19 イナーシエツフレル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ベルト駆動式のスタータジェネレータのための緊張システム
RU2266445C2 (ru) * 2000-10-03 2005-12-20 Дзе Гейтс Корпорейшн На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ременного привода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генератора
US20020123401A1 (en) * 2001-03-02 2002-09-05 Henry Rassem Ragheb Combination starter-generator
US7163478B2 (en) * 2001-12-12 2007-01-16 Dayco Products, Llc Belt tensioner having an automatically adjustable travel stop
US6652401B2 (en) * 2002-02-11 2003-11-25 The Gates Corporation Method of tuning a belt drive system
AU2003220355A1 (en) * 2002-03-15 2003-09-29 The Gates Corporation Initial belt tensioner
US6830524B2 (en) * 2002-05-23 2004-12-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Crank drive belt system with triple pulley tensioner
US6960145B2 (en) * 2002-08-30 2005-11-01 Trw, Inc. Belt tensione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unit
WO2004027289A1 (en) * 2002-09-20 2004-04-01 The Gates Corporation Belt tensioner
ITTO20021133A1 (it) * 2002-12-30 2004-06-30 Dayco Europe Srl Tenditore bi-braccio per una trasmissione a cinghia.
DE60321308D1 (de) * 2003-04-02 2008-07-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Zweiarmiger Riemenspanner
ITTO20030819A1 (it) * 2003-10-17 2005-04-18 Dayco Europe Srl Tenditore bi-braccio per una cinghia di trasmissione di un autoveicolo.
US20050181901A1 (en) * 2004-02-13 2005-08-18 Chang-Hyun Shin Double action belt tensioner
DE602004012114T2 (de) * 2004-10-28 2009-03-05 Dayco Europe S.R.L. Con Unico Socio Riemenscheibe und Riemenantriebseinheit zum Antrieb von Hilfsteilen einer Brennkraftmaschine
US7494434B2 (en) * 2005-06-15 2009-0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elt alternator starter accessory drive with dual tensioner
ATE454575T1 (de) * 2005-07-14 2010-01-15 Dayco Europe Srl Spannvorrichtung für einen antriebsriemen eines kraftfahrzeugs
DE102005039719A1 (de) * 2005-08-23 2007-03-22 Schaeffler Kg Spannsystem für einen Zugmitteltrieb mit einem in den Zugmittel integrierten Startergenerator
US7892125B2 (en) * 2006-09-15 2011-02-22 Xerox Corporation Simplified and adaptable flexible drive tensioner
DE102008025552B4 (de) * 2008-05-28 2020-06-10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für Starter-Generator-Anwendung
EP2395261B1 (en) * 2009-02-03 2015-10-21 NTN Corporation Chain guide and chain tensioner device
US8092328B2 (en) * 2009-06-30 2012-01-10 The Gates Corporation Dual tensioner assembly
US8602930B2 (en) * 2009-09-18 2013-1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rive belt tensioner for motor generator unit
US8057334B2 (en) * 2009-09-23 2011-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cessory drive tensioner assembly
US8944945B2 (en) * 2010-04-14 2015-02-03 Richard J. Kilshaw Chain tensioner
DE102011082764A1 (de) * 2010-10-13 2012-04-1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eines Verbrennungsmotors
DE102011082330B4 (de) * 2011-08-12 2014-08-0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US20130260932A1 (en) * 2012-03-29 2013-10-03 Joern Adam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7439A (ja) 2001-12-12 2005-12-08 デイコ プロダクツ,エルエルシー 可逆トルク負荷式滑車を制御するための補助ベルトテンションシステム
US20120318589A1 (en) 2011-06-20 2012-12-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elt tensioning assembly for an engine system having a motor-generator unit
US8327972B1 (en) 2011-11-10 2012-12-11 The Gates Corporation Vehicle steering system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8116A (ja) 2017-03-23
JP6201060B2 (ja) 2017-09-20
RU2016135769A (ru) 2018-03-07
US9140338B2 (en) 2015-09-22
MX2016010098A (es) 2017-04-13
RU2016135769A3 (ko) 2018-03-07
CA3010156A1 (en) 2015-08-13
CA2938432C (en) 2018-08-14
AU2015214604A1 (en) 2016-08-18
CN106062422A (zh) 2016-10-26
AU2015214604B2 (en) 2017-08-10
EP3102850A1 (en) 2016-12-14
BR112016018278B1 (pt) 2023-02-23
EP3102850B1 (en) 2017-12-13
US20150219189A1 (en) 2015-08-06
ES2656113T3 (es) 2018-02-23
CN106062422B (zh) 2019-10-15
KR20160117578A (ko) 2016-10-10
CA3010156C (en) 2019-05-28
CA2938432A1 (en) 2015-08-13
WO2015119765A1 (en) 2015-08-13
BR112016018278A2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936B1 (ko) 텐셔너
KR20190073491A (ko) 텐셔너
US9920819B2 (en) Tensioner
US20150300462A1 (en) Tensioner
US9341243B2 (en)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CN106662219B (zh) 轨道张紧器组件
US9133762B2 (en) Drive belt tensioner for motor generator unit
KR20170110652A (ko) 이중 아암 텐셔너
US8157682B2 (en) Tensioner
US20110015017A1 (en) Tensioner
JP6898525B2 (ja) ロータリーテンショナ
KR20130102054A (ko) 방사상 마찰 비대칭 감쇠를 위한 확장 스프링을 구비하는 텐셔너
US9212731B2 (en) Tensioner with multiple nested torsion springs
WO2017147251A1 (en) Belt tensioner for motor generator unit
JP7039725B2 (ja) テンショナ
CN109154366A (zh) 具有改进布置的张紧器臂部和偏置构件的用于附件传动设备的张紧器
JP2005090533A (ja) 伝動ベルトの多軸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